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911A -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911A
KR19980069911A KR1019970042941A KR19970042941A KR19980069911A KR 19980069911 A KR19980069911 A KR 19980069911A KR 1019970042941 A KR1019970042941 A KR 1019970042941A KR 19970042941 A KR19970042941 A KR 19970042941A KR 19980069911 A KR19980069911 A KR 19980069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data
decoding
block
correction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4868B1 (ko
Inventor
박동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1998006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에러 정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신된 데이터의 디코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 데이터의 정정 범위를 최소화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삭제를 줄이기 위한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순방향 디코딩을 실행하면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순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 상기 순방향 디코딩 중 에러 검출된 제1소정 단위의 순방향 에러 블록 위치를 검출하는 순방향 에러 위치 검출 과정, 상기 순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에서 에러가 검출되면 순방향 디코딩 실행을 멈추고 디코딩 중이었던 데이터를 역방향으로 디코딩을 실행하면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역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 상기 역방향 디코딩 중 에러 검출된 제1소정 단위의 역방향 에러 블록 위치를 검출하는 역방향 에러 위치 검출 과정 및 상기 순방향 에러 블록과 상기 역방향 에러 블록을 포함하는 양 에러 블록 사이의 데이터를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로 설정하는 에러 정정 범위 결정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역방향 디코딩에 의하여 에러 정정 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정상적인 데이터의 소실을 줄일 수 있어 비디오 데이터 처리의 경우에는 고화질 재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
본 발명은 데이터 에러 정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신된 데이터의 디코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 데이터의 정정 범위를 최소화하여 정상적인 데이터가 삭제되어지는 것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도시 도심에서의 휴대용 전화 통신, 나쁜 날씨에서의 위성 통신 등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필연적으로 에러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에러를 줄이는 방법이 통신의 데이터 처리 속도에 큰 영향을 준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에러 데이터 정정 방법은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가지의 방법이 있다.
그 중 하나의 방법이 에러가 검출된 부분의 데이터를 에러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여 디코더와 인코더사이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통신 채널의 처리 능력을 급격히 감소시키며 그 정도는 재 전송의 횟수와 깊은 관계가 있다.
또 다른 하나의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의 예를 들면 에러가 검출된 마크로 블록(MB:Macro Block)을 포함하는 GOB(Group Of Block)의 데이터를 버리고(discard하고), 전 프레임(Frame)의 동일 GOB의 데이터를 버려진 데이터를 대신하여 더 처리하는 방법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N번째 프레임의 GOB 2를 구성하는 6번째 마크로 블록(MB)을 디코딩하다가 에러를 검출하였다면 디코더는 다음 GOB 동기 신호를 찾을 때까지 디코딩을 하지 않는다. 만일 GOB 3의 동기 신호를 찾았다면 N번째 프레임의 현재의 GOB 2의 데이터를 모두 버리고, (N-1)번째 프레임의 GOB 2의 데이터를 N번째 프레임의 GOB 2 영역에 복사한다. 그러나 만일 다음 GOB 동기 신호가 GOB 5 였다면 N번째의 프레임 GOB 2, 3, 4의 영역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버리고, (N-1)번째 프레임의 GOB 2, 3, 4의 데이터를 N번째 프레임의 GOB 2, 3, 4 영역에 복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두 번째 방법은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버리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에러 정정 방법들은 통신 채널의 처리 능력을 급격히 감소시키거나, 많은 양의 정상적인 데이터를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 정정 시 버리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c)는 본 발명에 의해 결정된 에러 정정 범위의 여러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에러 정정 실행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은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과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의 집합으로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는 제2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의 디코딩 시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에 있어서, 순방향 디코딩을 실행하면서 제1소정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순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 상기 순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에서 검출된 에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 위치인 순방향 에러 블록 위치를 검출하는 순방향 에러 위치 검출 과정, 상기 순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에서 에러가 검출되면 디코딩 실행을 멈추고 디코딩 중이었던 제2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하는 마지막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부터 역방향으로 디코딩을 실행하면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역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 상기 역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에서 검출된 에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 위치인 역방향 에러 블록 위치를 검출하는 역방향 에러 위치 검출 과정 및 상기 순방향 에러 블록과 상기 역방향 에러 블록을 포함하는 양 에러 블록 사이를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로 설정하는 에러 정정 범위 결정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설정 방법의 흐름도로서, 데이터를 순방향으로 디코딩하는 순방향 디코딩 과정(110), 순방향 디코딩 과정중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에러 판단 과정(120), 순방향 디코딩중 에러 검출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크로 블록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마크로 블록 위치 검출 과정(130),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마크로 블록을 현 GOB의 마지막 마크로 블록으로 이동시키는 디코딩 데이터 시프트 과정(140), 역방향으로 디코딩하는 역방향 디코딩 과정(150), 역방향 디코딩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에러 판단 과정(160), 역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크로 블록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2마크로 블록 위치 검출 과정(170), 제1마크로 블록과 제2마크로 블록 사이의 에러를 갖는 데이터를 에러 정정 범위로 결정하는 에러 정정 범위 결정 과정(180), 에러 정정 범위의 데이터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 과정(19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멀티미디어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를 일 예로 들어 위의 과정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 통신의 디코딩은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디코딩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디코딩은 하나의 데이터 블록의 어느 서브단위에서든 이루어질 수 있다.
멀티 미디어용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 신호등의 데이터 처리 최소 단위의 데이터 집합을 블록(Block)이라 하며, 일정한 개수의 블록으로 하나의 마크로 블록(Macro Block)을 구성하며, 일정한 개수의 마크로 블록으로 하나의 GOB(Group Of Block)를 구성하며, 일정한 개수의 GOB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순방향 디코딩 과정(110)은 입력되는 압축 비디오 데이터를 순방향으로 복호하는 과정이다. 즉, GOB를 구성하는 마크로 블록의 데이터들을 마크로 블록의 위치 순서대로 복호하는 과정이다.
제1에러 판단 과정(120)은 순방향 디코딩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즉, 디코딩 도중에 데이터에 싱텍스 에러(Syntax error)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만일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순방향 디코딩의 실행을 멈추고 다음의 과정들을 실행한다.
제1마크로 블록 위치 검출 과정(130)은 제1에러 판단 과정(120)의 판단 결과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크로 블록인 제1마크로 블록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이다.
디코딩 데이터 시프트 과정(140)은 제1에러 검출 과정(120)에서 에러가 검출되면, 디코딩 중이었던 현재의 GOB 마지막 부분의 마크로 블록으로 디코딩할 데이터를 시프트시키는 과정이다.
역방향 디코딩 과정(150)은 GOB 마지막 부분의 마크로 블록으로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앞 위치의 마크로 블록으로 디코딩하는 과정이다. 즉, 역방향 디코딩은 H.263의 경우 싱텍스의 맨 아래 레벨부터 엔트로피 코더 테이블(Entropy Coder Table) 및 싱텍스 테이블(Syntax Table)을 참고로 마크로 블록의 역순으로 진행하는 디코딩 방법이다.
제2에러 판단 과정(160)은 역방향 디코딩을 실행하면서 에러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즉, 역방향 디코딩 도중에 데이터에 싱텍스 에러(Syntax error)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만일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역방향 디코딩의 실행을 멈춘다.
제2마크로 블록 위치 검출 과정(170)은 제2에러 판단 과정(160) 실행 도중에 에러가 발생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크로 블록인 제2마크로 블록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이다.
에러 정정 범위 결정 과정(180)은 도 2(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디코딩 에러(f.e)가 검출된 제1마크로 블록과 역방향 디코딩 에러(b.e)가 검출된 제2마크로 블록 사이의 블록 데이터를 에러 정정 범위로 결정하는 과정이다. 물론 제1마크로 블록과 제2마크로 블록도 포함된 범위이다.
순방향 디코딩 에러와 역방향 디코딩시 검출된 에러에 해당하는 에러 수정 범위의 예는 도 2의 (a), (b), (c)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 및 (b)의 경우에는 순방향 디코딩 에러와 역방향 디코딩시의 에러를 포함한 정해진 블록 데이터의 순방향 디코딩 에러와 역방향 디코딩 에러를 포함하는 마크로 블록 사이의 블록 데이터를 에러 정정 범위로 결정되고, (c)의 경우에는 순방향 디코딩 에러 및 역방향 디코딩 에러가 발생한 마크로 블록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로 단일의 마크로 블록이 에러 정정 범위로 결정된다.
에러 정정 과정(190)은 현재 디코딩 실행 중인 프레임의 에러 정정 범위가 결정된 제1마크로 블록과 제2마크로 블록 사이의 데이터를 버리고, 그 위치에 바로 앞 프레임의 제1마크로 블록과 제2마크로 블록 사이의 마크로 블록 데이터를 복사하는 과정이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에러 발생으로 인하여 버리는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멀티미디어용 비디오 데이터 처리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역방향 디코딩에 의하여 에러 정정 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정상적인 데이터의 소실을 줄일 수 있어 비디오 데이터 처리의 경우에는 고화질 재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의 데이터 구성 단위인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과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의 집합으로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는 제2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의 디코딩 시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에 있어서,
    순방향 디코딩을 실행하면서 상기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순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
    상기 순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에서 검출된 에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 위치인 순방향 에러 블록 위치를 검출하는 순방향 에러 위치 검출 과정;
    상기 순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에서 에러가 검출되면 순방향 디코딩 실행을 멈추고 디코딩 중이었던 제2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하는 마지막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부터 역방향으로 디코딩을 실행하면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역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
    상기 역방향 디코딩 에러 검출 과정에서 검출된 에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 위치인 역방향 에러 블록 위치를 검출하는 역방향 에러 위치 검출 과정; 및
    상기 순방향 에러 블록과 상기 역방향 에러 블록을 포함하는 양 에러 블록 사이를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로 설정하는 에러 정정 범위 결정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의 단위의 데이터 블록은 최소 단위의 데이터 에러 판단 블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
  3. 제1단위 데이터 블록과 첫 번째 위치에서 마지막 위치로 배열된 상기 제1단위 데이터 블록 집합을 포함하는 제2단위의 데이터 블록에 배열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 범위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첫번째의 제1단위의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순방향으로 디코딩을 실행하는 과정;
    (b) 상기 순방향 디코딩시 에러가 에러가 데이터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c) 상기 (b)과정에서 검출된 에러를 포함하는 상기 제1단위의 데이터 블록의 위치인 순방향 에러 블록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
    (d) 상기 (b)과정에서 에러가 검출된다면 상기 순방향 디코딩을 멈추고 디코딩 중이었던 제2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하는 마지막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역방향으로 디코딩을 실행하면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과정;
    (e) 상기 역방향 디코딩시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는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f) 상기 (e)과정에서 검출된 에러를 포함하는 상기 제1소정의 단위 데이터 블록의 위치인 역방향 에러 블록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
    (g) 상기 순방향과 역방향 에러 블록을 포함하는 양 에러 블록 사이를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 단위의 데이터 블록은 최소 단위의 데이터 에러 판단 블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범위에 에러 정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 방법.
KR1019970042941A 1997-02-24 1997-08-29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방법 KR100224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508097A 1997-02-24 1997-02-24
US8/805,080 1997-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911A true KR19980069911A (ko) 1998-10-26
KR100224868B1 KR100224868B1 (ko) 1999-10-15

Family

ID=2519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941A KR100224868B1 (ko) 1997-02-24 1997-08-29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0322227A (ko)
KR (1) KR100224868B1 (ko)
CN (1) CN1211121A (ko)
DE (1) DE19755372C2 (ko)
GB (1) GB23225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212A (ko) * 2019-01-28 2020-08-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영상 에러 은닉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6104C (zh) * 2004-09-15 2008-06-18 乐金电子(惠州)有限公司 分组网络中影像数据错误处理方法以及装置
US7676704B2 (en) * 2007-06-29 2010-03-09 Symantec Corporation Resource management for scalable file system recovery
CN101184250B (zh) * 2007-12-17 201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Dvb-h中多协议封装前向纠错解码的方法、系统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8009A (ja) * 1981-12-29 1983-07-13 Victor Co Of Japan Ltd デイジタル信号磁気記録再生装置
US4870645A (en) * 1988-04-20 1989-09-26 Aspen Peripherals Corp. Single syndrome generator for forward and reverse read of high density magnetic tape and method therefor
KR0135796B1 (ko) * 1994-11-14 1998-04-27 김광호 비터비복호기에서 트레이스백 수행장치
US5696774A (en) * 1994-12-01 1997-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signal recording device, digital signal playback device, and digital signal decoding device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212A (ko) * 2019-01-28 2020-08-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영상 에러 은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22227A (ja) 1998-12-04
KR100224868B1 (ko) 1999-10-15
GB2322527A (en) 1998-08-26
GB2322527B (en) 1999-05-12
DE19755372C2 (de) 2000-06-08
GB9725840D0 (en) 1998-02-04
CN1211121A (zh) 1999-03-17
DE19755372A1 (de) 199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1282B1 (en) Video signal decod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improved error concealment
US7487423B2 (en) Decoding method, medium, and apparatus
JP5031972B2 (ja) コード化情報の送信における、受信情報に対する時間遅れを低減する方法
CN1561633A (zh) 数字广播传输的可靠接收
JPH0523113B2 (ko)
JP3351645B2 (ja) 動画像信号の符号化方法
JPH08154247A (ja) 圧縮画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224868B1 (ko) 데이터 에러 정정 범위 판단방법
JPH02162887A (ja) 画像伝送誤り訂正方式
US6597741B1 (en) Digital video decoding of compressed digital pictures by correcting corrupted header information with an estimated picture size
KR20020067615A (ko) 재동기 목적을 위한 불량 프레임 표시기를 갖는 통신 시스템
JPH0496484A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再生装置
KR100215822B1 (ko) 비트스트림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영상디코딩방법
KR101313116B1 (ko) 신호 지연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995750B2 (ja) 復号化装置
JPH09149411A (ja) 復号化装置
JPH10276429A (ja) 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S58139582A (ja) フレ−ム間符号化方式
KR100266172B1 (ko) 고선명 텔레비젼(hdtv)의 에러 처리장치
JPH0385820A (ja) 誤り修正装置及び誤り修正方法
KR940017259A (ko) 데이타전송시에 발생한 에러를 처리하는 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JP3642737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JP2000013788A (ja) ビデオ圧縮ストリーム切替装置
JPH10336678A (ja) 画像信号の符号化装置
JP2001245306A (ja) 動画像信号の復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