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502A - 원형타워식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원형타워식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502A
KR19980068502A KR1019970005127A KR19970005127A KR19980068502A KR 19980068502 A KR19980068502 A KR 19980068502A KR 1019970005127 A KR1019970005127 A KR 1019970005127A KR 19970005127 A KR19970005127 A KR 19970005127A KR 19980068502 A KR19980068502 A KR 19980068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r
parking
mounting plat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주식회사 한국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주식회사 한국화스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19970005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502A/ko
Publication of KR1998006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502A/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타원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원형타워형태의 하우징안에 다단식의 차량재치판이 고정되며 차량재치판위로는 방사상으로 차를 주차시키고 엘리베이팅장치와 피니언이 장치된 감속모타에 의해 수직과 수평으로 동시에 운동하는 승강프레임과 차량보호박스를 채택하고 차를 자동으로 들어옮기는 카-캐리어를 채택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원형타워식 주차설비
제1도는 본 발명의 얼개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개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참고사시도,
제3,4,5도는 본 발명의 카-캐리어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이드로울러-어셈브리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응용실시예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 11:엘리베이팅장치
12:로프 13:승강프레임
14:H형 수직빔 15:레일
16:입차구멍 17:콘트롤게이트
18:출차구멍 19:차량보호박스
20:링기어 21:피니언기어가 장착된 감속모타
30:차량재치판 30a:바닥판
31,31a:구멍 40:가이드로울러-어셈블리
41,42:로울러 43,44:브라키트
45,46:핀 50:카-캐리어 재치판
60:카-캐리어 Z:파킹대기지역
P:파킹지역 L:승합차파킹공간
100:세단형승용차
본 발명은 원형타원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주차설비는, 직육면체 형태의 수직순환식 타원방식, 리프팅방식(Ⅰ)과 1층 또는 2층 또는 그 이상의 층수를 가지는 건물식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한 일반식(Ⅱ)으로 크게 구분된다.
위 (Ⅰ)방식은, 입고되는 차량 전체와 설비 전체가 체인에 매달려 있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파킹할 차량의 숫자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즉, 입고되는 차량 전체와 설비 전체가 체인에 매달린 채 작동이 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차량과 설비의 하중이 매우 무거운 타워의 높이를 제한시킬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형체인과 대형구동장치를 사용하고 타워의 높이를 키워서 주차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는 있지만 이 경우에는 동력소모가 너무 커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고 타워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입차시간과 출차시간이 더욱 연장되는 문제가 있어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Ⅰ) 방식은, 체인이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되면 타워내에 파킹된 차량 전체 및 설비 전체가 추락하여 설비의 파손은 물론 차량이 거의 파손되는 폐단이 있는데 (Ⅰ)의 방식은 고장의 발생률이 높아 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잦은 설비체크와 함께 보수작업을 가하여야 함은 물론 부품의 교체빈도가 높은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Ⅰ)방식은, 차를 입차시키거나 출차시킬 때 설비 전체를 움직여야 하는 문제때문에 입차 및 출차시간이 길어져서 사용자에게 지루함을 느끼게 하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시 운전자가 리프트위에 까지 차를 운전하고 가서 차를 정확히 리프트위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리프트가 흔들리지 않을 수 없어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조성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식(Ⅰ)은, 승합차나 지프와 같이 통상의 세단형승용차와 높이가 다른 즉, 세단형승용차보다 높이가 높은 차량은 주차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시스템 장체의 구조적인 문제와 전기한 바와 같은 하중 문제때문이다.
그리고 방식(Ⅰ)은, 차량의 입출고 방향이 한방향이어서 입출고시 입구쪽이 매우 복잡하고 붐비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 때문에 입출차시간이 더욱 길어지는 단점을 초래하며, 입차를 한 방향으로 다시 출차를 하여 도로로 나와야 함으로서 도로의 사용효율이 저조하며 교통량 소통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폐단이 있다.
또한 방식(Ⅰ)은, 체인구동방식으로서 설비가동시 소음이 심한 단점이 있고 리프트가 항상 흔들기기 때문에 차량이 리프트위에서 잘 고정되어 있지 못하면 리프트를 이탈하여 파손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설비를 점검코저 할때는 설비 전체를 회전시켜가면서 리프트 하나씩을 세심하게 체킹하여야 하고 체인 및 구동장치등도 함께 점검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안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방식(Ⅰ)은, 체인구동방식이라 리프트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할 수가 없어 입차 및 출차시간이 짧지못한 근본적인 단점이 있는데 리프트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할수록 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커서 이를 해결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방식(Ⅱ)는, 방식(Ⅰ)과 같이 리프트가 회전하는 타워방식이 아니고 넓은 공터에 주차를 시키는 요량과 같이 넓은 면적을 가지는 건물을 건축한 후 각 층마다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여 올라가면서 빈 주차공간이 발견되면 그 자리에 주차를 시키고 엘리베이터나 계단을 이용하여 도로로 나와야 하는다소 합리적이지 못하며 불편한 방식이다.
이는 타워방식에 비해 건축비(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고 지프나 승합와 함께 세단형승용차를 동시에 파킹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자동 또는 반자동 파킹시스템이 아니어서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하며, 운전자가 직접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찾아낸 후 그 자리에 주차를 시키고 다시 도로로 나오는 방식이기 때문에 주차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단위공간당 타워방식보다 주차댓수가 적은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으며,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면서 입차 및 출차를 하여야 함으로서 대인 사고나 차량 접촉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폐단을 안고 있다.
또한 입차구멍에서 모든 차량을 관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도난사고 및 강도사건등이 발생될 우려가 높아 반드시 1인 이상의 관리인이 투입되어야 하는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번잡하고 유휴면적이 없는 도시에서는 방식(Ⅱ)와 같은 넓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가 힘들기 때문제 도심내에서의 방식(Ⅱ)의 타입은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런데 도심지역의 토지가격은 매우 비싼편이어서 사실상 방식(Ⅱ) 역시 경제적인 방법은 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주차방식에서 비롯된 각종 단점과 폐단,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는 주차설비를 제공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중앙에 구멍(31a)이 형성되고 파킹대기지역(Z) 1곳과 방사상으로 파킹지역(P)이 표시된 바닥판(30a) 위로 원통형의 하우징(10)을 설치하되 하우징(10)의 외부 윗면 중앙으로는 통상의 엘리베이팅장치(11)를 장치한 다음, 하우징(10)의 하단에는 입차구멍(16)을 형성하고 그 반대쪽에는 출차구멍(18)을 형성하며 입차구멍(16)의 바깥면에는 설비 전체를 콘트롤하는 콘트롤박스가 장치된 콘트롤게이트(17)를 장치한 후, 상기 엘리베이팅장치(11)에 구성된 4가닥의 로프(12) 끝에는 승강프레임(13)이 매달린 채 고정되도록 하되 승강플레임(13)의 상면에는 피니언기어가 장치된 감속모타(21)를 설치하고, 승강프레임(13)의 전후로는 레일(15)이 조립된 H형 수직빔(14)을 조리합 다음, 바닥판(30a)의 구멍(31a)속에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는 카-캐리어 재치판(50) 윗면 중앙에 차량보호박스(19)를 조립하고 차량보호박스(19)의 윗면 중앙에 링기어(20)를 조립하며 링기어(20)의 축은 승강프레임(13)의 저면 중앙부에 조립하되 베어링을 회전매체로 하여 회전토록 하는데 피니언기어가 장치된 감속모타(21)의 피니언이 링기어(20)에 치합되도록 한 다음, 차량의 바퀴 4개를 밑에서 위로 떠 받는 시스템을 가지면서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원격조종이 가능하도록 카-캐리어(60)가 상기한 카-캐리어 재치판(50)의 중앙에 위치토록 한 후, 중앙으로는 상기한 카-캐리어 재치판(50)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구멍(31)이 형성되고 윗면으로는방사상으로 파킹지역(P)이 표시된 차량재치판(30)을 하우징(10) 속에 다단식으로 설치하되 차량재치판(30)끼리의 간격은 세단형승용차가 무리없이 출입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시키며, 차량재치판(30) 전부에 형성된 구멍(31)의 4개소에는, 안쪽의 로울러(41) 양쪽으로 2개의 로울러(42)가 설치된 가이드로울러-어셈브리(40)를 조립하여 상기한 승강프 레임(13)의 레일(15)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서 완성됨이 특징인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제1도의 상태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인데, 바닥판(30a)의 파킹대기지역(Z)에 세단형승용차(100)가 위치하게 되면 파킹기능이 개시된다.
즉, 운전자는 차량을 파킹대기지역(Z)까지만 운전하여 간 후 차량에서 내리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우징에 고정된 채 요동치 않는 바닥판(30a) 위에 차량을 정지시킨 후 차량에서 내리면 되기 때문에 심리적 불안감을 초래치 않을 뿐만아니라 특히 안전한 효과가 있으며, 시야가 가려지지 않고 주위에 방해물이 없는 상태에서 파킹대기지역(Z)으로 차량을 진입시키기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역시 심리적 불안감을 느기지 못하며 신속히 행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 제3도에 해당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차량대기지역(Z)에 위치시키면 1인의 관리자는 즉시 콘트롤게이트(17)의 콘트롤박스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제4도와 같이 카-캐리어(60)를 카-캐리어 재치판(50)으로부터 세단형승용차(100)가 위치하고 있는 차량대기지역(Z)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하우징(10) 내에 비어있는 파킹지역(P)의 위치를 콘트롤박스에 입력시킨다.
그 이후의 작동은 전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차량대기지역(Z)으로 이동한 카-캐리어(60)에는 자동리프트가 장치되어 있는데, 자동리프트장치의 리프트는 세단형승용차(100)의 바퀴 4개를 밑에서 위로 떠 받혀 세단형승용차(100)의 바퀴 4개가 바닥판(30a)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그 즉시 카-캐리어(60)은 세단형승용차(100)를 들어올린 채 제5도와 같이 다시 카-캐리어 재치판(50) 위로 원위치됨과 동시에 엘리베이팅장치(11)가 작동하여 승강프레임(13)과 이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보호박스(19) 및 카-캐리어 재치판(50)위에 위치하고 있는 카-캐리어(50)와 세단형승용차(100)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승강프레임(13)의 피니언기어가 장치된 감속모타(21)가 작동하여 차량보호박스(19)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관리인이 지정한 파킹지역(P) 까지 승강프레임(13)이 도달한 후 카-캐리어(60)가 파킹지역(P)으로 이동하여 세단형승용차(100)를 파킹지역(P)에 정확한 파킹시킥 위해서는 파킹지역(P)의 길이방향 중심과 카-캐리어(60)의 길이방향 중심이 일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승강프레임(13)은 수직으로 상승하기만 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요령에 의해 차량보호박스(19)는 회전하여 파킹대기지역(P)의 기리방향 중심과 카-캐리어(60)의 길이방향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이다.
승강프레임(13)이 비어있는 파킹지역(P)의 위치에 정확히 도달하면 엘리베이팅장치(11)는 정지하고 그 즉시 카-캐리어(60)는 파킹지역(P)으로 이동한 후 리프트를 내려서 세단형승용차(100)가 파킹지역(P)에 정확히 파킹되도록 한 다음 카-캐리어 재치판(50)으로 즉시 원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관리자가 콘트롤박스를 통해 차량재치판(30) 상의 다른 차량을 출고시키라는 명령이 내려져 있는 상태이면 다시 엘리베이팅장치(11)가 작동하여 승강프레임(13)을 출고할 차량이 있는 위치로 보낸다.
출고할 차량의 위치에 승강프레임(13)이 도착하면 카-캐리어(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30a) 위의 파킹대기지역(Z)에 있던 세단형승용차를 리프팅하여 리동시키는 요령과 동일한 요령에 의해 출고될 차를 리프팅하여 카-캐리어 재치판(50) 위로 원위치하게 되고 엘리베이팅장치(11)의 작동에 의해 승강프레임(13)은 하강한다.
승강프레임(13)이 하강하여 카-캐리어 재치판(50)이 바닥판(30a)의 구멍(31a)안에 위치하면서 바닥판(30a)과 수평을 이룬 채 정지하면 즉시 카-캐리어(60)는 출차구멍(18) 쪽으로 이동한 다음 차를 바닥판(30a)위에 내려 놓고 카-캐리어 재치판(50) 위로 원위치한다.
그러면 운전자는 차에 탑승하는 즉시 행선지로 향할 수 있다.
만일 차를 파킹시킨 후 다른 차를 출고하라는 명령이 없을 경우에는 승강프레임(13)은 카-캐리어(60)를 실은 채 바로 하강하여 다음 파킹을 위한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그 이후의 작동요령은 반복된다.
이상과 같은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은, 파킹된 차량의 숫자가 동일한 조건하에서 비교할 때 전술한 방식(Ⅰ)에 비해 70% 정도가 절감되는 특징과 함께, 파킹된 차량의 숫자가 동일한 조건에서 방식(Ⅰ)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하우징(10)은 방식(Ⅰ)의 하우징보다 전체적인 규모가 절반에도 이르지 않는 소형의 규모로서 실시가 가능한 큰 특징이 있다.
즉, 설비면적에 비해 주차시킬 수 있는 차량의 숫자가 많은 점과 현재의 주차시설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신속한 입출고가 가능하며 전체적으로 불안전하거나 비합리적인 면이 없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대두된다.
승강프레임은, 차량재치판에 설치된 가이드로울러-어셈블리(40) 안으로레일이 이동하는 방식이어서 레일이 고정된 채 로울러가 접촉되어 이동하는 방식보다 더욱 안전하고 진동이 적으며, 로울러가 항시 회전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로울러에 발생되는 고장이 거의 없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로프(12)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팅장치(11)를 채택하여 승강프레임(13)을 고속으로 상승,하강시킬 수 있고 승강프레임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차량보호박스(19)를 회전시켜 주는 즉,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특징이 있으며, 다단식의 차량재치판(30)은 하우징안에서 고정되어 있고 승강프레임과 카-캐리어만이 고속으로 이동을 하면서 차를 파킹시키거나 출고시킬 수 있는 주차설비인 것이다.
따라서 차를 파킹하거나 출고시키고저 할 때 차량이 재치되어 있는 설비 전체를 작동시켜야 하는 방식(Ⅰ)의 주차설비보다 차량의 입출고시간이 특히 짧아지는 효과가 있고, 고장발생의 소지가 거의 없으며 따라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 또한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입출고시 운전자의 안전을 최대한으로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작동시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정숙작동이 가능하여 소음공해의 문제가 해결되며 이로서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조성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바닥판(30a) 및 차량재치판(30)이 하우징안에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출고시 운전자에게 공포감과 불안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의 입출고시간이 획기적으로 짧아지는 효과와 함께 고정된 차량재치판에 차를 파킹시키기 때문에 차량이 파손될 우려가 거의 없는 안전한 효과가 있고, 차량재치판(30)과 바닥판(30a)상에 차를 방사상으로 파킹시킬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해 입차구멍과 출차구멍을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설택할 수 있어 주변의 여건에 따라 가장 합리적인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발생의 우려가 거의 없고 안전한 시스템을 채택함으로서 잦은 보수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으며, 보수를 할 부분도 승강프레임과 카-캐리어, 엘리베이팅장치 정도로 국한되며 이들은 바닥에 위치되거나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어 보수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할 우려가 거의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재치판(30)을 보수하거나 점검할 때에도 차량재치판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은 최대로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형의 하우징 외부면적 즉, 하우징 외부의 짜투리 공간은 사무실이나 부품창고 및 기타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설비를 운용키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장점이 크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차량재치판사이의 간격을 2개소 정도에 특별히 크게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인데, 세단형승용차보다 높이가 높은 승합차나 지프등을 주차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재치판은 하우징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이 크거나 좁아도 주차기능에는 전혀 하자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작동에도 아무런 악영향을 끼치지 않음으로서 승합차나 지프의 주차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어 역시 방식(Ⅰ)의 주차설비와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식(Ⅰ)의 주차설비와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많은 유용한 효과가 있지만 방식(Ⅱ)와 비교하여도, 실비비만 다소 비싼 점 이외에는, 차량의 입출고 시간이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짧고 차량의 입출고시 접촉사고 혹은 대인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전혀없으며 도난사고나 강도사건이 발생될 우려 또한 전무한 것이고, 1인 이상의 관리자를 채용할 필용한 없음은 물론 단위면적에 비해 주차시킬 수 있는 차량의 숫자는 가히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차이가 있는 등 방식(Ⅱ)는 본 발명의 주차설비와 가히 비교될 수 없는 것이라 하겠다.
기타 본 발명은, 하우징의 형태를 미관이 미려한 돔-형으로 구성시키면 도시미관의 개선차원에서 매우 유용하고 원형타워식이기 때문에 지진이나 강풍에 대한 내구력이 강하여 안전함은 물론 매우 경제저인 설비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재치판과 바닥판은 철구조물로 구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나 강화플라스틱, FRP, 목재와 금속의 조합물 등을 소재로 채택할 수 있고, 하우징 또한 현존하는 다양한 소재를 채택하여 아름답고 강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바닥판(30a)의 아래에는 지하공간을 확보한 다음 지상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차량재치판을 설치할 수 있는데 지하공간을 확보하면 지상으로 노출된 하중의 높이를 낮추면서 차량의 주차공간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어 지하공간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카-캐리어(60)는 차량의 바퀴를 밑에서 떠 받히는 방식이나 차체의 바닥을 떠 받히는 방식 또는 차량의 위에서 차를 떠 올리는 방식 등으로 시스템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있고, 카-캐리어 자체의 이동수단은 바퀴구름방식이나 캐터필터방식 또는 공기부양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콘트롤박스 조작을 통하지 않고 자체진단 기능을 갖춘 컴퓨터시스템을 적용하면 차량의 입출고를 전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운전자가 차량을 파킹대기지역(Z)에위치시키만 하면 그 후 자동적으로 빈 주차공간에 차량이 파킹되며 관리자는 출고될 차량의 번호만 키보드로서 컴퓨터에 입력시켜주기만 하면 자동출고가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주차설비의 획기적인 변화를 도모하여 개개인이 매우 분주하고 구성 자체가 복잡다단한 도심속에서 특히 진가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중앙에 구멍(31a)이 형성되고 파킹대기지역(Z) 1곳과 방사상으로 파킹지역(P)이 표시된 바닥판(30a)위로 원통형의 하우징(10)을 설치하되 하우징(10)의 외부 윗면 중앙으로는 통상의 엘리베이팅장치(11)를 장치한 다음, 하우징(10)의 하단에는 입차구멍(16)을 형성하고 그 반대쪽에는 출차구멍(18)을 형성하며 입차구멍(16)의 바깥면에는 설비 전체를 콘트롤하는 콘트롤박스가 장치된 콘트롤게이트(17)를 장치한 후, 상기한 엘리베이팅장치(11)에 구성된 4가닥의 로프(12) 끝에는 승강프레임(13)이 매달린 채 고정되도록 하되 승강프레임(13)의 상면에는 피니언기어가 장치된 감속모타(21)를 설치하고, 승강프레임(13)의 전후로는 레일(15)이 조립된 H형 수직빔(14)을 조립한 다음, 바닥판(30a)의 구멍(31a) 속에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는 카-캐리어 재치판(50) 윗면 중앙에 차량보호박스(19)를 조립하고 차량보호박스(19)의 윗면 중앙에 링기어(20)를 조립하며 링기어(20)의 축은 승강프레임(13)의 저면 중앙부에 조립하되 베어링을 회전매체로 하여 회전토록 하는데 피니언기어가 장치된 감속모타(21)의 피니언이 링기어(20)에 치합되도록 한 다음, 차량의 바퀴 4개를 밑에서 위로 떠 받히는 시스템을 가지면서 자체의 동력으로이동할 수 있으며 원격조종이 가능하도록 한 카-캐리어(60)가 상기한 카-캐리어(50)의 중앙에 위치토록 한 후, 중앙으로는 상기한 카-캐리어 재치판(50)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구멍(31)이 형성되고 윗면으로는 방사상으로 파킹지역(P)이 표시된 차량재치판(30)을 하우징(10) 속에 다단식으로 설치하되 차량재치판(30) 길이의 간격은 세단형승용차가 무리없이 출입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시키며, 차량재치판(30) 전부에 형성된 구멍(31)의 4개소에는, 안쪽의 로울러(41) 양쪽으로 2개의 로울러(42)가 설치된 가이드로울러-어셈브리(40)를 조립하여 상기한 승강프레임(13)의 레일(15)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서 완성됨이 특징인 원형타워식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재치판(30)의 상하 간격은, 2-3개소 정도에 승합차 혹은 지프가 주차될 수 있는 승합차파킹공간(L)이 형성되도록 크게 구성됨이 특징인 원형타원식 주차설비.
KR1019970005127A 1997-02-17 1997-02-17 원형타워식 주차설비 KR19980068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127A KR19980068502A (ko) 1997-02-17 1997-02-17 원형타워식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127A KR19980068502A (ko) 1997-02-17 1997-02-17 원형타워식 주차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02A true KR19980068502A (ko) 1998-10-26

Family

ID=6598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127A KR19980068502A (ko) 1997-02-17 1997-02-17 원형타워식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77B1 (ko) * 2004-10-13 2014-06-10 프리돌린 스투츠 차량 주차용 전자동 이동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신속하고경제적이며 조밀한 주차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77B1 (ko) * 2004-10-13 2014-06-10 프리돌린 스투츠 차량 주차용 전자동 이동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신속하고경제적이며 조밀한 주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664B1 (ko) 최대자동차주차장치
CN114837479A (zh) 横跨道路空中钢构层级堆垛车库、存取车及过道路方法
JPH06280418A (ja) 自動車駐車場
KR19980068502A (ko) 원형타워식 주차설비
JPH11217950A (ja) 駐車設備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361774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における組立式ゴンドラ
JPH06248820A (ja) 多層垂直昇降形立体駐車装置
JP2746765B2 (ja) 2階ガレージ架台
JP3094713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3016229B1 (ja) 多段横行フレ―ム駐車装置
JP2932879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H0423166Y2 (ko)
KR100442082B1 (ko) 계단식 조명탑
JPH0113149Y2 (ko)
JP2730459B2 (ja) 自走式・機械式併用型立体駐車場
JPH05133129A (ja) 複層式地下駐車設備の据付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運搬装置
JPH0316997Y2 (ko)
JP3160801B2 (ja) ホーク式格納塔のホーク間隙閉鎖機構
RU2210422C1 (ru) Аттракцион савиновского в.г.
JP3240490B2 (ja) 立体駐車装置の車両入出庫装置
CN115788133A (zh) 一种基于地坑式智能立体车库的人车防坠系统及方法
JPH0718909A (ja) 立体多段ロータリー式駐車機
KR20090103297A (ko) 주차 시설
JPH0420926Y2 (ko)
KR20010025937A (ko) 주택가 도로변용 다층 주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