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009A -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009A
KR20240037009A KR1020220115762A KR20220115762A KR20240037009A KR 20240037009 A KR20240037009 A KR 20240037009A KR 1020220115762 A KR1020220115762 A KR 1020220115762A KR 20220115762 A KR20220115762 A KR 20220115762A KR 20240037009 A KR20240037009 A KR 20240037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outer pipe
assembly guide
electric vehicle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009A/ko
Publication of KR20240037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0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 프레임의 장착 홀에 삽입되고, 아우터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아우터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 사이에 형성된 메인 러버를 구비하는 부시 및 상기 부시가 상기 장착 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르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부시에 대한 조립을 가이드 하는 조립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DEVICE OF BUSH MOUNT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되되, 탈착이 가능하여 파손 등의 발생 시 용이하게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가솔린 엔진과 디젤 엔진이 장착된 차량은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이산화탄소로 인한 지구온난화, 오존 생성 등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유발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구상에 존재하는 화석연료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언젠가 고갈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이를 위해,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나, 엔진과 구동 모터로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연료 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으로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연료전지 자동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 등과 같은 자동차가 개발되어 왔다.
통상, 차량의 엔진은 구조적으로 항상 진동이 발생 될 뿐만 아니라, 주행 중 요철 등에 따라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모든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된다.
특히, 가솔린 엔진이 적용된 차량은 4 행정 싸이클을 통해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순서로 피스톤이 작동하면서,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고, 이 과정에서 상당한 진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진동을 절연하기 위해 차량의 엔진을 지지하는 엔진 마운트에 대한 개발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가솔린 엔진에서 발생되는 주가진력 등에 대한 절연율을 확보하는 것을 가장 목적으로 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구동 모터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는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과 같은 폭발 등의 피스톤 왕복 운동이 없기 때문에, 모터 마운트의 역할이 쇼크 진동, 저크(jerk) 진동, 주행 진동, 기어 화인 소음 등을 절연하는 것과 같이,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의 엔진 마운트의 역할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모터 마운트는 대부분 서브프레임 또는 모터 하우징 내측에 강체 압입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모터 마운트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모터 마운트의 탈착이 불가능하므로, 서브프레임을 교환해야 하며, 만일 탈착 가능하다 하더라도, 모터 마운트의 강체 압입 시 서브프레임 내측이 소성 변형되었기 때문에, 그 위치가 완벽하게 고정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 프레임에 부시를 압입하여 장착이 이루어지게 함에 있어서, 부시를 구성하는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서브 프레임의 장착 홀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하되, 조립 가이드의 압입에 의해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확장되게 함으로써, 아우터 파이프가 장착 홀의 내경에 밀착되어 부시의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서브 프레임의 손상 없이 부시의 조립성이 향상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동일한 방식으로 탈착 또한 가능하므로, 부시의 파손 등의 발생 시 용이하게 부시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는 서브 프레임의 장착 홀에 삽입되고, 아우터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아우터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 사이에 형성된 메인 러버를 구비하는 부시; 및 상기 부시가 상기 장착 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르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부시에 대한 조립을 가이드 하는 조립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조립 가이드가 삽입됨에 따라, 일측의 피봇점을 기준으로 타측이 벌어지며 확장되도록 상하로 절개된 절개 영역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절개 영역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조립 가이드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체결 홈을 구비하되, 상기 체결 홈은 상기 조립 가이드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체결 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는 상기 조립 가이드를 관통하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체결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삽입된 조립 가이드의 위치를 이동 및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조립 가이드를 상기 절개 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확장되게 하며,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조립 가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확장된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축소되게 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장착 홀을 형성하는 외측 테두리 및 내측 테두리에 걸림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와 동일한 재질 및 곡률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는 서브 프레임의 장착 홀에 삽입되고, 아우터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아우터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 사이에 형성된 메인 러버를 구비하는 부시, 상기 부시가 상기 장착 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르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부시에 대한 조립을 가이드 하는 조립 가이드 및 상기 조립 가이드를 관통하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부에 체결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삽입된 상기 조립 가이드의 위치를 이동 및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브 프레임에 부시를 압입하여 장착이 이루어지게 함에 있어서, 부시를 구성하는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서브 프레임의 장착 홀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하되, 조립 가이드의 압입에 의해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확장되게 함으로써, 아우터 파이프가 장착 홀의 내경에 밀착되어 부시의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서브 프레임의 손상 없이 부시의 조립성이 향상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한 방식으로 탈착 또한 가능하므로, 부시의 파손 등의 발생 시 용이하게 부시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압입에 의해 부시가 장착됨에 따라, 탈착이 어려워 서브 프레임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부재가 풀린 상태로 부시를 장착 홀에 인입시키고, 그 상태에서 공구를 통해 체결부재가 아우터 파이프의 내부에 체결되게 하여, 조립 가이드의 이동 및 고정에 의한 부시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부시의 조립을 위한 장비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 확장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체결 홈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 확장의 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부시의 장착 홀 삽입 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부시의 장착 홀 삽입 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걸림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피봇점의 변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 확장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체결 홈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 확장의 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부시의 장착 홀 삽입 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부시의 장착 홀 삽입 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걸림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에 대한 피봇점의 변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는 부시(100) 및 조립 가이드(200)를 포함한다.
부시(100)는 서브 프레임(10)의 장착 홀(H)에 삽입되고, 아우터 파이프(110)와 이너 파이프(120) 및 아우터 파이프(110) 및 이너 파이프(120) 사이에 형성된 메인 러버(130)를 구비하며, 모터 및 감속기 측과의 결합을 위한 이너 코어(140)가 이너 파이프(120)의 내부에 압입되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전기자동차 플랫폼 개발 시, 모터 및 감속기룸의 패키지 단순화, 컴팩트화 등을 위하여 부시(100)를 대부분 서브 프레임(10)에 압입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아우터 파이프(110)를 서프 프레임(10)에 강제로 압입하여 조립, 부시(10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압입 과정에서 스틸 재질의 아우터 파이프(11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서브 프레임(10)을 소성 변형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부시(100)를 탈착할 경우, 서브 프레임(10)의 장착 홀(H)은 이미 변형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부시(100)를 다시 장착하게 되면, 장착 홀(H)의 내경이 커진 상태이므로, 압입에 의한 재고정이 어렵게 된다.
결국, 부시(100)의 파손 등의 발생 시, 교환을 위하여 탈착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문제에 의해, 부시(100) 뿐만 아니라, 서브 프레임(10) 전체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서브 프레임(10)에서 부시(100)가 조립되기 위한 장착 홀(H)이 양쪽으로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면, 압입 지그 등의 장착이 유리하기 때문에, 부시(100)의 압입력과 압입 지그의 반력이 동일하게 작용, 변형 등의 발생 없이 용이하게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만일 장착 홀(H)이 서브 프레임(10)의 내측에서 한 쪽으로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면, 압입 지그의 장착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부시(100)의 압입력과 반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부시(100)의 변형 등에 의해 장착 홀(H)에서 이탈하게 되어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시(100)에 대한 통상의 이탈력인 1000kgf 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착 홀(H)에 압입되는 부시(100)의 압입력이 이탈력의 약 4 ~7 배의 힘을 통해 압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서브 프레임(10) 및 부시(100)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립 가이드(200)는 아우터 파이프(110)와 동일한 재질 및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부시(100)가 장착 홀(H)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르며 아우터 파이프(110)에 삽입되게 하고, 이를 통해 아우터 파이프(100)의 외경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부시(100)에 대한 조립을 가이드 하도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가이드(200)는 아우터 파이프(1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데, 이와 같이 아우터 파이프(110)의 내부로 조립 가이드(200)가 삽입됨에 따라, 일측의 피봇점(112)을 기준으로 타측이 벌어지며 확장될 수 있도록 아우터 파이프(110)는 상하로 절개된 절개 영역(A)을 구비한다.
여기서, 피봇점(112)은 타측이 벌어짐에 따라 내부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도 2 참조), 이러한 구조는 정해진 구조는 아니며, 아우터 파이프(110)의 탄성력이 낮아짐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아우터 파이프(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 영역(A)의 전방에 형성되어 조립 가이드(200)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체결 홈(114)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체결 홈(114)에 조립 가이드(200)가 삽입되어 이동함에 따라, 절개 영역(A)이 상하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아우터 파이프(110)의 외경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홈(114)은 조립 가이드(20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립 가이드(200)는 체결 홈(11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쐐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가이드(200)가 체결 홈(114)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형상에 의해 체결 홈(114)의 폭이 증대되게 하고, 그에 따라 절개 영역(A)이 상하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아우터 파이프(110)의 외경이 절개 영역(A)이 벌어진 만큼 증대, 장착 홀(H)에 내경과 완전하게 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아우터 파이프(110)의 외경이 장착 홀(H)의 내경과 완전하게 접한 상태에서는 조립 가이드(200)의 이동 위치가 고정되어야 그 조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체결부재(300)가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로 적용되어, 조립 가이드(2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동 위치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부재(300)는 조립 가이드(200)를 관통하며 아우터 파이프(100)에 체결되는데,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가이드(200)가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 즉 절개 영역(A)이 벌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부시(100)가 장착 홀(H)에 삽입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1)를 이용하여 조립 가이드(200)의 위치를 체결 홈(114)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체결부재(300)가 아우터 파이프(110)에 구비된 체결 너트(116)에 체결된 상태로 회전하며 이동하게 되므로(도 3 참조), 조립 가이드(200)의 이동 및 체결에 따른 이동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체결부재(300)는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조립 가이드(200)를 절개 영역(A)으로 이동시켜, 체결 홈(114)의 폭이 벌어지며 아우터 파이프(110)의 외경이 확장되게 하며,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조립 가이드(2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확장된 아우터 파이프(110)의 외경이 장착 홀(H)의 내경 보다 작아지도록 축소되게 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위치에 위치된 조립 가이드(200)를 장착 홀(H)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3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립 가이드(200)의 위치가 이동 및 고정되게 함으로써, 아우터 파이프(110)의 확장된 외경이 장착 홀(H)의 내경과 접하게 되며 부시(100)에 대한 조립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부시(100)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체결부재(3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립 가이드(20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아우터 파이프(110)의 외경이 장착 홀(H)의 내경 보다 작아지도록 축소되게 함으로써, 부시(100)가 용이하게 서브 프레임(10)에서 탈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10)에 부시(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선택적으로 조립 가이드(200)의 위치를 이동시켜 아우터 파이프(110)의 외경을 축소시키게 되면, 부시(100)를 장착 홀(H)에서 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시(100)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을 극대화, 다시 말해 종래와 같이 부시(100)의 손상 발생 시 서브 프레임(10)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부시(100)의 조립 및 탈착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브 프레임(10)의 장착 홀(H)에 부시(100)를 삽입한다.
여기서, 아우터 파이프(110)는 조립 가이드(200)가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장착 홀(H)의 삽입됨에 따라, 그 외경이 장착 홀(H)의 내경 보다 작은 상태가 되므로, 부시(100)가 용이하게 장착 홀(H)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우터 파이프(110)에는 걸림부재(118)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러한 걸림부재(1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홀(H)을 형성하는 서브 프레임(10)의 외측 테두리(12) 및 내측 테두리(12)에 걸림 위치되어, 추후 조립을 위한 기준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장착 홀(H)의 내부에서 부시(100)의 이탈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후에, 체결부재(300)가 체결 너트(116)에 체결된 상태에서,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조립 가이드(200)가 체결 홈(114)의 내부로 이동하게 하며, 그에 따라 체결 홈(114)의 형상에 대응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 가이드(200)의 이동에 의해, 내부 영역(A)이 상하로 벌어지게 되면서, 아우터 파이프(110)의 외경이 확장되고, 장착 홀(H)의 내경에 압착되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만일 부시(100)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체결부재(3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립 가이드(200)가 체결 홈(114) 상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하며, 그에 따라 조립 가이드(200)의 이동에 의해, 체결 홈(114)에 대한 조립 가이드(200)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아우터 파이프(110)의 외경이 축소되고, 장착 홀(H)의 내경과의 압착이 해제되어, 탈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서브 프레임에 부시를 압입하여 장착이 이루어지게 함에 있어서, 부시를 구성하는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서브 프레임의 장착 홀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하되, 조립 가이드의 압입에 의해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확장되게 함으로써, 아우터 파이프가 장착 홀의 내경에 밀착되어 부시의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서브 프레임의 손상 없이 부시의 조립성이 향상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한 방식으로 탈착 또한 가능하므로, 부시의 파손 등의 발생 시 용이하게 부시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압입에 의해 부시가 장착됨에 따라, 탈착이 어려워 서브 프레임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부재가 풀린 상태로 부시를 장착 홀에 인입시키고, 그 상태에서 공구를 통해 체결부재가 아우터 파이프의 내부에 체결되게 하여, 조립 가이드의 이동 및 고정에 의한 부시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부시의 조립을 위한 장비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공구 10 : 서브 프레임
12 : 외측 테두리 14 : 외측 테두리
100 : 부시 110 : 아우터 파이프
112 : 피봇점 114 : 체결 홀
116 : 체결 너트 118 : 걸림부재
120 : 이너 파이프 130 : 메인 러버
140 : 이너 코어 200 : 조립 가이드
300 : 체결부재 A : 절개 영역
H : 장착 홀

Claims (9)

  1. 서브 프레임의 장착 홀에 삽입되고, 아우터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아우터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 사이에 형성된 메인 러버를 구비하는 부시; 및
    상기 부시가 상기 장착 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르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부시에 대한 조립을 가이드 하는 조립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조립 가이드가 삽입됨에 따라, 일측의 피봇점을 기준으로 타측이 벌어지며 확장되도록 상하로 절개된 절개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절개 영역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조립 가이드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체결 홈을 구비하되,
    상기 체결 홈은, 상기 조립 가이드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체결 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를 관통하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체결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삽입된 조립 가이드의 위치를 이동 및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조립 가이드를 상기 절개 영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확장되게 하며,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조립 가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확장된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이 축소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는,
    상기 장착 홀을 형성하는 외측 테두리 및 내측 테두리에 걸림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와 동일한 재질 및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9. 서브 프레임의 장착 홀에 삽입되고, 아우터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 및 상기 아우터 파이프 및 상기 이너 파이프 사이에 형성된 메인 러버를 구비하는 부시;
    상기 부시가 상기 장착 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르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외경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부시에 대한 조립을 가이드 하는 조립 가이드; 및
    상기 조립 가이드를 관통하며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부에 체결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 삽입된 상기 조립 가이드의 위치를 이동 및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KR1020220115762A 2022-09-14 2022-09-14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KR20240037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762A KR20240037009A (ko) 2022-09-14 2022-09-14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762A KR20240037009A (ko) 2022-09-14 2022-09-14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009A true KR20240037009A (ko) 2024-03-21

Family

ID=9047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762A KR20240037009A (ko) 2022-09-14 2022-09-14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0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30610C (zh) 具有内燃机的改进型动力设备
US10060502B2 (en) Isolator for use with engine that is assisted or started by an MGU or a motor through an endless drive member
EP3209901B1 (en) Endless drive arrangement and improved two-armed tensioning system for same
US7194994B1 (en) Bracket assembly for mounting accessories to the front of a small-block Ford motor
KR101519753B1 (ko) 차량 파워트레인의 인너샤프트 지지 장치
JP2010116020A (ja) エンジン支持構造
US20110088649A1 (en) Flexible Mounting System for Powertrain Mounted Components
KR20240037009A (ko)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JP2005220856A (ja)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US9193250B2 (en) Engine mounting structure for reducing vibration
KR20240037008A (ko) 전기자동차용 부시 마운트 장치
JP2007071066A (ja) 内燃機関のベルト張力調整装置
JP2005220855A (ja)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JP3178879B2 (ja) 始動モータ組立体のソレノイド部の交換のために改良された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2082906A (ja) パワープラントの支持構造、車両、及びその振動低減方法
US9382870B2 (en) Compression boss for engine front cover
JP2005220854A (ja)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US20240157778A1 (en) Motor mount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KR100384013B1 (ko) 자동차의 연료파이프 고정용 브라켓
CN215979611U (zh) 一种汽车混合发动机
US20210003197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belt installation of an engine for a vehicle
JPH0721421U (ja) Cngエンジン搭載車
US20200224628A1 (en) Crankcase Mounts And Reinforced Rubber In Mount On Force Vector
US11926217B2 (en) Pendulum type mount system
CN201526370U (zh) 多汽缸内燃发动机和将燃油泵安装到所述发动机中的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