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558A -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558A
KR19980072558A KR1019970007453A KR19970007453A KR19980072558A KR 19980072558 A KR19980072558 A KR 19980072558A KR 1019970007453 A KR1019970007453 A KR 1019970007453A KR 19970007453 A KR19970007453 A KR 19970007453A KR 19980072558 A KR19980072558 A KR 19980072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formula
compound
solvent
tri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애
이현호
이영호
최종권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0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2558A/ko
Publication of KR19980072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558A/ko

Links

Landscapes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의 신규한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성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은 이중결합 또는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나타내며,
R2, R3,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C1-C7알콕시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의 신규한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성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은 이중결합 또는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나타내며,
R2, R3,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C1-C7알콕시를 나타낸다.
상기 정의 중에서 용어, '알킬'은 단독으로 사용될 때나 알킬옥시와 같이 합성어로 사용될 때나,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여러 가지 부틸 이성체 등과 같은 직쇄 또는 측쇄 포화탄화수소 레디칼(Radical)을 의미한다.
멜라닌은 색소세포내에 존재하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 타이로신(Tyrosine)으로부터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환된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통해 제조된다. 멜라닌은 피부에 분포함으로써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으나, 멜라닌의 과잉생산은 피부암(Melanoma)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피부흑화를 유발하며 기미, 주근깨 등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최근에는 멜라닌의 과잉생산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과 약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과잉생산 예방용 물질로서 종래에는 하이드로 퀴논(Hydro-quinone)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화합물은 색소의 변성 또는 치사를 일으키고 세포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냄에 따라 현재 한국, 일본 등에서는 화장품으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는 실정이다(참조:J. Soc. Cosmet. Chem.42, 361(1991)). 또한, 하이드로퀴논의 당 유도체인 알부틴(Arbutin)이 상품화된 바 있으나 효과가 미약하고, 아스코빅산(Ascobic Acid), 코지산(Kojic Acid) 등은 제품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전통비방으로서 피부미백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진 것으로는 감초추출물과 상백피추출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 추출물들은 산지에 따라 그 효능의 차이가 극히 심하여 제품의 균질성을 유지하기 어렵다(참조:Fragrance.J., 6, 59 (1990)). 한편, 최근에 닥나무에서 추출된 카지놀 F(참조:Chern. Parm. Bull., 34(5) 1968(1986);Cosmetics Toiletries, 101, 51 (1995))가 양호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상품화되었으나 이 원료 역시 추출물이므로 제품 품질의 균질성을 유지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고, 자극성 및 안정성에 관한 자료도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카지놀 F는 합성하기 어려운 프레닐 카테콜 그룹이 부착되어 있어서 합성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량으로도 우수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할 수 있는 안정한 저해제를 개발함으로써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미백효과가 있는 천연물들의 효과와 구조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일반식 (I)의 신규한 플라보노이드 유도체가 이러한 목적에 부합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하기 일반식 (I)의 신규한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식에서,
은 이중결합 또는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나타내며,
R2, R3,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C1-C7알콕시를 나타낸다.
신규한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R1이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나타내고, R2, R3, R4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에서 R1이 옥소인 일반식 (Ia)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식 (Ⅱ)의 화합물과 일반식 (Ⅲ)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의 존재하에 축합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식 (Ia)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반응식1:
상기 반응식에서, R2내지 R5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식 1의 축합반응은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용매중에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소화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 존재하에 5 내지 24 시간동안 진행시킨다. 상기 반응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식(Ⅲ)의 화합물은 구조식 (Ⅱ)의 화합물에 대해 1 내지 2.5 몰배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된 구조식 (Ⅱ)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로부터 문헌(참조:Chem. Ber.95, 1413(196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 중에서 R1이 옥소인 경우를 제외한 일반식 (Ib)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식 1에서 제조된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환원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일반식(Ib)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에서,
R1' 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2내지 R5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2에서 환원반응은 R1' 위치에 어떤 기능기가 오느냐에 따라 반응조건이 조금씩 달라진다. 예를들어 R1' 이 하이드록시인 경우에는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계 용매중에서 소듐보로하이드리드(NaBH4) 존재하에 환원시켜 제조하며, R1' 이 수소인 경우에는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등의 에테르계 용매중에서 소듐시아노보로하이드리드(NaBH3CN)를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BF3·Et2O)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과 혼합한 것을 환원제로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설명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일반식 (I)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다음 단계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일반식 (I)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즉, 검체를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에 넣고 여기에 인산염 완충용액(pH 6.8) 및 L-타이로신 용액을 가한 후, 타이로시네이즈 효소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키고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율을 계산하였다(실험예 1 참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기존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물질들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거나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효과를 지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의약품, 의약부외품 및 화장품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적용량은 제형,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2, 4-디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합성
단계 1 : 2-(2, 4-디벤질옥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1-(2-하이드록시-5-아세톡시-3, 4, 6-트리메틸-페닐)-에탄온 1.3g(5.5mmol)과 2, 4-디벤질옥시-벤즈알데히드 2.1g(6.6mmol)을 에탄올 5ml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에 50%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3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상온에서 2일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물 30ml를 가하여 희석시킨 후 10% HC1 수용액을 가하여 pH 7로 중화시켰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용매는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다음,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데이트=5/1, v/v)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1.96g(수율:72%)을 수득하였다.
단계 2 : 2-(2, 4-디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단계1에서 수득한2-(2, 4-디벤질옥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 100mg(0.2mmol)을 에틸아세테이트 2ml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10% 팔라듐-탄소 촉매 5mg을 적가하고 가압(4 atm) 수소하에 1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 25ml를 가하여 희석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표제화합물 40mg(수율:6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2-(2, 4-디하이드록시-페닐)-5, 7, 8-트리메틸-3, 4, 4a, 8a-테트라하이드로-2H-크로멘-4, 6-디올의 합성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2, 4-디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 0.1g(0.3mmol)을 메틸알콜 1ml에 용해시키고 0℃에서 소듐보로하이드리드 15mg(0.4mmol)을 조금씩 가하였다. 반응액을 0℃에서 50분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물 10ml를 가하여 희석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 v/v)로 분리하여 두가지 부분입체이성체(diastereomer)를 각각 16mg, 3mg(총수율: 70%) 수득하였다.
실시예 3 : 4-(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2H-크로멘-2-일)-벤젠-1, 3-디올의 합성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ml에 실시예 1에서 수득한 2-(2, 4-디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 100mg(0.32mmol)과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에테르 컴플렉스(BF3·OEt2) 0.23ml(0.96mmol)를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소듐시아노보로하이드리드(NaBH3CN) 0.2g(0.64mmol)을 조금씩 가하였다.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하고 에테르 15ml를 가하여 희석시킨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차례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수득한 고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2/1, v/v)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43mg(수율:45%)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 2-(4-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합성
단계 1 : 2-(4-벤질옥시-2-메톡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1-(2-하이드록시-5-아세톡시-3, 4, 6-트리메틸-페닐)-에탄온 1.3g(5.5mmol)과 4-벤질옥시-2-메톡시-벤즈알데히드 1.33g(5.5mmol)을 에탄올 5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5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상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으로부터 용매를 감압중류에 의해 제거하고 물 30ml를 가하여 회석시키고 10% HCl 수용액을 가하여 pH 7이 되도록 중화시켰다. 중화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용매를 감압중류하여 제거한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v/v)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1.61g(수율:70%)을 수득하였다.
단계 2 : 2-(4-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단계 1에서 수득한 2-(4-벤질옥시-2-메톡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 100mg(0.23mmol)을 에틸아세테이트 2ml에 용해시킨 다음, 10% 팔라듐-탄소 촉매 2.5ml을 적가하고 가압(2 atm) 수소하에 4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 25ml를 가하여 희석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증류하여 표제화합물 70mg(수율:9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 2-(4-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합성
단계 1 : 2-(4-벤질옥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1-(2-하이드록시-5-아세톡시-3, 4, 6-트리메틸-페닐)-에탄온 1g(4.2mmol)과 4-벤질옥시-벤즈알데히드 0.89g(4.2mmol)을 에탄올 4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5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3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의 용매를 감압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물 20ml를 가하여 희석한 다음 10% HCl 수용액을 가하여 pH 7이 되도록 중화시켰다. 중화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용매는 감압증류한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v/v)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1.26g(수율:77%)을 수득하였다.
단계 2:2-(4-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단계 1에서 수득한 2-(4-벤질옥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 100mg(0.3mmol)을 에틸아세테이트 2ml에 용해시킨 다음, 10% 팔라듐-탄소 촉매 5mg을 적가하고 가압(2 atm) 수소하에 6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 25ml를 가하여 희석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증류하여 표제화합물 72mg(수율:9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 2-(3, 5-디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합성
단계 1 : 2-(3, 5-디벤질옥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1-(2-하이드록시-5-아세톡시-3, 4, 6-트리메틸-페닐)-에탄온 0.5g(2.12mmol)과 3, 5-디벤질옥시-벤즈알데히드 0.67g(2.12mmol)을 에탄을 3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5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6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상온에서 1일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의 용매를 감압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물 10ml를 가하여 희석한 다음 10% HCl 수용액을 가하여 pH 7이 되도록 중화시켰다. 중화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용매는 감압증류한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v/v)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0.81g(수율:72%)을 수득하였다.
단계 2 : 2-(3, 5-디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단계 1에서 수득한 2-(3, 5-디벤질옥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 120mg(0.2mmol)을 에틸아세테이트 2ml에 용해시킨 다음, 10% 팔라듐-탄소 촉매 5mg을 적가하고 가압(2 atm) 수소하에 24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 25ml를 가하여 희석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증류하여 표제화합물 65mg(수율 : 82%)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 2-(3, 4, 5-트리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합성
단계 1 : 2-(3, 4, 5-트리벤질옥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1-(2-하이드록시-5-아세톡시-3, 4, 6-트리메틸-페닐)-에탄온 1g(4.24mmol)과 3, 4, 5트리벤질옥시-벤즈알데히드 1.8g(4.24mmol)을 에탄올 4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5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3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상온에서 2일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의 용매를 감압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물 10ml를 가하여 희석한 다음 10% HC1 수용액을 가하여 pH 7이 되도록 중화시켰다. 중화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용매는 감압증류한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1, v/v)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2.2g(수율:87%)을 수득하였다.
단계 2 : 2-(3, 4, 5-트리하이드록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의 제조
단계 1에서 수득한 2-(3, 4, 5-트리벤질옥시-페닐)-6-하이드록시-5, 7, 8-트리메틸-2, 3, 4a, 8a-테트라하이드로크로멘-4-온 200mg(0.33mmol)을 에틸아세테이트 4ml에 용해시킨 다음, 10% 팔라듐-탄소 촉매 8mg을 적가하고 가압(2 atm) 수소하에 10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 25ml를 가하여 희석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증류하여 표제화합물 99mg(수율:90%)을 수득하였다.
상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표 1 기재의 화합물들을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화합물의 물리적 성질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론 일반식 (I) 화합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효과를 하기 실험예 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
타이로시네이즈 효소로는 버섯류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L-타이로신을 1.5mM의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0.05M농도, pH 6.8)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 0.01ml를 0.3ml용량의 분광광도계 큐벧(Cuvette)에 가하고 코팩터(Cofactor)인 도파를 0.06mM 농도로 만들어 0.01ml 첨가하였다.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저해제를 첨가하고 0.31ml가 되도록 상기 인산 완충액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액에 타이로시네이즈를 인산 완충액에 60U/ml로 용해시킨 효소용액을 0.1ml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진행시켰다. 이때 대조군(Blank)으로는 타이로시네이즈 대신 완충액만을 0.1ml 첨가한 것으로 하였다. 반응은 37℃에서 10분간 진행시켰으며,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Beckman DU-7500)를 이용하여 475m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율을 구하고, IC값은 효소활성 저해율이 50%에 달하는 저해제의 농도로 결정하였다. 저해율을 산정하는 식은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그 결과는 표 3 에 나타내었다.
A : 저해제가 첨가된 것의 475mm에서의 흡광도
B : 저해제가 첨가되지 않은 것의 475mn에서의 흡광도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기존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물질들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우수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러한 목적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하기 일반식 (I)의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상기식에서,
    은 이중결합 또는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나타내며,
    R2, R3,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C1-C7알콕시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나타내고, R2, R3, R4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는 유도체.
  3. 하기 구조식 (Ⅱ)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Ⅲ)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염기의 존재하에 축합시킴을 특징으로하여 하기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2내지 R5는 제 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4. 제 3항에 있어서, 용매가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염기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소화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방법.
  6. 하기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용매중에서 환원시킴을 특징으로하여 하기 일반식 (Ib)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 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2내지 R5는 제 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7. 제 6항에 있어서,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중에서 소듐보로하이드리드(NaBH4) 존재하에 환원시켜 R1' 이 하이드록시인 일반식 (Ib)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디에틸에테르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중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의 용매중에서 소듐시아노보로하이드리드(NaBH3CN)를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BF3·Et2O)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과 혼합한 환원제 존재하에 환원시켜 R1' 이 수소인 일반식 (Ib)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970007453A 1997-03-06 1997-03-06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72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453A KR19980072558A (ko) 1997-03-06 1997-03-06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453A KR19980072558A (ko) 1997-03-06 1997-03-06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558A true KR19980072558A (ko) 1998-11-05

Family

ID=6598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453A KR19980072558A (ko) 1997-03-06 1997-03-06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255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1411A (en) * 1979-02-19 1980-08-28 Sansho Seiyaku Kk Cosmetic for making fair skin
JPS58103320A (ja) * 1981-12-10 1983-06-20 Jun Okuda アルド−スレダクタ−ゼの阻害剤
JPS6025923A (ja) * 1983-07-22 1985-02-08 Otsuka Pharmaceut Co Ltd 5−リポキシゲナ−ゼ阻害剤
JPS62145017A (ja) * 1985-12-18 1987-06-29 Mitsubishi Chem Ind Ltd 抗菌剤
JPH0196124A (ja) * 1987-10-07 1989-04-14 Fujirebio Inc 制癌剤
US5580545A (en) * 1992-12-28 1996-12-03 San-Ei Gen F.F.I., Inc. Taste modifier and a method of modifying tas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1411A (en) * 1979-02-19 1980-08-28 Sansho Seiyaku Kk Cosmetic for making fair skin
JPS58103320A (ja) * 1981-12-10 1983-06-20 Jun Okuda アルド−スレダクタ−ゼの阻害剤
JPS6025923A (ja) * 1983-07-22 1985-02-08 Otsuka Pharmaceut Co Ltd 5−リポキシゲナ−ゼ阻害剤
JPS62145017A (ja) * 1985-12-18 1987-06-29 Mitsubishi Chem Ind Ltd 抗菌剤
JPH0196124A (ja) * 1987-10-07 1989-04-14 Fujirebio Inc 制癌剤
US5580545A (en) * 1992-12-28 1996-12-03 San-Ei Gen F.F.I., Inc. Taste modifier and a method of modifying t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9393A (en) Skin depigmental agent
EP2529735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4-(heterocycloalkyl)benzene-1,3-diol derivatives with tyrosinase enzyme inhibiting activity
JPH10501216A (ja) カフェー酸およびその誘導体の製造と使用
JP4986110B2 (ja) レゾルシノ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960016127B1 (ko) 코지산 유도체
WO2014092166A1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美白剤
KR100270410B1 (ko)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신규 1,3-디페닐프로판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72558A (ko)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5212969B2 (ja) クロマン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443678C1 (ru) Фторирова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1,4-нафтохинона, обладающие цитотокс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по отношению к раковым клеткам человека в культуре
JP2002500167A (ja) アロエシン誘導体の合成方法
KR100630905B1 (ko) 신규한 히드록시아닐린 유도체의 염을 포함하는 화장품조성물
JP7054156B2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
US8815221B2 (en) Composition used for skin whitening, plant extracted skin whitening composition and composition having a skin whitening effect
KR100494535B1 (ko) 히드록시 피라논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외용제조성물
WO2009102083A1 (en) Novel clitocybin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clitocybe aurantiaca kctc 11143bp or the novel clitocybin derivatives for prevention of aging as an active ingredient
KR19990069211A (ko)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하이드록시-디페닐알칸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5730962A (en) Depigmenting cosmetic or dermatologic composition containing a benzofuran derivative and its use in depigmentating skin
JP4210573B2 (ja) 置換フェノキシプロパノールアミン類
JP3989103B2 (ja) 新規フラバ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配合した化粧料
KR19990069212A (ko)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갖는 신규 폴리하이드록시-디페닐메탄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201264A (ja) ヒノキチオール誘導体、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毛髪用化粧料
KR100783626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ndga 및 그 유도체 합성법
KR20050019401A (ko) 신물질6-메틸-3-펜에틸-3,4-디히드로-1h-큐나졸린-2-티온,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효능조성물
KR100630904B1 (ko) 신규한 히드록시아닐린 유도체의 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