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392A -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392A
KR19980078392A KR1019970015916A KR19970015916A KR19980078392A KR 19980078392 A KR19980078392 A KR 19980078392A KR 1019970015916 A KR1019970015916 A KR 1019970015916A KR 19970015916 A KR19970015916 A KR 19970015916A KR 19980078392 A KR19980078392 A KR 19980078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ve braking
motor
controller
sig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득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1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8392A/ko
Publication of KR19980078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392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회생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1)의 답력 정도를 감지하는 답력 센서(2); 상기 답력 센서(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회생 제동 신호를 출력시키는 차량 제어기(3); 상기 차량 제어기(3)로부터 회생 제동신호를 입력받아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모터 제어기(4); 및 상기 모터 제어기(4)로부터 모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역회전되어, 바퀴(6)에 제동을 거는 모터(5)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3)에 변속 레버(7)의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8)가 연결되어, 상기 조작 스위치(8)로부터 변속단 위치가 입력되어, 상기 차량 제어기(3)에서 브레이크 페달(1)의 답력 정도와 변속단 위치에 따라 회생 제동신호를 연산하여 모터 제어기(4)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자동차의 동력원인 축전지의 전류를 전달받아 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역회전시켜 제동을 거는 회생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축전지의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차량으로서, 이 축전지의 전기가 제어장치를 통해 모터로 제공되고, 모터는 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각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를 정지, 감속하는 수단으로는, 일반 차량과 마찬가지 구조인 브레이크 장치와, 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역회전시켜 제동을 거는 회생 제동장치 2가지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회생 제동장치를 도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 페달(1)에 페달의 답력을 감지하는 답력 센서(2)가 부착되고, 답력센서(2)에 감지된 신호가 차량 제어기(3)로 전송된다. 차량 제어기(3)는 모터 제어기(4)로 입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모터 제어기(4)로 보내게 되고, 모터 제어기(4)는 모터(5)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모터(5)를 역회전시키므로써, 각 바퀴(6)에 제동을 걸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회생 제동장치는, 제동시 모터를 역회전시켜 제동을 걸게 되므로, 축전지를 재충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생 제동장치는 브레이크 페달(1)을 밟을 때만 작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 브레이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변속단이 저속에 위치하게 되면 엔진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는데, 종래의 회생 제동장치는 이에 상관없이 작동을 하게 되므로, 회생 제동이 너무 과다하게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회생 제동장치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회생 제동 작동이 연동되도록 하여, 엔진브레이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회생 제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생 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크 페달 2 : 답력 센서
3 : 차량 제어기 4 : 모터 제어기
5 : 모터 6 : 바퀴
7 : 변속 레버 8 : 조작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정도를 감지하는 답력 센서; 상기 답력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회생 제동신호를 출력시키는 차량 제어기; 상기 차량 제어기로부터 회생 제동신호를 입력받아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시키는 모터 제어기; 및 상기 모터 제어기로부터 모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역회전되어 바퀴에 제동을 거는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에 변속 레버의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연결되어,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변속단 위치가 입력되어, 상기 차량 제어기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정도와 변속단 위치에 따라 회생 제동신호를 연산하여 모터 제어기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차량 제어기에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정도와 변속 레버의 위치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어, 이에 따라 차량 제어기에서 회생 제동신호를 연산하게 되므로써, 변속단의 위치에 따라 회생 제동 장치가 작동될 수가 있게 되어, 엔진 브레이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생 제동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에 답력 센서(2)가 부착되고, 또한 조작 스위치(8)가 변속 레버(7)에 부착된다. 답력 센서(2)와 조작 스위치(8)의 신호가 차량 제어기(3)로 입력되고, 차량 제어기(3)에는 모터 제어기(4)가 연결되어 차량 제어기(3)에서 연산된 회생 제동신호가 입력된다.
모터 제어기(4)는 모터(5)로 모터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모터(5)는 이 신호에 의해 역회전되어 바퀴(6)에 제동을 걸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3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속 신호와 브레이크 페달 신호, 및 조작 스위치(8)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먼저 단계 ST1에서 가속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가속 신호가 입력되면, 단계 ST2에서 답력 센서(2)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을 밟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브레이크 페달(1)을 밟았으면, 단계 ST3에서 조작스위치(8)가 ‘온’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만일 ‘오프’이면 변속하지 않으면서 계속 주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단계 ST4와 같이 차량 제어기(3)에서 브레이크 페달(1)을 밟는 정도만을 근거로 하여 회생 제동력을 연산하게 된다.
그런다음, 단계 ST5에서 모터 제어기(4)로 연산된 회생 제동력이 입력되고, 단계 ST6에서 모터 제어기(4)에 의해 모터(5)가 역회전되어 바퀴에 제동을 걸게 된다.
또한, 단계 ST3에서 조작 스위치(8)가 ‘온’이면 브레이크 페달(1)을 밟지 않고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변속 레버(7)를 조작하여 변속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계 ST7에서 브레이크 페달(1)의 답력 정도와 변속된 변속단에 따라 차량 제어기(3)에서 회생 제동신호를 연산하게 된다. 이렇게 연산된 회생 제동신호는 상기 단계 ST5 및 단계 ST6과 마찬가지 과정을 통해서, 회생 제동을 걸게 된다.
한편, 단계 ST2에서 브레이크 페달(1)을 밟은 상태라면, 단계 ST8에서 그에 따라 조작 스위치(8)가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다시 판별한다. ‘온’이면 브레이크 페달(1)을 밟으면서 변속을 실행하는 과정, 즉 엔진 브레이크를 거는 과정이므로, 단계 ST9에서 감속되는 차속에 따라 차량 제어기(3)에서 회생 제동력을 연산하게 된다. 이렇게 연산된 회생 제동력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단계 ST5 및 단계 ST6을 거치면서 회생 제동을 걸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생 제동력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정도와 변속 레버의 속도단에 따라 연산되어, 그에 상응하는 힘으로 바퀴에 제동을 걸게 되므로써, 엔진 브레이크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엔진 브레이크의 활용도가 높아지게 되므로써, 일반 브레이크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가 있게 되어, 브레이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정도를 감지하는 답력 센서; 상기 답력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회생 제동 신호를 출력시키는 차량 제어기; 상기 차량 제어기로부터 회생 제동신호를 입력받아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모터 제어기; 및 상기 모터 제어기로부터 모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역회전되어 바퀴에 제동을 거는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에 변속 레버의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연결되어,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변속단 위치가 입력되어, 상기 차량 제어기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정도와 변속단 위치에 따라 회생 제동신호를 연산하여 모터 제어기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
KR1019970015916A 1997-04-28 1997-04-28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 KR19980078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916A KR19980078392A (ko) 1997-04-28 1997-04-28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916A KR19980078392A (ko) 1997-04-28 1997-04-28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392A true KR19980078392A (ko) 1998-11-16

Family

ID=6598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916A KR19980078392A (ko) 1997-04-28 1997-04-28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83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076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회생 제동량 가변에 따른 제동거리 단축장치 및 그 방법
KR100598805B1 (ko) * 2004-06-17 2006-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륜구동 전기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076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회생 제동량 가변에 따른 제동거리 단축장치 및 그 방법
KR100598805B1 (ko) * 2004-06-17 2006-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륜구동 전기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6039B2 (ja) 電気自動車の制動装置
KR100520565B1 (ko) 사륜 구동 전기자동차의 회생 제동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4453742B2 (ja)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方法を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1996016831A1 (fr) Commande de frein pour vehicule electrique
JP2010035376A (ja) 電動自転車
JP2004215447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H0670406A (ja) 電気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KR19980078392A (ko)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장치
JP2001218303A (ja) 電気自動車の走行制御方法及び装置
JP3114342B2 (ja) 電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2000104578A (ja) 省エネ走行可能な自動車
JP3572369B2 (ja) 電気自動車の補機駆動装置
JP2010195332A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H11168802A (ja) 制動制御装置
KR20020015472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US11815175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ic vehicle
JP2000295703A (ja) 制動エネルギ回生装置
JP2019031130A (ja) 車両制動装置および車両制動方法
JP3418700B2 (ja) 電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H0514645Y2 (ko)
KR0131686Y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크리프 제한 장치
JPH0984204A (ja) 電力回収可能なブレーキシステム
KR19990025366A (ko) 전기자동차용 회생브레이크장치
KR20080040333A (ko) 전동 지게차의 브레이크 등 자동 제어장치
JP3227864B2 (ja) 電気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