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820A - 광학픽업 및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광학픽업 및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820A
KR19980079820A KR1019980006884A KR19980006884A KR19980079820A KR 19980079820 A KR19980079820 A KR 19980079820A KR 1019980006884 A KR1019980006884 A KR 1019980006884A KR 19980006884 A KR19980006884 A KR 19980006884A KR 19980079820 A KR19980079820 A KR 19980079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optical pickup
optical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6134B1 (ko
Inventor
겐지 야마모토
이사오 이치무라
후미사다 마에다
도시오 와타나베
아키라 스즈키
기요시 오사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7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8Separate aberration correction lenses; Cylindrical lenses to generate astigmatism; Beam expan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Lenses (AREA)

Abstract

픽업요소를 구성하는 2군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가 생겨도, 특수한 디바이스를 내장하지 않고 수차(收差)를 허용범위에 수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입사되는 제1의 면(15) 및 제1의 면(15)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광을 제2의 렌즈(14)에 대하여 출사하는 제2의 면(16)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렌즈(13)와, 제2의 면(16)으로부터 출사된 광속(光束)이 입사되는 제3의 면(17) 및 제3의 면(17)으로부터 입사된 광속을 대향하여 배설된 광디스크에 출사하는 제4의 면(18)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렌즈(14)와로 구성되는 2군 렌즈에 있어서, 제1의 면(15)과 제4의 면과의 간격을 위치 결정시의 기준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픽업 및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본 발명은, 2군 렌즈를 구비하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광 카드 등의 광학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 신호를 기입 또는 독출하는 광학픽업, 및 2군 렌즈를 조립하는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보 신호의 기록 매체로서, 이른바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광 카드와 같은 여러 가지의 광학 기록 매체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광학 기록 매체상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照射)하여 이 광학 기록 매체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입이나 독출을 행하는 광학픽업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광학픽업에 있어서, 대물렌즈는 개구수(NA)를 크게 함으로써, 이 광학 기록 매체상에 집광된 광의 빔 스폿 경(徑)을 작게 할 수 있어, 광학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에 있어서, 개구수는 0.6 정도가 한계였다.
개구수를 크게 하는 수단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개부(100)에서 조려진 광원으로부터의 광속(光束)(101)이 입사되는 제1의 렌즈(102)와, 제1의 렌즈(102)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광학 기록 매체(103)의 신호기록면(103a)상에 집속시키는 제2의 렌즈(104)로 이루어지는 2군 렌즈(105)에 의한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2군 렌즈(105)는,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속(101)이 입사되는 제1의 면(106) 및 제1의 면(106)으로부터 입사된 광속을 제2의 렌즈(104)에 대하여 출사하는 제2의 면(107)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렌즈(102)와, 이 제1의 렌즈(102)의 제2의 면(107)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이 입사되는 제3의 면(108) 및 제3의 면(108)으로부터 입사된 광속을 대향하여 배설된 광학 기록 매체(103)에 출사하는 제4의 면(109)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렌즈(104)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2군 렌즈(105)는, 개구수를 0.8 이상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2군 렌즈(105)는 제1의 렌즈(102)에 관해서는 그 두께로 되는 제1의 면(106)과 제2의 면(107)과의 간격 L1이, 또 제2의 렌즈(104)에 관해서는 그 두께인 제3의 면(108)과 제4의 면(109)와의 간격 L2이, 각각 최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렌즈(102) 및 제2의 렌즈(104)는, 금형을 사용한 유리 몰드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또, 2군 렌즈(105)는 1장의 렌즈에 구성되는 대물렌즈와 달리, 렌즈의 조립, 예를 들면 제1의 렌즈(102)와 제2의 렌즈(104)와의 정밀한 위치결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위치결정 여하에 따라, 수차가 허용범위 이상으로 되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위치결정은 예를 들면, 제1의 면(106), 제2의 면(107), 제3의 면(108), 제4의 면(109)의 어느 것인가 2면을 선택하여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는, 렌즈두께 오차에 상관없이, 예를 들면 스페이서에 의해 제1의 렌즈(102)의 제2의 면(107)과 제2의 렌즈(104)의 제3의 면(108)의 간격 L3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결정되고, 광학픽업내에 내장되어 있었다.
그런데, 2군 렌즈(105)에 있어서, 수차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는데는, 제1의 렌즈(102)의 렌즈 두께 L1, 제2의 렌즈(104)의 렌즈 두께 L2또는 제1의 렌즈(102)와 제2의 렌즈(104)와의 간격 L3에 있어서의 오차를 수㎛ 이내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1의 렌즈(102) 및 제2의 렌즈(104)의 렌즈 두께에 대해서는, 유리 몰드에 사용하는 유리 초재(硝材)의 중량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므로, 그 오차를 수㎛ 이하로 억제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로서는 곤란을 요한다. 통상, 상기 유리 몰드에 의해 제조되는 렌즈의 두께 오차는, ±10㎛ 정도 생기고 만다.
그리고, 제1의 렌즈(102) 또는 제2의 렌즈(104)의 렌즈의 두께에 전술한 바와 같은 오차가 발생한 채 제2의 면(107)과 제3의 면(108)의 간격 L3을 기준으로 하여 조립되어 버리면, 2군 렌즈(105)의 전장(全長), 즉 제1의 면(106)과 제4의 면(109)의 간격이 오차 정도 변화해 버린다. 이대로 사용되면 2군 렌즈(105)의 수차가 허용범위를 초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제1의 렌즈(102)와 제2의 렌즈(104)의 위치결정에 관해서는, 그 오차를 수㎛ 이내로 수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한편, 도 2 (A) 및 도 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렌즈(102)에 대하여, 제2의 렌즈(104)가 경사 θ 및 편심 d이 생겨 버리면 큰 굴절력 때문에, 2군 렌즈(105)가 용이하게 허용할 수 없는 수차가 생겨 버린다.
또, 2군 렌즈(105)에 대하여 특수한 디바이스를 부가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코스트가 높아지고 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2군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가 발생해도, 특수한 디바이스를 내장하지 않고 수차를 허용범위에 수용할 수 있는 광학픽업 및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2군 렌즈의 설명에 사용한 2군 렌즈의 정면도.
도 2는 제1의 렌즈에 대하여 제2의 렌즈가 넘어지거나 또는 편심(偏芯)이 발생한 2군 렌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광학픽업의 구성도.
도 4는 상기 제1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광학픽업이 구비하는 2군(群) 렌즈의 정면도.
도 5는 상기 2군 렌즈의 구면수차(球面收差), 비점수차(非点收差) 및 왜곡수차(歪曲收差)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6은 축상, 입사 각도 0.000˚의 조건하의, 탄젠셜(tangential) 방향 및 사지털(sagittal) 방향의 코마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7은 입사 각도 0.500˚의 조건하의, 탄젠셜 방향 및 사지털 방향의 코마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8은 상기 2군 렌즈가 수납되는 렌즈 경통(鏡筒)의 단면도.
도 9는 상기 2군 제2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있을 때의 정면도.
도 10은 상기 2군 렌즈의 제2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경우의 파면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11은 제2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비교예로 되는 2군 렌즈의 정면도.
도 12는 제2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상기 비교예로 되는 2군 렌즈의 파면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13은 상기 2군 렌즈의 제2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있을 때의 정면도.
도 14는 상기 2군 렌즈의 제2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경우의 파면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15는 제2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비교예로 되는 2군 렌즈의 정면도.
도 16은 제2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상기 비교예로 되는 2군 렌즈의 파면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17은 상기 제2의 렌즈의 렌즈두께 오차와 파면수차의 RMS치(値)와의 관계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18은 상기 2군 렌즈의 제1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있을 때의 정면도.
도 19는 상기 2군 렌즈의 제1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경우의 파면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20은 제1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비교예로 되는 2군 렌즈의 정면도.
도 21은 제1의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비교예로 되는 2군 렌즈의 파면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22는 상기 제1의 렌즈의 렌즈두께 오차와 파면수차의 RMS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23은 상기 2군 렌즈의 제1의 렌즈 및 제2의 렌즈에 각각 렌즈두께 오차 +10㎛가 있을 때의 정면도.
도 24는 상기 2군 렌즈의 제1의 렌즈 및 제2의 렌즈에 각각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경우의 파면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광학픽업의 구성도.
도 26은 상기 제2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광학픽업이 구비하는 2군 렌즈의 정면도.
도 27은 상기 2군 렌즈가 수납되는 렌즈 경통의 단면도.
도 28은 상기 제2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광학픽업이 구비하는 2군 렌즈로서, 제1의 렌즈 및 제2의 렌즈에 각각 렌즈두께 오차 +10㎛가 있을 때의 정면도.
도 29은 상기 제2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광학픽업이 구비하는 2군 렌즈로서, 제1의 렌즈 및 제2의 렌즈에 각각 렌즈두께 오차 +10㎛가 발생한 경우의 파면수차를 나타낸 광학 특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픽업, 3 : 2군 렌즈, 13 : 제1의 렌즈, 14 : 제2의 렌즈, 15 : 제1의 면, 16 : 제2의 면, 17 : 제3의 면, 18 : 제4의 면, 21 : 렌즈 경통, 23a : 제1의 장착 기준면, 23b : 제2의 장착 기준면, 29 : 광학픽업, 30 : 2군 렌즈, 31 : 렌즈 경통, 33a : 제1의 장착 기준면, 33b : 제2의 장착 기준면.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2군 렌즈의 제1의 면의 장착 기준면과 2군 렌즈의 제4의 면의 장착 기준면의 사이의 설계 길이가 기준치로 된 렌즈 경통을 구비한다. 따라서, 광학픽업에 있어서, 2군 렌즈는 제1의 면과 제4의 면의 간격이 기준치를 이룬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2군 렌즈의 제2의 면의 장착 기준면과 2군 렌즈의 제4의 면의 장착 기준면의 사이의 설계 길이가 기준치로 된 렌즈 경통을 구비한다. 따라서, 광학픽업에 있어서, 2군 렌즈는, 제2의 면과 제4의 면의 간격이 기준치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의 면과 제4의 면의 간격이 기준치로 되도록 2군 렌즈를 조립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의 면과 제4의 면의 간격이 기준치로 되도록 2군 렌즈를 조랩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몇 개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1의 실시의 형태는,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제1의 렌즈 및 제2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2군 렌즈에 의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상에 집광시키는 광학픽업이다. 즉, 광학픽업에 있어서, 2군 렌즈는 대물렌즈를 구성한다.
상기 2군 렌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입사된 레이저광이 입사되는 제1의 면(15) 및 제1의 면(15)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광을 제2의 레이저(14)에 대하여 출사하는 제2의 면(16)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렌즈(13)와, 제2의 면(16)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이 입사되는 제3의 면(17) 및 제3의 면(17)으로부터 입사된 광속을 대향하여 배설된 광디스크에 출사하는 제4의 면(18)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렌즈(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군 렌즈(3)는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이 기준치를 이루도록, 광학픽업내에 있어서 조립되어 있다.
상기 광디스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이 입사되는 면으로 되는 두께 0.1mm의 투명기판(51a)를 구비하고 있다. 또, 광디스크(51)는 투명기판(51a)의 강도를 늘리기 위해 1.2mm의 유리판(51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디스크(51)에는, 투명기판(51a)과 유리판(51b)과의 사이에 신호 기록면(51c)이 형성되고, 2군 렌즈(3)에 의해 이 신호기록면(51c)상에 반도체 레이저(2)로부터의 광이 집속된다.
상기 광학픽업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2)와, 반도체 레이저(2)와 광축이 일치되어, 광디스크(51)의 신호기록면(51c)에 레이저광을 집속시키는 2군 렌즈(3)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학픽업(1)은, 2군 렌즈(3)를 지지하는 2축 액튜에이터(4)를 구비하고 있다.
또, 광학픽업(1)은 반도체 레이저(2)와 2군 렌즈(3)의 사이에서 광축에 일치시켜서 콜리메이터 렌즈(5)와, 회절격자(回折格子)(6)와, 편광(偏光)빔 스플리터(7)와, λ/4 파장판(8)과를 반도체 레이저(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학픽업(1)은 편광빔 스플리터(7)의 반사면(7a)에서 반사된 광디스크(51)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는 위치에, 집속 렌즈(9)와, 멀티 렌즈(10)와, 광검출기(11)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도체 레이저(2)는, 파장이 635 nm인 레이저광을 발사한다. 이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 렌즈(5)에 입사된다.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5)는, 입사된 레이저광을 평행의 광속으로 하여, 회절격자판(6)으로 향해 출사한다.
상기 회절격자판(6)은, 한 주면부에 회절격자면이 형성된 평행평면판이고, 입사된 광속을, 최소한, 0차 광 및 ±1차 광의 3개의 광속으로 분기한다. 이 회절격자판(6)에 의해 분기된 각 광속은, 트래킹 에러 신호의 검출 방법인 이른바 3빔법을 실행할 때의, 메인 빔 및 서브 빔으로 된다. 이 회절격자판(6)에 의해 분기된 광속은, 편광빔 스플리터(7)에 입사된다.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7)는, 회절격자(6)로부터의 광속을 투과하도록 형성된 반사면(7a)을 구비하고 있다. 반사면(7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51)로부터의 반사광을 반사하는 광학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회절격자(6)로부터의 광속은, 편광빔 스플리터(7)의 반사면(7a)에서 반사되지 않고 λ/4 파장판(8)을 향해 투과된다.
상기 λ/4 파장판(8)은 대략 평판상에 형성되고, 편광빔 스플리터(7)로부터의 광속을 투과한다. 그리고, λ/4 파장판(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51)의 신호기록면(51c)상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90˚ 편광시키는 광학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λ/4 파장판(8)을 투과한 광속은, 2군 렌즈(3)에 입사된다.
상기 2군 렌즈(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구면 렌즈로 된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를,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조립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렌즈(13)는, λ/4 파장판(8)으로부터의 광속이 입사되는 제1의 면(15)과, 제1의 면(15)으로부터 입사된 광속을 출사하는 제2의 면(16)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의 렌즈(13)에 있어서, 제1의 면(15)은 λ/4 파장판(8)으로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부(15a)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의 면(16)은 광의 출사 방향에 대하여 오목하게 되도록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부(16a)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의 렌즈(13)는 양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렌즈(14)는, 제1의 렌즈(13)의 제2의 면(16)으로부터의 광속이 입사되는 제3의 면(17)과, 제3의 면(17)으로부터 입사된 광속이 대향되는 광디스크(51)로 출사하는 제4의 면(18)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의 렌즈(14)에 있어서, 제3의 면(17)은 대향하는 제1의 렌즈(13)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부(17a)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4의 면(18)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51)에 대향하는 면으로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군 렌즈(3)는, 제1의 렌즈(13)의 제1의 면(15)과 제2의 렌즈(14)의 제4의 면(18)과의 간격 L14이 기준치로 되어 설계되고, 제1의 렌즈(13)에 대하여 제2의 렌즈(14)가 이간되어 있다.
여기서, 표 1 및 표 2에, 제1의 렌즈(13)와 제2의 렌즈(14)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다.
RDY(곡률반경) THI(두께) GLA(유리명)
OBJ 무한대 무한대
STO 무한대 0.0
제1의 면 2.43644 2.297518 제1의 렌즈
K ; -0.530603A ; 0.462792E-03 B ; -0.131930E-03 C ; -0.216921E-04D ; -0.526207E-06 E ; 0.0 F ; 0.0
제2의 면 19.29810 1.042695
K ; -26.403411A ; -0.838023E-03 B ; 0.455037E-03 C ; 0.502887E-04D ; 0.0 E ; 0.0 F ; 0.0
제3의 면 1.50881 1.500 제2의 렌즈
K ; -0.198463A ; -0.999579E-03 B ; -0.127468E C ; 0.579594E-04D ; -0.317005E-02 E ; 0.0 F ; 0.0
제4의 면 무한대 0.3
K ; 0.0A ; 0.0 B ; 0.0 C ; 0.0D ; 0.0 E ; 0.0 F ; 0.0
광입사면 무한대 0.1 CG
신호면 무한대 0.0
IMG 무한대 0.0
EPD (입사동경(入射瞳徑)(mm)) 4.500
WL (파장(nm)) 635
유리명제1의 렌즈제2의 렌즈CG(커버 유리) 굴절률/아베수(數)1.493009/86.11.587007/61.31.533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렌즈(13)에는 굴절률 및 아베수가 1.493009 및 86.1의 광학 특성을 가지는 광학 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또, 제2의 렌즈(14)에는 굴절률 및 아베수가 1.187007 및 61.3의 광학 특성을 가지는 광학 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의 렌즈(13)에는, 호야주식회사제의 「FCD1」(상품명)을 사용할 수 있고, 제2의 렌즈(14)에는, 호야주식회사의「BACD 5」(상품명)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표 1에는 제1의 면, 제2의 면, 제3의 면, 제4의 면의 각각의 곡률 반경(RDY) 및 두께(THI)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표 1에 있어서, K는 원추(圓錐)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A, B, C, D, E, F는 각각 4차, 6차, 8차, 10차, 12차, 14차의 비구면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값을 기본으로, 수학식(1)의 비구면식에 의해 제1의 면, 제2의 면, 제3의 면 및 제4의 면의 형상이 도출된다.
그리고, X는 면정점으로부터의 깊이, Y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R은 근축곡률(近軸曲率)을 나타낸다.
또, 표 1에는 투명기판(51a)의 광 입사면(CG : 커버유리), 신호기록면(51c) 및 상면(像面)(IMG)의 곡률반경 및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또,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동경(EPD), 레이저광의 파장(WL)은, 각각, 4.500mm, 635nm이다.
그리고, 표 1에서는, 물점(物点)(OBJ)이 무한원방(無限遠方)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도 2에 나타낸 조리개부(STO)(22a)의 끝부가 제1의 면(15)의 직전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광학계에 있어서, 2군 렌즈(3)는 개구수가 0.7∼0.95로 된다. 또, 2군 렌즈(3)에 의한 수차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먼저 도 5 (A) 내지 도 5 (C)는, 2군 렌즈(3)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나타낸다.
상기 2군 렌즈(3)의 구면수차는, 도 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으로부터 높이에 상관없이 작게 대략 일정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각도에 상관없이, 비점수차인 탄젠셜 방향의 수차와 사지털 방향과 수차와의 차이는 작다.
또한, 2군 렌즈(3)의 왜곡수차에 대해서는, 도 5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각도를 0.50˚까지 변화시켜도, 발생을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코마수차에 대해서는, 도 6 (A) 및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0.00, 입사각도 0˚의 조건하에서, 입사높이를 변화시켜도 탄젠셜 방향 및 사지털 방향 모두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1.00, 입사각도 0.5˚의 조건하의 탄젠셜 방향의 코마수차는, 입사높이와 함께 증가한다. 그리고,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1.00, 입사각도 0.5˚의 조건하의 사지털 방향의 코마수차는, 도 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높이의 변화에 대하여 약간의 변화에 머무른다.
상기 2군 렌즈(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이 일정한 간격 L14으로 되도록, 제1의 렌즈(13)에 대하여 제2의 렌즈(14)가 이간되어 있다. 그런데, 2군 렌즈(3)는 제1의 렌즈(13)와 제2의 렌즈(14)의 사이에 공기로 구성된 1장의 굴절 렌즈(제3의 렌즈)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군 렌즈(3)에 있어서, 제1 렌즈(13) 또는 제2 렌즈(14)에 렌즈두께 오차가 존재하면, 상기 제3의 렌즈는 그 오차와 절대치가 동일분만큼, 두께가 역으로 강제적으로 조정된다.
예를 들면, 제1의 렌즈(13) 또는 제2의 렌즈(14)는 그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수차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제3의 렌즈는, 제1의 렌즈(13) 또는 제2의 렌즈(14)의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발생된 수차와는 역극성(逆極性)의 수차를 그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발생시킨다.
즉, 2군 렌즈(3)는 제1 렌즈(13) 또는 제2 렌즈(14)에 렌즈두께 오차가 발생해도, 상기 제3의 렌즈에 역의 두께 오차가 발생하므로, 전체로서 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2군 렌즈(3)는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 L14이 항상 기준치로 된 설계치로 되도록 조립되므로, 렌즈두께 오차에 의한 수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2군 렌즈(3)는 유리 몰드에 의해 제작되어도, 그 제작 정밀도상의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수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픽업(1)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가 렌즈 경통(21)에 장착되어, 2군 렌즈(3)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 경통(21)은, 제1의 렌즈(13)가 재치되는 렌즈 재치부(22)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의 렌즈(14)가 수납되는 렌즈 수납부(23)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경통(21)은 렌즈 수납부(23)에 제1의 장착 기준면(23a) 및 제2의 렌즈 기준면(23b)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제1의 장착 기준면(23a) 및 제2의 장착 기준면(23b)은, 그 간격이 기준치로 되고, 2군 렌즈(3)의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의 위치 결정면으로 된다.
상기 렌즈 경통(21)의 렌즈 재치부(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재치부(22)에는 내면으로 입사되는 광속을 조이는 조리개부(22a)와, 끝면에 제1의 렌즈(13)의 제1의 면(15)이 재치되는 재치면(2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렌즈(13)는, 제1의 면(15)의 외주부(15a)를 재치면(22b)상에 맞닿게 하여 재치되어 있다, 즉, 렌즈 재치부(22)는 재치면(22b)상에 재치된 제1의 렌즈(13)로 입사되는 광속을 조리개부(22a)에 있어서 조이고 있다.
상기 렌즈 경통(21)의 렌즈 수납부(23)는 일단에 렌즈 재치부(22)의 재치면(22b)에 맞닿는 제1의 장착 기준면(23a)과, 타단에 제2의 장착 기준면(23b)과를 형성하고 있다.
또, 렌즈 수납부(23)는 일단부에 제1의 렌즈(13)의 외주면(13a)을 덮도록 형성된 제1의 수납부(23c)와, 타단부에 제2의 렌즈(14)를 수납하는 제2의 수납부(23d)와를 배설하고 있다.
상기 제2의 렌즈(14)는, 제4의 면(18)이 제2의 장착 기준면(23b)과 동일면으로 되도록 제2의 수납부(23d)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렌즈(14)는 제2의 수납부(23d)의 내면에 접착제(24)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렌즈 수납부(23)는, 제1의 렌즈(13)를 제1의 수납부(23a)에 수납한 상태에서, 제1의 장착 기준면(23a)이 렌즈 재치부(22)의 재치면(22b)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렌즈 수납부(23)는 접착제(25)에 의해 렌즈 재치부(22)와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2군 렌즈(3)는 제1의 면(15)이 렌즈 재치부(22)의 재치면(22b)과 동일면이 되도록 장착되고, 제4의 면(18)이 렌즈 수납부(23)의 제2의 장착 기준면(23b)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장착되므로,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7)의 간격 L14이 기준치로 설정된다.
또, 2군 렌즈(3)는 렌즈 경통(2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의 렌즈(13)에 대한 제2의 렌즈(14)의 기울기 및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2군 렌즈(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경통(21)을 통해 2축 액튜에이터(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상기 2축 액튜에이터(4)는,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기준으로, 2군 렌즈(3)를 포커스 방향 및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 조작한다.
상기 2축 액튜에이터(4)에 지지된 2군 렌즈(3)는, 광디스크(51)의 신호기록면(51c)상에 광을 집속시킨다. 집속된 광은, 신호기록면(51c)상에서 반사하여 반사광으로 되어, 2군 렌즈(3)의 제4의 면(18)에 입사된다.
상기 2군 렌즈(3)는, 반사광을 투과하여 λ/4 파장판(8)으로 향해 출사한다. λ/4 파장판(8)은 입사된 반사광을 90˚ 편광시켜, 편광빔 스플리터(7)로 향해 출사한다.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7)는, λ/4 파장판(8)에서 편광된 반사광을 반사면(7a)에 있어서 반사한다. 이 반사면(7a)에 있어서 반사된 광속은, 집속 렌즈(9)로 향해 출사된다.
상기 집광 렌즈(9)는, 편광빔 스플리터(7)의 반사면(7a)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집속시켜, 멀티 렌즈(10)로 향해 출사한다.
상기 멀티 렌즈(10)는, 실린드리컬 렌즈(10a)와 오목렌즈(1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멀티 렌즈(10)는, 입사되는 반사광에 비점수차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 반사광을 광검출기(11)상에 집속시킨다.
상기 광검출기(11)는 6개의 수광면을 가지고 있다. 이 광검출기(11)는 멀티 렌즈(10)에 의해 집속된 광속을 수광면에서 수광하여, 그 광의 강도에 따라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광학픽업(1)은 광검출기(11)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따라, 비점수차법을 적용하여 구성된 포커스 에러 검출회로에 의해 포커스 에러 신호를 검출하고, 3빔 쪽을 적용하여 구성된 트래킹 에러 검출회로에 의해 트래킹 에러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광학픽업(1)은 검출한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에 따라, 2축 액튜에이터(4)에 의해 2군 렌즈(3)를 이동 조작하여 서보처리를 행한다. 또, 광학픽업(1)은 광디스크(51)의 신호기록면(51c)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한다.
따라서, 광학픽업(1)은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 L14이 기준치로 되도록 조립된 2군 렌즈(3)를 구비하므로, 2군 렌즈의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수차를 발생하는 일이 없어 진다. 즉, 광학픽업(1)은 2군 렌즈(3)에 렌즈두께 오차가 있어도, 광디스크(51)의 신호기록면(51c)에 대하여 열화(劣化)가 적은 정보 신호를 기입 또는 독출할 수 있다.
이하,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에 렌즈두께 오차가 생기고 있을 때에 발생하는 파면수차에 대하여, 종래의 2군 렌즈와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먼저, 제2의 렌즈에 +10㎛의 렌즈두께 오차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과의 간격 L14이 기준치로 된 경우, 2군 렌즈(3)에 의해 발생한 파면수차 및 파면수차의 RMS치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 10에 있어서, 파면수차는 1 파장 스케일과 대비되고 있다. 파면수차의 RMS치는, 0.017rms로 되어, 허용범위에 충분히 수용된다.
그리고, 비교예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면(65)과 제3의 면(66)의 간격 L23을 일정하게 하여 조립된 2군 렌즈(61)이다. 이 비교예에서는, 제1의 면(64)과 제4의 면(67)의 간격이 도 9에 나타낸 간격 L14보다도 10㎛ 길어 진다. 이 비교예로 되는 2군 렌즈(61)에 의해 생긴 파면수차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0에 나타낸 파면수차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파면수차의 RMS치는 0.064rms로 되어, 허용범위의 대략 상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의 렌즈에 +10㎛의 렌즈두께 오차가 발생한 경우, 명백히,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 L14을 기준치로 한 쪽이, 파면수차는 저감된다.
다음에, 제2의 렌즈에 -10㎛의 렌즈두께 오차가 생기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 L14이 기준치로 된 경우, 2군 렌즈(3)에 의해 생긴 파면수차 및 파면수차의 RMS치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또, 파면수차의 RMS치는 0.021rms로 되어, 허용범위에 충분히 수용된다.
그리고, 비교예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면(65)과 제3의 면(66)의 간격 L23을 일정하게 해서 조립된 2군 렌즈(61)이다. 이 비교예에서는, 제1의 면(64)과 제4의 면(67)의 간격이 도 13에 나타낸 간격 L14보다도 10㎛ 짧아 진다. 이 비교예로 되는 2군 렌즈(61)에 의해 발생한 파면수차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4에 나타낸 파면수차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파면수차의 RMS치는 0.064rms로 되어, 허용범위의 대략 상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의 렌즈에 -10㎛의 렌즈두께 오차가 생긴 경우, 명백히,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 L14을 기준치로 한 쪽이, 파면수차는 저감된다.
도 17는, 제2의 렌즈의 렌즈두께 오차와 파면수차의 RMS치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표는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 L14가 기준치로 되도록 조립된 2군 렌즈(3)의 파면수차의 RMS치이고, ○표는 제2의 면(65)과 제3의 면(66)의 간격 L23이 일정한 값으로 되도록 조립된 2군 렌즈(61)의 파면수차의 RMS치이다.
제2의 렌즈의 렌즈두께 오차가 -20㎛∼+20㎛의 영역에 있어서, 명백히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 L14을 기준치로 하여 조립된 2군 렌즈(3)의 쪽이, 파면수차의 RMS치는 작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1의 렌즈에 +10㎛의 렌즈두께 오차가 생기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과의 간격 L14이 기준치로 된 경우, 2군 렌즈(3)에 의해 생긴 파면수차 및 파면수차의 RMS치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또, 파면수차의 RMS치는 0.017rms로 되어, 허용범위에 충분히 수용된다.
그리고, 비교예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면(65)과 제3의 면(66)과 간격 L23을 일정하게 하여 조립된 2군 렌즈(61)이다. 이 비교예에서는, 제1의 면(64)과 제4의 면(67)의 간격이 도 18에 나타낸 간격 L14보다도 10㎛ 길어 진다. 이 비교예로 되는 2군 렌즈(61)에 의해 발생한 파면수차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9에 나타낸 파면수차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파면수차의 RMS치는 0.023rms로 된다.
따라서, 제1의 렌즈에 +10㎛의 렌즈두께 오차가 생긴 경우, 명백히,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과의 간격 L14을 기준치로 한 쪽이, 파면수차는 저감된다.
도 22은, 제1의 렌즈(13)의 렌즈두께 오차와 파면수차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표는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 L14이 기준치로 되도록 조립된 2군 렌즈(3)의 파면수차의 RMS치이고, ○표는 제2의 면(65)과 제3의 면(66)의 간격 L23이 일정한 값으로 되도록 조립된 2군 렌즈(61)의 파면수차의 RMS치이다.
제1의 렌즈(13)의 렌즈두께 오차가 -30㎛∼+30㎛의 영역에 있어서, 명백히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을 기준치로 하여 조립한 2군 렌즈(3)의 쪽이, 파면수차의 RMS치는 작아 진다.
또,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군 렌즈(3)에 있어서,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에 각각 +10㎛의 렌즈두께 오차가 생기는 경우도 고려된다. 그러나, 제1의 면(15)과 제4의 면(18)의 간격 L14이 기준치로 된 경우, 2군 렌즈(3)에 의해 생긴 파면수차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 또, 파면수차의 RMS치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13rms로 되어, 허용범위에 충분히 수용된다.
다음에, 제2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의 실시의 형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게,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제1의 렌즈 및 제2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2군 렌즈에 의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상에 집광시키는 광학픽업이다.
상기 2군 렌즈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입사된 레이저광이 입사되는 제1의 면(15) 및 제1의 면(15)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광을 제2의 렌즈(13)에 대하여 출사하는 제2의 면(16)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렌즈(14)와, 제1의 렌즈(13)의 제2의 면(16)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이 입사되는 제3의 면(17) 및 제3의 면(17)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대향하여 배설된 광디스크에 출사하는 제4의 면(18)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렌즈(14)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군 렌즈(30)는 제2의 면(16)과 제4의 면(18)의 간격 L24이 기준치를 이루도록, 광학픽업(29)내에 조립되어 있다.
제2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광학픽업(29)에 있어서, 제1의 실시의 형태로 된 광학픽업(1)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품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광학픽업(29)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2)와, 반도체 레이저(2)의 광축과 일치되어, 광디스크(51)의 신호기록면(51c)에 레이저광을 집속시키는 2군 렌즈(30)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학픽업(29)은, 2군 렌즈(30)를 지지하는 2축 액튜에이터(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학픽업(29)은 반도체 레이저(2)와 2군 렌즈(30)의 사이에서 광축을 일치시켜,콜리메이터 렌즈(5)와, 회절격자(6)와, 편광빔 스플리터(7)와, λ/4 파장판(8)과를 반도체 레이저(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하고 있다.
또, 광학픽업(29)은 편광빔 스플리터(7)의 반사면(7a)에서 반사된 광디스크(51)로부터의 반사광이 입사되는 위치에, 집속 렌즈(9)와, 멀티 렌즈(10)와, 광검출기(11)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2군 렌즈(30)는,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가 전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군 렌즈(30)는, 제2의 면(16)과 제4의 면(18)이 일정한 간격 L24으로 되도록, 제1의 렌즈(13)에 대하여 제2의 렌즈(14)가 이간되어 있다. 또, 2군 렌즈(30)는 제1의 렌즈(13)와 제2의 렌즈(14)와의 사이에 공기로 구성된 1장의 굴절 렌즈(제3의 렌즈)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의 렌즈(14)에서의 광속의 개구수의 쪽이, 제1의 렌즈(13)에서의 광속의 개구수보다도 크므로, 두께 트랜스에 대해서는, 제2의 렌즈(14)의 쪽이 제1의 렌즈(13)보다도 작다. 따라서 제2의 렌즈(14)의 두께 오차만을 보정하면 수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2군 렌즈(30)에 있어서, 제2의 렌즈(14)에 렌즈두께 오차가 존재하면, 상기 제3의 렌즈는, 그 오차와 절대치가 동일분만큼 두께가 역으로 강제적으로 조정된다.
예를 들면, 제2의 렌즈(14)는 그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수차를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제3의 렌즈는 제2의 렌즈(14)의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생긴 수차와는 역극성의 수차를 그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발생시킨다.
즉, 2군 렌즈(30)는 제2 렌즈(14)에 렌즈두께 오차가 생겨도, 상기 제3의 렌즈에 역의 두께 오차가 생기므로, 전체로서 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2군 렌즈(30)는 제2의 면(16)과 제4의 면(18)의 간격 L24이 항상 기준치로 된 설계치로 되도록 조립되므로,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수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2군 렌즈(30)는 유리 몰드에 의해 제작되어도, 그 제작 정밀도상의 렌즈두께 오차에 의해 생기는 수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픽업(1)에 있어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가 렌즈 경통(31)에 장착되어, 2군 렌즈(30)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 경통(31)은, 제1의 렌즈(13)가 재치되는 재치부(32)와, 제2의 렌즈(14)가 수납되는 렌즈 수납부(33)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경통(21)은 렌즈 수납부(33)에 제1의 장착 기준면(33a) 및 제2의 렌즈 기준면(33b)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제1의 장착 기준면(33a) 및 제2의 장착 기준면(33b)은, 그 간격이 기준치로 되어, 2군 렌즈(3)의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의 위치결정면으로 된다.
상기 렌즈 경통(31)의 렌즈 재치부(32)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재치부(32)에는 내면으로 입사되는 광속을 조이는 조리개부(32a)와, 끝면에 제1의 렌즈(13)가 재치되는 렌즈 재치면(3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렌즈(13)는, 제1의 면(15)의 외주부(15a)를 렌즈 재치면(32b)상에 맞닿게 하여 재치되어 있다. 즉, 렌즈 재치부(32)는 렌즈 재치면(32a)에 재치된 제1의 렌즈(13)에 대하여 입사되는 광속을 조리개부(32a)에 있어서 조이고 있다.
상기 렌즈 경통(31)의 렌즈 수납부(33)는, 제1의 렌즈(13)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된 내경을 가지고, 대략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렌즈 수납부(33)는 일단에 제1의 렌즈(13)에 맞닿는 제1의 장착 기준면(33a)과, 타단에 제2의 장착 기준면(33b)과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렌즈 수납부(33)는, 제2의 렌즈(14)의 외경과 대략 동일 직경의 내경으로 형성된 렌즈 장착부(32c)를 설치하고 있다.
제2의 렌즈(14)는, 제2의 장착 기준면(33b)에 제4의 면(18)이 일치되어 렌즈 장착부(33c)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렌즈(14)는 렌즈 수납부(33)에 접착제(3)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렌즈 수납부(33)는, 제1의 렌즈(13)의 제2의 면(16)의 외주부(16a)에 제1의 장착면(33a)을 맞닿게 하여 재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렌즈(13)는 렌즈 재치면(32b)에 접착제(35)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2군 렌즈(30)는 제4의 면(18)이 제2의 장착 기준면(33b)과 동일면이 되도록 장착되고, 제2의 면(16)상에 렌즈 수납부(33)의 제1의 장착 기준면(33a)이 장착되므로, 제2의 면(16)과 제4의 면(18)의 간격 L24이 기준면으로 설정된다.
상기 광학픽업(29)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2의 면(16)과 제4의 면(18)의 간격 L24이 기준면으로 되도록 조립된 2군 렌즈(30)를 구비하므로, 파면수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광학픽업(29)은 2군 렌즈(30)에 렌즈두께 오차가 있어도,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대하여 열화하지 않고 정보 신호를 기입 또는 독출할 수 있다.
상기 2군 렌즈(30)에 있어서,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에 렌즈두께 오차가 발생하고 있을 때의 파면수차의 값을 나타낸다. 조건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렌즈(13) 및 제2의 렌즈(14)에 각각 +10㎛의 렌즈두께 오차가 생기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제2의 면(16)과 제4의 면(18)의 간격 L24이 기준치로 되어 있으므로, 2군 렌즈(30)에 의해 생긴 파면수차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또, 파면수차의 RMS치는 0.048rms로 되어, 허용범위에 충분히 수용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 및 제2의 실시의 형태로 되는 광학픽업은, 2군 렌즈의 제1의 렌즈에 입사되는 광속이 평행 광속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1의 렌즈에 유한계(有限系)의 광속이 입사된는 2군 렌즈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은, 기준면으로 된 간격으로 제1의 면 및 제4의 면의 장착 기준면이 형성된 경통에 장착된 2군 렌즈를 구비하므로, 2군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가 생겨도, 특수한 디바이스를 내장하지 않고 수차를 허용범위에 수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은 기준치로 된 간격으로 제2의 면 및 제4의 면의 장착 기준면이 형성된 경통에 장착된 2군 렌즈를 구비하므로, 2군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가 생겨도, 특수한 디바이스를 내장하지 않고 수차를 허용범위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은, 2군 렌즈를 제1의 면과 제4의 면의 간격이 기준치로 되도록 조립하므로, 2군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가 발생해도, 특수한 디바이스를 내장하지 않고 수차를 허용범위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은, 2군 렌즈를 제2의 면과 제4의 면의 간격이 기준치로 되도록 조립하므로, 2군 렌즈에 렌즈두께 오차가 발생해도, 특수한 디바이스를 내장하지 않고 수차를 허용범위에 수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최소한 1개의 면이 비구면(非球面)인 2군(群) 렌즈를 가지는 광학픽업에 있어서, 상기 2군 렌즈의 제1의 면의 장착기준면과 상기 2군 렌즈의 제4의 면의 장착 기준면의 사이의 설계길이가 기준치로 된 렌즈 경통(鏡筒)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2. 최소한 1개의 면이 비구면인 2군 렌즈를 가지는 광학픽업에 있어서, 상기 2군 렌즈의 제2의 면의 장착기준면인 2군 렌즈의 제4의 면의 장착기준면의 사이의 설계길이가 기준치로 된 렌즈 경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면은, 광학기록매체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4. 최소한 1개의 면이 비구면인 광학픽업용의 2군 렌즈를 조립하는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제1의 면과 제4의 면의 간격이 기준치로 되도록, 상기 2군 렌즈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와 등거리의 장착기준면이 배설된 렌즈 경통을 구비하고, 장착기준면과 동일 면에 상기 제1의 면 및 상기 제4의 면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6. 최소한 1개의 면이 비구면인 광학픽업용의 2군 렌즈를 조립하는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제2의 면과 제4의 면의 간격이 기준치로 되도록, 상기 2군 렌즈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과 등거리의 장착기준면이 배설된 렌즈 경통을 구비하고, 장착기준면과 동일 면상에 상기 제2의 면 및 상기 제4의 면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면은, 광학기록매체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KR10-1998-0006884A 1997-03-06 1998-03-03 광학픽업 및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KR100486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216097A JP3608333B2 (ja) 1997-03-06 1997-03-06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学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の組み立て方法
JP97-52160 1997-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820A true KR19980079820A (ko) 1998-11-25
KR100486134B1 KR100486134B1 (ko) 2005-09-02

Family

ID=1290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884A KR100486134B1 (ko) 1997-03-06 1998-03-03 광학픽업 및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55113A (ko)
EP (1) EP0863502B1 (ko)
JP (1) JP3608333B2 (ko)
KR (1) KR100486134B1 (ko)
CN (1) CN1126084C (ko)
DE (1) DE69835712T2 (ko)
ID (1) ID203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2819B1 (en) * 1999-05-11 2002-05-21 Sharp Kabushiki Kaisha Objective len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3710960B2 (ja) * 1999-06-22 2005-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記録媒体
EP1185979A1 (en) 2000-03-27 2002-03-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scanning device
CN1174397C (zh) 2000-03-27 2004-11-03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光学透镜系统及其制造方法和光学扫描器和光学播放器
JP3809047B2 (ja) * 2000-05-10 2006-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対物レンズ鏡筒駆動装置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2092926A (ja) * 2000-09-14 2002-03-29 Sony Corp 光ヘッド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CN1536563A (zh) * 2000-10-17 2004-10-13 ���µ�����ҵ��ʽ���� 透镜组、光学头和使用它们的光可记录型播放器
WO2002086876A1 (en) 2001-04-25 2002-10-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lens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lens of a synthetic material
US6873580B2 (en) 2001-05-01 2005-03-29 Dphi Acquisitions, Inc. Objective lens alignment in optical pickup unit assembly
US6567223B2 (en) * 2001-06-01 2003-05-20 Eastman Kodak Company Molded lens element having a two-dimensional reference molded therein
JP2003021770A (ja) 2001-07-09 2003-01-24 Sony Corp 対物レンズ、対物レンズの製造方法、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AU2002318113A1 (en) * 2002-05-02 2003-11-17 Dataplay, Inc. Method of assembling optical components for an optical pick up
JP2004029288A (ja) * 2002-06-25 2004-01-2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対物レンズ、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6085837A (ja) * 2004-09-16 2006-03-30 Konica Minolta Opto Inc 対物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CN103380482B (zh) * 2011-02-10 2016-05-25 信越聚合物株式会社 单结晶基板制造方法及内部改质层形成单结晶部件
IL267976B (en) * 2017-01-25 2022-08-01 Nexa3D Inc Method and device using a light source for radiation curing of liquid polymers to create three-dimensional objects
EP3794392A4 (en) 2018-05-14 2021-05-19 Sharp Kabushiki Kaisha TWO LENS OPTICAL SYSTEM, BEAM COMBINATION MODULE, PROJECTOR, AND TWO LENS OPTICAL SYSTEM ASSEMBL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1368A (en) * 1937-07-16 1939-06-06 Eastman Kodak Co Lens mount
DE3405789C2 (de) * 1983-02-19 1986-01-02 Olympus Optical Co., Ltd., Tokio/Tokyo Linsenglied
JPH01284816A (ja) * 1988-05-12 1989-11-16 Olympus Optical Co Ltd 光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
JPH05100161A (ja) * 1991-10-11 1993-04-23 Nikon Corp 光デイスク用対物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08333B2 (ja) 2005-01-12
EP0863502A3 (en) 1998-12-16
ID20342A (id) 1998-12-03
KR100486134B1 (ko) 2005-09-02
EP0863502A2 (en) 1998-09-09
DE69835712D1 (de) 2006-10-12
CN1126084C (zh) 2003-10-29
CN1203414A (zh) 1998-12-30
EP0863502B1 (en) 2006-08-30
JPH10255303A (ja) 1998-09-25
US6055113A (en) 2000-04-25
DE69835712T2 (de)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515B1 (ko) 광학픽업장치
KR100653289B1 (ko) 광학 헤드 및 기록 재생 장치
KR100486134B1 (ko) 광학픽업 및 광학픽업용 대물렌즈의 조립방법
KR100527069B1 (ko) 대물렌즈및광학픽업장치
JP3556575B2 (ja) 対物レンズ、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対物レンズの組立方法
CA2345788C (en) Objective lens inclinable to correct for a third-order coma aberration and an optical head device including the same
JPWO2002027715A1 (ja) 光ディスク用光学系、光ディスク用光ヘッド装置、及び光ドライブ装置
CN100426392C (zh) 光检拾装置
KR100765741B1 (ko) 일 매의 렌즈로 된 고개구수의 대물렌즈 및 이를 채용한광픽업장치
CN100446097C (zh) 物镜和采用该物镜的扫描设备
US6151174A (en) Device for optically scanning a record carrier
EP1400963A2 (en) Objective lens and optical pickup device
KR20010085481A (ko) 대물렌즈, 광학픽업장치 및 광디스크장치
KR20050030226A (ko) 2개의 물질로 이루어진 대물렌즈를 구비한 주사장치
JP2001155374A (ja) 記録再生用光学系及び光ヘッド装置
JP3959078B2 (ja) 光ヘッド装置及び光ヘッド装置の製造方法
JPH1164724A (ja) 光ディスク用対物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ヘッド装置
KR100248038B1 (ko) 광픽업
JP2000075107A (ja) 高開口数対物レンズ及び光ヘッド装置
JP4375107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20030081514A1 (en) Optical head and optical disk apparatus
JP2004126619A (ja) 対物レンズ、およ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EP1376186A1 (en) Objective lens for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2116378A (ja) 対物レンズ、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5342619A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