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056A -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056A
KR19980067056A KR1019970002906A KR19970002906A KR19980067056A KR 19980067056 A KR19980067056 A KR 19980067056A KR 1019970002906 A KR1019970002906 A KR 1019970002906A KR 19970002906 A KR19970002906 A KR 19970002906A KR 19980067056 A KR19980067056 A KR 19980067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arm
weaving
weft yarn
body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극보
Original Assignee
정극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극보 filed Critical 정극보
Priority to KR101997000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056A/ko
Publication of KR1998006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056A/ko

Links

Landscapes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의 바디살 일부를 절단할 필요가 없고 더구나 위사삽입을 방해하지 않고 삽입 직후의 위사를 위사탐지장치를 밀어넣을 수 있게 한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바디(3)의 제직전 9측의 위로 바디침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아래로 매어달리게 지지되어 있으며 바디침운동의 관성에 의해 바디(3)에서도 제직전 9측으로 전진 요동시켜서 삽입전후의 위사(2)를 위사탐지장치(7)를 향해 밀어 넣는 아암(4)과, 이의 전진이동단을 규제하는 스톱퍼(6)와, 이를 후퇴방향으로 탄지시켜 위사(2)의 삽입시에 위사(2)의 삽입로에서 바디(3) 측으로 후퇴시켜두기 위한 복귀용 스프링(4b)을 구비하여 이 복귀용 스프링의 탄지력을 바디침운동시의 위의 아암(4)의 관성력보다 약하게 설정하여서된 것이다.

Description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본 발명은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트직기는 개구운동으로 개구된 경사개구부에 의해 물 또는 공기로된 유체를 노즐에서 분출시켜 매회 필요량만큼 위사를 이 분사류에 얹어서 직기의 한쪽에서 삽입하고 바디침운동으로 위사를 제직전에 타입하는 동작을 반복해서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의 위사의 삽입실패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노즐의 반대쪽에 위사탐지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장치에 의하여 삽입 직후의 위사의 존재를 확인하며 위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을때 직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위사탐지장치에 의한 위사의 탐지는 바디의 바디침운동 때문에 제직 전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이용해서 바디의 전면에서 삽입직후의 위사를 밀어서 위사탐지장치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실시되고 있으며 따라서 바디의 한쪽에는 위사탐지장치에의 충돌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디살 일부를 절단하였었다.
이 위사탐지장치의 설치위치는 위사의 용량을 절약하기 위해 제조되는 직물의 한쪽셀비지(Selvage)부에 될 수 있는 대로 근접해서 설치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바디의 한쪽에 만들어진 개구부는 상기 위사탐지장치의 설치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할 피료가 있으며 종래에는 직물의 제직폭이 달라질때마다 당해 직물의 제직폭에 대응한 위치에 개구를 만든 바디를 바꾸어 교환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준비작업에 시간이 걸리고 바디의 보관 및 관리도 귀찮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위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 바디 전면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실가이드로 삽입직후의 위사를 위사탐지장치에 밀어넣도록 해서 바디살 일부를 절단하지 않아도 되게 하였으나 이는 실가이드를 바디의 전면에 고정적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위사삽입시 실가이드가 위사의 삽입로를 좁게해 위사의 삽입을 방해하는 또다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바디 바디살 일부를 절단할 필요가 없고 더욱이 위사삽입을 방해하지 않으며 삽입직후의 위사를 위사탐지장치에 밀어넣을 수 있게한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의 (가)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트직기위사 삽입시의 주요부의 개략측면도.
(나)는 상기의 바디운동시의 개략측면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 직기를 위사탐지장치의 설치쪽에서 본 개략평면도.
(나)는 본 발명의 위사탐지장치와 아암과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도 3은 크랭크와 바디 및 아암의 관계동작을 나타낸 그래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트직기 위사삽입시의 개략 측면도.
(나)는 상기의 바디운동시의 개략측면도.
도 5의 (가)는 도 4에 의한 직기를 위사탐지장치의 설치쪽에서 본 개략평면도.
(나)는 도 4에 의한 위사탐지와 아암과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경사2:위사
3:바디4,5:아암
4a,5a:축핀4b,5b:추
4c:복귀용스프링6:스톱퍼
7:위사탐지장치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구운동으로 개구된 경사개구부에 의해 물 또는 공기로 되는 유체를 노즐에서 분출시키며 위사를 이 분사류에 놓고 직기의 한쪽에서 삽입하여 바디침운동으로 위사를 제직전에 타입동작을 반복해서 직물을 제조하게 되며 상기 노즐의 반대측에 설치된 위사탐지장치에서 삽입직후의 위사의 존재를 확인하여 위사의 존재가 확인할 수 없을때 직기의 동작을 정지하게끔 한 직기에 있어서, 바디의 제직 전측의 상부에 바디침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밑으로 매달아 지지되게 하고 바디침운동의 관성에 의해 바디보다도 제직 전측에 전진요동시켜서 삽입직후의 위사를 위사탐지장치를 향해 밀어 넣은 아암과, 이 아암의 전진이동단을 규제하는 스톱퍼, 이 아암은 후퇴방향으로 탄지해서 위사의 삽입시에 위사의 삽입로에서 바디측으로 후퇴시켜 놓기 위한 복귀용 스프링을 구비하며 이 복귀용 스프링의 탄지력을 바디침 운동시의 상기 아암의 관성력 보다 약하게 설정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위사의 삽입시에는 아암을 위사삽입로 보다 바디측으로 후퇴시켜 둘 수가 있으며 위사삽입을 방해하지 않고 더욱이 삽입직후의 위사를 위사탐지장치를 향해 바디보다도 제직전측에 빨리 이동시켜서 밀어넣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바디침운동이 크랭크기구에 의하여 되고 있기 때문에 바디의 이동속도가 왕복스트로크 일단에서는 0(Zero)이지만 타단을 향해 이동할때에는 상기 스트로크의 중앙까지 차차 증가하며 이 중앙에서 타단을 향해 차차 감소되어 0(Zero)으로 되는 점에 착안하여 바디가 제직 전측으로 향해 이동할때 이 이동스트로크의 중앙까지는 차차 속도가 증가되며 바디침종료단을 향해 차차 감속되고 이 바디의 제직전측으로의 이동시의 전반(前半)에 생긴 아암의 이동관성력에 의하여 아암을 바디보다도 빨리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스톱퍼는 상기 관성력에 의한 아암의 전방으로의 이동단을 규제하고 있다. 또 복귀용스프링은 바디가 후퇴해서 다음의 위사가 삽입될때(시점)까지 아암을 뒤쪽으로 복귀시킨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 부가시킨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아암에 교차가능케 대응시킨 제2아암을 구비시켜 바디의 제직 전측의 상부에 바디침방향과 동일방향에 요동가능하게 매달아 지지되고, 상단에 설치한 추에 의해 위사의 삽입시 위사의 삽입로로부터 제직전측으로 전진해서 지지되고, 바디침운동시 상기 추의 관성에 의해 후퇴방향에 이동해서 상기 제1아암과 교차하고 상기 제1아암이 위사탐지장치에 삽입하는 위사를 긴장시키게 하고, 위사 삽입시 상기 제2아암을 위사의 삽입로로부터 제직전측에 위치시켜 제1아암을 위사의 삽입로로부터 바디측에 위치시키고, 또 바디침시 제2아암은 후퇴동작시켜 제1아암을 전진동작시켜 삽입직후의 위사의 삽입단을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포착해서 위사탐지장치로 삽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위사의 삽입시에는 제1아암 및 제2아암을 위사의 삽입로 전후에 벗어나게 둘 수 있고, 위사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으며, 바디침에는 삽입직후의 위사를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포착해서 위사탐지장치로 확실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바디침운동이 크랭크기기에 의해 행해지므로 바디의 이동속도가 왕복스트로크의 일단에서는 0(Zero)이지만, 다른 단으로 이동할때에는 상기 스트로크의 중앙까지 차차 증가하고 그 중앙에서 타단으로 이동할때에는 차차 감속되고, 이 바디의 제직전측으로 이동시 전반에서 발생한 이동관성력에 의해 제1아암을 바디보다 빨리 앞으로 이동시키고 제2아암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위사의 삽입단을 양측 아암에서 포착시킨 상태에서 위사탐지장치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1은 경사, 2는 위사, 3은 바디, 4는 아암, 6은 스톱퍼, 7은 위사탐지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경사(1)를 상하로 서로 바꾸어 개구형성한 위사(2)의 삽입로의 한쪽에 노즐(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어 노즐에서 분출되는 유체에 놓고 매회 위사(2)가 다른 쪽을 향해 날아가서 삽입된다.
이 노즐과 반대쪽에는 위사탐지장치(7) 및 이에 대응해서 아암(4)이 설치되며 또 옆으로 빠져나온 위사를 포착하는 캣치코드(8)가 설치되어 있다. 위사탐지장치(7)는 2단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바디(3)를 향해 개구부를 갖고 개구 내부의 상하에 위사(2)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투광기 및 수광기가 설치되고 있어서 위사(2)가 확인되지 않을때 직기의 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또, 워터제트직기의 경우에는 투광기 및 수광기는 물이 묻지 않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며 이 위치에서 광화이버케이블로 상기 2단 형상부까지 끌려가게 되며 이 광화이버케이블의 단말에 접속되는 렌즈를 맞보는 상태로 설치된다.
바디 3은 개구운동기구와 연동하는 바디침운동기구의 크랭크(도시생략)에 의하여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은 모양으로 구동되어 바디침운동을 하는 것이다. 이 바디(3)의 전면 상부 즉 제직전 9측의 상부에는 아암(4)이 축핀(4a)을 통해 바디침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밑으로 매달려 지지되고 있다. 또 바디(3)의 하부 전면에는 아암(4)의 전방에 이동단을 규제하는 스톱퍼(6)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축핀(4a) 위에는 아암(4)을 후퇴방향으로 탄지하는 복귀용 스프링(4c)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복귀용 스프링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게다가 이 탄지력은 바디침운동시의 상기 아암(4)의 관성력보다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아암(4)은 가는 금속선재를 U자형상으로 성형하고 하단에 추(4b)를 설치하여 아암(4)의 관성력이 좋게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개구운동으로 개구된 경사개구부(1)로 물 또는 공기로된 유체를 노즐에서 분출시키고 위사(2)를 이 분사류에 놓고 직기의 한쪽에서 삽입하여 바디침운동으로 위사(2)를 바디(3)에 이해 제직전 9에 타입하는 동작을 반복해서 직물(10)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위사(2)의 삽입시에는 아암(4)을 위사(2)의 삽입로에서 바디(3)측으로 후퇴시켜 위사(2)의 삽입을 방해받지 않으며, 삽입 직후의 위사(2)를 위사탐지장치(7)를 향해 바디(3) 보다도 제직전 9측으로 빨리 이동시켜 밀어넣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바디침운동이 크랭크기구에 의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바디(3)의 이동속도가 왕복스트로크의 일단에서는 0(Zero)이지만 타단이동속도로 향해 이동할때에는 상기 스트로크의 중앙까지 차차 증가하며 이 중앙에서 타단을 향해 차차 감속되어 0(Zero)으로 되는 점에 착안하여 바디(3)가 제직전 9측을 향해 이동할때 그 이동스트로크의 중앙까지는 차차 속도가 증다하고 바디침종료단을 향해 차차 감속되며 이 바디(3)의 제직전 9측으로의 이동시의 전반에서 생긴 아암(4)의 이동관성력에 의하여 아암(4)을 바디(3) 보다도 빨리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톱퍼(6)는 상기 관성력에 의한 아암(4)의 전방으로의 이동단을 규제하고 있다. 또 복귀용 스트링(4c)은 바디(3)가 후퇴해서 다음의 위사(2)가 삽입되는 시점까지에 아암(4)을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이 바디(3)의 전면상부에 설치된 제1아암(4)에 제2아암(5)을 구비시키되 제1아암(4)에 교차가능하게 대응시킨 제2아암(5)은 바디(3)의 제직 전측의 상부에 바디침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매달아 지지하고 상단에 설치한 추(5b)에 의해 위사(2)의 삽입시 위사(2)의 삽입로에서부터 제직전측으로 전진해서 지지하며 바디침 운동시 상기 추(5b)의 관성에 의해 후퇴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제1아암(4)과 교차하고 상기 제1아암(4)이 위사탐지장치(7)에 삽입하는 위사를 긴장시키는 제2아암(5)을 설치한 것으로, 제2아암(5)도 금속선재로 구성되고, 제1아암(4)의 사이를 통과해서 제1아암(4)과 교차하고 위사(2)의 삽입단을 포착할 수 있으며, 축핀(5a) 보다 위쪽으로 연장해 그 상단에 추(5b)를 설치해 둔다. 이 추(5b)는 바디침시 앞방향으로 이동속도가 처음에는 점차 증가되다가, 중간부터 차차 감속되어 축핀(5a)을 중심으로 제2아암(5)의 앞방향으로의 관성모맨트 보다 추(5b)의 전방 모맨트가 크게 되도록 설정해져 있다. 또한, 제1아암(4) 및 제2아암(5)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6)가 설정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개구운동으로 개구된 경사개구부(1)를 따라 물 또는 공기로 된 유체를 노즐에서 분출시키고 매회 필요량 만큼 위사(2)를 이 분사류에 놓고 직기의 한쪽에서 삽입하여 바디침운동으로 위사(2)를 바디(3)에 의해 제직전 9에 타입하는 동작을 반복해서 직물(20)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위사(2)의 삽입시에는 제1아암(4)을 위사(2)의 삽입로에서 바디(3) 측으로 후퇴시키고, 제2아암(5)을 위사(2)의 삽입로에서부터 제직전 3측에 전진시킬 수 있으며 위사(2)의 삽입을 방해받지 않으며, 바디침시 삽입 직후의 위사(2)의 삽입단을 제1아암(4)과 제2아암(5)으로 포착해서 위사탐지장치(6)로 확실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바디침운동이 크랭크기구에 의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바디(3)의 이동속도가 왕복스트로크의 일단에서는 0(Zero)지만 타단이동속도로 향해 이동할때에는 상기 스트로크의 중앙까지 차차 증가하며 이 중앙에서 타단을 향해 차차 감속되어 0(Zero)으로 되는 점에 착안하여 바디(3)가 제직전 9측을 향해 이동할때 그 이동스트로크의 중앙까지는 차차 속도가 증가되어서 바디침 종료단을 향해 차차 감속되며 이 바디(3)의 제직전 9측으로 이동시의 전반에서 생긴 아암(4)의 이동관성력에 의하여 제1아암(4)을 바디(3) 보다도 빨리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아암(5)은 추(5b)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켜 양측아암에 의해 위사(2)의 삽입단을 포착시킨 상태에서 위사탐지장치(6)로 삽입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디살 일부를 절단할 필요가 없으며 게다가 위사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고 삽입 직후의 위사를 탐지장치에 밀어넣을 수 있는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위사탐지장치로 위사 위입유무를 감지하는 제트직기에 있어서, 바디의 제직전측 상부에 바디침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밑으로 매어달아 지지시키고 바디침운동의 관성에 의해 바디 보다도 제직전측의 전진요동에 의해 삽입직후의 위사를 위사탐지장치를 행해서 밀어넣는 아암과, 이 아암의 전진이동단을 규제하는 스톱퍼와, 이 아암을 후퇴방향으로 탄지해서 위사의 삽입시에 위사의 삽입로에서 바디측으로 후퇴시켜놓기 위히 복귀용 스프링을 구비하며 이 복귀용 스프링의 탄지력을 바디침운동시의 상기 아암의 관성력보다 약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 교차가능하게 대응시킨 제2아암을 구비시켜 바디의 제직전측의 상부에 바디침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매달아 지지시키고 상단에 설치한 추에 의해 위사의 삽입시 위사의 삽입로에서부터 제직전측으로 전진해서 지지하고 바디침 운동시 상기 추의 관성에 의해 후퇴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제1아암과 교차하고 상기 제1아암이 위사탐지장치에 삽입하는 위사를 긴장시키며, 위사 삽입시 상기 2아암을 위사의 삽입로에서부터 제직전측에 위치시켜 제1아암을 위사의 삽입로에서부터 바디측에 위치시키고, 또 바디침시 제2아암을 후퇴동작시켜 제1아암을 전진동작시켜서 삽입직후의 위사의 삽입단을 제1아암 및 제2아암에서 포착해서 위사탐지장치를 향해 삽입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KR1019970002906A 1997-01-28 1997-01-28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KR19980067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906A KR19980067056A (ko) 1997-01-28 1997-01-28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906A KR19980067056A (ko) 1997-01-28 1997-01-28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56A true KR19980067056A (ko) 1998-10-15

Family

ID=6595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906A KR19980067056A (ko) 1997-01-28 1997-01-28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0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101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 위사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870001347B1 (ko) 구멍이 형성된 부재를 통하여 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333823B2 (ko)
KR100905349B1 (ko) 실 단층에서 실을 분리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9980067056A (ko) 제트직기의 위사탐지 안내장치
JPH02145832A (ja) 織機のよこ糸を供給および案内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RU1838474C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странени обрыва уточной нити в ткацких станках с прокладчик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кладки уточной нити и устранени обрыва на бесчелночном ткацком станке
KR101057802B1 (ko) 제트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US3874421A (en) Carrier for weft insertion
JP2935670B2 (ja) ジェット織機の緯糸押込み装置
US6308743B1 (en) Device for weft cancellation on a weaving machine
EP0483067A1 (en) Tuck-in device in a shuttleless loom
JPS63288248A (ja) 織機のひ道から欠陥よこ糸を除去する配置
US4640315A (en) Projectile weaving machine
JPS6228446A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ミス糸除去装置
JP2935671B2 (ja) ジェット織機の緯糸先端捕捉装置
CN111434814B (zh) 喷气织机的纬纱处理装置
US4646790A (en) Cutting mechanism for a weaving machine
JP2530132B2 (ja) 無杼織機の不良糸除去装置
JP2009249804A (ja) ジェット織機の緯糸押し込み装置
US4901769A (en) Tuck-in needle for a selvage forming device
KR0132396Y1 (ko) 워터제트 직기용 캣치코드사 절단방지장치
JPS6253444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装置
KR100495252B1 (ko) 유체분사직기의위사검출장치
GB2131055A (en) Weft yarn mete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