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6671A - 록커아암 - Google Patents

록커아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6671A
KR19980076671A KR1019970013479A KR19970013479A KR19980076671A KR 19980076671 A KR19980076671 A KR 19980076671A KR 1019970013479 A KR1019970013479 A KR 1019970013479A KR 19970013479 A KR19970013479 A KR 19970013479A KR 19980076671 A KR19980076671 A KR 19980076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arm
valve
cam
head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교
Original Assignee
홍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교 filed Critical 홍순교
Priority to KR101997001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6671A/ko
Publication of KR1998007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671A/ko

Links

Landscapes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록커아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 배기 밸브의 닫힘장치에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캠축에 밸브의 닫힘 캠을 추가하여 밸브를 강제로 여닫는 록커아암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소음은 엔진의 헤드에 있는 밸브의 헤드와 록커아암의 충돌에서 일어나며 스프링의 떨림에서 생기는 것이 대부분이다. 밸브의 스프링이 탄력이나 장력이 약할 경우 록커아암과 밸브헤드 사이에 유격이 큰 관계로 소음이 클 수 밖에 없고 다른 밸브와 바란스가 맞지 않으면 정상적인 엔진행정이 될 수 없으므로 엔진의 힘이 저하되어 연료의 소모가 많아지고 밸브의 부러지는 현상까지 오게 되어 자동차의 큰 고장에 이르게 된다. 캠축에 닫힘 캠을 부설하고 록커아암에 오픈 록커아암과 일체로 팔 없는 록커아암을 구성하여 캠축의 클로즈 캠이 팔 없는 록커아암을 구동하여 팔 없는 록커아암과 일체로 있는 팔 있는 록커아암에 연동되어 그 팔 있는 록커아암이 밸브를 닫는 것이다. 따라서 록커아암이 두가지 동작으로 밸브를 작동시키는 본 발명은 매우 유용하다 할 것이다.

Description

록커아암
본 발명은 자동차엔진의 헤드에 부설된 록커아암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연기관의 헤드에 부설된 밸브에 있어, 클로징밸브의 동력이 스프링에서 오는 것을 록커아암에 다른 구성을 추가하여 클로징밸브가 록커아암에 의해 작동토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헤드에 있는 밸브에서 밸브의 기능은 흡, 배출가스의 흡입 및 배출을 조정하는 것이다. 기존의 밸브는 엔진의 실린더 밖으로 노출된 밸브의 다리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그 밸브를 클로징하고 지지하며 엔진 운전시 록커아암의 밸브의 머리를 압박하여 밸브를 오픈 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밸브는 소음이 많다는 점과 여러개의 스프링에 똑같은 장력을 기대하기 여려운 점과 밸브의 왕복운동의 정확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점과 고속엔진이 필요한 현실에서 엔진이 고속일 때 밸브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여 밸브의 왕복운동이 원활하지 못하다. 그 방법으로는 이중 스프링을 이용하나 발브의 탄력이 강해지므로 엔진의 힘이 소모되는 문제점들이 항용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므로, 조립의 간편함과 부속의 간소함은 물론 엔진의 소음을 줄이는 밸브의 흡, 배기장치를 강제로 구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연기관의 헤드에 있는 흡, 배기 장치에서 록커아암의 축에 또 하나의 록커아암을 직렬로 부착 고정하고 록커아암의 일 측에 밸브의 머리부분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며, 상기 밸브의 볼트와 너트가 결합되는 록커아암부분에서 너트부분은 볼록하며 록커아암부분은 오목함이 바람직하다. 크랭크축의 720° 회전과 캠축의 720°회전에 흡, 배기가 이루어지므로 흡, 배기를 캠축에 있는 두개의 캠이 각기 360°회전에 의하여 록커아암의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며 밸브의 강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발명의 축에서 본 위치도
도 2는 본 발명을 발명의 위에서 본 위치도
도 3은 기존의 록커아암 설치도
도 4는 오프닝 록커아암
도 5는 클로징 록커아암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록커아암축2 : 오픈 록커아암
3 : 클로즈 록커아암4 : 오픈캠
5 : 클로즈캠6 : 밸브
7 : 스프링8 : 캠축
9 : 오목부10 : 록커아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캠축(8)으로부터 회동되는 도 5와 같은 클로즈 록커아암(3)은 록커아암축(1)에 힌지되면서 그 록커아암축(1)에 힌지된 오픈 록커아암(2)에 또하나의 도 5와 같은 클로즈 록커아암(3)을 록커아암축(1)에 힌지케하고 부착 고정하며, 상기 오픈 록커아암(2)과 클로즈 록커아암(3)은 그 어느 것이 캠에 의하여 회동되더라도 회동될 때마다 2개가 같이 회동한다.
록커아암(2, 3)의 어느 한쪽이 결합해야 할 밸브는 하나이므로 밸브에 결합 할 록커아암(10)은 하나로 한정하고 기존의 캠이 360°회전하여 밸브의 하나의 오픈동작이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서는 2번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밸브(6)의 흡, 배기가 두개의 록커아암(2, 3)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캠축(8)에 밸브의 오픈캠(4)과 클로즈캠(5)을 직렬로 부착 고정하고 상기 오픈캠(4)과 클로즈캠(5)에 맞도록 록커아암축(1)에 오픈 록커아암(2)과 클로즈 록커아암(3)을 구성하여 그 각캠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하고 밸브(6)는 하나이므로 캠축(8)의 캠에 구동되는 록커아암(2, 3)은 2개이나 밸브(8)와 체결되는 록커아암(10)은 하나로서 밸브(6)머리의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 오픈캠(4)에 회동되는 록커아암(10)의 직선운동에 밸브(6)는 실린더내로 후퇴하고, 클로즈캠(5)에 회동되는 록커아암(10)의 상하운동에 상기 밸브(6)는 실린더 바깥 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록커아암(10)의 운동은 밸브(6)가 스프링에 지지되지 않고 록커아암(10)에 결합되어 흡, 배기의 강제작동이 가능하므로 록커아암(10)과 밸브(6)의 부딪히는 소음과 스프링의 마찰음과 엔진의 힘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없앨 수 있다.
상기 밸브(6)의 볼트부위와 너트에 결합되는 록커아암(10)이 도 1과 같이 U자 부분이 결합되므로 록커아암(10)의 상하회동시 너트와 록커아암(10)사이에 사각이 발생 사각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어 밸브의 떨림현상이 발생하므로 너트와 록커아암(10)의 결합부위에서 너트부위는 볼록하고 록커아암(10)부위는 오목한 오목부(9)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록커아암(10)은 엔진의 소음을 최소화하고 부속의 수를 단 몇 개라도 줄일 수 있으며 밸브(6)에 스프링이 없이 록커아암(10)에 직접 체결되어 있으므로 캠축(8)에 연동된 크랭크축의 부하(負荷)가 적어지고 밸브(6)의 흡. 배기시간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매연이 적어지며, 또한 연료의 소모가 적어지고 엔진의 회전수를 높일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이다.

Claims (1)

  1. 캠축(8)의 캠에 회동되고 흡, 배기밸브(6)에 결합되며 록커아암축(1)에 힌지 고정되어 캠축(8)과 직각방향으로 캠과 연동되도록 오픈 록커아암(2)과 클로즈 록커아암(3)이 2개로 형성되어 있고 록커아암축(1)을 중심으로 상기 록커아암(2, 3)과 반대 일측에 록커아암(10)이 하나로 형성되어 흡, 배기머리부분과 힌지 결합되며 그 결합부위가 오목한 오목부(9)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록커아암(ROCKERARM).
KR1019970013479A 1997-04-11 1997-04-11 록커아암 KR19980076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479A KR19980076671A (ko) 1997-04-11 1997-04-11 록커아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479A KR19980076671A (ko) 1997-04-11 1997-04-11 록커아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671A true KR19980076671A (ko) 1998-11-16

Family

ID=6595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479A KR19980076671A (ko) 1997-04-11 1997-04-11 록커아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66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3736C (en) Overhead ring cam engine with angled split housing
US4401064A (en) Rocker arm fitting structure
KR930019977A (ko) 내연기관의 밸브구동장치
KR19980076671A (ko) 록커아암
US4475496A (en) Valve mechanism
JPH024764B2 (ko)
KR19980076672A (ko)
KR0135489Y1 (ko) 내연기관의 밸브 개폐 구조
KR0164034B1 (ko) 밸브 구동 기구
JPS61279710A (ja) 内燃機関
KR100250828B1 (ko) 엔진의 밸브 개폐구조
KR200160614Y1 (ko) 자동차용 엔진
KR0131535Y1 (ko) 로커암 스프링
KR19980045826A (ko) 오버헤드 캠 샤프트식 로커아암
KR200161578Y1 (ko) 자동차용 밸브기구
KR19980051530U (ko) 자동차용 기관의 밸브 개폐 기구
KR200191589Y1 (ko) 록커아암
JPH08177437A (ja) エンジンにおけるデコンプ装置
KR100333856B1 (ko) 더블 오버헤드 캠축식 엔진의 캠축 고정용 지그
KR200160090Y1 (ko) 밸브와 로커암의 접촉 간격을 없애는 엔진 밸브기구
KR0122753Y1 (ko) 내연기관의 피스톤
KR19990031464U (ko) 왕복동식 내연기관의 밸브기구
KR19980022121U (ko) Dohc엔진의 밸브 구조
KR100534842B1 (ko) 엔진의 가변 밸브 리프트 조절장치
KR100245495B1 (ko) 디젤엔진용 다밸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