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616A -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및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및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616A
KR19980070616A KR1019980001486A KR19980001486A KR19980070616A KR 19980070616 A KR19980070616 A KR 19980070616A KR 1019980001486 A KR1019980001486 A KR 1019980001486A KR 19980001486 A KR19980001486 A KR 19980001486A KR 19980070616 A KR19980070616 A KR 1998007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ap
pressure
chamb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2820B1 (ko
Inventor
가와구치마사히로
스이토우겐
오쿠노다쿠야
도쿠나가에이지
다케나카겐지
Original Assignee
미소가이 치세이
도요다지도숏키세사쿠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소가이 치세이, 도요다지도숏키세사쿠쇼(주) filed Critical 미소가이 치세이
Publication of KR1998007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0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 G05D16/201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45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9Suction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49)를 개시한다. 벨로즈(70)는 감압실(68)에 도입되는 작동 압력에 따라서 밸브 본체(64)를 작동시킨다. 솔레노이드(62)는 공급된 전류의 크기에 따른 힘으로 밸브 본체(64)를 한 방향으로 가압한다. 하우징(61)에 설치된 통체(85)에 캡(84)이 결합된다. 벨로즈(70)는 통체(85)와 캡(84) 사이의 감압실(68) 내에 설치된다. 미리 정해진 소정 크기의 전류를 솔레노이드(62)로 공급함과 동시에, 미리 정해진 소정 크기의 작동 압력을 감압실(68)에 도입한 상태에서, 벨로즈(70)가 소정 초기 위치에 배치되도록,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축선 방향 위치가 조정된다. 벨로즈(70)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캡(84)이 통체(85)에 대하여 코오킹에 의해 고정된다.

Description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및 장착 방법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 공기 조절 장치에 이용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의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특개평 제 7-180659 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가변 용량 압축기가 공지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가변 용량 압축기에서는 토출압(201)과 크랭크실(도시되지 않음)을 접속하는 급기 통로(202)의 도중에 용량제어 밸브(203)가 배치되어 있다. 냉방 부하에 따라 용량 제어 밸브(203)에 의해 급기 통로(202)의 개방량이 조정됨으로써, 토출실(201)로부터 크랭크실에의 고압 냉매 가스의 공급량이 변경되어, 크랭크실 내의 압력이 조정된다. 그리고, 상기의 크랭크실 내의 압력에 따라, 크랭크실 내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도시되지 않음)의 경사각이 변경되어, 토출 용량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 밸브(203)는 급기 통로(202)를 개폐하기 위한 리드 밸브판(207)을 갖는다. 상기 리드 밸브판(207)은 압축기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204)과 리어 하우징(205) 사이의 밸브 플레이트(206)상에 설치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205)에는 흡입실(208)에 접속된 감압실(2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감압실(209) 내에는 흡입실(208) 내의 압력의 변동에 따라 신축하는 압력 반응 부재로서의 벨로즈(210)가 배치되어 있다. 벨로즈(210)의 선단부에는 로드(211)가 연결되고, 그 로드(211)의 선단부는 상기 리드 밸브판(207)에 접촉가능하다. 벨로즈(210)의 신축이 로드(211)를 통해 리드 밸브판(207)에 전달됨으로써, 급기 통로(202)가 리드 밸브판(207)에 의해 개폐된다.
압축실(209)은 리어 하우징(205)의 외측면에 개구되며, 그 개구부의 내부 주위면에는 수나사(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수나사(212)에는 수나사 부재(213)가 결합된다. 상기 벨로즈(210)는 수나사 본체(213)에 고정되어 있다. 수나사 본체(213)의 외측단면에는 공구(도시되지 않음)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구멍(213a)이 형성되어 있다. 감압실(209) 내에 벨로즈(210)가 조립될 때에는 공구를 사용함으로써, 수나사 본체(213)가 수나사(212)에 결합된다. 이 때, 수나사체(213)의 나사 삽입량을 조정함으로써, 벨로즈(210)의 축선 방향에서의 초기 위치가 조정된다. 상기의 벨로즈(210)의 초기 위치에 따라 흡입실(208) 내의 압력에 대한 리드 밸브판(207)의 개폐 특성이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의 제어 밸브(203)에서는 감압실(209)의 개구부의 내측 주위면에 수나사(212)를 형성함과 동시에, 수나사체(213)의 외측 주위면에도 대응하는 나사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제어 밸브(203)의 제조 및 장착을 번거롭게하여, 제조 비용을 상승시킨다.
수나사체(213)의 나사 삽입량을 조정함으로써 벨로즈(210)의 축선 방향에서의 초기 위치를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며, 게다가 나사삽입에 의한 설정작업은 번거롭다. 게다가 벨로즈(210)의 초기 위치의 설정 후, 차량에 탑재된 압축기의 사용에 따라, 벨로즈(210)의 초기 위치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고, 설정된 초기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반응 부재의 초기 위치의 설정을 간단하고, 정확히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정된 초기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및 그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에서 도입되는 작동 압력에 따라서, 가스 통로를 흐르는 가스량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그 제어 밸브는 상기 가스 통로 내에 설치된 밸브 구멍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밸브 구멍의 개방량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밸브 본체와, 제어 밸브에 도입되는 작동 압력에 대응하는 반응 부재와, 상기 작동 압력에 대한 반응 부재의 반응을 밸브 본체에 전달하기 위해, 반응 부재와 밸브 본체 사이에 배치된 전달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통체가 설치되어 있다. 그 통체에는 캡이 삽입된다. 상기 반응 부재는 통체와 캡사이에 배치된다. 통체에 대한 캡의 축선 방향 위치에 따라, 반응 부재의 배치 위치가 조정된다, 반응 부재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캡이 통체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된 제어 밸브는 크랭크실 내에 설치된 구동 플레이트 경사각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토출 용량을 제어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된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 방법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통체에 캡을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반응 부재는 통체와 캡 사이에 배치된다. 통체에 대한 캡의 축선 방향 위치에 따라, 반응 부재의 배치 위치가 변환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미리 설정된 소정 크기의 작동 압력을 제어 밸브에 도입된 상태에서, 상기 반응 부재가 소정 초기 위치에 배치되도록 통체에 대한 캡의 축선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반응 부재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캡을 통체에 대해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 밸브는 밸브 본체를 작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솔레노이드는 같은 솔레노이드에 공급된 전류에 의해 여자되었을 때에, 공급 전류의 크기에 따른 힘으로 상기 밸브 본체를 한쪽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통체에 캡을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반응 부재는 통체와 캡 사이에 배치된다. 통체에 대한 캡의 축선 방향 위치에 따라, 반응 부재의 배치 위치가 변화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미리 설정된 소정 크기의 전류를 솔레노이드에 공급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소정 크기의 작동 압력을 제어 밸브에 도입한 상태에서, 상기 반응 부재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되도록, 통체에 대한 캡의 축선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반응 부재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캡을 통체에 대해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제어 밸브가 장착된 가변 용량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사판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의 압축기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사판의 경사각이 최소일 때의 압축기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제어 밸브가 장착된 가변 용량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제어 밸브가 장착된 가변 용량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밸브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실린더 블록 12: 프런트 하우징
13: 리어 하우징 14: 밸브 플레이트
15: 크랭크실 16: 구동 샤프트
17: 풀리 18: 벨트
19: 앵귤러 베어링 20: 립실
21: 회전체 22: 사판
23: 가이드 핀 24: 지지 아암
25: 가이드 구멍 26: 코일 스프링
27: 수용 구멍 28: 차단체
29: 코일 스프링 30: 방사상 베어링
32: 흡입 통로 33: 위치 결정면
34: 스러스트 베어링 35: 편두형 피스톤
36: 슈 37: 흡입실
38: 토출실 39: 흡입 포트
40: 토출 포트 41: 흡입 밸브
42: 토출 밸브 43: 리테이너
제 1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가변 용량 압축기의 용량 제어 밸브에 구체화한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변 용량 압축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의 전단면에는 프런트 하우징(12)이 접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의 후단면에는 리어 하우징(13)이 밸브 플레이트(14)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크랭크실(15)은 실린더 블록(11)의 전면측에서, 프런트 하우징(1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6)는 프런트 하우징(12) 및 실린더 블록(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6)의 전단면은 크랭크실(15)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는 풀리(17)가 장착되어 있다. 풀리(17)는 벨트(18)를 통해 외부구동원(이 실시예에서는 차량 엔진(E))에 직결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의 압축기는 구동 샤프트(16)와 외부 구동원 사이에 클러치가 존재하지 않는 클러치레스 타입의 가변 용량 압축기이다. 풀리(17)는 앵귤러 베어링(19)을 통해 프런트 하우징(12)에 지지되어 있다. 프런트 하우징(12)은 풀리(17)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방향의 하중 및 방사상 방향의 하중의 양쪽을, 앵귤러 베어링(19)을 통해 받아낸다.
구동 샤프트(16)의 전단면 외측 가장자리와 프런트 하우징(12) 사이에는 립실(20)이 개재되어 있다. 립실(20)은 크랭크빔(15) 내의 냉매 가스의 누설을 방지한다.
대략 원판형상을 이루는 사판(22)은 크랭크실(15) 내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16)에 동일 샤프트(16)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또한 경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선단면에 가이드구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핀(23)은 사판(22)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체(21)는 크랭크실(15) 내에서 구동 샤프트(16)에 일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회전체(21)는 사판(22)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 아암(24)을 갖는다. 지지 아암(24)에는 한 쌍의 가이드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핀(23)은 각각 가이드 구멍(2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지지 아암(24)과 가이드핀(23)과의 결합에 의해, 사판(22)이 구동 샤프트(16)와 일체적으로 회전된다. 또한, 지지 아암(24)과 가이드핀(23)의 결합에 의해, 구동 샤프트(16)의 축선 방향에 따른 사판(22)의 이동, 및 사판(22)의 경사 이동이 안내된다. 사판(22)이 실린더 블록(11)측(후방)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사판(22)의 경사각이 감소한다.
코일 스프링(26)은 회전체(21)와 사판(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26)은 사판(22)을 후방(사판(22)의 경사각이 감소하는 방향)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돌출부(2la)는 회전체(21)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사판(22)은 돌출부(2la)에 접촉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최대 경사각을 초과하여 경사하지않도록 규제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의 중심부에는 수용 구멍(27)이 구동 샤프트(16)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용 구멍(27) 내에는 한쪽 끝이 폐쇄된 원통형의 차단체(28)가 구동 샤프트(16)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차단체(28)는 대직경부(28a)와 소직경부(28b)를 갖는다. 코일 스프링(29)은 대직경부(28a)와 소직경부(28b) 사이의 단차와, 수용 구멍(27)의 내면의 단차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29)은 차단체(28)를 사판(22)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구동 샤프트(16)의 후단면부는 차단체(28) 내에 삽입되어 있다. 대직경부(28a)의 내측 가장자리면에는 방사상 베어링(30)이 스냅 링(3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방사상 베어링(30)은 구동 샤프트(16)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다. 구동 샤프트(16)의 후단면부는 방사상 베어링(30) 및 차단체(28)를 통해 수용 구멍(27)의 내측 가장자리면에 의해 지지된다.
흡입 통로(32)는 구동 샤프트(16)의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리어 하우징(13) 및 밸브 플레이트(14)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통로(32)의 내측 단부는 수용 구멍(27)에 연결되어 있다. 위치결정면(33)은 흡입 통로(32)의 내측 단부의 개구주위에서, 밸브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되어 있다. 차단체(28)의 후단면은 위치결정면(33)에 접촉가능하다. 차단체(28)의 후단면이 위치결정면(33)에 접촉함으로써, 차단체(28)의 후방(회전체(2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흡입 통로(32)가 수용 구멍(27)으로부터 차단된다.
스러스트 베어링(34)은 사판(22)과 차단체(28) 사이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16)상에 그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34)은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의해, 항상 사판(22)과 차단체(28) 사이에 끼워져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34)은 사판(22)의 회전이 차단체(28)에 전달되는 것을 저지한다.
사판(22)은 그 경사각이 작게됨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사판(22)은 후방에의 이동에 따라, 스러스트 베어링(34)을 통해 차단체(28)를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 때문에, 차단체(28)는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위치결정면(33)을 향해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에 달했을 때, 차단체(28)의 후단면이 위치결정면(33)에 접합하여, 차단체(28)가 흡입 통로(32)와 수용 구멍(27)의 연결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실린더 보어(11a)는 구동 샤프트(16)의 축선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실린더 블록(11)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편두형 피스톤(35)은 각 실린더 보어(11a) 내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각 피스톤(35)은 한 쌍의 슈(36)를 통해 사판(22)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6)의 회전은 회전체(21)를 통해 사판(22)에 전달된다. 사판(22)의 회전운동은 슈(36)를 통해 피스톤(35)의 실린더 보어(11a) 내에서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고리 형상의 흡입실(37)은 상기 흡입 통로(32)의 주위에서 리어 하우징(13) 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37)은 연통구(45)를 통해 수용 구멍(27)에 연결되어 있다. 고리 형상의 토출실(38)은 흡입실(37)의 주위에서 리어 하우징(13) 내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39) 및 토출포트(40)는 각 실린더 보어(11a)에 각각 대응하도록 밸브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밸브(41)는 각 흡입 포트(39)에 각각 대응하도록 밸브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42)는 각 토출포트(40)에 각각 대응하도록 밸브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되어 있다.
각 피스톤(35)이 실린더 보어(11a) 내를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해 이동했을 때, 흡입실(37) 내의 냉매 가스가 흡입 포트(39)로부터 흡입 밸브(41)를 밀어 젖히어 각 실린더 보어(11a) 내로 유입한다. 각 피스톤(35)이 실린더 보어(11a) 내를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을 향해 이동했을 때, 각 실린더 보어(11a) 내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가 토출포트(40)로부터 토출 밸브(42)를 밀어 젖히어 토출실(38)로 토출된다. 토출 밸브(42)는 밸브 플레이트(14)상의 리테이너(43)에 접촉함으로써, 그 개방도를 규제하게된다.
회전체(21)와 프런트 하우징(12)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44)이 배치되어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44)은 피스톤(35) 및 사판(22)등을 통해 회전체(21)에 작용하는 압축반력을 받아낸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압력 통로(46)는 구동 샤프트(16) 내에 형성되어 있다. 방출압력 통로(46)는 립실(20) 부근에서 크랭크실(15) 내로 개구되는 입구(46a)와, 차단체(28)의 내부에 개구되는 출구(46b)를 구비하고 있다. 방출압 구멍(47)은 차단체(28)의 후단면부의 가장자리면에 형성되어 있다. 방출압 구멍(47)은 차단체(28)의 내부와 수용 구멍(27)을 연결하고 있다.
급기 통로(48)는 토출실(38)과 크랭크실(15)을 접속하기 위해서, 리어 하우징(13), 밸브 플레이트(14) 및 실린더 블록(11)에 형성되어 있다. 용량제어 밸브(49)는 급기 통로(48)의 도중에 위치하도록, 리어 하우징(13)에 장착되어 있다. 도입 통로(50)는 제어 밸브(49) 내에 흡입 압력(Ps)을 유도하기 위해서, 흡입 통로(32)와 제어 밸브(49) 사이에서 리어 하우징(13)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51)는 토출실(38)과 연결되도록 실린더 블록(11)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냉매회로(52)는 배출구(51)와 흡입 통로(32)를 접속하고 있다. 외부 냉매회로(52)상에는 응축기(53), 팽창 밸브(54) 및 증발기(55)가 마련되어 있다. 증발기(55) 부근에는 온도 센서(56)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56)는 증발기(55)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온도에 의해 신호를 제어 컴퓨터(57)에 출력한다. 이 컴퓨터(57)에는 공기조절 장치 작동 스위치(59), 실온 설정기(58) 및 실온 센서(58a) 등이 접속되어 있다. 탑승자는 바람직한 실온, 결국 목표 온도를 설정기(58)에 의해서 설정한다.
컴퓨터(57)는 예를 들면 실온 설정기(58)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실온, 온도 센서(56)로부터 얻어지는 검출 온도, 실온 센서(58a)에서 얻어지는 검출 온도 및 작동 스위치(59)의 온/오프(ON/OFF) 상태 등의 각종 조건에 근거하여, 제어 밸브(49)에 주어지는 전류치를 구동회로(60)에 지령한다. 구동회로(60)는 지령된 값의 전류를, 후술하는 제어 밸브(49)의 솔레노이드(62)의 코일(82)에 대하여 출력한다. 제어 밸브(49)에 주어지는 전류치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은 차실 외의 온도나 엔진(E)의 회전속도 등, 상기한 조건 이외의 조건을 포함하여도 된다.
다음에, 상기한 제어 밸브(49)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밸브(49)는 상호 접합된 하우징(61) 및 솔레노이드(62)를 가지고 있다. 밸브실(63)은 하우징(61)과 솔레노이드(6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실(63)은 제 1 포트(67) 및 상기 급기 통로(48)를 통해 토출실(38)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 본체(64)는 밸브실(63)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구멍(66)은 하우징(61)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또한 밸브실(63)의 내측 단부면에 개구되도록, 하우징(61)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구멍(66)의 개구는 밸브 본체(64)와 대향하고 있다. 제 1 코일 스프링(65)은 밸브 구멍(66)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밸브 본체(64)를 가압하기 위해, 밸브 본체(64)와 밸브실(63)의 내측 단부면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감압실(68)은 하우징(61)과, 그 하우징(61)의 상부에 설치된 캡(84)사이에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감압실(68)은 제 2 포트(69) 및 상기 도입 통로(50)를 통해 흡입 통로(32)에 접속되어 있다. 감압실(68)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구비한 벨로즈(70)가 배치되어 있다. 벨로즈(70)는 흡입 통로(32)로부터 도입 통로(50)를 통해 감압실(68) 내에 도입되는 흡입 압력(Ps)에 반응하는 반응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가이드 구멍(71)은 감압실(68)과 밸브 구멍(66) 사이에서, 밸브 구멍(66)와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우징(61)에 형성되어 있다. 벨로즈(70)와 밸브 본체(64)를 작동 연결하는 제 1 로드(72)는 제 1 가이드 구멍(71)에 그 축선 방향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 1 로드(72)는 밸브체(64)의 상단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로드(72)의 상단은 벨로즈(70)의 하단에 설치된 접속부(70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 1 로드(72)는 밸브 구멍(66)를 통과하는 부분이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제 1 로드(72)와 밸브 구멍(66) 사이에 냉매 가스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틈을 확보한다.
제 3 포트(74)는 밸브실(63)과 감압실(68) 사이에서, 밸브 구멍(6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61)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구멍(66)은 제 3 포트(74) 및 급기 통로(48)를 통해 크랭크빔(1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62)는 수용실(77)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철심(76)은 수용실(77)의 상부 개구를 막도록 그 개구에 결합 고정되어 있다.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을 이루는 철제의 플런저(78)는 수용실(77) 내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플런저(78)와 수용실(77)의 내저면 사이에는 제 2 코일 스프링(79)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코일 스프링(79)의 가압력은 상기 제 1 코일 스프링(65)의 가압력보다도 작다.
제 2 가이드 구멍(80)은 수용실(77)과 밸브실(63) 사이에서, 고정철심(76)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64)의 하단에 일체 형성된 제 2 로드(81)는 제 2 가이드 구멍(80)에 그 축선 방향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 1 스프링(65)은 밸브 본체(64)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제 2 스프링(79)은 플런저(78)를 상방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로드(81)의 앞끝부분은 항상 플런저(78)에 접촉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밸브 본체(64)는 제 2 로드(81)를 통해 플런저(78)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원통형의 코일(82)은 고정철심(76) 및 플런저(78)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82)에는 상기 제어 컴퓨터(57)의 지령에 근거하여, 구동회로(60)로부터 소정치의 전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1)의 상부에는 원통형의 통체(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84)은 상단이 폐쇄된 원통형을 이루어, 통체(85)의 외측 가장자리면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된다. 상기 벨로즈(70)는 캡(84) 내에 수용되어 있다.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상대 위치를 축선 방향에서 조정함으로써, 하우징(61)에 대한 벨로즈(70)의 축선 방향에 서의 초기 위치가 결정된다. 벨로즈(70)의 초기 위치가 결정된 상태로, 캡(84)이 통체(85)에 대하여 코오킹에 의해 고정된다. 통체(85)와 동일 통체(85)에 고정된 캡(84) 사이에 상기 감압실(68)이 구획 형성된다.
다음에, 하우징(61)의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캡(84) 내에 벨로즈(70)를 수용한다. 계속해서, 벨로즈(70)의 하단의 접속부(70a)에 제 1 로드(72)의 상단을 삽입시키면서, 캡(84)을 통체(85)의 외측 가장자리면에 결합시킨다.
다음에, 솔레노이드(62)의 코일(82)에 미리 정해진 소정치의 전류를 공급하여, 고정철심(76)과 플런저(78) 사이에 입력전류치에 따른 전자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이 흡인력은 밸브 본체(64)를 밸브 구멍(66)의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으로서, 제 2 로드(81)를 통해 밸브 본체(64)에 작용한다. 이것과 동시에, 제 2 포트(69)를 통해, 감압실(68)에 미리 정해진 소정치의 압력을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감압실(68) 내의 벨로즈(70)는 감압실(68) 내의 압력에 따라서 변위된다.
이 상태로,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축선 방향 위치를, 벨로즈(70)로부터의 가압력이 제 1 로드(72)를 통해 밸브 본체(64)에 작용하기 시작하는 위치(바꿔 말하면, 벨로즈(70)의 접속부(70a)가 제 1 로드(72)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조정한다.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축선 방향 위치가 이와 같은 위치로 설정됨에 따라, 하우징(61)에 대한 벨로즈(70)의 초기 위치가 결정된다. 이 상태로, 캡(84)과 통체(85)가,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동시에 변형되도록 코오킹된다. 그 결과, 캡(84)이 통체(85)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벨로즈(70)가 상술과 같이 하여 결정된 초기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축선 방향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하우징(61)에 대한 벨로즈(70)의 초기 위치도 변화된다. 이 벨로즈(70)의 초기 위치의 변화에 의해, 감압실(68) 내의 압력(흡입 압력(Ps))에 대한 밸브 본체(64)의 개폐특성이 변화된다. 즉, 캡(84)이 통체(85)에 대하여 깊게 결합되어 있을수록, 벨로즈(70)가 하우징(61)에 대하여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그와는 반대로, 캡(84)이 통체(85)에 대하여 얕게 결합되어 있을수록, 벨로즈(70)가 하우징(61)에 대하여 먼 위치에 배치된다. 스프링이 내장된 벨로즈(70)는 감압실(68) 내의 압력이 낮을수록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어, 밸브 본체(64)를 밸브 구멍(66)의 개방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힘을 크게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62)로부터 밸브 본체(64)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일정한 조건하에서는 벨로즈(70)가 하우징(61)에 대하여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경우인 쪽이, 먼 위치에 배치된 경우보다도, 밸브 본체(64)의 개방도가 커진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동 스위치(59)가 온된 상태에서, 실온 센서(58a)에 의해 검출된 차실 내의 온도가, 실온 설정기(58)에 의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컴퓨터(57)는 솔레노이드(62)의 여자를 구동회로(60)에 지령한다. 그렇게 하면, 소정치의 전류가 구동회로(60)를 통해 코일(82)로 공급된다. 이것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전류치에 따른 전자흡인력을, 고정철심(76)과 플런저(78) 사이에 생기게한다. 이 흡인력은 제 2 로드(81)를 통해 밸브 본체(64)로 전달된다. 따라서, 밸브 본체(64)는 제 1 스프링(6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밸브 구멍(6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한편, 벨로즈(70)는 흡입 통로(32)로부터 도입 통로(50)를 통해 감압실(68) 내로 도입되는 흡입 압력(Ps)의 변동에 따라서 변위된다. 이 벨로즈(70)의 변위는 제 1 로드(72)를 통해 밸브 본체(64)에 전달된다. 벨로즈(70)는 흡입 압력(Ps)이 높을수록, 밸브 본체(64)를 밸브 구멍(66)의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줄어든다.
따라서, 밸브 본체(64)에 의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은 밸브 본체(64)에 작용하는 복수 힘의 균형,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62)로부터의 가압력(제 2 스프링(79)의 가압력을 포함한다), 벨로즈(70)로부터의 가압력 및 제 1 스프링(65)의 가압력의 균형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냉방 부하가 큰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실온 센서(58a)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실온 설정기(58)에 의해 설정된 온도와의 차가 크고, 더욱이 흡입 압력(Ps)이 높다. 컴퓨터(57)는 검출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클수록, 제어 밸브(49)의 코일(82)로 공급되는 전류치를 크게하도록, 구동회로(60)에 대하여 지령한다. 따라서, 고정철심(76)과 플런저(78) 사이의 흡인력이 강하게 되어, 밸브 본체(64)를 밸브 구멍(66)의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증대된다. 따라서, 밸브 본체(64)를 밸브 구멍(66)의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흡입 압력(Ps)이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이 때문에, 밸브 본체(64)는 보다 낮은 흡입 압력(Ps)에 따라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조정하도록 동작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 밸브(49)는 공급되는 전류치의 증대에 따라, 보다 낮은 흡입 압력(Ps)(목표흡입압에 상당한다)을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밸브 본체(64)에 의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이 작게되면, 토출실(38)로부터 급기 통로(48)를 경유하여 크랭크실(15)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의 량이 적어진다. 한편, 크랭크실(15) 내의 냉매 가스는 방출압력 통로(46) 및 방출압력 통로(47)를 경유하여 흡입실(37)로 유출되고 있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저하된다. 또한, 냉방 부하가 큰 상태에서는 흡입 압력(Ps)이 높기 때문에,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도 높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과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과의 차가 작게되어, 사판(22)의 경사각이 커지어, 압축기가 큰 토출 용량으로 운전된다.
제어 밸브(49)의 밸브 본체(64)가 밸브 구멍(66)을 완전히 폐지하면, 급기 통로(48)가 닫혀지고, 토출실(38)로부터 크랭크실(15)에의 고압 냉매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된다. 따라서,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은 흡입실(37) 내의 낮은 압력(Ps)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22)의 경사각이 최대로 되어, 압축기가 최대의 토출 용량으로 운전된다. 사판(22)은 회전체(21)의 돌출부(21a)에 접촉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최대 경사각을 초과하여 경사하지않도록 규제된다.
반대로, 냉방 부하가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실온 센서(58a)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실온 설정기(58)에 의해 설정된 온도와의 차가 작고, 더욱이 흡입 압력(Ps)이 낮다. 컴퓨터(57)는 검출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작을수록, 제어 밸브(49)의 코일(82)로 공급되는 전류치를 작게하도록, 구동회로(60)에 대하여 지령한다. 따라서, 고정철심(76)과 플런저(78) 사이의 흡인력이 약하게 되어, 밸브 본체(64)를 밸브 구멍(66)의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감소한다. 따라서, 밸브 본체(64)를 밸브 구멍(66)의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흡입 압력(Ps)이 높은 값으로 설정된다. 이 때문에, 밸브 본체(64)는 보다 높은 흡입 압력(Ps)에 따라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조정하도록 동작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 밸브(49)는 공급되는 전류치의 감소에 따라, 보다 높은 흡입 압력(Ps)(목표흡입압에 상당한다)을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밸브 본체(64)에 의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이 커지면, 토출실(38)로부터 크랭크실(15)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의 량이 많아지어,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상승한다. 또한, 냉방 부하가 작은 상태에서는 흡입 압력(Ps)이 낮기 때문에,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도 낮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빔(15) 내의 압력(Pc)과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과의 차가 커져, 사판(22)의 경사각이 작게 되어, 압축기가 작은 토출 용량으로 운전된다.
냉방 부하가 없는 상태로 접근해가면, 외부 냉매회로(52)에서의 증발기(55)의 온도가, 프로스트를 발생하기 시작하는 온도에 근접하도록 저하게된다. 온도 센서(56)에 의한 검출 온도가 프로스트를 발생하기 시작하는 온도 이하가 되면, 컴퓨터(57)는 구동회로(60)에 대하여 솔레노이드(62)의 소자를 지령한다. 그렇게 하면, 코일(82)에의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어, 고정철심(76)과 플런저(78) 사이에 흡인력이 생기지 않게된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64)는 제 1 스프링(65)의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78) 및 제 2 로드(81)를 통해 작용하는 제 2 스프링(7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밸브 구멍(66)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밸브 본체(64)에 의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토출실(38)로부터 크랭크실(15)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량이 더욱 많아져서,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더욱 상승한다. 이 때문에,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가 되어, 압축기가 최소의 토출 용량으로 운전된다.
작동 스위치(59)가 오프되면, 컴퓨터(57)는 솔레노이드(62)의 소자를 구동회로(60)에 지령한다. 이 때문에,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 밸브(49)의 밸브 본체(64)는 코일(82)로 공급되는 전류치가 클수록, 낮은 흡입 압력(Ps)에 따라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조정하도록 동작하고, 코일(82)로 공급되는 전류치가 작을수록, 높은 흡입 압력(Ps)에 따라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조정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압축기는 흡입 압력(Ps)을 목표치로 유지하기 위해, 사판(22)의 경사각을 제어하고, 토출 용량을 조정한다. 따라서, 제어 밸브(49)는 공급되는 전류치에 따라서 흡입 압력(Ps)의 목표치를 변경하는 역할과, 흡입 압력(Ps)에 관계없이 밸브 구멍(66)을 최대로 개방하여 압축기에 최소 용량 운전을 행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 밸브(49)를 구비하는 압축기는 공기조절 장치의 냉방능력을 변경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가 되면, 차단체(28)가 위치결정면(33)에 접촉한다. 차단체(28)가 위치결정면(33)에 접속되면, 사판(22)이 최소 경사각으로 규제됨과 동시에, 흡입 통로(32)가 흡입실(37)로부터 차단된다. 따라서, 냉매 가스가 외부냉매회로(52)로부터 흡입실(37)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외부냉매회로(52)와 압축기를 순회하는 냉매 가스의 순환이 정지된다.
사판(22)의 최소 경사각은 0도보다도 약간 크다. 또한, 사판(22)이 구동 샤프트(16)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배치되었을 때의 각도를 0도로 한다. 이 때문에, 사판(22)의 경사각이 최대로 되어도, 냉매 가스는 실린더 보어(11a)에서 토출실(38)로 토출되어, 압축기가 최소의 토출 용량으로 운전된다. 실린더 보어(11a)에서 토출실(38)에서 토출된 냉매 가스는 급기 통로(48)를 통해 크랭크실(15)로 유입된다. 크랭크실(15) 내의 냉매 가스는 방출압력 통로(46), 방출압력 구멍(47) 및 흡입실(37)을 통해, 재차 실린더 보어(11a) 내로 흡입된다. 결국,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의 상태에서는 냉매 가스가, 토출실(38), 급기 통로(48), 크랭크실(15), 방출압력 통로(46), 방출압력 구멍(47), 흡입실(37) 및 실린더 보어(11a)를 순회하는 압축기 내의 순환 통로를 순환한다. 이 순환에 따라, 냉매 가스에 포함되는 윤활유가 압축기 내의 각부를 윤활한다.
작동 스위치(59)가 온된 상태로 또한 사판(22)이 최소 경사각에 유지된 상태로, 차실 내의 온도의 상승에 따라 냉방 부하가 증대되면, 실온 센서(58a)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실온 설정기(58)에 의해 설정된 온도보다 높게 된다. 컴퓨터(57)는 이 검출 온도의 상승에 근거하여, 솔레노이드(62)의 여자를 구동회로(60)에 대하여 지령한다. 솔레노이드(62)가 여자되면, 급기 통로(48)가 닫혀지고, 토출실(38) 내의 냉매 가스가 크랭크실(15)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크랭크실(15) 내의 냉매 가스는 방출압력 통로(46) 및 방출압 구멍(47)을 통해 흡입실(37)에 유출된다. 그 때문에,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점차로 저하되어, 사판(22)이 최소 경사각으로부터 최대 경사각으로 이동한다.
사판(22)의 경사각이 증가됨에 따라, 차단체(28)가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의해 위치결정면(33)으로부터 서서히 이간된다. 이것에 따라, 흡입 통로(32)로부터 흡입실(37)에 이르는 동안의 가스유로의 단면적이 서서히 커진다. 이것은 흡입 통로(32)로부터 흡입실(37)로 유입되는 냉매 가스량을 서서히 증대시킨다. 그 때문에, 흡입실(37)로부터 실린더 보어(1la) 내로 흡입되는 냉매 가스량도 서서히 증대되어, 토출 용량이 서서히 증대된다. 따라서, 토출압력(Pd)이 서서히 증대되어, 압축기의 구동에 필요한 토오크도 서서히 커진다. 따라서, 토출 용량이 최소로부터 최대가 되었을 때에, 토오크가 단시간에 크게 변동되지 않고, 토오크의 변동에 따르는 충격이 완화된다.
엔진(E)이 정지되면 압축기의 운전도 정지하고(바꿔 말하면, 사판(22)의 회전도 정지됨), 제어 밸브(49)의 코일(82)에의 전류의 공급도 정지된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62)가 소자되어, 급기 통로(48)가 개방된다. 따라서,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가 된다. 압축기의 운전정지상태가 계속되면, 압축기 내의 압력이 균일화되지만, 사판(22)은 스프링(26)의 가압력에 의해 최소 경사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엔진(E)의 기동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이 개시되었을 때, 사판(22)은 부하 토오크의 가장 작은 최소 경사각의 상태에서 회전을 개시한다. 이것은 압축기의 기동시의 충격을 억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는 이하의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벨로즈(70)를 수용한 캡(84)이 하우징(61)의 통체(85)에 설치되었을 때, 통체(85)에 대한 캡(84)의 결합 위치가 축선 방향에서 조정됨으로써, 하우징(61)에 대한 벨로즈(70)의 초기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벨로즈(70)의 초기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캡(84)이 통체(85)에 대하여 코오킹에 의해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벨로즈(70)가 결정된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벨로즈(70)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과 같은 나사를 사용한 조정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상호 결합되는 통체(85) 및 캡(84)을 간소한 원통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체(85) 및 캡(84)의 가공이 간단해짐과 동시에, 양자의 조립도 용이하게되고, 그 결과, 제어 밸브(49)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나사를 사용한 조정 수단과 비교하여, 벨로즈(70)의 초기 위치의 설정을 간단히 또한 정확히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캡(84)이 통체(85)에 대하여 코오킹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방법이 간단함과 동시에,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제어 밸브(49)가 내장된 압축기가 어떠한 환경에서 사용되어도, 벨로즈(70)는 결정된 초기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등의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량제어 밸브(91)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지 않고, 밸브 본체(64)가 흡입 압력(Ps)에 따라서만 동작한다. 또한, 제어 밸브(91)는 반응 부재로서, 벨로즈 대신에 다이아프램(92) 및 가압 스프링(93)을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밸브(91)를 구비한 가변 용량 압축기는 흡입 통로(32)를 개폐하기 위한 차단체를 포함하는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 압축기의 구동 샤프트(16)는 클러치(C)를 통해 외부 구동원(차량엔진(E))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6)는 한 쌍의 방사상 베어링(30)을 통해, 프론트 하우징(12) 및 실린더 블록(11)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6)의 후단면과 밸브 플레이트(14)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94) 및 코일 스프링(94a)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6)상에는 사판(22)의 최소 경사각을 규정하기 위한 스냅 링(16a)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6) 내의 방출압력 통로(46)는 실린더 블록(11)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27)의 내부, 실린더 블록(11)의 후단면에 형성된 홈(95) 및 밸브 플레이트(14)에 형성된 연결 구멍(96)을 통해, 흡입실(37)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 구멍(96)은 냉매 가스의 유량을 소정치에 좁히기 위한 스로틀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상기 제어 밸브(9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밸브(91)의 하우징(97)의 내부에는 밸브 구멍(66)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본체(64)와, 그 밸브 본체(64)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이아프램(92) 및 가압 스프링(93)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64)는 폐쇄 스프링(98)에 의해 밸브 구멍(66)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밸브 본체(64)는 로드(72)를 통해 다이아프램(92)과 작동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97)의 하단부에는 원통형의 통체(102)가 마련되어 있다. 캡(l01)은 하단이 폐쇄된 원통형을 이루어, 통체(102)의 외측 가장자리면에 하방으로부터 결합된다. 통체(102)와, 동 통체(102)에 결합된 캡(101)과, 상기 다이아프램(92) 사이에, 상기 가압 스프링(93)을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실(99)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감압실(68)은 다이아프램(92)를 끼워 스프링실(99)과 대향하도록, 하우징(97)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감압실(68)은 제 2 포트(69) 및 도입 통로(50)를 통해 흡입실(3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가압 스프링(93)은 캡(101)의 내측 단부면과 다이아프램(92) 상의 스프링받이(9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가압 스프링(93)은 밸브 본체(64)의 개방도를 크게하는 방향으로, 다이아프램(92)를 가압한다.
통체(l02)에 대한 캡(101)의 위치를 축선 방향에서 조정함으로써, 가압 스프링(93)의 초기 길이가 조정됨과 동시에, 다이아프램(92)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초기 위치가 결정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다이아프램(92)의 초기 위치란, 자세하게는 로드(72)와 접속하는 다이아프램(92)의 중앙부분의 축선 방향에서의 초기 위치인 것이며, 바꿔 말하면, 다이아프램(92)의 초기 흔들림량일 것이다. 다이아프램(92)의 초기 위치가 결정된 상태로, 캡(101)이 통체(102)에 대하여 핀(103)에 의해 고정된다.
다음에, 하우징(97)의 통체(102)에 대한 캡(101)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캡(l01)과 다이아프램(92)의 스프링받이(92a) 사이에 가압 스프링(93)을 장착시킨 상태로, 캡(101)을 통체(102)의 외측 가장자리면에 결합시킨다. 다음에, 제 2 포트(69)를 통해, 감압실(68)에 미리 정해진 소정치의 압력을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감압실(68) 내의 다이아프램(92)은 감압실(68) 내의 압력에 따라서 변위된다.
이 상태로, 통체(102)에 대한 캡(101)의 축선 방향 위치를, 다이아프램(92)으로부터의 가압력이 로드(72)를 통해 밸브 본체(64)에 작용하기 시작하는 위치(바꿔 말하면, 다이아프램(92)이 로드(72)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조정한다. 통체(102)에 대한 캡(101)의 축선 방향 위치가 이러한 위치로 설정됨으로써, 다이아프램(92)의 초기 위치가 결정된다. 이 상태로, 캡(101) 및 통체(102)의 주위벽에 핀(103)이 박혀진다. 그 결과, 캡(101)이 통체(102)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다이아프램(92)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결정된 초기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통체(l02)에 대한 캡(101)의 축선 방향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다이아프램(92)의 초기 위치도 변된한다. 이 다이아프램(92)의 초기 위치의 변화에 의해, 감압실(68) 내의 압력(흡입 압력(Ps))에 대한 밸브 본체(64)의 개폐특성이 변화된다. 즉, 캡(101)이 통체(102)에 대하여 깊게 결합하고 있을수록, 가압 스프링(93)의 초기길이가 작게되어, 다이아프램(92)에 대한 가압 스프링(93)의 가압력이 커진다. 이 때문에, 다이아프램(92)의 로드(72)측으로의 요동량이 커진다. 그것과는 반대로, 캡(101)이 통체(l02)에 대하여 얕게 결합되어 있을수록, 가압 스프링(93)의 초기길이가 커지어, 다이아프램(92)에 대한 가압 스프링(93)의 가압력이 작게 된다. 이 때문에, 다이아프램(92)의 로드(72)측으로의 요동량이 작아진다. 다이아프램(92)은 감압실(68) 내의 압력이 낮을수록 로드(72)측으로 요동하여, 밸브 본체(64)를 밸브 구멍(66)의 개방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힘을 크게 한다. 따라서, 캡(101)이 통체(102)에 대하여 깊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얕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밸브 본체(64)의 개방도가 커진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어 밸브(91)를 구비한 압축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이아프램(92)은 흡입실(37)로부터 도입 통로(50) 및 제 2 포트(69)를 통해 감압실(68)에 도입된 흡입 압력(Ps)에 따라서 변위되어, 밸브 본체(64)에 의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조정한다. 이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에 따라서, 급기 통로(48)를 통해 토출실(38)로부터 크랭크실(15)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량이 변경된다. 그리고, 피스톤(35)의 전후면에 작용하는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과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과의 차가 조정된다. 이것에 의해, 사판(22)의 경사각이 변경되어, 피스톤(35)의 스트로크가 바뀌어지고, 토출 용량이 조정된다.
예를 들면, 차실 내의 온도가 높게 냉방 부하가 큰 상태에서는 흡입실(37) 내의 압력(Ps)이 높게 된다. 이 높은 흡입 압력(Ps)은 도입 통로(50)를 통해 제어 밸브(91)의 감압실(68)에 유입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92)은 감압실(68) 내의 높은 흡입 압력(Ps)에 의해, 스프링실(99)측으로 변위된다. 이 때문에, 밸브 본체(64)는 폐쇄 스프링(98)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작게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급기 통로(48)의 개방량이 작게 되어, 토출실(38)로부터 크랭크실(15)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량이 적어진다. 한편, 크랭크실(15) 내의 냉매 가스는 방출압력 통로(46), 구멍(27)의 내부, 홈(95) 및 연결 구멍(96)을 통해 흡입실(37)로 유출되고 있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저하된다. 또한, 흡입실(Ps) 내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도 높아진다. 따라서, 크랭크실(15)의 압력(Pc)과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과의 차가 작게 되어, 사판(22)의 경사각이 커지어, 압축기의 토출 용량이 커진다.
차실 내의 온도가 또한 상승함에 따라 냉방 부하가 더욱 증대되면, 그에 따라 흡입실(38) 내의 압력(Ps)도 더욱 상승하여, 밸브 본체(64)가 밸브 구멍(66)을 폐쇄한다. 이 때문에, 토출실(38)로부터 크랭크실(15)에의 고압냉매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어,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흡입실(37) 내의 압력(Ps)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사판(22)이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최대 경사각 위치에 배치되어, 압축기가 최대 토출 용량으로 운전된다.
반대로, 차실 내의 온도는 낮고 냉방 부하가 작은 상태에서는 흡입실(37) 내의 압력(Ps)이 낮아진다. 따라서, 다이아프램(92)이 감압실(68) 내의 낮은 흡입 압력(Ps)에 따라서 감압실(68)측으로 변위되고, 그에 따른 밸브 본체(64)에 의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이 커진다. 이 때문에, 토출실(38)로부터 크랭크실(15)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량이 많아지어,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상승한다. 따라서, 사판(22)의 경사각이 작게 되어, 압축기의 토출 용량이 작게 된다.
차실 내의 온도가 또한 저하하는데 따른, 냉방 부하가 없는 상태에 근접해가면, 흡입실(37) 내의 압력(Ps)도 더욱 저하되어,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더욱 상승하여, 사판(22)이 도 6에 긴 점선으로 나타낸 최소 경사각 위치에 배치되어, 압축기가 최소의 토출 용량으로 운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얻게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어 밸브(91)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의 제어 밸브(49)보다도 구성이 간소하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등의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어, 제 1 및 제 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량제어 밸브(111)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제어 밸브(91)와 같이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지 않고, 밸브 본체(64)가 흡입 압력(Ps)에 따라서만 동작한다. 또한, 제어 밸브(111)는 반응 부재로서 기능하는 벨로즈(70)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변 용량 압축기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를 갖지만, 크랭크실(15)과 흡입실(37)을 접속하는 추기 통로(1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밸브(ll1)는 이 추기 통로(112)의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추기 통로(112)는 구동 샤프트(16) 내의 방출압력 통로(46)와, 실린더 블록(11)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27)의 내부와, 밸브 플레이트(14) 및 리어 하우징(13)에 형성된 통로(113)를 포함한다. 제어 밸브(111)는 통로(113)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토출실(38)과 크랭크실(15)과는 스로틀(114a)을 갖는 급기 통로(114)에 의해 항시 연결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밸브(111)의 하우징(115)의 하단부에는 원통형의 통체(85)가 마련되어 있다. 캡(84)은 하단이 폐쇄된 원통형을 이루고, 통체(85)의 외측 가장자리면에 하방으로부터 결합된다. 통체(85)와, 동 통체(85)에 결합된 캡(84) 사이에, 벨로즈(70)를 수용하는 감압실(68)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통체(85), 캡(84) 및 벨로즈(70)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하우징(115)의 내부에는 밸브 본체(64)를 수용하는 밸브실(63)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64)는 로드(72)를 통해 벨로즈(70)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밸브 구멍(66)은 제 3 포트(74) 및 하류측의 연결 통로(113)를 통해 흡입실(37)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실(63)은 제 1 포트(67), 상류측의 연결 통로(113), 구멍(27)의 내부 및 방출압력 통로(46)를 통해, 크랭크실(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압실(68)은 제 2 포트(69) 및 도입 통로(50)를 통해 흡입실(37)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하우징(115)의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장착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캡(84) 내에 벨로즈(70)를 수용한다. 이 때, 벨로즈(70)는 캡(84)의 내측 단부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벨로즈(70)의 상단의 접속부(70a)에 로드(72)의 하단을 끼워넣으면서, 캡(84)을 통체(85)의 외측 가장자리면에 결합시킨다. 이 때, 로드(72)는 벨로즈(70)의 접속부(70a)에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밸브 본체(64)는 벨로즈(70)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에, 제 2 포트(69)를 통해, 감압실(68)에 미리 정해진 소정치의 압력을 공급한다. 그러면, 감압실(68) 내의 벨로즈(70)는 감압실(68) 내의 압력에 따라서 변위된다.
이 상태에서, 먼저, 로드(72)를 통해 벨로즈(70)에 연결된 밸브 본체(64)가 밸브 구멍(66)을 완전히 폐쇄하는 위치에까지 도달하도록, 캡(84)을 통체(85)에 끼워넣는다. 계속해서, 캡(84)을 통체(85)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축선 방향 위치를, 밸브 본체(64)가 밸브 구멍(66)을 폐쇄하는 위치로부터 떨어지기 시작할 때의 위치에 조정한다.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축선 방향 위치가 상기와 같은 위치로 설정됨에따라, 벨로즈(70)의 초기 위치가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캡(84)과 통체(85)가,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함께 코오킹된다. 그 결과, 캡(84)이 통체(85)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벨로즈(70)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결정된 초기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어 밸브(111)를 구비한 압축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토출실(38) 내의 냉매 가스는 스로틀(114a)을 갖는 급기 통로(114)를 통하여, 크랭크실(15)에 항시 공급되어 있다. 한편, 벨로즈(70)는 흡입실(37)로부터 도입 통로(50) 및 제 2 포트(69)를 통해 감압실(68)에 도입된 흡입 압력(Ps)에 따라서 변위되어, 밸브 본체(64)에 의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조정한다. 이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에 따라서, 추기 통로(112)를 통해 크랭크실(15)로부터 흡입실(37)에 방출되는 냉매 가스량이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조정되고, 사판(22)의 경사각이 변경되어, 토출 용량이 조정된다.
예를 들면, 냉방 부하가 크고 흡입실(37) 내의 압력(Ps)이 높게 되면, 벨로즈(70)는 감압실(68) 내의 높은 흡입 압력(Ps)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줄어든다. 이 때문에, 밸브 본체(64)는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크게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추기 통로(ll2)의 개방량이 커지어, 크랭크실(15)로부터 흡입실(37)로 방출되는 냉매 가스량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저하되고, 사판(22)의 경사각이 커지어, 압축기의 토출 용량이 커진다.
냉방 부하가 또한 증대함에 따라 흡입실(38) 내의 압력(Ps)이 더욱 상승하면, 밸브 본체(64)에 의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이 최대가 된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15)로부터 흡입실(37)로 방출되는 냉매 가스량이 더욱 많아지고,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흡입실(37) 내의 압력(Ps)과 거의 동일하게 될때까지 저하된다. 따라서, 사판(22)이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최대 경사각 위치에 배치되어, 압축기가 최대 토출 용량으로 운전된다.
반대로, 냉방 부하가 작고 흡입실(37) 내의 압력(Ps)이 낮게 되면, 벨로즈(70)는 감압실(68) 내의 낮은 흡입 압력(Ps)에 의해 신장하고, 그것에 따른 밸브 본체(64)에 의한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15)로부터 흡입실(37)로 방출되는 냉매 가스량이 적어지어,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상승한다. 따라서, 사판(22)의 경사각이 작게되어, 압축기의 토출 용량이 작게 된다.
냉방 부하가 없는 상태에 근접하게 되면, 흡입실(37) 내의 압력(Ps)이 더욱 저하되어, 밸브 본체(64)에 의해 밸브 구멍(66)이 폐쇄된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15)로부터 흡입실(37)로의 냉매 가스의 방출이 정지되고,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이 더욱 상승한다. 따라서, 사판(22)이 도 8에 긴 점선으로 도시된 최소 경사각 위치에 배치되어, 압축기가 최소의 토출 용량으로 운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압축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압축기와는 달리, 크랭크실(15)로부터 흡입실(37)에의 냉매 가스의 방출량을 제어 밸브(111)에 의해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토출 용량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은 양태로 구체화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캡(84, l01)의 내부 직경을 하우징(61, 97, 115)의 통체(85, 102)의 외부 직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해 둔다. 그리고, 캡(84, 101)을 통체(85, 102)에 끼워 맞출 때, 캡(84, l01)을 통체(85, l02)에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하면, 캡(84, l01)에 대한 통체(85, 102)의 축선 방향 위치가 조정된 후, 캡을 통체에 코오킹 혹은 핀(103)에 의해 고정할 때까지의 기간에, 캡이 통체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때문에, 벨로즈(70) 및 다이아프램(92)의 초기 위치의 설정을 한층더 정확히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캡과 통체 사이에서의 가스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캡(84, 101)이 통체(85, 102)에 대하여 코오킹 혹은 핀(l03)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도 된다. 스폿용접에 의한 고정방법이 채용된 경우에도, 캡(84, 101)이 통체(85, l02)에 대하여 용이하고 확실하게 고정된다. 특히, 스폿 용접에 의한 고정방법이 채용된 경우에는 고정시에 있어서 캡(84, 101) 및 통체(85, l02)가 변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구성부품의 변형에 따라 제어 밸브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캡(84, 101)을 통체(85, 102)에 삽입한 상태에서, 양자를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용접 방업은 스폿 용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용접 방법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캡(84, 101)이 통체(85, 102)의 외측 가장자리면에 끼워져 있지만, 그것과는 반대로 캡(84, 101)이 통체(85, 102)의 내측 가장자리면에 끼워져있어도 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제어 밸브(49)는 구동 샤프트(16)가 클러치를 통해 외부구동원(E)에 연결된 가변 용량 압축기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예를 들면 공기조절 장치 작동 스위치(59)가 오프되었을 때에만 클러치를 전환하고, 공기조절 장치 작동 스위치(59)가 온되었을 때에는 클러치를 연계하여, 도 2의 클러치레스 타입의 가변 용량 압축기와 같은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클러치의 단속 동작의 회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주행감이 향상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제어 밸브(49, 91, 111)에 있어서, 크랭크실(l5) 내의 냉매 가스가, 도입 통로(50) 및 제 2 포트(69)를 통해 감압실(68)로 도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크랭크실(15) 내의 압력(Pc)에 따라서 벨로즈(70) 혹은 다이아프램(92)을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제어 밸브(91)에 있어서, 다이아프램(92) 및 가압 스프링(93)을 대신하여, 제 1 및 제 3 실시예에 기재와 같은 벨로즈(70)가 채용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제어 밸브(49, 91)에 있어서, 제 3 포트(74)에 상류측의 급기 통로(48)를 통해 토출실(38)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 1 포트(67)에 하류측의 급기 통로(48)를 통해 크랭크실(15)을 접속해도 된다.
상기 제 3 실시예의 제어 밸브(101)에 있어서, 제 3 포트(74)에 상류측의 추기 통로(112)를 통해 크랭크실(15)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 1 포트(67)에 하류측의 추기 통로(112)를 통해 흡입실(37)을 접속해도 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제어 밸브(49, 91, 111)에 의해 크랭크실(15)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근거하여, 토출 용량이 제어되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외부냉매회로(52)로부터 흡입실(37)에의 냉매 가스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토출 용량이 제어되어도 무방하다.

Claims (22)

  1. 외부에서 도입되는 작동 압력에 따라 가스 통로(48; 112)를 흐르는 가스량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스 통로(48; 112) 내에 설치된 밸브 구멍(66)을 갖는 하우징(61; 97; 115)과,
    상기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61; 97; 115)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밸브 본체(64)와,
    제어 밸브(49; 91; 111)에 도입되는 작동 압력에 반응하는 반응 부재(70; 92, 93)와,
    상기 작동 압력에 대한 반응 부재(70; 92, 93)의 반응을 밸브 본체(64)에 전달하기 위해서, 반응 부재(70;92, 93)와 밸브 본체(64) 사이에 배치된 전달 부재(72)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61; 97; 115)에는 통체(85; 102)가 설치되고, 상기 통체(85; 102)에는 캡(84; 101)이 결합되며, 상기 반응 부재(70; 92, 93)는 통체(85; 102)와 캡(84; 101)사이에 설치되고, 통체(85; 102)에 대한 캡(84; 101)의 축선 방향 위치에 따라서 반응 부재(70; 92, 93)의 배치 위치가 조정되고, 반응 부재(70;92, 93)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캡(84; 101)이 통체(85; 102)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84)은 상기 통체(85)에 대하여 코오킹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01)을 상기 통체(102)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핀(103)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84; 101)은 상기 통체(85; 102)에 대하여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84; 101)은 상기 통체(85; 102)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84; l01)은 상기 통체(85; 102)의 외측 가장자리면에 결합되는 내측 가장자리면을 갖고, 캡(84; 101)이 통체(85; 102)에 삽입되도록, 캡(84; 101)의 내측 가장자리면의 직경은 통체(85; 102)의 외측 가장자리면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64)를 작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6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62)는 이 솔레노이드(62)에 공급된 전류에 의해 여자되었을 때에, 공급 전류의 크기에 따른 힘으로 상기 밸브 본체(64)를 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85)와 캡(84) 사이에 구획 형성된 압력실(68)을 더 구비하며, 상기 작동 압력이 상기 압력실(68) 내에 도입되고, 상기 반응 부재는 압력실(68) 내에 설치된 벨로즈(70)를 포함하며, 상기 벨로즈(70)는 압력실(68) 내의 압력의 상승에 따라 줄어들고, 압력실(68) 내의 압력의 저하에 따라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부재는 다이아프램(92) 및 가압 스프링(93)을 포함하는 것과, 다이아프램(92)은 하우징(97) 내에 압력실(68)을 구획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97)에 지지되어서, 상기 작동 압력이 상기 압력실(68)내로 도입되는 것과,
    상기 다이아프램(92)을 끼워 압력실(68)과 대향하도록, 상기 통체(l02)와 캡(l01)과 다이아프램(92)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스프링실(99)과, 상기 가압 스프링(93)은 다이아프램(92)을 압력실(68)을 향해 가압하도록 스프링실(99) 내에 수용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49; 91; 111)는 크랭크실(15) 내에 설치된 구동 플레이트(22)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것에 의거하여 토출 용량을 제어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사용되고, 상기 압축기는 구동 플레이트(22)에 작동 연결되며 또한 실린더 보어(11a) 내에 배치된 피스톤(35)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35)은 흡입실(37)에서 실린더 보어(11a) 내로 공급된 가스를 압축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 가스를 실린더 보어(1la)로부터 토출실(38)로 토출하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22)의 경사각은 크랭크실(15) 내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의 차에 따라서 변화하며, 압축기는 또한, 크랭크실(15) 내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11a) 내의 압력의 차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 수단은 압력 조정용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가스 통로(48; 112)와, 상기 제어 밸브(49; 91; 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통로는 토출실(38)을 크랭크실(15)에 접속하는 급기 통로(48)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밸브(49; 91)는 크랭크실(15)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토출실(38)로부터 급기 통로(48)를 통해 크랭크실(15)로 공급되는 가스의 량을 조정하기 위해, 급기 통로(48) 도중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통로는 크랭크실(15)을 흡입실(37)에 접속하는 추기 통로(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밸브(111)는 크랭크실(15)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크랭크실(15)로부터 추기 통로(112)를 통해 흡입실(37)로 방출되는 가스량을 조정하기 위해 추기 통로(ll2)의 도중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13. 외부에서 도입되는 작동 압력에 따라 가스 통로(48; 112)를 흐르는 가스량을 조정하고,
    상기 가스 통로(48; 112) 내에 설치된 밸브 구멍(66)을 갖는 하우징(61; 97; 115)과, 상기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61; 97; 115) 내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밸브 본체(64)와, 제어 밸브(49; 91; 111)에 도입되는 작동 압력에 반응하는 반응 부재(70; 92, 93)와, 상기 작동 압력에 대한 반응 부재(70;92, 93)의 반응을 밸브 본체(64)에 전달하기 위해서, 반응 부재(70; 92, 93)와 밸브 본체(64) 사이에 배치된 전달 부재(72)를 구비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1; 97; 115)에 설치된 통체(85; 102)에 캡(84; 101)을 끼워맞추는 단계와,
    상기 반응 부재(70; 92, 93)는 통체(85; l02)와 캡(84; 101) 사이에 설치되고, 통체(85; 102)에 대한 캡(84; 101)의 축선 방향 위치에 따라서 반응 부재(70; 92, 93)의 배치 위치를 변화하는 공정과,
    미리 정해진 소정의 크기의 작동 압력을 제어 밸브(49; 91; 111)에 도입한 상태로, 상기 반응 부재(70; 92, 93)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되도록, 통체(85; 102)에 대한 캡(84; 101)의 축선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반응 부재(70;92, 93)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캡(84; 101)을 통체(85; 102)에 대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14. 외부에서 도입되는 작동 압력에 따라 가스 통로(48)를 흐르는 가스량을 조정하고
    상기 가스 통로(48) 내에 설치된 밸브 구멍(66)을 갖는 하우징(61)과, 상기 밸브 구멍(66)의 개방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61) 내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밸브 본체(64)와, 제어 밸브(49)에 도입되는 작동 압력에 반응하는 반응 부재(70)와, 상기 작동 압력에 대한 반응 부재(70)의 반응을 밸브 본체(64)에 전달하기 위해서, 반응 부재(70)와 밸브 본체(64) 사이에 배치된 전달 부재(72)와, 상기 밸브 본체(64)를 작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62)와, 상기 솔레노이드(62)는 동 솔레노이드(62)로 공급된 전류에 의해 여자되었을 때에, 공급전류의 크기에 따른 힘으로 상기 밸브 본체(64)를 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구비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1)에 설치된 통체(85)에 캡(84)을 끼워맞추는 단계와,
    상기 반응 부재(70)는 통체(85)와 캡(84) 사이에 설치되어,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축선 방향 위치에 따라서 반응 부재(70)의 배치 위치를 변화하는 공정과,
    미리 정해진 소정 크기의 전류를 솔레노이드(62)로 공급함과 동시에, 미리 정해진 소정 크기의 작동 압력을 제어 밸브(49)에 도입한 상태로, 상기 반응 부재(70)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되도록, 통체(85)에 대한 캡(84)의 축선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반응 부재(70)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캡(84)을 통체(85)에 대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캡(84)을 상기 통체(85)에 대하여 코오킹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캡(l01)을 상기 통체(l02)에 대하여 핀(103)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캡(84; 101)을 상기 통체(85; 102)에 대해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는 상기 캡(84; 101)을 상기 통체(85; 102)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캡(84)을 상기 통체(85)에 대하여 코오킹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캡(l01)을 상기 통체(l02)에 대하여 핀(103)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캡(84; 101)을 상기 통체(85; 102)에 대해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는 상기 캡(84; 101)을 상기 통체(85; 102)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의 장착 방법.
KR1019980001486A 1997-01-21 1998-01-20 가변용량압축기용제어밸브및장착방법 KR100302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8997 1997-01-21
JP97-008789 1997-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616A true KR19980070616A (ko) 1998-10-26
KR100302820B1 KR100302820B1 (ko) 2002-02-28

Family

ID=1170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486A KR100302820B1 (ko) 1997-01-21 1998-01-20 가변용량압축기용제어밸브및장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75859A (ko)
KR (1) KR100302820B1 (ko)
CN (1) CN1104561C (ko)
DE (1) DE19801975C2 (ko)
FR (1) FR27611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823B1 (ko) * 2002-02-28 2005-09-30 태평양공업 주식회사 가역용량형 압축기의 제어밸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043245B1 (ko) * 2009-02-02 2011-06-21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KR101043232B1 (ko) * 2009-02-06 2011-06-21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KR20120040708A (ko) * 2009-07-09 2012-04-27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1159500B1 (ko) * 2012-05-17 2012-06-22 주식회사 코다코 가변 용량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4929B2 (ja) * 1997-03-31 2004-09-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H1162842A (ja) * 1997-08-08 1999-03-0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の容量制御弁
JP2000045940A (ja) * 1998-07-27 2000-02-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JP2000087848A (ja) * 1998-09-08 2000-03-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US6302656B1 (en) * 1998-10-08 2001-10-16 Tgk Co. Ltd. Solenoid controlled valve and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3991556B2 (ja) * 1999-10-04 2007-10-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
US6390782B1 (en) 2000-03-21 2002-05-21 Alumina Micro Llc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1349624A (ja) * 2000-06-08 2001-12-21 Toyota Industries Corp 空調装置及び容量可変型圧縮機の容量制御弁
US6688853B1 (en) * 2001-01-08 2004-02-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rol valve for regulating flow between two chambers relative to another chamber
JP2003028059A (ja) * 2001-07-13 2003-01-29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用絞り構造
JP4242624B2 (ja) * 2002-09-26 2009-03-2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及びその制御方法
JP4173111B2 (ja) * 2004-01-29 2008-10-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4303637B2 (ja) * 2004-03-12 2009-07-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CN101852196A (zh) * 2009-04-02 2010-10-06 黄小伟 一种变量压缩机电动控制阀
RU2563944C2 (ru) * 2014-01-17 2015-09-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МКТ-АСДМ" Привод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WO2018043186A1 (ja) * 2016-08-29 2018-03-08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7563A (en) * 1945-02-20 1951-01-09 Grove Regulator Company Fluid pressure operating device
US2873754A (en) * 1952-05-02 1959-02-17 Garrett Corp Temperature compensated pneumatic governor
GB905542A (en) * 1959-12-08 1962-09-12 Simonac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fluid pressure actuators
JPS5663174A (en) * 1979-10-29 1981-05-29 Nippon Carbureter Co Ltd Constant discharge valve device
JPH0637874B2 (ja) * 1984-12-28 1994-05-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可変容量圧縮機
JPH01177466A (ja) * 1987-12-28 1989-07-13 Diesel Kiki Co Ltd 可変容量型揺動板式圧縮機の圧力制御弁
JP2567947B2 (ja) * 1989-06-16 1996-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可変容量圧縮機
KR970004811B1 (ko) * 1993-06-08 1997-04-04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샤꾸쇼 무클러치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 및 그 용량 제어방법
JP3289454B2 (ja) * 1993-12-24 2002-06-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片側ピストン型の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JPH102284A (ja) * 1996-06-17 1998-01-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823B1 (ko) * 2002-02-28 2005-09-30 태평양공업 주식회사 가역용량형 압축기의 제어밸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043245B1 (ko) * 2009-02-02 2011-06-21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KR101043232B1 (ko) * 2009-02-06 2011-06-21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KR20120040708A (ko) * 2009-07-09 2012-04-27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1159500B1 (ko) * 2012-05-17 2012-06-22 주식회사 코다코 가변 용량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1136A1 (fr) 1998-09-25
CN1197164A (zh) 1998-10-28
US5975859A (en) 1999-11-02
CN1104561C (zh) 2003-04-02
DE19801975C2 (de) 2002-05-08
FR2761136B1 (fr) 2000-06-30
KR100302820B1 (ko) 2002-02-28
DE19801975A1 (de) 199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820B1 (ko) 가변용량압축기용제어밸브및장착방법
US5890876A (en) Control valve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392121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기구
US6358017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626645B2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s
US6361283B1 (en) Displacement control valve
US6010312A (en) Control valve unit with independently operable valve mechanisms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276036B1 (ko)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KR100215158B1 (ko) 가변용량 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02821B1 (ko) 가변용량압축기용제어밸브및그제조방법
US9518568B2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1835177A2 (en)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234763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6728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217291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s and method for varying displacement
US6733246B2 (en) Control device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US6217293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311171B1 (ko) 압축기
US6076449A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5783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1026398A2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s
US6783332B2 (en)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with pressure sensing member
US6637223B2 (en) Control apparatus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302993B1 (ko) 가변용량압축기의제어밸브
JP3952425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可変容量圧縮機、及び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の組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