KR19980081331A - 수팽윤성 조성물 및 방수재 - Google Patents

수팽윤성 조성물 및 방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331A
KR19980081331A KR1019980012996A KR19980012996A KR19980081331A KR 19980081331 A KR19980081331 A KR 19980081331A KR 1019980012996 A KR1019980012996 A KR 1019980012996A KR 19980012996 A KR19980012996 A KR 19980012996A KR 19980081331 A KR19980081331 A KR 19980081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sphalt
waterproofing material
swellable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4717B1 (ko
Inventor
가토게이스케
스기야마히로미치
가와구치유지
나카무라다케시
Original Assignee
구니미네야스히코
구니미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니미네야스히코, 구니미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니미네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8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5/00Adhesive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2Fillers; Inorganic pigments; Reinforc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팽윤성 점토, 아스팔트 및 온도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성된 수팽윤성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수재는 저가로 비교적 용이하게 생산가능하며, 방수능력 장기간 안정 가능성 및 자기밀봉 특성에 있어서 뛰어나며, 성형유지성 및 열저항력 뿐만 아니라 접착성을 가지며, 압력 충격 탄성력이 비교적 낮으며, 응용시에 기질을 따르는 능력이 탁월하며, 응용 가능성에서 또한 뛰어나다.

Description

수팽윤성 조성물 및 방수재
본 발명은 수팽윤성 조성물 및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높은 방수 능력, 장기간의 안정성, 및 자체밀봉 특성을 가짐으로써 높은 작업 효율성을 보장하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수팽윤성 방수재 및 그 안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수팽윤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사용시에 흐르는 물에 의하여 불침투층이 씻겨지지 않고, 물과의 접촉시 미리 팽윤되지 않도록 하며, 높은 방수 효과를 보여주는 수팽윤성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계, 고무계, 및 수지계 유기성 물질로 구성된 방수재는 누수 방지 및 밀봉이 요구되는 부분, 예를 들어, 토목 공사 및 건물 구성물에서의 콘크리트 접합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부분 및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부분사이의 결합 부분, 또는 2차 콘크리트 제품의 결합 부분에 대한 밀봉을 위하여, 특히, 수면 밑의 건축물의 누수 방지 및 밀봉을 위해 이용된다. 또한, 기타의 방수재로서, 무기물로 구성된 방수재가 알려져 있으며, 시멘트계 방수재와 같은 경화되는 방수재 및 스메틱계의 방수재가 이용된다. 스메틱계 방수재로서는, 물을 흡수함으로써 팽윤 속성을 가지는 벤토나이트 물질을 사용하는 방수재가 알려져 있다. 벤토나이트계 물질로 이루어진 방수재는, 예를 들어, 분말형 또는 과립 형태의 벤토나이트가 그대로 이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분말형 또는 과립 벤토나이트가 골판지로 만들어진 컨테이너, 부직포, 직포등에 가해지거나, 분말형 또는 과립 벤토나이트가 골판지 조각, 짜지 않은 천조직, 짠 천조직 등의 사이에 끼워지거나, 또는 벤토나이트가 접착제 또는 수지에 의해 응고되어서 밀봉 패널, 밀봉 시트, 또는 밀봉 로프를 형성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수재의 경우에 있어서, 벤토나이트의 양적 결핍 또는 국부화(편재성)가 발생되거나, 또는 종래의 방수재는 접착성 또는 가소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방수재는 복잡한 성형성을 가진 구조에 잘 적합하지 못했으며 이들은 실용상의 개선을 보여주는 데 실패하거나 장기간에 걸쳐 방수 효과를 지니는 데도 실패하였다.
종래의 유기성 방수재, 즉, 아스팔트계, 고무계 및 수지계 방수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예를 들어, 이들이 위치한 환경에 의해 질의 저하 또는 땅속의 박테리아에 의한 분해로 인하여 방수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방수재에 있어서, 장기간에 걸쳐서 원래의 방수 효과 상태의 보유 측면에서의 물질로서의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응용 후에 양생을 요구하는 시멘트계 방수재와 같은 무기성 방수재의 경우에서도, 응용 후에, 이들이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는 소정 시간이 필요하여서, 그 결과 응용시 또는 응용 후에 날씨의 영향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작업수행시에는 여러 가지 제약조건이 따르게 된다. 더욱이, 아스팔트계, 고무계, 수지계 및 시멘트계 방수재중의 어느 것도 자체밀봉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
한편, 분말형 또는 과립형 벤토나이트로 구성된 스메틱계 수성 방수재는 양생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방수 능력 및 장기간 안정유지성에 있어서 탁월하며 물을 흡수하여서 방수재 주위의 공간을 팽윤시켜서 밀봉하는 자기-밀봉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들은 작업 응용가능성에 있어서 떨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밀봉이 요구되는 기질 표면이 거칠거나 계단과 같은 복잡한 형태를 가질 경우, 종래의 벤토나이트 방수재는 기질 표면과 가깝게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기질 표면은 방수재 응용전에 부드러워지도록 처리되어야만 한다. 또한, 종래의 벤토나이트 방수재는 응용시에 그 기질 형태를 잘 맞추지를 못하며 종래의 벤토나이트 방수재내의 벤토나이트 입자 사이에 공간이 남아 있게 된다. 그러므로, 벤토나이트가 물을 흡수해서 팽윤할 때까지 그러한 방수재와 그 기질간에 틈새(공간)가 존재하게 되며, 또한 벤토나이트 입자간에 틈(공간)이 존재하게 되며 방수재가 팽윤하여서 그러한 공간을 밀봉하기까지는 어떤 방수 효과도 가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기간의 안전유지성, 작업 응용가능성, 및 방수 효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벤토나이트 및 겔형 베이스 오일을 반죽하여서 교회점토 상태로 형성된 방수재가 제시되었다(미국 특허 제 4,209,568 호, 제 4,279,547 호 및 제 5,704,970 호). 이러한 교회점토 상태의 벤토나이트 방수재는 밀봉이 요구되는 기질과 가깝게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교회 점토상태에 있는 방수재는 그 방수재와 기질간에 공간 및 그 방수재내의 벤토나이트 입자간에 공간이 응용시에 최소 상태로 존재하도록 하게 한다. 그러므로, 교회점토상태의 방수재에서, 방수 효과는 응용 후에 즉각적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벤토나이트의 팽윤성에 의한 자기 밀봉 특성을 가진 우수한 방수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교회점토상태에 있는 이들 벤토나이트계 방수재는 특정의 겔형 베이스 오일이 사용되기 때문에 그 생산이 다소 불편하며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진다. 더욱이, 비록 방수 효과가 높을지라도, 이들 방수재는 여전히 다음의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점들이 있다. 즉, 교회 점토상태에 있는 방수재는 응용 중에 물을 흡수하여 팽윤하나 몇몇 경우에 있어서 응용상에 어려운 점이 있으며, 방수재가 응용된 후에 흐르는 물과 접촉했을 경우, 그 팽윤된 방수재의 불침투성 층이 점점 씻겨져서 어떤 경우 방수 효과를 저하시키게 된다.
미국 특허 제 5,116,413호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수팽윤성 폴리머와 가열시 점성을 상실하는 타르와 같은 제품, 역청, 바셀린중에서 선택된 비스코스 하이드로포빅 기질 및 폴리하이드릭 알코올 또는 물에서 선택된 소량의 하이드로필릭 기질을 잘 혼합하여서 만들어진 밀봉제를 개시한다. 이들 밀봉제는 다양한 물질에 접착가능하며, 물속에서 팽윤할 수 있으며 가소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들 밀봉제는 각각 연성 혼합물로서 케이스 또는 컨테이너내에 채워져서, 예를 들어, 가방속에 넣어져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만약 이 밀봉제가 컨테이너 또는 케이싱내에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된다면, 성형 유지성이 떨어지게 되어서 이들 밀봉제는 가열시에, 특히 높은 온도에서 유체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로 비교적 용이하게 생산가능하며, 방수 능력, 장기간 안정가능성 및 자기-밀봉 특성에 있어서 뛰어나며, 성형 유지성 및 열 저항력뿐만 아니라 접착성을 가지며, 압력 충격 탄성력이 비교적 낮으며, 응용시에 기질을 잘 맞추어서 따라갈 수 있는 능력이 탁월하며 응용가능성에서 또한 뛰어난 방수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수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용중 또는 후에 흐르는 물에 노출될 때 또는 응용 중에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할 때에도 방수재의 불침투성 층이 씻겨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수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수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서, 다음의 기술내용으로부터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방수 테스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방수 테스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료 2 : 하부 아크릴 플레이트
3 : 시료 충전 홈 4 : 상부 아클릴 플레이트
5 : 실리콘 펙킹 6 : 급수 포트
7 : 배수 홀 8 : 수로
상기 문제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를 하여서 수팽윤성 점토, 아스팔트 및 소정의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또는 강화 필러를 혼합하여서 생성된 조성물이 방수재로써 높은 방수 능력, 장기간의 안정성 및 자기-밀봉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더욱이, 상기 방수재는 원하는 형태(시트, 로프, 파이프 등)로 역으로 성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물질로써 자신의 형태를 용이하게 유지하며 응용가능성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방수재는 응용중 또는 후에 흐르는 물에 의하거나 또는 응용 중에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하여서 방수재의 불침투성 층이 씻겨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상에 근거되어서 완료되었다.
즉, 본 발명은 :
(1) 수팽윤성 점토, 아스팔트, 및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성된 수팽윤성 조성물;
(2) (a) 수팽윤성 점토 5 내지 90중량%, (b) 아스팔트 5 내지 90 중량%, 및 (c)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0.1 내지 50중량%로 구성된 상기 (1)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조성물;
(3) (a) 수팽윤성 점토 30 내지 70 중량%, (b) 아스팔트 20 내지 65중량% 및 (c)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0.5 내지 40 중량%로 구성된 상기 (1)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조성물;
(4) 상기 수팽윤성 점토가 스메틱계 점토이거나 팽윤가능한 운모인 상기 (1), (2) 또는 (3)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조성물;
(5) 상기 수팽윤성 점토가 벤토나이트인 상기 (1), (2) 또는 (3)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조성물;
(6)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가 고무이며 상기 강화 필러가 제올라이트인 상기 (1), (2), (3), (4) 또는 (5)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조성물;
(7) 수팽윤성 점토, 아스팔트, 및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성된 수팽윤성 방수재;
(8) (a) 수팽윤성 점토 5 내지 90중량%, (b) 아스팔트 5 내지 90중량% 및 (c)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0.1 내지 50중량%로 구성된 상기 (7)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방수재;
(9) (a) 수팽윤성 점토 30 내지 90중량%, (b) 아스팔트 20 내지 65중량% 및 (c)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0.5 내지 40중량%로 구성된 상기 (7)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방수재;
(10) 상기 수팽윤성 점토가 스메틱계 점토이거나 팽윤가능한 운모인 상기 (7), (8) 또는 (9)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방수재;
(11) 상기 수팽윤성 점토가 벤토나이트인 상기 (7), (8) 또는 (9)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방수재; 및
(12)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가 고무이며 상기 강화 필러가 제올라이트인 상기 (7), (8), (9), (10) 또는 (11)에 언급된 것으로써의 수팽윤성 방수재등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수재에서, 천연 또는 합성 수팽윤성 점토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점토가 만들어진다. 그러한 점토는 비변성되거나 변성된 점토가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벤토나이트 및 헥토라이트와 같은 스메틱계 점토 및 팽윤가능한 운모중에서 적어도 선택된다. 이들 가운데, 벤토나이트는 천연 무기 점토이어서 흙속의 미생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은 채 장기간 동안 안정성에서 우수하며 안정적이고 높은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가격면에서도 저렴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점토이다. 본 발명의 방수재에서, 상기 점토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점토는 단일로 사용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점토가 결합된 형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에서, 상기 수팽윤성 점토는 바람직하게 5 내지 90중량%를 가지고 사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중량%를 가지며,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를 가지고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방수재는 각각의 소정량으로, 상기 점토와 상기 아스팔트와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이상의 혼합물로 각각 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로서, 아스팔트광 및 록 아스팔트와 같은 천연 아스팔트 및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및 블론 아스팔트와 같은 석유 아스팔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합성물 및 고무화된 아스팔트와 같은 변형 아스팔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두 개 이상의 이러한 아스팔트가 결합하여서 사용가능하다. 더욱이, 변형 아스팔트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또는 상기 강화 필러를 가지고서 천연 아스팔트 또는 석유 아스팔트를 변형하여서 얻어진 아스팔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변형될 아스팔트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첨가될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또는 상기 강화 필러의 양은 조절되어서 변형이 실행될 때 원하는 물리적 속성을 얻도록 해야만 한다.
상기 방수재가 수분 흡수에 의해 팽윤시에 상기 아스팔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의 팽윤된 불침투성 층이 흐르는 물에 씻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더욱이, 첨가되는 아스팔트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방수재가 수분 흡수에 의해 팽윤시에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의 팽윤 속도 및 팽윤률(팽윤 계수)이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는 일반적으로 5 내지 90중량%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중량%를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5중량%를 가진다. 만약 상기 아스팔트의 양이 너무 적으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원하는 가소성 및 접착성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의 팽윤조절 효과는 만족스럽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만약 상기 아스팔트의 양이 너무 많으면, 그 조성물의 특성이 상기 아스팔트에 의해서 지배되어서 그 성형 유지성이 악화되며 상기 조성물은 팽윤될 수가 없어서 상기 방수재는 자기 밀봉 특성을 가질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스팔트는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또는 강화 필러를 가지고서 변형된다. 여기에서, 용어 온도 감지성은 물질의 경도 또는 점성도가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용어 온도 감지성 개량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그로부터 만들어지는 방수재를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그 경도 등을 거의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 첨가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강화 필러내의 용어 강화는 성형 유지성과 같은 물질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용어 강화 필러는 일반적으로 정상 온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형 유지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더욱이, 축적, 이동 및 응용 중에 상기 조성물의 유체화 및 변형을 보여주기 위해 첨가되는 첨가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의 예로써 고무(예를 들어,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클로프렌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 및 이소부틸렌 고무), 아스팔트 또는 연화제(오일)(예를 들어, 폴리부틴 수지, 아크릴 수지, 셀룰로익 수지, 로진 수지, 테르펜 수지, 크실렌 수지, 페놀 수지 및 지방족, 방향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석유 수지)과 호환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흡유성 의 폴리머(예를 들어, 교차결합된 폴리노보닌 산물, 교차결합 산물의 혼성중합체 알킬스티렌, 알킬(메스)아크릴레이트 등, 및 롱-체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및 지방산 및 이들의 염(바람직하게 8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고지방산, 또는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 토류 염, 암모늄 염, 또는 아민 염과 같은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강화 필러의 예는 무기성 필러(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활성 차이나 점토, 유기성 점토 미네랄, 프라이 애쉬, 실리카 및 규조토), 섬유질(예를 들어, 종이 가루, 나무 가루, 펄프, 면 및 합성 섬유), 및 활성탄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두 개 이상 결합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또는 상기 강화 필러의 첨가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방수재의 가소성, 탄력성, 충격 저항성, 내구성, 화학적 저항성 등 뿐만 아니라 및 온도 감지성(열 저항성 및 냉각 저항성), 성형 유지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방수재는 이러한 원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상기 강화 필러로써, 열가소성 수지, 고무 및 무기성 필러가 바람직하며, 폴리부틴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수지 및 제올라이트도 더욱 바람직하다고 본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상기 강화 필러는 편의상 이들의 중요 기능에 따라 분류되며 이들 모두는 온도 감지성 및 아스팔트의 유체화를 변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이들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상기 강화 필러의 공통된 특징은 아스팔트의 유체화 현상을 제약하거나 방지하여서 아스팔트가 온도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며, 이러한 기능은 흡유성 및 겔화 특성에 근거하여서 얻어진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 열가소성 수지 및 아스팔트 산 및 이들 염은 아스팔트 및 연화제(오일)가 겔 상태로 만들어져서 유체화되는 것으로부터 막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흡유성 폴리머, 무기성 필러, 섬유성 물질, 및 활성탄은 아스팔트 및 오일을 흡수하여서 유체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용어 흡유성은 오일과 혼합됐을 때에, 그 혼합물의 외부로 상기 오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일을 보존하는 그러한 특성을 가진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물질 자체의 무게에 대해 적어도 20중량% 이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오일 흡수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오일 흡수 물질(오일 흡수제)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방수재의 누출 또는 함몰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이며, 또한 아스팔트 또는 연화제(오일)의 누수, 분리 또는 이동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첨가될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또는 상기 강화 필러의 양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내에서 일반적으로 0.1 내지 50중량%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중량%를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5중량%를 가진다. 만약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상기 강화 필러의 양이 너무 적으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방수재는 접착성 및 성형 유지능력을 가질 수 없게 되어서 응용가능성이 저하되게 되며, 반면에, 만약 상기 양이 너무 많으면, 상기 방수재의 팽윤 능력이 저하되어서 자체밀봉 특성을 가질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상기 기본적인 구성성분에 더하여, 만약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방수재는 종래의 방수재에서 사용된 선택적인 구성성분으로써 다양한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첨가제의 예는 연화제(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합성 오일, 및 지방족 오일과 같은 오일류), 안정제(예를 들어, 음이온 표면 활성제 및 비이온 표면 활성제), 반기포제, 부동액, 산화방지제, 및 착색제이다. 본 발명에서, 연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면에 오일을 함유한 아스팔트가 사용될 경우에는 그러한 연화제의 사용은 필요하지 않다. 연화제가 첨가되는 경우에, 그 양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내에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중량%를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방수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성성분이 첨가되고 혼합되는 수순 및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는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방수재는 상기 수팽윤성 점토, 상기 아스팔트 및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또는 상기 강화 필러를 혼합하여서 생성된 균일한 혼합물로써 얻어진다. 이 때, 가열은 그 혼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혼합물이 골고루 섞일 때까지, 상기 혼합물을 일반적으로 50 내지 250℃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에서 가열하면서 이러한 섞기 및 혼합은 적절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만약 가열이 장시간에 걸쳐서 고온에서 실행된다면, 그 특성이 저하되므로 특히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혼합물은 소위 점토질의 가소성, 접착성 및 확장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이들 혼합물은 응용시에 원하는 형태로 성형되어 사용될 수가 있으며, 밀봉이 요구되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결합부와 같은 기질 표면의 복잡한 형태를 따라서 그 기질과 가깝게 접촉할 수가 있으며, 그 혼합물의 형태를 용이하게 보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혼합물은 작업능력에 있어서 상당히 우수한 방수재가 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징은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또는 상기 강화 필러와 결합된 상기 수팽윤성 점토 및 상기 아스팔트의 사용에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방수재에 있어서 약 두배의 방수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들은 응용 후에 즉시 그 기질에 대한 긴밀한 접촉으로부터 기인한 방수성 및 수분 흡수에 의한 팽윤으로부터 기인한 자기 밀봉 특성을 말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상기 강화 필러의 사용으로 인해, 아스팔트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 및 오일 구성성분의 누출 및 이동이 방지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한 후에, 그 팽윤된 방수재의 불침투성 층이 예를 들어, 흐르는 물에 의해 외부로 씻겨지지 않게 되어 장기간 동안 방수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비록 상기 방수재가 예를 들어, 응용 중에, 물과 접촉되어지는 상황에 놓일지라도, 또는 예를 들어, 석조 결합부와 결합부간에 넓은 갭이 형성되거나 흐르는 물의 양이 많아서 그 흐르는 물의 압력이 높아지는 심각한 상황하에서도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인 방수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가 보수가 필요하거나 콘크리트 결합부분,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부분과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부분과의 결합 부분, 또는 2차 콘크리트 제품의 결합 부분과 같은 구조내에서 밀봉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될 때, 상기 방수재는 수분 침투를 막을 수 있으며, 동시에 물을 흡수하여 팽윤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방수재에서 제시된 상기 아스팔트 및 상기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또는 상기 강화 필러는 응용 중에 상기 방수재가 빗물 또는 지하수에 의해 팽윤되어 자기 밀봉 특성을 상실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팽윤된 방수재의 불침투성 층이 외부로 흐르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결합부분, 결합부분, 석조(피팅)부와 같이 밀봉이 필요한 부분 또는 보수가 필요한 부분에 연속적으로 처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불침투성 층을 형성하여 수분 흡수에 의해 팽윤되어서, 상기 방수재는 장기간에 걸쳐서 완전히 수분 침투를 차단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밀봉이 요구되는 기질이 거칠거나, 계단과 같은 복잡한 형태를 취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그 기질이 매끄럽게 처리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레이턴스 층이 존재하거나 좁은 틈이 생긴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의 팽윤 효과 및 차단 효과는 수분을 완전히 멈추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어떤 형태로 성형될 수 있고 적절한 경도 및 접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밀봉이 필요한 경우 어떤 형태를 가진 부분에 적용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해당 분야에서 사용될 때, 작업능력 및 응용가능성에서 우수한 면을 나타낸다. 더욱이, 팽윤되는 범위가 제어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를 사용하는 적절한 방법이 응용 장소 및 상황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가 손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어떤 형태로 변형될 수가 있기 때문에, 그리고 양호한 성형 유지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케이싱, 컨테이너 등의 사용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가 응용 중에 지하수 또는 빗물에 접촉되어서 그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할 때조차도, 응용 후에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의 분리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팽윤된 방수재의 불침투성 층이 흐르는 물에 씻겨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수 효과는 밀봉이 요구되는 장소의 환경에 의하거나 그 응용 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욱이, 방수 효과는 상기 수팽윤성 점토에 기인하기 때문에, 그 내구성은 뛰어나며 방수 특성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리라고 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만약 상기 방수재로써 밀봉처리가 된 부분에 균열과 같은 갭이 형성된다면, 그 갭을 흡수된 수분에 의해 팽윤된 방수재로 채우는 방식의 자기 밀봉 효과를 가짐으로써, 물의 누출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가 있다. 응용 후에, 만약 상기 방수재로써 밀봉처리가 된 부분에 시간이 흐른 후에 금이 형성된다면, 물을 흡수시에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역으로 팽윤되어 그 금을 폐쇄하여서, 방수 능력이 다시 발휘될 수가 있다.
이제,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물질의 내용이 다음의 표에 도시된다.
물 질 상표명 또는 물질명
벤토나이트 구니미네고교 가부시키가이샤에 의해 제조된구니겔 V1(상표명)
아스팔트(a)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침투율:80-100)
아스팔트 b)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침투율:60-80)
아스팔트(c) 블론 아스팔트(침투율:30-40)
고무화된 아스팔트 고무화된 아스팔트(SBR 7% 함유)
제올라이트 구니미네 고교가부시키가이샤에 의해 제조된제올라이트#150(상표명)
규조토 호쿠슈 케이소도샤 사에 의해 제조된 규조토
활성탄 다케다 카가쿠 가부시키 가이샤 의해 제조된활성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닛폰고세이 고무샤에 의해 제조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종이 가루 종이 가루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 닛폰고세이 고무샤에 의해 제조된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
폴리부틴 수지 이데미츄(Idemitsu) 페트로케미컬(Petrochemical)사에 의해 제조된 폴리부틴2000H(상표명)
머신 오일 코스모(Cosmo) 석유사에 의해 제조된 코스모머신 46 (상표명)
실리콘 오일 토레이-다우(Toray-Dow) 코닝(Corning)사에 의해제조된 실리콘 오일 SH200(상표명)
프로세스 오일 코스모(Cosmo) 석유사에 의해 제조된코스모프로세스 100(상표명)
지방산 아미드 라이온(Lion)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아미드HT(상표명)
흡유성 폴리머 노차르(Nochar)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A610페트로 본도(상표명)
실시예 1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40
아스팔트(a) 30
제올라이트 20
머신 오일 10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7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조성물을 시료 1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1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2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45
아스팔트(c) 34
제올라이트 15
머신 오일 6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20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조성물을 시료 2라고 명하였다. 시료 2는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3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30
아스팔트(a) 30
규조토 30
머신 오일 10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7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3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3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4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45
아스팔트(a) 30
종이 가루 15
머신 오일 10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4라고 명하였다. 시료 4는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5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30
아스팔트(a) 29
제올라이트 35
실리콘 오일 6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7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조성물을 시료 5라고 명하였다. 시료 5는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6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66
아스팔트(a) 20
활성탄 5.2
머신 오일 8.8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7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조성물을 시료 6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6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7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55
아스팔트(a) 24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1
프로세스 오일 20
상기 구성성분중에서, 먼저 상기 아스팔트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가 서로 결합되어 190℃까지 가열하면서 혼합되어서 변형 아스팔트 1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벤토나이트와 프로세스 오일이 상기 변형 아스팔트 1에 첨가되어서 190℃까지 가열하면서 30분동안 잘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7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7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8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50
아스팔트(a) 10
고무화된 아스팔트 17
제올라이트 5
프로세스 오일 18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9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조성물을 시료 8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8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9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50
아스팔트(a) 24
제올라이트 5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1
머신 오일 20
상기 구성성분중에서, 상기 아스팔트, 상기 제올라이트 및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가 서로 결합되어 190℃까지 가열하면서 혼합되어서 변형 아스팔트 2를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벤토나이트와 머신 오일이 상기 변형 아스팔트 2에 첨가되어서 190℃까지 가열하면서 30분동안 잘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9라고 명하였다. 시료 9는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10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55
아스팔트(a) 30
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고무 5
머신 오일 10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9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조성물을 시료 10이라고 명하엿다. 시료 10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11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60
아스팔트(a) 20
폴리부틴 수지 10
머신 오일 10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20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11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11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비교예 1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50
아스팔트(c) 40
머신 오일 10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7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12라고 명하였다. 시료 12는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으나, 성형 유지 능력은 떨어지며 그 형상을 유지할 수가 없었다.
비교예 2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45
아스팔트(a) 49.5
머신 오일 5.5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9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13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13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으나, 성형 유지 능력은 떨어지며 그 형상을 유지할 수가 없었다.
비교예 3
구성성분 중량 비율
아스팔트(a) 66
제올라이트 7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1
머신 오일 26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90℃까지 가열하면서 30분 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14라고 명하였한다. 시료 14는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으나, 자기 밀봉 특성을 가지지는 못하였다.
비교예 4
25 중량 비율의 파라핀 왁스가 75 중량 비율의 머신 오일에 첨가되며, 이들이 90℃까지 가열하면서 활발히 섞여서 겔 상태의 베이스 오일 1을 형성하였다. 다음, 33 중량 비율의 베이스 오일 1 및 67 중량 비율의 벤토나이트가 혼합되어 조성물을 형성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15라고 명하였다. 시료 15는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으나, 팽윤후에 씻겨졌다.
비교예 5
50 중량 비율의 칼슘 스테아르산염이 100 중량 비율의 머신 오일에 첨가되며, 이들이 활발히 섞여서 겔 상태의 베이스 오일 2를 형성하였다. 다음, 30 중량 비율의 베이스 오일 2 및 70 중량 비율의 벤토나이트가 혼합되어 조성물을 형성하는 데, 이 조성물을 시료 16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16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으나, 팽윤후에 씻겨졌다.
실시예 12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65
아스팔트(a) 20
지방산 아미드 5
머신오일 10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50℃까지 가열하면서 30분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조성물을 시료 17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17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13
구성성분 중량 비율
벤토나이트 35
아스팔트(c) 54
흡유성 폴리머 1
머신오일 10
상기 구성성분들은 서로 결합되어 120℃까지 가열하면서 30분동안 혼합되어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조성물을 시료 18이라고 명하였다. 시료 18은 접착력을 가지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표면을 잘 덮을 수가 있었다.
시료 1 내지 18과 관련하여, 팽윤가능성, 침투율, 성형 유지능력, 및 열 저항성이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시료 1 내지 18(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5)은 압력 영향 탄력성에서 낮았으며, 손가락에 의해 눌려졌을 때, 이들은 변형된 형태로 남아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지 않았다.
그 결과가 표 1에 도시된다.
(팽윤가능성)
상기 시료의 한 시료가 바닥면으로부터 10 mm 레벨까지 원통형의 아크릴 수지 셀(26 mm의 내경 및 50 mm의 높이를 가짐)에 채워졌다. 그 셀의 상부는 물로 채워지고, 그 물이 증발하지 않도록 뚜껑이 놓여 있으며, 상기 셀은 25℃의 온도조절실내에 위치하도록 하며, 그 시료의 높이는 매 소정 시간마다 읽혀진다. 원래의 설정 값이 100%라고 가정하며, 각각의 경우의 팽윤가능성의 백분율이 도시된다( 만약 시료의 높이가 20 mm이라면, 그 팽윤가능성은 200%이다.
(침투율)
침투율은 JIS K-2530 석유 아스팔트 침투 테스트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성형 유지능력 및 열 저항성)
상기 시료중의 한 시료가 18 mm의 직경 및 20 mm의 높이를 가지는 기둥 형태와 성형되며, 상기 기둥은 알루미늄 플레이트상에 놓이며, 25℃의 온도조절실내에 5일동안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기둥의 스프레드가 측정되었다. 그 기둥 형태가 동일한 상태에 있게 되었을 때, 상기 시료는 ◎로 지정되고, 상기 기둥이 25 mm 이하의 직경까지 퍼졌을 때, 상기 시료는 ○로 지정되고, 상기 기둥이 25 mm 이상의 직경까지 퍼졌을 때, 상기 시료는 유체가능성을 가지며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며, 상기 시료는 ×로 지정되었다.
25℃에서 ◎ 및 ○로 확인된 상기 시료들은 온도조절실내의 온도가 50℃로 바뀌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되며, 그 형상이 동일한 상태로 있게 될 때는, 상기 시료는 ◎로 지정되고, 상기 기둥이 25 mm 이하의 직경까지 퍼졌을 때, 상기 시료는 ○로 지정되고, 상기 기둥이 25 mm 이상의 직경까지 퍼졌을 때, 상기 시료는 열 저항성이 없다고 판단하며, 상기 시료는 ×로 지정되었다.
〔표 1〕
시료번호 팽윤성(%) 침투율 형상 유지능력 열 저항성 비고
1일후 5일후 3주후
1 140 150 150 138 본 발명
2 140 160 180 136 본 발명
3 100 105 110 124 본 발명
4 130 150 180 202 본 발명
5 100 100 120 54 본 발명
6 170 280 300 128 본 발명
7 150 220 260 130 본 발명
8 140 180 220 120 본 발명
9 140 180 220 122 본 발명
10 140 170 200 74 본 발명
11 180 230 270 64 본 발명
12 130 140 180 60 × - 비교예
13 120 130 160 66 × - 비교예
14 100 100 100 87 비교예
15 190 240 280 - × 비교예
16 200 240 290 - × 비교예
17 200 250 300 115 본발명
18 100 100 110 95 본발명
표 1에 도시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에 있어서, 팽윤정도는 그 공식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으며, 더욱이, 이는 좋은 형상 유지능력을 보여주며, 상기 방수재의 유체화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비록 시료가 높은 침투율을 가질지라도, 즉, 시료가 소프트할지라도, 상기 방수재가 그 성형의 형태를 유지하며, 용이하게 제어가능하며, 응용가능성이 양호한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한편, 비교예의 경우에 있어서, 비교적 단단한 시료 12 및 13은 시간의 경과시에 그 형태를 유지할 수가 없었으며, 응용가능성이 좋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방수 능력에 악영향을 미쳤으니, 즉, 방수재로써 사용되는 데 있어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비교예에 있어서 방수재는 몇몇 경우에 있어서 유체화되지 않았으나 팽윤정도가 꽤 적거나 어떤 아스팔트도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만 단지 유체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시료 1 내지 18과 관련하여, 투명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진 방수 테스트 장치(상기 장치의 평면도는 도 1에 도시되며,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는 도 2에 도시됨)를 사용하여서 방수 실행능력 및 침식 저항성이 다음의 방법에 의해서 테스트됐다.
시료 1은 하부 아크릴 플레이트 (2)(280 mm의 길이, 120 mm의 너비 및 20 mm의 두께를 가짐)내에 형성된 시료 충전 홈 (3)(20 mm의 길이, 60 mm의 너비 및 10 mm의 깊이를 가짐)내에 위치한다. 이 때, 상기 시료의 높이는 상기 시료 충전 홈의 깊이를 바로 채울 때까지 정해져서 상기 시료의 높이가 어떤 단을 형성하지 않은 채 상기 하부 아크릴 플레이트 (2)의 표면부와 동일표면을 이루도록 한다. 상부 아크릴 플레이트 (4)(두께 10 mm 및 어떤 홈도 형성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하부 아크릴 플레이트 2와 동일한 치수를 가짐)는 상기 하부 아크릴 플레이트 2상에 위치하여서 상기 하부 아크릴 플레이트 (2) 및 상기 상부 아크릴 플레이트 (4) 사이의 실리콘 팩킹 (5)을 삽입하여서, 그 결과 2 mm의 공간 (L)이 수로 (8)(250 mm의 길이 및 60 mm의 너비를 가짐)로써 고정되게 된다. 물은 일정 유동비율(500 cc/min)로 상기 상부 아크릴 플레이트내에 급수 포트 (6)로부터 통과하며 그 어셈블리가 지탱되도록 한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7은 배수 홀을 가리킨다. 팽윤 상태 및 침식 상태는 가시적으로 확인됐으며 물의 유동정지를 위하여 필요한 시간 및 물의 흐름이 정지됐을 때 수분의 압력이 기록됐다.
그 결과가 표 2에 도시된다.
〔표 2〕
시료번호 밀봉시 물 압력(kg/cm2) 팽윤 상태 침식 상태 밀봉 요구 시간(hr) 비고
1 1.0 느림 침식되지 않음 20 본 발명
2 1.0 느림 침식되지 않음 24 본 발명
3 1.0 느림 침식되지 않음 275 본 발명
4 1.0 느림 침식되지 않음 26 본 발명
5 1.0 느림 침식되지 않음 36 본 발명
6 1.0 빠름 침식되지 않음 4 본 발명
7 1.0 빠름 침식되지 않음 7 본 발명
8 1.0 빠름 침식되지 않음 12 본 발명
9 1.0 빠름 침식되지 않음 10 본 발명
10 1.0 빠름 침식되지 않음 8 본 발명
11 1.0 빠름 침식되지 않음 5 본 발명
12 1.0 느림 침식되지 않음 24 비교예
13 1.0 느림 침식되지 않음 30 비교예
14 - 팽윤창되지 않음 침식되지 않음 밀봉 불가능 비교예
15 - 빠름 팽윤된 부분이 침식됨 밀봉 불가능 비교예
16 - 빠름 팽윤된 부분이 침식됨 밀봉 불가능 비교예
17 1.0 빠름 침식되지 않음 3 본발명
18 1.0 느림 침식되지 않음 312 본발명
표 2에 도시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소위 소정 공간을 채워서 밀봉하는 자기 밀봉 특성을 가지며 흐르는 물에 의해 팽윤된 불침투성 층이 씻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재로써 뛰어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는 예를 들어, 응용 중에, 상기 방수재가 지하수 또는 빗물과 접촉되어서 물을 흡수하여서 팽윤하여서 응용 후에 상기 방수재가 벗겨지는 그러한 단점을 가지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료는 팽윤된 방수재의 불침투성 층이 흐르는 물에 씻겨지는 또 다른 단점을 가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시료는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인 방수 효과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뛰어나다. 한편, 비교예의 경우에 있어서, 그 팽윤된 불침투성 층이 흐르는 물에 의해 씻겨져서 방수 효과가 저하되어서 이들이 방수재로써 사용되는 데 있어서 문제가 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 상기 불침투성 층이 씻겨지지 않는 몇몇 경우가 있었으나, 이들 경우는 그 성형 유지능력이 나쁘거나 팽윤이 되지 않는 경우에만 해당됐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특정화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세부사항에 의해 어떤 경우라도 제한되지 않으며, 동반하는 청구범위에 개시된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해석될 수 있다.

Claims (12)

  1. 수팽윤성 점토와, 아스팔트 및, 온도감지성 개량제와 강화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수팽윤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수팽윤성 점토 5 내지 90중량%, (b) 아스팔트 5 내지 90중량% 및 (c)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0.1 내지 50 중량%로 구성된 수팽윤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a) 수팽윤성 점토 30 내지 70중량%, (b) 아스팔트 20 내지 65중량% 및 (c) 온도 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0.5 내지 40 중량%로 구성된 수팽윤성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수팽윤성 점토가 스메틱계 점토이거나 팽윤가능한 운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된 수팽윤성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수팽윤성 점토가 벤토나이트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된 수팽윤성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온도감지성 개량제가 고무이며, 상기 강화 필러가 제올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된 수팽윤성 조성물.
  7. 수펭윤성 점토와 아스팔트와 온도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성된 수팽윤성 방수재.
  8. 제 7 항에 있어서, (a) 수팽윤성 점토 5 내지 90중량%, (b) 아스팔트 5 내지 90중량% 및 (c) 온도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0.1 내지 50중량%로 구성된 수팽윤성 방수재.
  9. 제 7 항에 있어서, (a) 수팽윤성 점토 30 내지 70중량%, (b) 아스팔트 20 내지 65중량% 및 (c) 온도감지성 개량제 및 강화 필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0.5 내지 40중량%로 구성된 수팽윤성 방수재.
  10.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수팽윤성 점토가 스메틱계 점토이거나, 팽윤가능한 운모인 수팽윤성 방수재.
  11.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수팽윤성 점토가 벤토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윤성 방수재.
  12.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에 있어서, 온도감지성 개량제가 고무이며, 상기 강화 필러가 제올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윤성 방수재.
KR10-1998-0012996A 1997-04-11 1998-04-11 수팽윤성조성물및방수재 KR100414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4143 1997-04-11
JP9414397 1997-04-11
JP94143 1997-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331A true KR19980081331A (ko) 1998-11-25
KR100414717B1 KR100414717B1 (ko) 2004-03-22

Family

ID=1410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996A KR100414717B1 (ko) 1997-04-11 1998-04-11 수팽윤성조성물및방수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07615A (ko)
EP (1) EP0870741B1 (ko)
KR (1) KR100414717B1 (ko)
CN (1) CN1199756A (ko)
AU (1) AU743358B2 (ko)
CA (1) CA2234591C (ko)
DE (1) DE69820919T2 (ko)
ID (1) ID212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959B1 (ko) * 2000-06-01 2003-01-14 박준희 합성 벤토나이트 방수재 제조방법
WO2010016699A2 (ko) * 2008-08-04 2010-02-11 Lee Su Eyul 신규한 차선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1069B (en) * 2001-01-15 2004-09-08 Cementation Found Skanska Ltd Waterstop for foundation elements
GB0415981D0 (en) * 2004-07-16 2004-08-18 Dental Root Filling Products L Composition
NO322718B1 (no) * 2004-12-16 2006-12-04 Easy Well Solutions As Fremgangsmate og anordning for tetting av et med stopemasse ufullstendig fylt rom
JP4476304B2 (ja) * 2007-02-02 2010-06-09 クニミネ工業株式会社 管廻り用止水材
EP2060689B1 (de) * 2007-11-14 2018-10-24 Robotec-Schomburg AG Abdichtungsvorrichtung zur Abdichtung von Arbeitsfugen
CN101792652A (zh) * 2010-03-11 2010-08-04 沈阳化工学院 一种膨润土建筑密封膏及其制备方法
AU2014231764B2 (en) * 2013-03-15 2017-11-30 Close The Loop Technologies Pty Ltd Modified toner based additive for asphalt-based compositions
CN107010870B (zh) * 2017-03-30 2019-05-24 浙江鲁班建材科技股份有限公司 预铺膨胀自封闭式防水卷材用颗粒物及其制备方法
CN108018853A (zh) * 2017-12-18 2018-05-11 华东交通大学 U型钢阴阳锁扣式钢管桩围护结构的设计方法
CN110591400A (zh) * 2019-10-29 2019-12-20 重庆中防德邦防水技术有限公司 遇水自愈合柔性防水材料
WO2021211341A1 (en) * 2020-04-13 2021-10-21 Building Materials Investment Corporation Nail sealable materials,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69197A1 (de) * 1962-08-16 1969-01-02 Lechler Bautenschutzchemie Kg Bituminoese quellfaehige Dichtung
US3676198A (en) * 1970-05-11 1972-07-11 Bryan M Mcgroarty Method for waterproofing structures
US4279547A (en) * 1978-09-18 1981-07-21 American Colloid Company Bentonite-gelled oil waterproofing composition
US4209568A (en) * 1978-09-18 1980-06-24 American Colloid Company Bentonite-gelled oil waterproofing composition
US4176102A (en) * 1978-10-02 1979-11-27 Theodore Favata Sealant composition
CA1145131A (en) * 1980-04-05 1983-04-26 Hajime Yamaji Aqueously-swelling water stopper and a process of stopping water thereby
JPS58109582A (ja) * 1981-12-24 1983-06-29 Japan Metals & Chem Co Ltd 逸水防止剤
US4738723A (en) * 1981-12-24 1988-04-19 Gulf States Asphalt Co. Asbestos-free asphalt composition
DE3400504A1 (de) * 1984-01-10 1985-07-18 Rasbach, geb. Farr, Eva-Maria, 6204 Taunusstein Betonbauteil
JPH0297771A (ja) * 1988-06-03 1990-04-10 Waterproof Coating Sa 耐水および/またはガス遮断壁に、水密および/または気密なライン・ブッシュを製作するための方法とシーリング剤およびそこに使用される装置
DE3912765A1 (de) * 1989-04-19 1990-10-25 Werner Mueller Abdichtungsmaterial zur herstellung von wasserquellbaren profilen, kitten, vergussmassen, beschichtungsmassen
DE4020230A1 (de) * 1989-06-30 1991-01-03 Heribert Hiendl Fugendichtungsband
CN1037691C (zh) * 1994-04-12 1998-03-11 王金真 水性防水剂
CA2164354C (en) * 1994-12-08 2006-03-21 Yuji Kawaguchi Water-preventing sealant with plastic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959B1 (ko) * 2000-06-01 2003-01-14 박준희 합성 벤토나이트 방수재 제조방법
WO2010016699A2 (ko) * 2008-08-04 2010-02-11 Lee Su Eyul 신규한 차선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WO2010016699A3 (ko) * 2008-08-04 2010-06-10 Lee Su Eyul 신규한 차선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4717B1 (ko) 2004-03-22
CA2234591A1 (en) 1998-10-11
ID21258A (id) 1999-05-12
AU6076098A (en) 1998-10-15
CN1199756A (zh) 1998-11-25
AU743358B2 (en) 2002-01-24
CA2234591C (en) 2008-06-17
EP0870741B1 (en) 2004-01-07
US6007615A (en) 1999-12-28
DE69820919T2 (de) 2004-10-28
EP0870741A1 (en) 1998-10-14
DE69820919D1 (de)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717B1 (ko) 수팽윤성조성물및방수재
CA1172232A (en) Water-absorbing rubber composition
KR102277654B1 (ko) 자동계량 공급장비를 이용하는 불투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의 시공방법
KR101400648B1 (ko) 자착식 방수시트
KR101962231B1 (ko) 합성고무를 개질화한 자착식 방수시트
KR101977583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GB1595604A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based on polyolefin rubbers and containing carbon black
JP3467403B2 (ja) 水膨潤性組成物及び止水材
US5290844A (en) Water-swellable adhesive water stop
JPS60188462A (ja) 加熱瀝青質用添加剤
EP0410669B1 (en) Water-swellable adhesive water stop
KR102421306B1 (ko)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H06157839A (ja) 吸水性樹脂組成物
KR20200060216A (ko) 라돈 차단용 아스팔트 프라이머 조성물
KR101832181B1 (ko) Carbon Fiber Chip을 활용한 고내구성 아스팔트계 실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5636150B2 (ja) 水膨潤性止水剤と止水材
JPH08231956A (ja) 可塑性止水材
JP2000110496A (ja) セグメント用シール材及びセグメント止水工法
JPH0673243A (ja) 吸水性樹脂組成物
AU2007205702B2 (en) Pipe-surrounding water-sealing material
CA2021413C (en) Water-swellable adhesive water stop
JP2774353B2 (ja) 粘着性水膨張止水材
KR102207051B1 (ko)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0638B1 (ko) 배합장치
KR960002719B1 (ko) 방수시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