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212A -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212A
KR19980073212A KR1019970008368A KR19970008368A KR19980073212A KR 19980073212 A KR19980073212 A KR 19980073212A KR 1019970008368 A KR1019970008368 A KR 1019970008368A KR 19970008368 A KR19970008368 A KR 19970008368A KR 19980073212 A KR19980073212 A KR 19980073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support
strut mounting
absorbing material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택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0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3212A/ko
Publication of KR19980073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212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에 관한 것으로, 코일스프링(10)과 댐퍼(20)를 보디에 지지하고 바퀴에서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면 완충역할을 담당하는 스트럿마운팅(30)에 있어서, 코일스프링(10)이 최대로 신장됐을 때 현가작용을 규제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지지축(70)에 축지되며 강성체로 형성된 완충재(40)와; 상기 완충재(40)의 저부에 형성되어 완충재(40)를 지지하는 지지체(50)와; 상기 지지체(50)의 저면에서 완충재(40)와 지지체(50)가 충격을 원할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60)과; 상기 지지판(60)저부에 형성되어 비교적 작은 충격시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연질의 부재로 형성된 스트럿마운팅고무(80)로 구성되어 스트럿마운팅(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40)가 지지축(70)에 축지되고 상기 지지체(50)와 지지판(60)도 상기 완충재(40)의 저부에 위치하므로 비교적 큰 충격에도 상기 완충재(40)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0)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트럿마운팅고무(80)는 상기 완충재(40)가 큰 충격을 흡수하므로 비교적 작은충격은 자체적인 압축으로 완충시키면 되므로 고무의 재질을 연성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코일스프링과 쇽업소버를 보디에 지지하고 휠에서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면 완충역할을하는 완충재의 재질을 주물로 형성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위한 수단인 현가장치의 구조는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소버, 바퀴의 작동을 제어하는 암이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또, 크게 분류하면 좌우의 바퀴를 차축으로 연결한 리지드액슬 서스펜션과 좌우바퀴가 각각 작동하는 독립 서스펜션이 있다.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에는 평행 리프 스프링식, 드디옹식, 링크식, 토크튜브 드라이브식등이 있고, 독립 서스펜션에서는 스윙암식, 더블 위시본식, 맥퍼슨 스트럿식등이 있다. 특수한 서스펜션으로는 유체에 의하여 힘을 전달하는 공기 스프링식이나 유체 스프링식도 있다.
그리고, 쇽업소버는 차체의 상하진동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자동차의 진동을 억제하고 승차감을 향상, 화물적재의 보호, 차체각부의 동적응력 저감에 따른 수명의 증가를 꾀함과 동시에 스프링하의 운동을 억제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확보하고 또 관성력에 의한 자세변화를 억제하여 차량의 운동 능력 향상을 꾀하는 것이며 이 진동력을 통상 감쇠력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감쇠력의 발생기구로서는 고체마찰을 이용하는 방법과 유체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자동차의 서스펜션으로 사용되는 쇽업소버는 경량, 소형으로 비교적 큰 흡수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작동속도에 대한 감쇠력특성을 상당히 임의로 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에서 유체(오일)의 유동 점성 저항을 이용한 기구가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쇽업소버는 감쇠력 발생구조의 간이함, 가격의 저겸에서 거의가 작동유체로서 오일을 내장한 통형구조의 오일댐퍼이며 대별하면 단순히 감쇠력을 발생하는 통형 쇽업소버와 차의 강도부재로서의 임무를 겸해서 갖춘 서스펜션 스트러트로 나뉘어진다.
서스펜션 스트러트는 통형 쇽업소버를 서스펜션의 하나인 링크멤버로서 이용한 것이며 강도부재임과 함께 쇽업소버의 기능도 겸한 부품이다. 프런트 서스펜션의 경우에는 킹핀의 역할도 한다.
통형 쇽업소버가 감쇠력발생 기구별로 트윈튜브식 쇽업소버 모노튜브식 쇽업소버, 트윈튜브식 가스들이 쇽업소버의 3종류로 분류될 수 있음과 마찬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스트럿과 차체를 연결시켜주는 부품인 스트럿마운트의 구조는 바퀴가 반동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거리의 제약을 댐퍼에서 행할 때 이 부품이 충격을 견디어 내야하므로 상, 하가 연결된 고무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부재는 바퀴에서 전달되는 강한 충격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고무부재의 경도를 높게 책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은 바퀴가 반동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거리의 제약을 댐퍼에서 행할때 이 충격을 견디어 내야하므로 상, 하가 연결된 고무부재의 경도를 높게 책정하여 승차감의 저하를 가져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일스프링과 쇽업소버를 보디에 지지하고 휠에서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면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재의 재질을 주물로서 형성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스프링20 - 댐퍼
30 - 스트럿마운팅40 - 완충재
50 - 지지체60 - 지지판
70 - 지지축80 - 스트럿마운팅고무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스프링(10)과 댐퍼(20)를 보디에 지지하고 바퀴에서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면 완충역할을 담당하는 스트럿마운팅(30)에 있어서, 코일스프링(10)이 최대로 신장됐을 때 현가작용을 규제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지지축(70)에 축지되며 강성체로 형성된 완충재(40)와;
상기 완충재(40)의 저부에 형성되어 완충재(40)를 지지하는 지지체(50)와; 상기 지지체(50)의 저면에서 완충재(40)와 지지체(50)가 충격을 원할히 흡수할 수 있도록하는 지지판(60)과;
상기 지지판(60)저부에 형성되어 비교적 작은 충격시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연질의 부재로 형성된 스트럿마운팅고무(8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상품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의 구조를 정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의 구조를 정다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노면의 돌출물등에 의한 충격이 바퀴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스트럿마운팅(30)의 상부에 완충재(40)가 지지축(70)에 축지되어 있다.
상기 완충재(40)는 바퀴의 충격이 클 때 즉, 코일스프링(10)이 최대로 신장했을때 현가작용을 규제하여 충격을 적게차체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강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완충재(40)의 재질은 큰 충격에도 강도확보를 하기 위하여 주므로서 형성한다.
그리고 완충재(40)의 저부에는 상기 완충재(40)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비교적 얇은 지지체(50)가 지지축(70)에 축지되어 지지판(60)과 밀착고정된다.
상기 지지체(50)의 재질은 완충재(40)와 지지판(60)사이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체(50)의 저면에는 완충재(40)와 지지체(50)를 밀착시키며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60)이 상기 지지축(70)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0)의 저면에는 지지축(70)에 축지되어 비교적 작은 충격에도 자체적인 압축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질의부재로 형성된 스트럿마운팅고무(80)가 위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트럿마운팅(30)의 상무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40)가 지지축(70)에 축지되고 상기 지지체(50)와 지지판(60)도 상기 완충재(40)의 저부에 위치하므로 비교적 큰 충격에도 상기 완충재(40)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0)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트럿마운팅고무(80)는 상기 완충재(40)가 큰 충격을 흡수하므로 비교적 작은충격은 자체적인압축으로 완충시키면 되므로 고무의 재질을 연성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스트럿마운팅(30)의 상무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40)가 지지축(70)에 축지되고 상기 지지체(50)와 지지판(60)도 상기 완충재(40)의 저부에 위치하므로 비교적 큰 충격에도 상기 완충재(40)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0)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트럿마운팅고무(80)는 상기 완충재(40)가 큰 충격을 흡수하므로 비교적 작은충격은 자체적인 압축으로 완충시키면 되므로 고무의 재질을 연성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코일스프링(10)과 댐퍼(20)를 보디에 지지하고 바퀴에서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면 완충역할을 담당하는 스트럿마운팅(30)에 있어서,
    코일스프링(10)이 최대로 신장됐을때 현가작용을 규제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지지축(70)에 축지되며 강성체로 형성된 완충재(40)와;
    상기 완충재(40)의 저부에 형성되어 완충재(40)를 지지하는 지지체(50)와; 상기 지지체(50)의 저면에서 완충재(40)와 지지체(50)가 충격을 원할히 흡수할 수 있도록하는 지지판(60)과;
    상기 지지판(60)저부에 형성되어 비교적 작은 충격시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연질의 부재로 형성된 스트럿마운팅고무(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
KR1019970008368A 1997-03-12 1997-03-12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 KR19980073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368A KR19980073212A (ko) 1997-03-12 1997-03-12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368A KR19980073212A (ko) 1997-03-12 1997-03-12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212A true KR19980073212A (ko) 1998-11-05

Family

ID=6598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368A KR19980073212A (ko) 1997-03-12 1997-03-12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32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8364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7357402B2 (en) Arrangement for vibration damping in a vehicle
US6161853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CN112026467B (zh) 一种车辆减震装置
JP2006518296A (ja) 空気の入ったタイヤで走行する車輪用振動吸収機構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9980073212A (ko) 자동차용 스트럿마운팅
KR20080042345A (ko) 차량의 서스펜션장치
US20060017255A1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control arm for motor vehicles
KR018162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10018745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10073701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192406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KR100253459B1 (ko) 2중 스프링 구조의 댐핑장치
KR100261428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522512B1 (ko)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장치
KR200187362Y1 (ko)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KR100428132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100435736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JPH0125045Y2 (ko)
KR20030055382A (ko) 세미 다점 지지 후륜 토션 빔 서스펜션
KR20000016932U (ko) 탄성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현가장치
KR10026019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330892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CN115773327A (zh) 复合衬套、汽车悬架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