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056A - 차량용 신호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신호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056A
KR19980081056A KR1019980011753A KR19980011753A KR19980081056A KR 19980081056 A KR19980081056 A KR 19980081056A KR 1019980011753 A KR1019980011753 A KR 1019980011753A KR 19980011753 A KR19980011753 A KR 19980011753A KR 19980081056 A KR19980081056 A KR 1998008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mp assembly
signal lamp
light sour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윌리엄 티서
Original Assignee
스테펜피.코닉
브리택스베가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펜피.코닉, 브리택스베가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테펜피.코닉
Publication of KR1998008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에 관한것으로서, 제 1 벌브(14)와, 한 쌍의 제 2 벌브(16, 18)와, 연속적으로 교번하는 제 1 및 제 2 영역(22,24)을 구비한 렌즈 유닛(20)로 구성되는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 1 영역(22)은 제 1 벌브(14)로부터 나오는 빛의 평행 광선(거의 평행함)을 생산하도록 배열된다. 제 2 영역(24)은 제 2 벌브(16,18)들로 부터 빛의 평행 광선(거의 평행함)을 생산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신호 램프
본 발명은 반투명 카버를 비추기 위해 배열된 복수의 빛 공급원을 구비하는 형태의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빛 공급원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에너지 사용이 가능하다.
독립적으로 에너지 사용가능한 여러 가지 형태의 빛 공급원들은 상이한 기능을 갖게된다. 예를들어 하나는 정지 램프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테일(tail)램프로, 3 번째는 후방 안개 램프로, 4 번째는 후진(reversing) 램프로, 5 번째는 회전 신호 지시 램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공지된 램프들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에너지 사용 가능한 빛 공급원은 반투명 카버의 여러 영역을 비추도록 배열되고, 상기 다양한 형태의 빛 공급원들은 배플(baffle)들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배플은 하나의 빛 공급원으로부터 비추어지는 카버의 영역에 인접한 빛 공급원으로 부터의 빛 유입을 차단한다. 동일한 색깔의 광선을 갖지만 세기가 다른 두 기능의 램프가 필요하다, 즉, 테일 램프 및 정지 램프 또는 테일 램프 및 후방 안개 램프가 필요하게 된다. 두 빛 공급원이 단일 벌브(bulb)내 두 분리 필라멘트를 구비하는 것이 관행이었다. 이러한 2중 필라멘트 벌브들은 매우 고가이고, 단일 벌브들보다 신뢰성이 작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형태의 신호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립체내의 반투명 카버의 단일 영역은 2 중 필라멘트 벌브를 사용하지 않고 분리하여 에너지 사용가능한 2 빛 공급원들에 의해 비추어진다.
양호하게도, 거의 평행한 2 광선은 서로 평행하게 된다.
도 1은 모터 차량용으로 결합된 정지 및 테일 램프의 개략적인 단면도 .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램프 바디 12 : 리플렉터
14,16,18 : 벌브 20 : 광학판
22,24 : 영역 50 : 외측 카버
본 발명의 한 형태에서, 제 1 빛 공급원은 빛의 평행 광선이 반 투명 카버상에 조사되도록 포물선형 리플렉터(reflector)의 중심에 위치되고, 제 1 영역들은 거의 평행 측면에 형성된다. 제 2 빛 공급원은 제 1 빛 공급원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 2 영역은 프레넬 프리즘을 구비한다.
양호하게도, 광선이 평행하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 2 영역과 제 2 빛 공급원 사이의 거리는 제 1 영역 과 제 2 빛 공급원사이의 거리보다 작지 않게 구성된다. 이것은 제 2 빛 공급원으로부터 제 2 영역의 프레넬 프리즘 그늘을 형성하는 제 1영역의 리스크를 방지할수 있다.
양호하게도, 상기 램프 조립체는 필로우(pillow) 광학을 갖춘 외측의 반투명 카버를 구비하고, 상기 필로우 광학의 피치는 제 1 및 제 2 영역의 피치에 대해 1: 2, 바람직하게는 1:3의 비율로 구성된다. 법으로 규정된 밝기를 갖는 비상 불빛을 생산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필로우 광학은 빛 공급원이 어디를 비추든지 비추어진 영역이 균일하게 비추어지는 또다른 장점을 갖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필로우 광학이란 용어는 빛이 통과하는 주요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원형단면으로 형성된 렌즈의 정렬을 의미한다. 그리고, 곡률반경은 상기 모든면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형상은 피시-아이(fish-eye)광학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램프는 램프 바디(10)를 구비하고, 상기 램프의 중심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포물선형 리플렉터(12)를 구비한다. 정지 램프 기능용 벌브(bulb, 14)는 포물선형 리플렉터(12)의 중심에서 필라멘트(filament)를 구비한다. 한쌍의 테일(teil) 램프 벌브(16,18)는 리플렉터(12)의 양측면상의 케이스(10) 내에 장착된다.
광학 판(20)은 벌브(14,16,18)의 전방에 위치설정된다. 벌브(14,16,18)를 향해 대면하는 광학 판의 표면상에는 영역(24)과 같은 인접한 상승영역으로 형성된 그루브(groove)내에 위치되는 영역(22)과 같은 일련의 평행측면 영역이 제공되고, 상기 영역(24)은 상기 벌브(14,16,18)들과 가장 인접한 표면상에 형성된 형상부(26)와 같은 프레넬(Fresnel)렌즈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영역(22)과 같은 평행측면 영역상에 투사되는 정지 램프 벌브(14)로 부터의 빛은 점선으로 표시된 광선(30,32,34)으로 나타나듯이 평행광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벌브(16,18)로 부터의 빛이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광선(36,38,40,42,44,46)으로 나타나듯이 포물선형 리플렉터(12)의 회전축에 평행한 평행광선으로 이루어 지도록 상기 프레넬 렌즈 형상부(26)는 구성된다.
프레넬 프리즘들이 영역(22)과 같은 인접한 평행측면 영역보다 벌브(16,18)에 더 가깝게 모두 위치하기 때문에, 벌브(16,18)로 부터의 빛은 임의의 영역(22)에 의한 그늘을 형성하지 않는다. 벌브(14)로부터 투사되는 빛이 영역(24)의 측면벽과 평행하기 때문에, 임의의 영역(22)의 어느부분도 인접한 영역(24)에 의해 그늘이 형성되지 않는다.
램프 바디(10)의 전면은 내측면을 필로우 광학(52)으로 형성한 반투명 외측카버(50)로 카버되므로, 나타난 광선을 필요한 만큼 발산시켜 법적인 요구를 충족시킨다. 상기 필로우 광학의 피치는 영역(22,24)의 피치의 적어도 2배이고, 바람직하게는 3배로 구성되어 벌브(14) 또는 벌브(16)가 비추어질 때 램프가 줄 무늬로 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필로우 광학은 외측 카버(50)상의 필로우 광학(52)에 부가되거나 또는 선택성으로서 광학판(20) 외측면상에 형성될수도 있다. 외측 카버(50)상에 광학이 형성되지 않으면, 최 외측 카버로서 이용되는 광학 판(20)이 생략될수도 있다. 이것은 램프가 부드럽고 용이하게 청소되는 외측 표면을 갖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광학 판(20)은 벌브(14,16,18)를 향해 대면하는 그 표면상에 형성하는 대신에 벌브(14,16,18)를 향해 대면하는 그 표면상에 프레넬 렌즈를 형성할수도 있다. 이것은 그늘을 방지하기 위해 그루브에서 평면영역을 위치설정할 필요가 없게하는 장점을 갖게되고, 과도한 표면 반사 손실로 인하여 높은 입사각으로 광학판에 입사하는 빛을 모으것을 실행할 필요가 없는 장점도 갖게된다.
정지 램프 벌브(14)로부터 빛의 밝기가 테일 램프 벌브(16,18)로 부터의 발기에 비해 감소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거의 판형 평행 측면 영역(22)은 약간의 렌즈형상(볼록 또는 오목)으로 형성된다. 이 결과로, 상기 벌브(14)로 부터 발생된 빛은 벌브(16,18)로부터 발생된 빛 보다 더 미소하게 발산한다. 상기 빛은 인식되는 밝기가 감소되어 카버(50)에 도달한다.
선택적인 배열에서, 외측 벌브(16)는 포물선형 리플렉터(12)의 외측영역에 삽입된 빛-발사 다이오드들에 의해 대체된다.
도 1에서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된 줄무늬에 대한 선택성으로서, 영역(22,24)은 도 1의 평면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두 테일 램프 벌브(16,18)에 방사반경으로 배열된다.
외측 카버(50)는 비상불빛의 소정 칼라에 따라 색깔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벌브(14)와 테일 벌브(16,18)의 색깔이 다르게 되는 램프의 생산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외측 카버(50)는 무색이고, 벌브들은 소정의 색깔을 갖거나, 칼라 필터들이 각 벌브와 광학 요소(20)사이에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램프조립체가 두 색깔들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사용할수 있고, 두 색깔의 혼합은 모든 벌브들이 비추어 질 때 나타난다.

Claims (8)

  1. 반투명 카버(50)를 비추도록 배열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에너지 사용가능한 복수의 빛 공급원(14,16,18)들을 구비한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에 있어서,
    연속하여 교번적으로 배열된 제 1 및 제 2 영역(22,24)을 구비하는 렌즈 유닛(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영역(22)은 제 1 빛 공급원(14)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거의 평행한 빛의 광선으로 내보내도록 배열되고, 제 2 영역(24)은 제 2 빛 공급원(16,18)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거의 평행한 빛의 광선으로 내보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거의 평행한 2개의 광선들은 서로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 빛 공급원(14)은 빛의 평행광선이 반투명 커버(50)상에 비추어지도록 포물선형 리플렉터(12)의 중심에 위치되고, 제 1영역은 거의 평행한 측면(2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 2영역(24)은 프레넬 프리즘(26)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제 2 빛 공급원(16,18)은 제 1 빛 공급원(14)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광선이 평행하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 2 영역(24)과 제 2 빛 공급원(16,18) 사이의 거리는 제 1 영역(22)과 제 2 빛 공급원(16,18)사이의 거리보다 작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
  7. 상기 항들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조립체는 필로우 광학(52)을 갖춘 외측의 반투명 카버(50)를 구비하고, 상기 필로우 광학의 피치는 제 1 및 제 2 영역(22,24)의 피치에 대해 1 : 2 비율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 광학(52)의 피치는 제 1 및 제 2 영역(22,24)의 피치에 대해 1 : 3 비율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호 램프 조립체.
KR1019980011753A 1997-04-04 1998-04-03 차량용 신호 램프 KR19980081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06887.8 1997-04-04
GBGB9706887.8A GB9706887D0 (en) 1997-04-04 1997-04-04 Vehicle signal la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056A true KR19980081056A (ko) 1998-11-25

Family

ID=1081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753A KR19980081056A (ko) 1997-04-04 1998-04-03 차량용 신호 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69312A3 (ko)
JP (1) JPH10278667A (ko)
KR (1) KR19980081056A (ko)
GB (1) GB9706887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2671B1 (it) 1998-10-14 2000-09-29 Magneti Marelli Spa Dispositivo ottico a costruzione semplificata, in particolare perun veicolo.
DE19851174B4 (de) * 1998-11-06 2006-04-13 Reitter & Schefenacker Gmbh & Co. Kg Signalleuchte, insbesondere Heckleuchte, von Fahrzeugen, vorzugsweise von Kraftfahrzeugen
FR2790540B1 (fr) * 1999-03-02 2001-06-08 Valeo Vision Feu de signalisation a plage eclairante homogene pour vehicule automobile
US6892002B2 (en) 2001-03-29 2005-05-10 Ibsen Photonics A/S Stacked planar integrated optics and tool for fabricating same
US7484871B2 (en) * 2003-07-29 2009-02-03 Valeo Sylvania Llc Single lens for LED signal light
DE102004040160A1 (de) * 2004-08-19 2006-02-23 Hella Kgaa Hueck & Co. Leuchteinheit für Kraftfahrzeuge
FR2897672B1 (fr) * 2006-02-22 2008-07-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loc optique a fonctions d'eclairement couplees
DE102007029858A1 (de) * 2007-06-28 2009-01-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US7967477B2 (en) * 2007-09-06 2011-06-28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Compact optical system and lenses for producing uniform collimated light
FR2965328B1 (fr) * 2010-09-24 2016-03-25 Valeo Vision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complexe d'un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KR101300907B1 (ko) * 2010-10-01 2013-08-27 소닉스자펜 주식회사 반사갓연결장치, 이를 포함하는 반사갓결합모듈 및 등기구
DE102011085315A1 (de) * 2011-10-27 2013-05-02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Scheinwerferprojektionsmodul für ein Kraftfahrzeug
CN102767773B (zh) * 2012-08-17 2016-12-21 哈尔滨固泰电子有限责任公司 Led汽车近光灯及其制作方法
CN103090225A (zh) * 2012-12-31 2013-05-08 苏州承源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双灯泡照明装置
TWI699496B (zh) * 2017-03-31 2020-07-21 億光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和照明模組
JP2022140010A (ja) * 2021-03-12 2022-09-2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9869A (en) * 1966-03-23 1968-04-23 Corning Glass Works Variable intensity lamp
DE2908098A1 (de) * 1979-03-02 1980-09-11 Bosch Gmbh Robert Leuchte fuer kraftfahrzeuge
DE8502896U1 (de) * 1985-02-02 1985-05-15 Westfälische Metall Industrie KG Hueck & Co, 4780 Lippstadt Mehrkammerleuchte für Kraftfahrzeuge
JP2602133Y2 (ja) * 1993-12-22 1999-12-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標識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9312A2 (en) 1998-10-07
EP0869312A3 (en) 1999-07-21
GB9706887D0 (en) 1997-05-21
JPH10278667A (ja) 199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480B1 (en) Indirect illumination taillamp assembly for a vehicle
JP4118647B2 (ja) 車両用標識灯
EP2327925B1 (en) Vehicle lamp with light emitting diodes
KR19980081056A (ko) 차량용 신호 램프
KR20030015865A (ko) 차량용 등기구
US20030169600A1 (en) Led-type vehicular lamp having uniform brightness
KR19990083118A (ko) 램프
US3379869A (en) Variable intensity lamp
GB1598038A (en) Reflector for lighting and/or indicator devices especially for vehicles
CN111928200A (zh) 一种厚壁件光学系统及车灯
JPH0128563Y2 (ko)
JPH0510761B2 (ko)
ITRM980089A1 (it) Proiettore a barra ottica per autoveicolo
JPH0589703A (ja) 車輌用灯具
JP2004139903A (ja) 車両用灯具
CN210319837U (zh) 车辆用灯具
JPS636702A (ja) 照明装置
KR100747025B1 (ko) 헤드램프용 비구면 렌즈
JP4300941B2 (ja) 車両用灯具
JPS63901A (ja) 照明装置
CN213542367U (zh) 一种车辆大灯双光照明装置
US11555592B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7478030B2 (ja) 車両用灯具
HU214892B (hu) Világítótest
JP7390244B2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