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853A - 내진 장비 플랫폼 - Google Patents

내진 장비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853A
KR19980079853A KR1019980007010A KR19980007010A KR19980079853A KR 19980079853 A KR19980079853 A KR 19980079853A KR 1019980007010 A KR1019980007010 A KR 1019980007010A KR 19980007010 A KR19980007010 A KR 19980007010A KR 19980079853 A KR19980079853 A KR 1998007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seismic
pedestal
mounting plat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리자 버그렉
Original Assignee
로버트 비. 레비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비. 레비,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버트 비. 레비
Publication of KR1998007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5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providing data protection in case of earthquakes, floods, storms, nuclear explosions, intrusions,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loor Finish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raised floor)에 선택적인 지진 안정성을 제공하거나 지진동안 장비를 안정시키도록 사용되는 내진(seismic resistant) 장비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발표된 내진 장비플랫폼은 장비장착판으로 상호 연결된 받침대 배열을 포함한다. 각각의 받침대는 하부플로어에 장착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장착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에 장착되는 받침대 헤드를 포함한다. 더욱이, 각각의 받침대 헤드는 종래의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도록 사용될수 있는 다양한 스트링거 뿐만 아니라 장비장착판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는 동류의 받침대를 상호결합하는 장비장착판에 하부플로어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건조된다. 더욱이, 장비장착판은 받침대가 장비장착판에 의해 상호 결합될 때 받침대의 강도를 더하도록 각각의 장비장착판을 강체로서 다루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제조된다.

Description

내진 장비플랫폼
본 발명은 내진(seismic resistant) 장비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진 특성은 특히 지진 동안 그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특별히 설계된 장비 플랫폼에 관한 것이고, 그 때문에 향상된 지진 안정성(즉, 지진동안 더 큰 안전성)을 갖는다. 이런 장비 플랫폼상에 장착된 장비는 이런 장비 플랫폼이 더 큰 강도의 지진에도 견딜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공지된 플랫폼보다 더 양호하게 지진동안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특히, 본 발명의 장비 플랫폼은 죤 0 내지 4의 지진 지역에 적합하고, 관련된 벨코어 네트워크 장비 건축 시스템(NEBS; network equipment building system)의 필요조건, GR-63-CORE(NEBS PR-NWT-0063) 필요조건 모두를 만족시킨다. 이런 내진 플랫폼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장비의 예는 원격 통신 장비, 컴퓨터 장비, 선반 장착식(rack mountable) 전자 장비, 제약(pharmaceutical) 처리 장비 및 다른 어떤 형태의 전자 또는 실험 장비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지진(seimic event)은 직접 또는 간접적인 흔들림, 진동, 비틀림, 위치 이동 또는 유사한 장애를 지상의 구조물(예를들면, 빌딩, 다리, 집 등의)에 주는 지진파(P파, S파, 러브(Love)파, 레일레이(Layleigh)파)를 형성하는 지진 또는 다른 땅의 진동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내진(seismic resistant)은 지진 중에 가해지는 손상(예를 들면, 흔들림, 진동, 비틀림, 위치 이동 또는 유사한 장애)에 저항하는 특성 또는 특질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계산 시설에서, 거양형 플로어(raised floor)가 하부플로어(거양형 플로어가 장착되는)와 케이블 설치(cabling) 및 보조 장비(예를 들어, 냉난방 장비)를 위한 거양형 플로어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장비를 지지하도록 자주 사용된다. 다양한 종류의 거양형 플로어가 이용되며, 지진 활동이 적은 안정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대다수의 거양형 플로어는 직사각형 공간에서 직사각형 배열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평행빔(예를 들면, 박스나 롤 형태의 스트링거(본원에서는 이후에 스트링거로 지칭됨))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받침대로 구성된다. 각 받침대는 일반적으로 기부, 기둥 및 받침대 헤드로 구성되며, 그 위에 거양형 플로어가 제작되는 하부플로어에 각각의 받침대의 기부에서 볼트결합 또는 접착된다. 스트링거가 정상적으로 인접 받침대 헤드 사이에 장착된다. 그후, 복수개의 제거가능한 플로어 패널이 인접한 스트링거 사이에 걸쳐진다. 상기 플로어 패널은 받침대 헤드에 고정되거나, 스트링거상에 부동상태로(free-floating) 남겨진다. 이 방식에서, 전체 거양형 플로어가 구성된다. 전체적으로 보아서, 이런 플로어는 본질적으로 플로어 패널 및/또는 스트링거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캔틸레버 빔(즉, 복수개의 받침대)이다.
이런 플로어는 지진 활동이 없는 지역(예를 들어, 안정된 환경)에서 잘 작동하지만, 소수의 플로어는 지진동안 발생하는 상당한 힘에 견디도록 설계되었다. 각각의 받침대가 캔틸레버 빔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받침대의 굽힘 모멘트는 그 기부에서 최대이다. 따라서, 지진동안 각각의 받침대의 기부가 대부분 가장 먼저 파손되며, 각각의 받침대는 기부에서 부러지거나(취성 재료로 구성되었을때), 굽힘 모멘트가 받침대의 완전한 소성 모멘트와 같아지는 경우 그 기부에서 소성 힌지를 형성한다(연성 재료로 구성되었을 때). 어떤 경우라도, 대규모 지진동안 대부분의 거양형 플로어는 붕괴되거나, 다른 형태의 결정적인 파손을 입고, 필연적으로 상기 거양형 플로어상에 장착된 장비도 손상을 입는다(그 때문에, 이런 플로어는 논-사이즈믹(non-seismic) 플로어라고 지칭된다).
상술한 논사이즈믹 플로어에 부가하여, 약간의 지진 안전성을 제공하지만 죤 4의 지진 지역의 원격 통신 설비에 설치되는 중장비를 보호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인 다수의 거양형 플로어가 존재한다(즉, 어떤 공진 주파수에서 2000lbs에 이르는 힘을 복원하기에는 불충분한 지진 안전성). 통상적으로, 지진 안전성은 거양형 플로어의 받침대와 받침대가 장착되는 하부플로어 사이에 선택적으로 각각의 받침대의 기부를 강화하도록 부가적인 지주를 제공하거나 또는 각각의 받침대의 직경을 상당히 증가시킴(또한, 이것에 의해서도 각각의 받침대 기부가 강화된다)에 의해서 거양형 플로어에 제공된다. 지진 동안 큰 풋프린트(footprint)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소 효과가 있는 반면에, 양쪽의 기술은 케이블 설치 및 거양형 플로어 하부의 보조 장비를 위해 이용할수 있는 공간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양자는 원격통신 산업에서 사용되는 많은 장비의 하중소요를 지지하기에는 불가능하다(특히 작은 풋프린트, 베이프레임(bay frame)형 장비). (편의를 위해, 하기에 논사이즈믹 플로어 및 중장비 운용을 위해서는 지진 안정성이 부족한 다른 거양형 플로어는 총괄하여 종래 거양형 플로어라 지칭되고, 이런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에 포함되는 다양한 부품들은 종래 부품이라 지칭된다(예를들면, 종래의 받침대, 종래의 플로어 패널, 종래의 받침대 헤드 등등).
원격 통신 장비와 사용되기에 적합한 내진 거양형 플로어를 구성하기 위한 한 방법은 그것이 장착되는 하부플로어로부터 거양형 플로어를 분리하는 것이다. 이런 방법은 나카(Nak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22,670호(하기 '670 특허)에 발표되어 있다. '670 특허는 내진 거양형 플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거양형 플로어는 플로어 받침대와, 스트링거와, 플로어 패널이 상호결합되어 각각의 받침대의 기부에서 선회점에 의해 하부플로어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강체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있다. 이런 형상은 다른경우라면 각각의 받침대의 기부(즉, 만약 각각의 받침대가 강성적으로 하부 플로어에 결합되어 있다면 각각의 받침대의 굽힘 모맨트가 최대가 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 큰 굽힘 모멘트를 성공적으로 감소시키는 반면에, 이런 형상은 선회점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측방향의 지지력이 부족하다. 이런 형태의 전체 지진 플로어는 플로어가 배치되는 공간의 벽으로부터 측방향 지지력을 얻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만약 플랫폼을 벽에 부착시키지 않고 '670 특허의 기술에 따라 독립적으로 서있는 플랬폼이 건조된다면, 상기 플랫폼은 측방향 지지력이 부족하고(각각의 받침대에서 선회할수 있는 것과 같이) 내진성이 없게된다. 지진동안 보호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670 특허에 발표된 플로어 전체가 건조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670 특허의 거양형 플로어의 주요한 단점은 이런 보호성이 단지 장비가 배치되는 죤에서만 요구될때에도 내진 플로어 전체를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다.
그러므로, 전체 내진 거양형 플로어가 건조될 필요가 없는 내진 거양형 플랫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가적인 측방향 지지가 필요하지 않은 내진 장비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특별한 목적은 플랫폼이 장착되는 하부플로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내진 장비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 내에 선택적인 지진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에 결합될 수 있는 내진 장비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본발명의 원리에 따라 지진 동안 장비를 안정하도록 사용될수 있는 내진 장비 플랫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내진 장비 플랫폼은 장비 장착판에 의해 상호연결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배열된 받침대를 포함한다. 각각의 받침대는 하부 플로어에 장착된 기부와, 기부에 장착된 기둥과, 기둥에 장착된 받침대 헤드를 포함한다. 더욱이 각각의 받침대 헤드는 장비 장착판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로서, 단일 장비 장착판을 포함하는 장비 플랫폼이 하부 플로어에 네 개의 받침대를 직사각형 배열로 부착하고(예를들면, 각각의 받침대 기부가 하부 플로어에 볼트결합된다), 네 개의 받침대 헤드중 다른 하나에 장비 장착판의 각각의 코너(corner)를 장착함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하부 플로어에 장착되고, 장비 장착판에 의해 서로 연결된 네 개의 받침대로 구성된 장비 장착 플랫폼이 형성된다. 더큰 장비 플랫폼은 부가적인 받침대와 부가적인 장비 장착판을 추가함에의해 건조된다. 장비 플랫폼의 크기는 장비 플랫폼상에 장착될 장비의 풋프린트에의해 규정되고, 플랫폼상에 효과적으로 장비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면 부가적인 죤이 제공된다.
이런 장비 플랫폼을 내진성으로 제조하기 위해, 받침대는 이런 받침대를 상호 연결하는 장비 장착판에 하부 플로어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건조된다. 즉, 하부 플로어에 결합된 장비 플랫폼의 일부인 장비 장착판에 장착되거나 또는 하부 플로어에 직접 장착되거나, 장비의 조각은 대체로 동일한 수준의 지진 안전성을 격는다. 더욱이, 장비 장착판은 완전한 강체로서 각각의 장비 장착판을 다룰수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제조된다(즉, 장비 장착판은 판의 변형이 무시가능하게 작은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고, 그 때문에, 이런 변형은 힘의 해석동안 무시될 수 있다). 각각의 장비 장착판을 강체로 제조함에 의해, 받침대 강도는 받침대가 장비 장착판에 의해 상호 연결되었을 때 더해진다. 예로서, 만약 각각의 받침대가 탄성적으로 500lbs를 보상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면, 장비 장착판(정당한 강체로 해성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에 의해 상호 연결된 네 개의 받침대로 건조된 장비 플랫폼은 탄성적으로 어떤 공진 주파수이든 2000lbs의 힘을 보상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원하는 힘을 보상할수 있는 독립적인 작은 크기의 받침대는 원하는 힘(예를들면, 상대적으로 큰 지진 을 견디기 위한 충분한 힘을 보상할 수 있는)을 보상할 수 있는 장비 플랫폼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받침대는 받침대 재료의 최대 인장 응력에 도달했을 때 부러지기보다 초과 하중을 받았을 때 대체로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연성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받침대가 비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해도 여전히 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상태이다(즉, 각각의 받침대의 파괴 모드가 대체로 소성이다).
이런 장비 플랫폼에 장착된 장비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비 장착판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장비는 지진동안 장비 플랫폼 자체가 파괴될 때 까지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다른 특성은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 내에 배치될수 있는 내진 장비 플랫폼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받침대 헤드는 본 발명의 장비 장착판은 물론이고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종래의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스트링거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 방식에서, 장비 장착판은 단지 필요한 위치에만 사용될 수 있고(예를들면, 장비의 하부), 저가의 종래의 플로어 패널은 거양형 플로어를 완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내진 장비 플랫폼의 각각의 조합은 잔존하는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에 단지 느슨하게 결합된다.
특성 및 다양한 장점 등의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하기의 선택된 실시예의 세부적인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내진 장비플랫폼의 실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내진 받침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내진 받침대 헤드의 평면도와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비장착판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내진 플랫폼 200 : 받침대
210 : 기부 220 : 기둥
230 : 받침대 헤드 240 : 장비장착판
250 : 스트링거 260 : 종래의 플로어 패널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실례에서, 내진 장비플랫폼(100)은 장비장착판(240)에 의해 상호 결합된 복수개의 내진 받침대(200)로 구성된다. 각각의 내진 받침대(200)는 하부플로어(도시되지 않음)에 복수개의 고정 볼트(212)로 볼트 결합된 기부판(210)과, 기부판(210)에 연결된 기둥(220)과, 기둥(220)에 연결된 내진 받침대 헤드(230)를 포함한다. 장비장착판(240)은 네개 이상의 내진 받침대(200) 및 하나 이상의 장비장착판(240)을 포함하는 강체 장비 플랫폼을 형성하도록 6각형의 스크류(242; 하기 6각 스크류(242))로 받침대 헤드(230)에 고정된다. 또한, 복수개의 스트링거(250)는 하기된 바와 같이 장비장착판(240)대신 종래의 플로어 패널(260)을 허용하도록 내진 받침대(200) 사이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내진 받침대(2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기부판(210)은 고정 볼트(212)로 하부플로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고정 볼트 212a는 0 내지 1의 지진죤에서 사용되고 예로서 HILTI-3/8 KWIK-CON 앵커를 포함할수 있는 반면에 고정볼트 212b는 2 내지 4의 지진죤에서 사용되고 예로서 HILTI-HSL M 10/20 미터법의 고강도 신장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기둥(220)이 가급적 360°용접에 의해 기부판(210)에 결합된다. 기둥(220)은 한 단부에 배치된 나사 구멍을 가진 대체로 중공인 축을 포함한다(하기와 같이 내진 받침대(200)를 완성하도록 기둥(220)에 받침대 헤드(230)를 강성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선택된 실시예에서, 기둥(220)은 연성(ductile) 재료로 구성되고, 그에의해 대체로 소성 파괴 모드(plastic failure mode)를 가진 내진 받침대(200)를 제공한다. 더욱이, 기둥(220)은 죤 4 위치에서 지진동안 내진 장비플랫폼(지지 장비)이 격을수 있는 힘의 적어도 1/4을 탄성적으로 회복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기둥(220)이 내진 장비플랫폼의 일부로 사용될 때).
도 3은 내진 장비 받침대 헤드(230)의 평면도와 측면 단면도이다. 내진 받침대 헤드(230)는 나사산이 있는 받침대 헤드 축(234)에 결합된 받침대 헤드판(232)과, 로킹 너트(236)를 포함한다. 받침대 헤드판(232)은 나사가 새겨진 구멍 238a(장비장착판(240)을 내진 장비 헤드(230)에 육각 스크류(242)로 장착하기 위한)와, 나사가 새겨진 구멍 238b(장착 스트링거(250)를 내진 받침대 헤드(230)에 장착하기 위한)를 추가로 포함한다.
작동에서, 나사산이 있는 받침대 헤드축(234)은 기둥(220)의 나사가 새겨진 용기(222)에 받침대 헤드판(232)의 저부 근방에 배치된 로킹 너트(236)로 나사결합된다(나사산이 있는 받침대 헤드축(234)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 번 원하는 받침대 높이에 도달하면, 내진 장비플랫폼(100)이 수평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내진 받침대(200)의 높이가 내진 장비플랫폼(100)의 일부를 이루는 다른 내진 받침대(200)의 높이에 관해 점검된다. 만약 내진 장비플랫폼(100)이 플로어 시스템의 일부가 된다면(즉, 만약 내진 장비플랫폼(100)이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내에 배치된다면), 내진 받침대(200)의 높이는 상기 플로어 시스템의 일부를 이루는 모든 다른 받침대의 높이에 관해 점검된다(예로서 레이저빔을 사용하여 수평이 점검될 수 있다). 내진 장비플랫폼(100)의 수평을 맞추는 것은 내진 받침대(200)의 높이가 대체로 동일해질때까지 내진 받침대(200)의 나사산이 있는 받침대 헤드축(234)을 회전시킴에 의해 달성된다. 이 방식에서, 각각의 내진 받침대의 높이는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그후 내진장비 플랫폼(100)이 수평이 된다. 로킹 너트(236)는 육각 스크류(242)로 받침대 헤드(230)에 장비장착판(240)이 볼트결합될 때까지 기둥(220)에 대해 죄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따라서, 나사산이 있는 받침대 헤드축(234)의 추가적인 회전을 허용한다). 그러나 한 번 로킹 너트(236)가 기둥(220)에 대해 죄어지면, 로킹너트(236)는 각각의 내진 받침대(200) 내에서 수직 채터(vertical chatter; 즉, 지진동안 나사산이 있는 받침대 헤드축(234)의 나사 사이의 간격에 기인한 기둥(220) 내에서 나사산이 있는 받침대 헤드축(234)의 상하이동)를 제거하고, 나사산이 있는 받침대 헤드축(234)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이중 목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받침대 헤드(도시되지 않음)는 원한다면 종래의 플로어 배널을 지지하기 위해 받침대를 형성하도록 기둥(220) 및 베이스(2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받침대에서, 로킹 너트(236)는 각각의 종래의 받침대 헤드의 나사산이 있는 축상에 나사결합되는 높이 조절 너트로 대체될수 있고 이는 각각의 받침대의 높이를 설정하도록 기둥(220)의 상면에 대해 놓인다. 이 방식에서, 각각의 받침대의 높이는 각각의 종래의 받침대 헤드의 높이조절 너트를 조절함에 의해 조절된다. 종래의 받침대 헤드는 기둥(220)에 여유를 남기고 결합되고(즉, 기둥(220)에 받침대 헤드를 죄는 대신 기둥(220)속에 받침대 헤드를 단순히 삽입함에 의해), 그래서 이런 받침대로 형성된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는 기둥(220) 및 베이스(210)로부터 분리된다(종래의 거양형 플로어에 결합된 내진 장비플랫폼상의 긴장(strain)을 경감하도록).
도 4는 장비장착판(240)의 실예가 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장비장착판(240)은 대체로 직사각형(비록 삼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이 사용될수 있지만)이 바람직하고, 지진 동안 장비장착판의 변형이 무시될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진 재료(즉, 알루미늄)로 구성되면 바람직하다(즉, 각각의 장비장착판이 강체로서 다루어지고, 힘의 분석 동안 장비장착판 변형이 무시될수 있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장비장착판(240)이 견고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장비 창착판(240)은 대부분의 종래의 플로어 패널(260;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그와 유사한 재료로 피복된 판재로 형성된다)보다 무겁다. 각각의 장비장착판(240)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적인 무게를 감소시키도록 재료가 각각의 장비장착판의 후면으로부터 제거된다(도 4의 위치 24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장비 장착 판의 중량은 각각의 장비장착판(240)의 외측 엣지의 하면을 따라 리즈(243; ridge)를 기계가공함에 의해 추가적으로 감소되고, 이는 각각의 장비장착판(240)이 스트링거(250)의 방해 없이 받침대 헤드(230)에 장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의 장비장착판(240)은 복수개의 받침대 장착 구멍(244)과, 장비 장착 죤(246)과, 케이블 죤(248) 및 케이블 죤 덮개(247)를 추가로 포함한다. 장비장착판(240)의 외측 코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받침대 장착 구멍(244)이 육각 스크류(242)를 받침대 장착 구멍(244)을 통해 받침대 헤드판(232)의 나사가 새겨진 구멍(238a)내부로 나사결합함에 의해 내진 받침대(220)에 장비장착판(240)이 고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장비 장착 죤(246)은 장비 또는 장비 장착대의 위치에서 장비장착판(240)을 통해 구멍을 뚫고, 그후, 공지된 기술의 몇몇의 결합 수단으로 장비장착판에 장비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장비 또는 장비대가 장비장착판(240)에 부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케이블 죤(248)은 장비 케이블 설치를 위해 제공되고, 장비장착판(240)을 통해 케이블을 배치시키기 위한 장비장착판(240)의 개구(즉, 도 4의 죤 248a)와, 케이블 덮개 스크류로 장비장착판(240)에 부착되는 케이블 죤 덮개(247)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사용되지 않을 때 케이블 죤 덮개(247)에 의해 덮혀질수 있다(도 4의 죤 248b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 장비플랫폼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복수개의 내진 받침대(200)가 고정 볼트(212)로 하부플로어에 장착된다. 각각의 받침대(200)상의 받침대 헤드(230)의 높이가 장비장착판(240)의 수평면을 제공하기 위해 조절된다. 그후, 장비장착판(240)은 육각 너트(242)를 받침대 장착 구멍(244; 각각의 장비장착판의)을 통해 받침대 헤드판의 나사가 새겨진 구멍(238a; 내진 받침대 헤드(230)의)내로 나사결합시킴에 의해 내진 받침대(200)에 강성적으로 장착된다. 그후, 각각의 나사산이 있는 받침대 헤드축(234)의 로킹 너트(236)가 죄어진다. 내진 받침대(200)를 하부플로어에 강성적으로 결합하고, 이 받침대들을 장비장착판(240)으로 상호연결함에 의해, 하부플로어의 강도는 장비장착판(24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된다(즉, 하나의 장비는 내진 플랫폼(100)의 장비장착판(240)에 장착되거나 하부플로어에 직접 장착되거나 대체로 동일한 수준의 지진 안정성을 격게된다). 하부플로어의 실제 강도(콘크리트 플로어에서 수만 파운드일 수 있다)은 장비장착판(24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장비를 지지하기 위한 적절한 강도는(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2만 파운드) 장비장착판(240)으로 전달된다. 더욱이, 각각의 장비장착판이 강체로 간주하기에 충분히 견고하므로 받침대(200)의 강도는 받침대(200)가 장비장착판(240)에 의해 상호 연결될 때 증가한다. 이 방식에서, 장비 플랫폼의 총 강도는 장비장착판(240)에 의해 상호 연결된 모든 받침대(200)의 강도의 합과 동일하다.
독립형 플랫폼으로서 사용되는 것에 부가해서, 본 발명의 내진 장비장착판은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에 선택적인 지진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받침대 헤드(230)는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 시스템의 종래의 플로어 패널(260)을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장비장착판(240; 나사가 새겨진 구멍 238a를 거쳐서)과 다양한 스트링거(250; 나사가 새겨진 구멍 238b를 거쳐서) 양쪽 모두를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받침대 헤드(230)는 종래의 플로어 패널(260)이 받침대 헤드(230)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거나, 선택적으로, 종래의 받침대 헤드(이미 종래의 플로어 패널(260)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있다)가 기부(210) 및 기둥(200)과 결합하여 받침대를 형성하도록 사용될수 있다(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경우에나, 장비장착판(240)은 단지 그것만이 필요한 곳(예를들면, 하부장비)에 사용될 수 있고 저렴한 종래 플로어 패널(260)이 거양형 플로어를 완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내진 장비장착판(240)의 각각의 배치는 잔존하는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에 느슨하게 결합된다. 이 방식에서 장비장착판은 단지 장비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하고, 만약 지진동안 손상되면 저렴하게 수선될 수 있는 보조 바닥은 아니다. 내진 받침대 헤드(230)가 종래의 플로어 패널(260)을 지지하도록 사용될 때 느슨한 결합은 로킹너트(236)를 기둥(220)에 대해 단단히 죄지 않는 것에의해 달성된다. 달리말해, 종래의 받침대 헤드가 기부(210) 및 기둥(220)과 결합되어 사용될 때 느슨한 결합은 받침대 헤드를 기둥(220) 내부로 단순히 삽입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예를 들면, 종래의 받침대 헤드는 기둥(220)상에 자유롭게 떠있는 상태로 남겨진다).
상술한 바가 단지 본 발명의 원리의 실예일 뿐이고, 본 발명의 사고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의해 다양한 변용이 만들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로서, 본 발명은 어떤 형태의 거양형 플랫폼에도 지진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치수와 재료가 여기에 선택되었지만 원한다면 다른 치수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비장착판을 받침대에, 받침대를 하부플로어에, 받침대 헤드를 기둥에, 기둥을 기부판에 결합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9)

  1. 장비 플랫폼에 있어서, 일정한 강도를 가진 표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받침대와, 복수개의 받침대 헤드의 일부에 결합됨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받침대를 상호 연결하는 장비장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는 상기 표면에 결합된 기부판과, 상기 기부판에 결합된 기둥과, 상기 기둥에 결합된 받침대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가 상기 표면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상기 장비장착판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장비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대체로 소성 파괴 모드(plastic failure mode)를 갖는 장비 플랫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장착판은 상기 장비 플랫폼의 강도가 상기 장비장착판에 의해 상호연결된 각각의 받침대의 강도의 합을 포함하기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장비 플랫폼.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받침대는 장비가 상기 장비 플랫폼 상에 장착되었을 때 죤 4의 지진을 비탄성 변형(inelastic deformation)을 입지 않고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의 1/4이상을 갖는 장비 플랫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장착판은 장비가 상기 장비 플랫폼상에 장착되었을 때 죤 4 이상의 지진을 비탄성 변형을 입지않고 견디기 위해 장비 플랫폼의 강도가 충분하도록 네 개 이상의 받침대에 결합된 장비 플랫폼.
  6. 제 1 항에 있어서, 장비가 상기 장비장착판에 결합되는 장비 플랫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플랫폼이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 시스템(raised floor system)에 결합되는 장비 플랫폼.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트링거가 상기 받침대 헤드를 상호 연결하는 장비 플랫폼.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받침대 헤드가 종래의 플로어 패널과 상기 장비장착판 양쪽 모두를 받아들이도록 형성된 장비 플랫폼
  10.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받침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장비장착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비 플랫폼.
  11.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받침대를 일정한 강도의 하부플로어에 고정하는 단계와, 장비장착판을 복수개의 상기 받침대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장비장착판이 복수개의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하부플로어의 강도를 상기 장비장착판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받침대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소성 파괴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양형 플랫폼의 강도가 상기 장비장착판에 의해 상호 결합된 각각의 받침대의 강도의 합을 포함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진 상기 장비장착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장비가 상기 거양형 플랫폼상에 장착되었을 때 비탄성 변형 없이 죤 4의 지진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강도의 1/4이상을 각각의 받침대에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15. 상기 거양형 플랫폼 강도는 장비가 상기 거양형 플랫폼상에 장착되었을 때 비탄성 변형 없이 죤 4 이상의 지진을 견디기 위해 충분하도록 상기 장비장착판에 네 개 이상의 받침대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장착판에 장비를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양형 플랫폼을 종래의 거양형 플로어 시스템에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를 복수개의 스트링거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장착판과 종래의 플로어 패널 양쪽 모두를 받아들이도록 상기 받침대를 구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받침대에 복수개의 장비장착판을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정된 거양형 플랫폼 제공 방법.
  21. 거양형 플랫폼내에서 선택적으로 지진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부플로어에 고정된 복수개의 내진(seismic resistant) 받침대와, 내진 장비플랫폼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내진 받침대를 상호 결합하고, 복수개의 내진 받침대 헤드의 일부에 장착되는 내진 장비장착판과, 상기 내진 장비장착판에 의해 상호 결합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내진 기둥과 내진 기부판을 상호 결합하는 복수개의 종래의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내진 장비장착판은 상기 하부플로어에 결합된 내진 기부판과, 상기 내진 기부판에 결합된 내진 기둥과, 상기 내진 기둥에 결합된 내진 받침대 헤드를 포함하는 선택적인 지진 안전성 제공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장비 받침대가 대체로 소성 파괴 모드를 갖는 선택적인 지진 안전성 제공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장비장착판은 기 내진 장비플랫폼의 강도가 상기 내진 장비장착판에 의해 상호 연결된 각각의 내진 받침대의 강도의 합을 포함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선택적인 지진 안전성 제공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내진 받침대는 상기 내진 장비플랫폼상에 장비가 장착되었을 때 죤 4의 지진을 비탄성 변형 없이 견디기 위해 충분한 강도의 1/4 이상을 갖는 선택적인 지진 안전성 제공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장비장착판은 장비가 상기 내진 장비플랫폼상에 장착되었을 때 죤 4 이상의 지진을 강체의 비탄성 변형 없이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 강체를 형성하도록 네 개 이상의 내진 받침대에 결합되는 선택적인 지진 안전성 제공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장비가 상기 내진 장비장착판에 결합되는 선택적인 지진 안전성 제공 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트링거가 상기 내진 받침대 헤드를 상호연결하는 선택적인 지진 안전성 제공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내진 받침대 헤드가 종래의 플로어 패널과 상기 내진 받침대 장착판 양쪽 모두를 받아들이도록 형성되는 선택적인 지진 안전성 제공 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양형 플로어 내에 복수개의 내진 장비플랫폼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내진 장비장착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선택적인 지진 안전성 제공 장치.
KR1019980007010A 1997-03-05 1998-03-04 내진 장비 플랫폼 KR19980079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11,983 US5983582A (en) 1997-03-05 1997-03-05 Seismic resistant equipment platforms
US8/811,983 1997-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853A true KR19980079853A (ko) 1998-11-25

Family

ID=2520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010A KR19980079853A (ko) 1997-03-05 1998-03-04 내진 장비 플랫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83582A (ko)
JP (1) JPH10246282A (ko)
KR (1) KR19980079853A (ko)
CA (1) CA2227657A1 (ko)
TW (1) TW3465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5212D0 (en) * 1998-07-15 1998-09-09 British Aerospace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US6134850A (en) * 1999-02-03 2000-10-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and fixture for mounting process equipment
AU2001273296A1 (en) 2000-07-10 2002-01-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Concrete construction employing the use of a ductile strip
AU2001273295A1 (en) 2000-07-10 2002-01-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Collapse-resistant frame system for structures
WO2002004378A2 (en) 2000-07-10 2002-01-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elf-compacting cementitious composite
US6637161B1 (en) 2000-11-28 2003-10-2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Floor system
CA2430136A1 (en) * 2000-11-30 2002-06-06 Kevin R. Henderson Earthquake resistant equipment rack
US8850770B2 (en) * 2001-06-21 2014-10-07 Roger C. Ro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US7546715B2 (en) 2001-06-21 2009-06-16 Roen Roger C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US6748707B1 (en) 2001-07-24 2004-06-15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Utility interface system
TW532445U (en) * 2001-08-01 2003-05-11 Shin-Tsai Huang Locking mechanism for adjustment structure of bar component
US20050284040A1 (en) * 2004-06-03 2005-12-29 Nippon Light Metal Company, Ltd. Pedestal unit, raised floor skeleton structure, method of installing pedestal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pedestal frame
US20060283141A1 (en) * 2005-06-17 2006-12-21 Peter Brandstrom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including earthquake resistant securing of equipment cabinets
US9273464B2 (en) * 2009-09-01 2016-03-01 Roger C. Ro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US8677703B2 (en) * 2010-09-27 2014-03-25 Gary Meyer Articulating corner raised access floor panel
US20140227041A1 (en) * 2013-02-05 2014-08-14 Benjamin G. Stroyer Adjustable system for supporting a structure using a pile
US8820011B1 (en) 2013-07-30 2014-09-02 Steven A Parks Stage flo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808086B1 (en) * 2016-08-15 2017-11-07 Bobby Lee Stokeley Seating arrangement system
WO2018182548A2 (en) 2016-09-27 2018-10-04 Eae Elektrotekni̇k San. Ve Ti̇c. A.Ş. Seismic stand
CN108049592B (zh) * 2017-12-30 2024-04-02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地面铺装底座、铺装组件及铺装方法
RU184476U1 (ru) * 2018-08-08 2018-10-29 Юрий Леонидович Крынин Панельный пол блочно-модульного здания
US10844613B2 (en) 2019-03-19 2020-11-24 Hanover Prest-Paving Company Paver supporting apparatus
US11168447B2 (en) 2019-03-19 2021-11-09 Hanover Prest-Paving Company Paver supporting apparatus
US11725413B2 (en) 2020-07-17 2023-08-15 Granite Industries, Inc. Elevated flooring system for clearspan tent
CN113089961A (zh) * 2021-03-15 2021-07-09 台州市铭泰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地板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0460A (en) * 1960-09-16 1965-04-27 Liskey Aluminum Floor panel for elevated flooring
US3150748A (en) * 1960-09-16 1964-09-29 Liskey Aluminum Elevated sectional floor
US3222030A (en) * 1964-06-22 1965-12-07 Unistrut Corp Floor structure elevating device
US3830024A (en) * 1972-09-14 1974-08-20 Warn Key Inc Stabilizing and anchoring device for mobile homes and similar structures
US4074488A (en) * 1974-06-05 1978-02-21 Liskey Archectural Mfg. Inc. Elevated floor assembly
US3924370A (en) * 1974-07-24 1975-12-09 Bell Telephone Labor Inc Raised floor with clamped panel support
US4630417A (en) * 1984-02-13 1986-12-23 Collier William R Modular combination floor support and electrical isolation system for use in building structures
US4578910A (en) * 1984-07-02 1986-04-01 Donn Incorporated Elevated floor panel system
US4596095A (en) * 1984-07-13 1986-06-24 Chalfant Manufacturing Company Underfloor cable tray assembly
US4901490A (en) * 1984-12-17 1990-02-20 Gabalan Corporation Raised flooring panel and raised flooring assemblies
GB8510677D0 (en) * 1985-04-26 1985-06-05 Huntgreen Ltd Floor construction
US4676036A (en) * 1985-05-01 1987-06-30 Airtite, Inc. Integrated raised flooring system
US4759162A (en) * 1987-04-16 1988-07-26 Wyse Steven J Modular platform assembly
US4942708A (en) * 1988-11-23 1990-07-24 Wenger Corporation Panel assembly and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floors
US4922670A (en) * 1989-01-27 1990-05-08 Naka Technical Laboratory Free access floo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5048242A (en) * 1990-04-04 1991-09-17 C-Tec, Inc. Access floor system with hemmed edge panel
US5301480A (en) * 1990-11-19 1994-04-12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Stanchion unit assembly for floor boards
US5412914A (en) * 1991-07-08 1995-05-09 Daw; Terry L. Raised access flooring system
DE4228601C2 (de) * 1991-09-11 1997-06-19 Taisei Electronic Ind Co Verfahren zum Aufbau eines erhöhten Trockenbodens und die zugehörige Trockenfußbodeneinheit
US5333423A (en) * 1992-12-23 1994-08-02 Propst Robert L Floor system
US5477649A (en) * 1993-04-30 1995-12-26 Airtite Contractors Inc. Raised floor cable trough system
US5419093A (en) * 1993-08-25 1995-05-30 Wei; Shih C. Versatile aluminum alloy molding block structure
US5459968A (en) * 1994-07-07 1995-10-24 Jin; Min W. Office flo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6519B (en) 1998-12-01
JPH10246282A (ja) 1998-09-14
CA2227657A1 (en) 1998-09-05
US5983582A (en) 199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9853A (ko) 내진 장비 플랫폼
US8015760B2 (en) Seismic isolation access floor assembly
CA2866081C (en) Modular isolation systems
CA1268921A (en) Support column
EP07841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buildings from earthquakes
US5787663A (en) Beam support bracket for a raised access floor
JPH11251770A (ja) 通信装置用ラック
CA2919824C (en) Stage flo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059251A (en) Computer equipment having an earthquake damage protection mechanism
US5875601A (en) Kit of anchoring mechanism parts to protect against earthquake-induced motions in electrical equipment
US6076326A (en) Anchoring mechanism to protect against earthquake-induced motions in electrical equipment
MXPA98001678A (en) Equipment platforms resistant to the sis
US6094800A (en) Method for installing a mechanism which protect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lectrical equipment
KR100395712B1 (ko) 클린룸용 바닥패널의 보강 지지구조
KR20210019253A (ko) 멤브레인 화물창 발판 베이스 구조
JP3989357B2 (ja) 床の施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床パネル
WO2018182548A2 (en) Seismic stand
JPH0734104Y2 (ja) 床パネル用支柱
JP3012494B2 (ja) 建築物の構築方法
JP2580671Y2 (ja) 仮設手摺
Notohardjono et al. Modular server frame with robust earthquake retention
JP3330566B2 (ja) 地震に対する保持機構又は損害回避としての装置
JP6432784B2 (ja) 吊り天井の補強ブレース取付具
JP2023049074A (ja) 免震壁構造物
JP4092277B2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