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096A -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096A
KR19980067096A KR1019970002968A KR19970002968A KR19980067096A KR 19980067096 A KR19980067096 A KR 19980067096A KR 1019970002968 A KR1019970002968 A KR 1019970002968A KR 19970002968 A KR19970002968 A KR 19970002968A KR 19980067096 A KR19980067096 A KR 1998006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ead
power supply
wire
grou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0133B1 (ko
Inventor
이창배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7000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13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9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involving monitoring, e.g.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리드 프레임의 각 리드와 반도체 다이(Die)의 각 본드 패드를 와이어로써 본딩하는 와이어 본더 내에서, 본딩된 와이어가 끊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 상기 반도체 다이의 접지 단자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직류 전원; 상기 리드와 상기 직류 전원 사이 및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서, 입력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스위치; 및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드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 본드 패드의 입출력 특성에 맞도록 인가 전압의 극성을 자동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한 개의 직류 전원을 사용하여 모든 와이어들의 끊어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본 발명은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드 프레임의 각 리드와 반도체 다이(Die)의 각 본드 패드를 와이어로써 본딩하는 와이어 본더 내에는, 본딩된 와이어가 끊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여 정극성 전압 인가용 직류 전원과 부극성 전압 인가용 직류 전원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되는 입출력 특성의 본드 패드들에 대해서만 와이어가 끊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는, 정극성 전압 인가용 직류 전원(E1), 부극성 전압 인가용 직류 전원(E2), 전원 선택 스위치(S), 및 전압계(V)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B1, ..., B8은 반도체 다이(10)의 본드 패드, W1, ..., W8은 와이어, 그리고 L1, ..., L8은 리드를 나타낸다. 여기서 반도체 다이(10)의 4번 본드 패드(B4)가 접지(Ground) 단자이고, 8번 본드 패드(B8)가 전원(Vcc) 단자이며, 1,2,3번 본드 패드(B1, B2, B3)가 다이오드의 에노드(Anode)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가 접지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5,6,7번 본드 패드(B5, B6, B7)가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에노드가 접지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전원 선택 스위치(S)가 정극성 전압 인가용 직류 전원(E1)에 연결되게 하여, 1, 2, 3번 와이어(W1, W2, W3)의 끊어짐을 검출할 수 있다. 와이어가 끊어지지 않았으면, 다이오드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만큼 감소된 정전압이 전압계(V)에 표시된다. 그리고 와이어가 끊어졌으면, 전압계(V)에 전압이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5, 6, 7번 와이어(W5, W6, W7)의 끊어짐을 검출하려면, 작업자는 전원 선택 스위치(S)가 부극성 전압 인가용 직류 전원(E2)에 연결되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원 선택 스위치(S)가 정극성 전압 인가용 직류 전원(E1)에 연결된 경우, 5, 6, 7번 와이어(W5, W6, W7)의 끊어짐을 검출하지 못한다. 그리고 전원 선택 스위치(S)가 부극성 전압 인가용 직류 전원(E2)에 연결된 경우, 1, 2, 3번 와이어(W1, W2, W3)의 끊어짐을 검출하지 못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는, 각 본드 패드의 입력 특성에 맞도록 인가 전압의 극성을 자동 제어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두 개의 직류 전원을 사용하여야 하고, 모든 와이어들의 끊어짐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각 본드 패드의 입력 특성에 맞도록 인가 전압의 극성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반도체 다이,L1, ..., L7...리드,
B1, ..., B8...본드 패드,W1, ..., W8...와이어,
E...직류 전원,11...아날로그 스위치,
12...차동 증폭기,V...전압계.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는, 리드 프레임의 각 리드와 반도체 다이의 각 본드 패드를 와이어로써 본딩하는 와이어 본더 내에서, 본딩된 와이어가 끊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 상기 반도체 다이의 접지 단자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직류 전원; 상기 리드와 상기 직류 전원 사이 및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서, 입력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스위치; 및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드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는, 리드(L1, L2, L3, L5, L6, L7)와 반도체 다이(20)의 접지 단자(B4)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직류 전원(E); 리드(L1, L2, L3, L5, L6, L7)와 직류 전원(E) 사이 및 직류 전원(E)과 접지 단자(B4) 사이에서, 극성 제어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스위치(11); 및 직류 전원(E)과 아날로그 스위치(11) 사이에 연결되어, 리드(L1, L2, L3, L5, L6, L7)와 접지 단자(B4)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계(V);를 포함한다. 도 2에서 B1, ..., B8은 반도체 다이(10)의 본드 패드, W1, ..., W8은 와이어, 그리고 L1, ..., L8은 리드를 나타낸다. 아래의 표 1은 아날로그 스위치(11)의 기능표(function table)이다.
[표 1]
극성 제어신호의 상태 SW1의 상태 SW2의 상태 SW3의 상태 SW4의 상태
0 오프(Off) 오프(Off) 온(On) 온(On)
1 온(On) 온(On) 오프(Off) 오프(Off)
도 2 및 표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반도체 다이(20)의 4번 본드 패드(B4)가 접지(Ground) 단자이고, 8번 본드 패드(B8)가 전원(Vcc) 단자이며, 1,2,3번 본드 패드(B1, B2, B3)가 다이오드의 에노드(Anode)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가 접지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5,6,7번 본드 패드(B5, B6, B7)가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에노드가 접지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1, 2, 3번 와이어(W1, W2, W3)의 끊어짐을 검출하기 위하여, 극성 제어 신호의 논리 상태가 '0'이 되게 한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스위치(11) 내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오프(Off)되고,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가 온(On)되므로, 리드(L1, L2, 또는 L3)와 접지 단자(B4) 사이에 정전압이 인가된다. 와이어(W1, W2, 또는 W3)가 끊어지지 않은 경우, 전류는 직류 전원(E)의 양극에서 제3 스위치(SW3), 리드(L1, L2, 또는 L3), 와이어(W1, W2, 또는 W3), 본드 패드(B1, B2, 또는 B3), 다이오드의 에노드, 다이오드의 캐소드, 접지, 제4 스위치(SW4), 제2 저항기(R2), 및 제1 저항기(R1)를 통하여 직류 전원(E)의 음극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제2 저항기(R2)의 양단 전압이 차동 증폭기를 통하여 전압계(V)에 표시된다. 이와 반대로 와이어(W1, W2, 또는 W3)가 끊어진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압계(V)에 0 (V)가 표시된다.
다음에 5, 6, 7번 와이어(W5, W6, W7)의 끊어짐을 검출하기 위하여, 극성 제어 신호의 논리 상태가 '1'이 되게 한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스위치(11) 내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온(On)되고,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가 오프(Off)되므로, 리드(L5, L6, 또는 L7)와 접지 단자(B4) 사이에 정전압이 인가된다. 와이어(W5, W6, 또는 W7)가 끊어지지 않은 경우, 전류는 직류 전원(E)의 양극에서 제2 스위치(SW2), 접지, 다이오드의 에노드, 다이오드의 캐소드, 본드 패드(B5, B6, 또는 B7), 와이어(W5, W6, 또는 W7), 리드(L5, L6, 또는 L7), 제1 스위치(SW1), 제2 저항기(R2), 및 제1 저항기(R1)를 통하여 직류 전원(E)의 음극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제2 저항기(R2)의 양단 전압이 차동 증폭기를 통하여 전압계(V)에 표시된다. 이와 반대로 와이어(W1, W2, 또는 W3)가 끊어진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압계(V)에 0 (V)가 표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에 의하면, 각 본드 패드의 입출력 특성에 맞도록 인가 전압의 극성을 자동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한 개의 직류 전원을 사용하여 모든 와이어들의 끊어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Claims (4)

  1. 리드 프레임의 각 리드와 반도체 다이의 각 본드 패드를 와이어로써 본딩하는 와이어 본더 내에서, 본딩된 와이어가 끊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 상기 반도체 다이의 접지 단자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직류 전원;
    상기 리드와 상기 직류 전원 사이 및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서, 입력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스위치; 및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드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을 측정하는 수단은,
    상기 리드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소정 크기의 전압이 표시되게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을 측정하는 수단은,
    상기 리드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검출된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전류의 폐회로에 위치한 저항기; 및
    상기 저항기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여 증폭시키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KR1019970002968A 1997-01-31 1997-01-31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KR100250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968A KR100250133B1 (ko) 1997-01-31 1997-01-31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968A KR100250133B1 (ko) 1997-01-31 1997-01-31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96A true KR19980067096A (ko) 1998-10-15
KR100250133B1 KR100250133B1 (ko) 2000-04-01

Family

ID=1949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968A KR100250133B1 (ko) 1997-01-31 1997-01-31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412B1 (ko) * 1999-01-05 2006-03-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와이어 본딩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회로
KR100696856B1 (ko) * 2004-09-30 2007-03-20 주식회사 디이엔티 평판표시장치의 tcp 출력핀 접속 오류 테스트 장치 및방법과 평판표시장치의 오류 테스트 시스템
KR100707401B1 (ko) * 2004-10-01 2007-04-13 마이크로 인스펙션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되는 드라이버 ic 또는tcp의 장착결함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4132A (ja) * 1986-09-29 1988-04-14 Toshiba Corp ワイヤボンデイング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412B1 (ko) * 1999-01-05 2006-03-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와이어 본딩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회로
KR100696856B1 (ko) * 2004-09-30 2007-03-20 주식회사 디이엔티 평판표시장치의 tcp 출력핀 접속 오류 테스트 장치 및방법과 평판표시장치의 오류 테스트 시스템
KR100707401B1 (ko) * 2004-10-01 2007-04-13 마이크로 인스펙션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되는 드라이버 ic 또는tcp의 장착결함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0133B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1379A (en) Current-sensing circuit for an ic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5493244A (en) Breakdown protection circuit using high voltage detection
JP3587300B2 (ja) 集積回路装置
JPH08304515A (ja) パッケージ状態で直流電圧テスト可能な半導体メモリ装置
US5909034A (en) Electronic device for testing bonding wire integrity
US5596637A (en) Power dissipation manager circuit for an interface device feeding a subscriber telephone line
KR100730046B1 (ko) 본딩 장치
US5804859A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ver-current protection
KR100250133B1 (ko) 와이어 끊어짐 검출 장치
US5170312A (en) Protection circuit on a lead of a power device
KR100216116B1 (ko) 반도체 시험장치의 핀 시험회로
US4982107A (en) Sourcing or sinking output circuit
KR100628702B1 (ko) 와이어 본딩장치
KR101575160B1 (ko) 복수의 입력을 검출하는 차량용 릴레이의 구동 회로
KR20000005782A (ko) 본딩패드용테스트장치
KR100562412B1 (ko) 와이어 본딩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회로
JP3476903B2 (ja) 保護機能付き負荷駆動回路
JP3157733B2 (ja) 集積回路内蔵大電力モノリシック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
JP3488034B2 (ja) 検出装置
JPS6319097A (ja) 線路異常監視装置
JPS63101770A (ja) 半導体電力回路の無負荷検出回路
JPH05340992A (ja) 集積回路装置
JP2658386B2 (ja) 過電流検出回路
JPH04295774A (ja) 負荷の断線検知回路
KR19990053822A (ko) 와이어 본딩 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