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669A -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 Google Patents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669A
KR19980066669A KR1019970002345A KR19970002345A KR19980066669A KR 19980066669 A KR19980066669 A KR 19980066669A KR 1019970002345 A KR1019970002345 A KR 1019970002345A KR 19970002345 A KR19970002345 A KR 19970002345A KR 19980066669 A KR19980066669 A KR 1998006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using
cradle
gu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7725B1 (ko
Inventor
곽지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725B1/ko
Priority to CNB971260885A priority patent/CN1197325C/zh
Priority to JP10013770A priority patent/JP2843560B2/ja
Priority to TW087101414A priority patent/TW369750B/zh
Publication of KR1998006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7Telephone sets adapted to be mounted on a desk or on a w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에 관한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조작의 편리성, 생산성 향상, 제품의 고급이미지, A/S 편리 및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을 추구할 수 있는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저면에 착탈가능한 월 마운트가 벽에 걸리도록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독립적으로 착탈가능하고, 핸드셋이 걸리도록 안착부와 후크가 형성되며, 용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강제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크레이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조립성이 우수하고,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충격으로 인한 파손방지에 효과적이다. 더욱이, 다양한 디자인추구가 유리하며, 여러 가지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벽걸이와 탁상겸용이 가능하며, 금형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벽걸이형과 탁상을 겸용할 수 있고, 디자인적 감각요소를 가미한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에 관한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징에 별도의 행거를 취부하여 핸드 셋을 일반적인 책상타입이나 벽걸이 타입에 사용할 때, 사용 용도에 따라서 소비자가 드라이버등이나 무리한 힘을 가한 후, 행거의 방향을 180°돌려 끼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렇게 함으로서, 하우징이나 행거의 성형상의 버어(burr)발생이나 약간의 공차에 의해서도 잘빠지지 않거나 끼우기가 힘든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더불어 행거가 파손되어 A/S상의 문제점을 유발하거나 특히 핸드셋의 안착이 불안정하여 전화기가 끈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별도의 행거를 별도 제작하여 고정토록 함으로서 제품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을 유발하게 되었다.
부가적으로, 조립이 용이하지 못함으로서 행거가 파손되고, 손쉽게 조작이 어려우며, 금형구조가 복잡해짐으로 인해 금형비용 상승 및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많은 제약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이들부와 일체형의 금형을 제작하고, 조작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신규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한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부품의 공차나 성형상의 문제에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서 생산성 향상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슬림화 및 패션화되는 추세에서 크레이들의 형상을 부가시킨 색상을 다향화 한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금형을 일체화 함으로서 금형수명을 연장한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립공수 절감 및 원가절감에 따른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한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무리한 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자인을 다양하게 추구할 수 있는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면에 착탈가능한 월 마운트가 벽에 걸리도록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독립적으로 착탈가능하고, 핸드셋이 걸리도록 안착부와 후크가 형성되며, 용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강제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크레이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결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라인 A-A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라인 B-B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의 크레이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라인 C-C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용으로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하우징12:가이드 레일
13,14;가이드 구멍20:크레이들
22:후크23:가이드 돌부
30:핸드셋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는 핸드셋(30)이 안착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housing)에 슬라이딩 면접촉을 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독립적으로 제작된 크레이들(20:cradle)로 대별된다.
핸드셋이 안착하는 하우징의 상부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자인을 고려한 곡형으로 형성된 사출물로서, 일측방향의 곡면에는 슬라이드 면이 길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면(11)은 크레이들(20)이 조립되는 위치로, 크레이들(20)이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안내하도록 가이드 레일(12)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외측측면방향으로 가이드 구멍(13,14)이각각 형성된다. 또한 반대면에는 상하부 하우징을 조립하여 고정하도록 체결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구멍(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드 면(11)에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가이드 구멍(14)은 측면에 형성된다. 이는 크레이들(20)을 조립할 경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는 벽에 고정하기 위하여 월 마운트를 착탈가능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크레이들(20)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슬라이드면(11)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드면(11)을 따라 강제적이고 제한적인 이동을 한다. 상기 크레이들(20)의 일측에는 핸드셋(30)의 안착부(21)가 형성되고, 바로 하측에 후크(22)가 돌출되어 탁상이나 벽에 걸었을 경우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크레이들의 측방향으로는 가이드 돌부(23)가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하측방향으로는 지지대(2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단부면에는 가이드 홈(25)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25)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구멍에 이의 연장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하고, 이동방향이 정해진다. 상기 크레이들의 조립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을 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조립을 하려면, 단지 크레이들의 가이드 돌부(23)와 가이드 홈(25)을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3,14)과 가이드 레일(12)에 삽입함으로서 조립은 완료된다. 상기 가이드 돌부와 가이드 구멍은 크레이들이 하우징에서 이동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홈은 크레이들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해서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탁상(100)용으로 사용을 하려면, 상기 크레이들을 강제적으로 힘을가해 A방향으로 민다. 이때, 상기 크레이들의 가이드 홈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면접촉을 하면서 이동하고, 동시적으로 가이드 돌부도 가이드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 면접촉을 하면서 이동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200)걸이용으로 사용을 하려면, 상기 크레이들을 강제적으로 힘을가해 B방향으로 민다. 이때, 상기 상기 크레이들의 가이드 홈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면접촉을 하면서 이동하고, 동시적으로 가이드 돌부도 가이드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 면접촉을 하면서 이동한다.
벽걸이와 탁상용으로 사용할 시, 클레이들을 이동시키는 이유는 핸드셋의 고정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이 위함이며, 더불어 벽에 걸 때 핸드셋이 하우징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서 단지 클레이들을 이동시킴으로서 탁상이나 벽거이용으로 전화기를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조립성이 우수하고,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충격으로 인한 파손방지에 효과적이다. 더욱이, 다양한 디자인추구가 유리하며, 여러 가지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벽걸이와 탁상겸용이 가능하며, 금형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Claims (4)

  1. 저면에 착탈가능한 월 마운트가 벽에 걸리도록 설치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독립적으로 착탈가능하고, 핸드셋(30)이 걸리도록 안착부(21)와 후크(22)가 형성되며, 용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따라 강제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크레이들(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20)이 하우징(10)을 따라 제한적인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슬라이드 면(11)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면(11)에 크레이들(20)의 이동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가이드 레일(12)과 가이드 구멍(13,14)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12)과 가이드 구멍(13,14)에 상응하게 상기 크레이들에 가이드 홈(25)과 가이드 돌부(23)를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2)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부(23)는 상기 구멍(13,14)내에서 클레이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크레이들의 양측면 하방에 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KR1019970002345A 1997-01-28 1997-01-28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KR100217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345A KR100217725B1 (ko) 1997-01-28 1997-01-28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CNB971260885A CN1197325C (zh) 1997-01-28 1997-12-10 壁挂和台式两用电话
JP10013770A JP2843560B2 (ja) 1997-01-28 1998-01-27 壁掛及び卓上兼用電話機
TW087101414A TW369750B (en) 1997-01-28 1998-02-04 Wall-type and desktop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345A KR100217725B1 (ko) 1997-01-28 1997-01-28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669A true KR19980066669A (ko) 1998-10-15
KR100217725B1 KR100217725B1 (ko) 1999-09-01

Family

ID=1949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345A KR100217725B1 (ko) 1997-01-28 1997-01-28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843560B2 (ko)
KR (1) KR100217725B1 (ko)
CN (1) CN1197325C (ko)
TW (1) TW3697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38B1 (ko) * 2001-10-05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탁상 및 벽걸이 겸용 통신 기기의 벽걸이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7244B3 (de) * 2006-04-12 2007-10-25 S. Siedle & Söhne Telefon- und Telegrafenwerke OHG Station einer Haussprechanl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38B1 (ko) * 2001-10-05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탁상 및 벽걸이 겸용 통신 기기의 벽걸이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7325C (zh) 2005-04-13
JP2843560B2 (ja) 1999-01-06
CN1193232A (zh) 1998-09-16
JPH10224444A (ja) 1998-08-21
KR100217725B1 (ko) 1999-09-01
TW369750B (en) 199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725B1 (ko)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CN212415413U (zh) 一种可拆卸移动的挂钩
KR200171094Y1 (ko) 벽걸이 및 탁상 겸용 전화기
KR200165516Y1 (ko) 휴대폰용 플립개방장치
CN214736792U (zh) 一种壁挂式洗衣机外壳结构及壁挂式洗衣机
JP4388247B2 (ja) カーテンのふさかけ
CN217299671U (zh) 一种卡扣型踢脚线
JPH0432840Y2 (ko)
JPH0569809U (ja) 蛍光灯ユニットにおけるソケット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147341Y1 (ko) 주전화기/증설전화기 연결구조
KR100552054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 손잡이
JPH0631254U (ja) 卓上壁掛兼用電話機
KR860000373Y1 (ko) 벽괘 및 탁상 겸용 전화기의 송수화기 고정장치
JPH073715Y2 (ja) ハンガの取付構造
KR960009839Y1 (ko) 조립식 선반
JP4506392B2 (ja) 天板付家具
KR200314552Y1 (ko) 도금용 장식 제품
KR940005637Y1 (ko) 설합의 안내레일 부착장치
KR930005055Y1 (ko) 콘트롤부의 pcb 고정용 브라켓
KR940005793Y1 (ko) 수화기 설치대가 설치된 정보 검색 단말기
KR960035208A (ko) 모니터용 스탠드조립체
JPH0310618Y2 (ko)
JP3501061B2 (ja) キャビネットの引出し
JPH0317382Y2 (ko)
JPH0521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