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891U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891U
KR19980067891U KR2019970012511U KR19970012511U KR19980067891U KR 19980067891 U KR19980067891 U KR 19980067891U KR 2019970012511 U KR2019970012511 U KR 2019970012511U KR 19970012511 U KR19970012511 U KR 19970012511U KR 19980067891 U KR19980067891 U KR 199800678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se
electric vehicle
holder
clamp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남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2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891U/ko
Publication of KR19980067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891U/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개의 배터리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를 견고히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배터리가 베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배터리(20)가 안착되며, 배터리(20)를 좌우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격벽(13,13')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상의 격벽(13,13') 사이에서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브라켓(50)과; 상기 브라켓(50)에 결합되어 배터리(20)를 감싸서 고정하며, 일단에 조임부(61)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조임부(61)에 체결되는 걸림홈(62)이 다수 형성된 띠형상의 홀더(60)와; 상기 배터리(2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터리(20)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상부에는 홀더(60)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관통공(71)을 갖는 간격유지판(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여러개의 배터리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를 견고히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배터리가 베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용 엔진으로 널리 사용하는 가솔린 기관을 비롯한 내연기관은 연료를 실린더 내에서 연소시켜, 이때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내연기관에 있어서, 연소 후에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는 연소에 의한 질소산화물과 불완전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와 같은 유해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대기를 오염시킨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 문제 및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해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는 태양열이나 전기와 같은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자동차용 엔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자동차용 엔진 중에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방식의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는 가장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편으로, 가솔린기관의 휘발유 대신에,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때 발생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에 의해 감속시킨 다음, 차동장치를 통해 좌·우측 구동륜으로 전달하여 차량의 주행을 가능케 하는 구조를 지닌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에 배터리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에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여러개의 배터리(20)를 고정할 경우 장방형의 베이스(10) 상단에 다수개의 배터리(20)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20) 사이에 위치한 베이스(10)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공(11)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공(11)에 비교적 길이가 긴 볼트(30)를 삽입하되 볼트머리(31)가 베이스(10)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20)들의 상단 사이에 T형상으로서, 그 중간부위에 나사공(41)이 형성된 고정편(40)을 배치하고, 상기 고정편(40)에 베이스(10)의 체결공(11)을 통과한 볼트(30)를 체결하여 배터리(20)를 베이스(10)에 밀착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터리를 베이스에 고정할 경우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배터리를 베이스에 고정하기 위하여는 고정편의 나사공이 베이스의 체결공 상단에 위치되도록 고정편을 배터리의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베이스에 고정하여야 함으로 작업자가 작업하기가 번거로움은 물론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고정편에 결합되는 볼트의 장력을 균등하게 작업하지 않으면 전기자동차가 좌,우로 심하게 회전한다든지 또는 비포장도로를 주행할 경우 배터리와 고정편이 상호 마찰을 일으키면서 소음이 발생함과 아울러, 배터리가 고정편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여러개의 배터리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를 견고히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배터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에 배터리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에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동차에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동차에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가 홀더에 의하여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13: 격벽
20: 배터리50: 브라켓
60: 홀더61: 조임부
62: 걸림홈70: 간격유지판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배터리가 안착되며, 배터리를 좌우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격벽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의 격벽 사이에서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배터리를 감싸서 고정하며, 일단에 조임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조임부에 체결되는 걸림홈이 다수 형성된 띠형상의 홀더와; 상기 배터리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터리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상부에는 홀더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관통공을 갖는 간격유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동차에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동차에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가 홀더에 의하여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는 장방형의 베이스(10) 상단에 전후로 배터리(20)가 안착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막는 격벽(13,13')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10)의 격벽(13,13')사이에 다수의 배터리(20)를 간격을 두며 안착시켰을 경우 배터리(20)와 배터리(20) 사이에 위치되는 베이스(10) 상단에 단면 ㄷ형상의 가이드홈(51)이 형성된 브라켓(50)이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50)에는 홀더(60)가 관통하여 고정되는데, 상기 홀더(60)는 띠형상으로서 일단에 나사산(61a)이 구비된 회동체(61b)를 갖는 조임부(61)가 형성되고, 타단에 조임부(61)의 나사산(61a)에 체결되는 걸림홈(62)이 다수 구비되어 회동체(61b)의 회동에 따라 걸림홈(62)이 나사산(61a)을 타고 이동되며,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것으로 상기 홀더(60)가 브라켓(50)과 결합하여 배터리(20)를 감싸게 된다. 상기 배터리(20)의 상단을 지나는 홀더(60)에는 배터리(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홀더(60)가 삽입되는 관통공(71)이 구비된 간격유지판(70)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가 홀더에 의하여 베이스에 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1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브라켓(50)의 가이드홈(51)으로 홀더(6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배터리(20)가 브라켓(50)과 브라켓(5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10)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배터리(20)의 전면과 후면이 베이스(10)의 전후에 형성된 격벽(13,13')에 밀착고정된다. 배터리(20)가 베이스(10)의 상단에 결합된 브라켓(50)과 브라켓(50)의 사이에 안착되면 홀더(60)를 이용하여 브라켓(50)을 관통시켜서 배터리(20)를 감싼 다음 회동체(61b)를 정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회동체(61b)를 정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홀더(60)가 배터리(20)를 조임으로써, 배터리(20)가 베이스(10)의 상단에 밀착고정된다. 즉, 배터리(20)의 전면 및 후면이 베이스(10)의 전후면에 형성된 격벽(13,13')에 밀착된 상태에서 홀더(60)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밀착고정되어 있음으로 배터리(2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베이스(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반대로, 배터리(20)를 베이스(10)에서 이탈시킬 경우 회동체(61b)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배터리(20)를 베이스(10)에 밀착고정시킨 홀더(60)가 느슨하게 됨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배터리(20)를 베이스(10)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격벽(13,13')은 전기자동차가 좌우로 흔들릴 경우 배터리(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고, 간격유지판(70)은 홀더(60)가 조여질 경우 배터리(20)와 배터리(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는 장방형의 베이스 상단에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하는 격벽과, 다수의 배터리를 동시에 감싸서 고정하는 띠형상의 홀더를 결합한 배터리 클램핑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배터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개의 배터리를 용이하게 고정함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배터리(20)가 안착되며, 배터리(20)를 좌우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격벽(13,13')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상의 격벽(13,13') 사이에서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브라켓(50)과;
    상기 브라켓(50)에 결합되어 배터리(20)를 감싸서 고정하며, 일단에 조임부(61)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조임부(61)에 체결되는 걸림홈(62)이 다수 형성된 띠형상의 홀더(60)와;
    상기 배터리(2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터리(20)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상부에는 홀더(60)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관통공(71)을 갖는 간격유지판(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60)의 조임부(61)에는 회동체(61b)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체(61b)의 회전에 의해서 걸림홈(62)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 배터리(20)를 조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들간의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0)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KR2019970012511U 1997-05-30 1997-05-30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KR199800678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511U KR19980067891U (ko) 1997-05-30 1997-05-30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511U KR19980067891U (ko) 1997-05-30 1997-05-30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891U true KR19980067891U (ko) 1998-12-05

Family

ID=6968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511U KR19980067891U (ko) 1997-05-30 1997-05-30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8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67B1 (ko) * 2010-08-10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지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67B1 (ko) * 2010-08-10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지 모듈
US9203065B2 (en) 2010-08-10 2015-12-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209B2 (en) Shielding component, a heat shield in particular
US201600764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Emissions in Exhaust of Vehicles and Producing Electricity
ES2156448T3 (es) Procedimiento para el reconocimiento de anomalias en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y en el sistema de post-tratamiento de los gases de escape por medio de la medicion de componentes contaminantes contenidos en los gases de escape durante el arranque en frio y durante la marcha.
KR19980067891U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JPH1122566A (ja) 内燃機関の燃焼促進補助装置
BR9909141A (pt) Processo para operação de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KR0139011Y1 (ko)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트레이 보강구조
KR200154828Y1 (ko) 상부 캡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트레이
KR19980018208U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클램핑구조
KR0171174B1 (ko) 전기자동차용 인버터 장착구조
Maji et al. Comparison of emissions and fuel consumption from CNG and gasoline fueled vehicles-effect of ignition timing
KR19980022834U (ko) 냉각홀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트레이
JP2012046067A (ja) 自動二輪車の電装部品取付構造
US20060063444A1 (en) Ground wire connecting structure
KR19980022836U (ko)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트레이 보강구조
JP3849811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リヤフェンダ取付け構造
US6152100A (en) Spare spark plug holder for snowmobiles
KR102682602B1 (ko) 배터리 탑재공간을 확장시킨 전기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JP3047452U (ja) 内燃機関の燃焼促進補助装置
KR100326701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RU4727U1 (ru) Колес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0252520B1 (ko) 전기자동차의 집전체와 단자의 연결구조
JP2000265909A (ja) 定格運転中に発生する二酸化炭素、一酸化炭素及び窒素酸化物の排出濃度を低減する燃焼空気並び燃料の保温処理方法及び保温処理材、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22835U (ko) 상부 캡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트레이
KR20240037009A (ko)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