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246A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246A
KR19980078246A KR1019970015717A KR19970015717A KR19980078246A KR 19980078246 A KR19980078246 A KR 19980078246A KR 1019970015717 A KR1019970015717 A KR 1019970015717A KR 19970015717 A KR19970015717 A KR 19970015717A KR 19980078246 A KR19980078246 A KR 19980078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id polyurethane
cell
polyurethane foam
open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4595B1 (ko
Inventor
장미선
황진택
서승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595B1/ko
Priority to JP10112141A priority patent/JPH111536A/ja
Priority to US09/065,693 priority patent/US5889067A/en
Publication of KR1998007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7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and halogen atoms only
    • C08J9/148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and halogen atoms only perfluorin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2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4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 C08J9/146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only fluorine as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8≥50 and <1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5/00Oligomerisation
    • C08G2115/02Oligomerisation to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330/00Thermal insulation material
    • C08G2330/50Evacuated open-celled polyme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폴리올, 히드로카본과 히드로플루오로 알칸 및 퍼플루오로 알칸과 같이 환경에 안전한 휘발성 발포제 또는 물과 혼합된 휘발성 발포제,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촉매, 셀개방제로는 히드로카본에 잘 용해되는 지방족계 모노올, 미세한 셀을 주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제 제조에 사용하는 정포제로 구성되는 혼합물과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평균 셀크기가 95㎛ 이하이며, 이들의 적당한 용도로는 진공단열 패널의 심재로서 사용할 수 있어 0.1∼0.01 torr하에서 진공포장이 가능하며, 열전도도는 0.0045∼0.0050 kcal/mhr℃ 사이이다.

Description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포체에 의해 제조되는 가정 및 산업용 냉장고, 조립냉장실 및 그 유사체에 사용되는 단열재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발포체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장고 업계에서는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CFC의 사용금지와, 에너지 절감이라는 두 가지 문제에 당면하고 있다. 유럽에 경우에는 전자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발포제인 시클로펜탄을 사용하고 있으나, 단열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미국의 경우에는 히드로플루오로카본을 대체 발포제로 2000년경에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는 형편이며, 일본은 후자와 관련하여 샤프사, 샨요사 및 마쓰시다사에서 각각 냉장고의 진공단열재를 적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공단열재는 충진된 심재에 따라 실리카 충진형,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충진형, 유리솜 충진형으로 구분된다. 실리카 충진형은 제조시 발생되는 분진문제와 무게가 무겁다는 문제때문에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유리솜 충진형은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는데 반하여,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충진형은 실리카 충진형에 비하여 무게가 1/3수준이며, 대량생산이 용이하기 때문에 이를 적용하려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형편이다.
이와 같이 냉장고 단열재의 열절연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감소된 내부압력을 갖는 진공단열재는 일본공개특허 64-4112에 공개된 바와 같이,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의 진공용기에 동봉된 심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단열 판넬은 100%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심재로 하고 외부에 고진공용 필름을 입히고, 내부를 0.05 torr까지 감압시켜 열전도율이 기존의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열전도율 약 0.015 kcal/mhr℃보다 월등히 향상된 진공단열재(열전도율 약 0.0065 kcal/mhr℃)가 개발되어 있다.
일본 마쓰시다사에서 출원한 미국공개특허 5,350,777에서는 종래 100%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포제인 CFCs에 환경보호문제를 감안하여 대체 발포제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대체 발포제로서 HCFCs, 히드로카본, 퍼플루오로알칸 등이 제시되었는데, 실제 셀개방제로 사용되는 포화모노카르본산 2가 금속염은 CFCs 또는 HCFCs에는 잘 녹기 때문에 셀개방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펜탄과 시클로펜탄과 같은 히드로카본과 퍼플로오로카본에는 녹지 않기 때문에 셀 크기가 작은 셀을 가지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에 친화적인 발포제인 펜탄과, 시클로펜탄과 같은 히드로카본 및 셀크기를 줄여주는 핵제인 퍼플루오로 알칸과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정포제를 같이 사용하고, 이에 잘 용해되는 셀개방제 및 셀개방용 정포제를 사용하여 셀크기가 작고, 환경에 친화적인 100%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지방족계 모노올과 반응하여 생성된 프레폴리머, 폴리올, 촉매, 발포제를 그 원료물질로 사용하고, 또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3.0 중량부의 고탄성용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셀개방용 실리콘 정포제와,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5.0 중량부의 지방족계 모노올을 셀개방제와 함께 사용하여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셀의 개방을 조절하고,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하는 정포제를 사용하여 셀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인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심재로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은 발포체의 제조시 셀의 크기가 작고, 셀창들은 발포과정 중에서 쉽게 파괴되며, 생성된 발포체는 개방셀 함량 100%를 가지게 된다. 이 심재에 고진공용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감싸고, 내부의 진공을 0.05 torr까지 감압시키고, 열융착을 하여 진공단열 판넬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폐쇄셀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발포체의 셀벽 내부에 함유된 가스들이 서서히 방출되며, 열융착된 틈과 필름을 통하여 미량의 가스가 투과되어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진공단열재의 단열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와 같은 내부압력 상승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를 흡착하여 내부의 진공상태를 장기간(10년 이상) 유지시켜 주는 무기물로 구성된 가스 흡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올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글리셀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폴리올로서, 수산기값 200∼350 mg KOH/g을 갖는 폴리올 80중량%,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올 조성, 프레폴리머, 촉매, 발포제, 정포제, 셀개방제 등을 사용하여 셀크기가 작고, 100% 개방셀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심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절연특성이 우수한 절연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있어서 셀크기가 작으면서 100% 개방셀을 얻기 위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시 사용하는 정포제와, 고탄성용 연질 및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정포제로서 셀개방성이 매우 뛰어난 정포제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의 예를 들면, 골드쉬미트사의 B-8460, 8462, 8566 등이 셀크기면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정포제는 각각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0.1∼5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5∼2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경제성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셀개방제로는 히드로카본에 잘 용해되며, 발포체 제조시 조성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지방족계 모노올로서, 탄소수가 2∼8개 사이인 1가 알코올을 주로 사용하였다. 모노올은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0.1∼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1-부탄올, 1-펜탄올, 1-헥산올 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지방족계 모노올과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프레폴리머를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모노올로서는 탄소수가 8개 이하인 지방족계 모노올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모노알킬 에테르가 사용되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이 500 이하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였으며, 알킬기는 메틸 또는 에틸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프레폴리머의 NCo%는 25∼28% 사이로 조절하였고, 프레폴리머의 사용량은 물을 포함한 폴리올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Index)를 130∼300 정도를 사용하였다. 더욱 바람직하기는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를 170∼230으로 하는 것이 셀크기의 측면에서 작은 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개방화시킴으로써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디이소시아네이트 3량화 반응을 통하여 해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촉매의 예로는 유기카르본산의 금속염, 3급 아민화합물과 4급 암모늄염 등이 있는 바, 예를 들면, DABCO K-15, DABCO TMR-30, POLYCAT-46(제품의 상표명은 Air Product Co.)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촉매는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0.5∼5 중량부가 사용된다. 이러한 촉매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아민계 촉매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1종 내지 그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CFC와 HCFC의 휘발성 대체 발포제로서는 환경에 해가 없는 히드로카본과, 히드로플루오로카본 및 퍼플루오로알칸을 사용하였다. 이때, 히드로카본은 시크로펜탄, 펜탄과 탄소수가 2∼4 사이인 알칸을 사용하였고, 탄소 2∼4개인 히드로플루오로카본을 사용하였으며, 퍼플루오로알칸은 플로린을 1개 이상 함유하는 탄소수 4∼6개인 알칸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화학적 발포제인 소량의 물은 상기 휘발성 발포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발포제는 히드로카본과 히드로플루오로카본 및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발포제의 양은 휘발성 발포제가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5∼20 중량부를 사용하고, 물은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0.5∼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발성 발포제로 사용되는 퍼플루오로알칸은 가격이 비싸지만, 셀을 미세하게 해주는 핵제로 작용하기 때문에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1∼10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퍼플루오로알칸의 양을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셀크기와 경제성의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구성 원료중에서 프레폴리머를 제외한 원료를 미리 혼합한 후 고압발포기를 사용하면 셀 크기가 작고, 균일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프레폴리머, 폴리올, 촉매, 발포제를 원료물질로 사용하고, 또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의 고탄성용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셀개방용 실리콘 정포제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정포제 및 셀개방제인 지방족계 모노올을 함께 사용하여 제조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폴리우레탄 발포시 세포창이 쉽게 파괴되어 개방율이 100%이고, 셀골격의 고체 열전도율이 낮은 발포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발포체를 심재로 하여 가스흡착제를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용기에 삽입하고, 진공배기시켜서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켜주는 경우에 산업공정상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약 0.1∼0.01 torr 압력에서도 우수한 열절연 특성을 나타내는 단열재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본 발명을 이해를 명확히 하고자 하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 실시예 1∼6에서 사용한 물질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촉매실리콘 정포제 A실리콘 정포제 B실리콘 정포제 C실리콘 정포제 D발포제 A발포제 B핵제셀개방제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글리세린에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물, 수산기가 300mg KOH/g(미원유화)Polycat 46(Air Products Co.)B-8629(TG. Gold-Schimidt Co.)B-8960(TG. Gold-Schimidt Co.)B-8961(TG. Gold-Schimidt Co.)B-8462(TG. Gold-Schimidt Co.)물시클로펜탄퍼플루오로헥산(3M)1-부탄올P-MDI와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의프레폴리머, NCO% 25%
P-MDI :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난 원료는 20℃에서 고압발포기를 이용하여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나무 몰드(250×250×250mm)에서 제조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에 발포체를 자르고, 셀크기를 SEM(Scanning electromicrophotograph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점도는 25℃에서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잘라낸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150℃의 열풍건조기에서 10분간 건조하여 수분과 휘발성이 있는 미반응물을 제거하고난 후에 발포체와 가스 흡착제를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100㎛ 두께의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에 넣고, 0.05 torr의 진공을 걸고 봉하면 진공단열재가 얻어진다. 진공단열재의 열전도도의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 formulation과 물성 및 진공단열 판넬의 물성
실시예 번호조성 및 물성 실 시 예
1 2 3 4 5 6
Formulation 폴리에테르 폴리올촉매실리콘 정포제 A실리콘 정포제 B실리콘 정포제 C실리콘 정포제 D발포제 A발포제 B핵제셀개방제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0.91.4--1.01.56.04.02.0200.0 1000.9-1.4-1.01.56.04.02.0200.0 1000.9--1.41.01.56.04.02.0200.0 1000.91.4--1.01.56.04.02.0200.0 1000.9-1.4-1.01.56.04.02.0200.0 1000.9--1.41.01.56.04.02.0200.0
이소시아네이트인덱스 170 170 170 210 210 210
발포체의물성 밀도(kg/m3)셀 크기(㎛ )개방셀율(%) 5390100 5392100 5395100 5593100 5592100 5590100
진공단열재단열성능 초기 열전도도(10-4kcal/mhr℃)30일후 열전도도 4545 4747 5050 4848 4747 4646
비교예 1∼3에서 사용한 물질은 아래와 같으며, 비교예에서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하는 정포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발포제로는 스테아린산 칼슘을 사용하여 100%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진공단열재의 열전도도의 측정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촉매실리콘 정포제 A실리콘 정포제 B실리콘 정포제 C발포제 A발포제 B핵제셀개방제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글리세린에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물, 수산기가 300 mg KOH/g (미원유화)Polycat 46 (Air Products Co.)B-8629(Gold-Schimidt Co.)B-8960(Gold-Schimidt Co.)B-8961(Gold-Schimidt Co.)물HCFC- 141b퍼플루오로헥산(3M)스테아린산 칼륨(삼전화학)P-MDI와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의 프레폴리머, NCO% 25%
P-MDI :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표2.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 formulation과 물성 및 진공단열 판넬의 물성
비교예 번호조성 및 물성 비 교 예
1 2 3
Formulation 폴리에테르 폴리올촉매실리콘 정포제 A실리콘 정포제 B실리콘 정포제 C발포제 A발포제 B핵제셀개방제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0.91.0-1.01.59.04.01.0200.0 1000.9-1.0-1.59.04.01.0200.0 1000.9--1.01.59.04.01.0200.0
이소시아네이트인덱스 170 170 170
발포체의물성 밀도(kg/m3)셀 크기(㎛ )개방셀율(%) 55150100 56145100 55155100
진공단열재단열성능 초기 열전도도(10-4kcal/mhr℃)30일후 열전도도 6570 6065 707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폐쇄셀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발포체 셀벽 내부에 함유된 가스들이 서서히 방출되며, 열융착된 틈과 필름을 통하여 미량의 가스가 투과되어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진공단열재의 단열성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내부 압력 상승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를 흡착하여 내부의 진공상태를 장기간(10년 이상) 유지시켜 주는 무기물로 구성된 가스 흡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초기의 열절연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폴리올, 휘발성 발포제, 셀개방제, 셀개방용 정포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로 구성되는 혼합물과,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발포제는 히드로카본과 히드로플루오로카본이 5∼20 중량부, 물 0.5∼5 중량부, 퍼플루오로1∼4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3.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폴리올, 휘발성 발포제, 물, 촉매, 셀개방제, 셀개방용 정포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촉매를 사용하여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올은 글리세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올은 기능기가 3개이며, 수산기값은 200에서 350mg KOH/g을 갖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6. 제3항에 있어서,
    발포제는 탄소 2개 내지 4개의 히드로플루오로카본, 탄소 4개 내지 6개의 퍼플루오로알칸, 펜탄과 시클로펜탄으로부터 적어도 1개 이상 선택되어지며, 또는 물과 혼합된 발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7. 제6항에 있어서,
    히드로플루오로카본은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2,2,3-펜타플루오로프로판, 1,1,1,2,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또는, 1,1,1,4,4,4-헥사플루오로부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8. 제6항에 있어서,
    퍼플루오로알칸은 퍼플루오로펜탄 또는 퍼플루오로헥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9. 제3항에 있어서,
    휘발성 발포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5∼20 중량부, 물은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0.5∼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0. 제3항에 있어서,
    촉매는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촉매로서, 예로는 유기카르본산의 금속염 또는 3급 아민화합물과 4급 암모늄염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촉매는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0.5∼5 중량부이고, 폴리우레탄 촉매와 함께 사용되며, 1종 내지 그 이상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2. 제3항에 있어서,
    셀개방제로는 히드로카본에 잘 용해되는 지방족계 모노올로서, 탄소수가 2개 내지 8개 사이인 1가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셀개방제의 사용량은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0.5∼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4. 제3항에 있어서,
    셀개방용 정포제는 고탄성용 연질 및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시 사용되는 정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셀개방용 정포제의 사용량은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0.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6. 제3항에 있어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의 사용량은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0.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7. 제3항에 있어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지방족계 모노올과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프레폴리머 단독 또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프레폴리머가 혼합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량은 물을 포함한 폴리올 혼합물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의 인덱스를 130∼300 정도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9.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폴리올, 휘발성 발포제, 물, 셀개방제, 셀개방용 정포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로 구성되는 혼합물를 촉매를 사용하여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가스 흡착제를 고진공이 가능한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감싸고 진공을 걸어주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 판넬 제조방법.
KR1019970015717A 1997-04-26 1997-04-26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 KR10022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717A KR100224595B1 (ko) 1997-04-26 1997-04-26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
JP10112141A JPH111536A (ja) 1997-04-26 1998-04-22 開放セル硬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US09/065,693 US5889067A (en) 1997-04-26 1998-04-24 Open cell rigid polyurethan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vacuum insulation panel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717A KR100224595B1 (ko) 1997-04-26 1997-04-26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246A true KR19980078246A (ko) 1998-11-16
KR100224595B1 KR100224595B1 (ko) 1999-10-15

Family

ID=1950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717A KR100224595B1 (ko) 1997-04-26 1997-04-26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89067A (ko)
JP (1) JPH111536A (ko)
KR (1) KR1002245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300B1 (ko) * 2002-10-14 2005-05-11 김재성 가상 세트용 건축 재료로서 반경질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09851B1 (ko) * 2000-02-09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0639898B1 (ko) * 1999-08-09 2006-10-31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0795768B1 (ko) * 2005-09-13 2008-01-21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발포성 코팅을 이용한 내화성 절연 건축용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4278B2 (en) 1996-11-25 2004-03-30 Nikon Corporation Exposure apparatus
US6090861A (en) * 1998-12-28 2000-07-18 General Ideas, Inc. Process for high temperature production of organic aerogels
US7619014B2 (en) 2002-05-23 2009-11-17 Bayer Materialscience Llc Rigid polyurethane foams for insul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20040154718A1 (en) * 2003-02-06 2004-08-12 Doesburg Van I. Polyurethane filled tire and method of making same
EP2072548B1 (de) * 2007-12-19 2017-02-22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rethangruppen und Isocyanuratgruppen enthaltenden Hartschaumstoffen
MX347427B (es) * 2011-06-21 2017-04-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spuma en polimero a base de isocianato con propiedades de aislamiento termico mejoradas.
JP5922771B2 (ja) * 2011-07-26 2016-05-2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断熱特性を改良したイソシアネート系ポリマーフォーム複合材
KR20140102821A (ko) * 2013-02-15 2014-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응성 기포개방제 조성물, 폴리올 조성물 및 개방기포형 폴리우레탄폼
KR101360352B1 (ko) * 2013-05-03 2014-02-07 전영식 바닥충격음 차음 및 온도둔감형 폴리우레탄
EP2886591A1 (de) * 2013-12-19 2015-06-24 Evonik Industries AG Zusammensetzung, geeignet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äumen, enthaltend mindestens ein Nukleierungsmittel
EP3176206A1 (de) * 2015-12-01 2017-06-07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feinzelliger schaumstoffe unter verwendung eines zellalterungshemmers
EP3372625A1 (de) 2017-03-07 2018-09-12 Covestro Deutschland AG Polyurethanschau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11713572B2 (en) 2017-05-19 2023-08-01 Hilti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assembling a unitized panel for use within an exterior dynamic curtain wall assembly
MX2020005325A (es) * 2017-11-28 2020-08-1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anel de aislamiento a base de poliuretano.
EP3720892B1 (de) 2017-12-05 2022-01-1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rethangruppen und isocyanuratgruppen enthaltenden offenzelligen hartschaumstoffen
EP3560970A1 (de) 2018-04-25 2019-10-30 Covestro Deutschland AG Offenzelliger polyurethanhartschaum und dessen verwendung
GB2593834B (en) 2018-11-06 2022-11-02 Escateq B V A cleaning system for cleaning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NL2021944B1 (en) 2018-11-06 2020-05-15 Escateq B V A cleaning pad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US11319138B2 (en) * 2018-11-20 2022-05-03 Simple Container Solutions, Inc. Pop-up li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0504A1 (de) * 1986-06-19 1987-12-23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harnstoff)-schaumstoffen und entsprechende, amin-modifizierte schaumstoffe
US4950694A (en) * 1989-06-29 1990-08-21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Preparation of polyurethane foams without using inert blowing agents
TW256842B (ko) * 1991-12-17 1995-09-11 Takeda Pharm Industry Co Ltd
TW293022B (ko) * 1992-07-27 1996-12-11 Takeda Pharm Industry Co Ltd
KR100335874B1 (ko) * 1993-07-19 2002-11-20 미츠이 다께다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단열재및그것의제조방법
US5690855A (en) * 1994-01-11 1997-11-25 Sealed Air Corporation Polyol blend, cellular polyurethane foam product made therefrom, and halogenated hydrocarbon-free process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898B1 (ko) * 1999-08-09 2006-10-31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0609851B1 (ko) * 2000-02-09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0488300B1 (ko) * 2002-10-14 2005-05-11 김재성 가상 세트용 건축 재료로서 반경질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95768B1 (ko) * 2005-09-13 2008-01-21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발포성 코팅을 이용한 내화성 절연 건축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89067A (en) 1999-03-30
JPH111536A (ja) 1999-01-06
KR100224595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4595B1 (ko)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진공단열 판넬의 제조방법
AU710910B2 (en) Thermal insulating device
US4997706A (en) Foaming system for closed-cell rigid polymer foam
US5350777A (en) Production and use of open cell rigid polyurethane foam
US5169873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oams with the aid of blowing agents containing fluoroalkanes and fluorinated ethers, and foams obtained by this process
US5690855A (en) Polyol blend, cellular polyurethane foam product made therefrom, and halogenated hydrocarbon-free process therefor
EP0695322B1 (en) Process for preparing rigid polyurethane foams
AU722500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igid polyurethane foams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JP2002510723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製造方法
AU652034B2 (en) Manufacture of rigid foams and compositions therefor
WO1993025598A1 (en) A foam stabilizing additive and polyurethane foam prepared in the presence thereof
CA2166071A1 (en) Rigid polyurethane foams
US5238970A (en) Manufacture of rigid foams and compositions therefor
JP2851689B2 (ja) 低密度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EP0742237B1 (en) Foamed thermal insulating material and insulated structure
KR100982430B1 (ko) 경질 폴리우레탄폼용 포리올 조성물 및 경질폴리우레탄폼의 제조 방법
KR0185151B1 (ko)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진공단열 판넬
US6355700B1 (en) Foamed thermal insulating material and insulated structure
JP3587563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H05339336A (ja) 硬質発泡合成樹脂の製造方法
KR19990039000A (ko)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US5356556A (en) Manufacture of rigid foams and compositions therefor
US20010014703A1 (en) Process for rigid polyurethane foams
JP3506515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5391584A (en) Manufacture of rigid foams and composition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