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081U -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081U
KR19980066081U KR2019970010444U KR19970010444U KR19980066081U KR 19980066081 U KR19980066081 U KR 19980066081U KR 2019970010444 U KR2019970010444 U KR 2019970010444U KR 19970010444 U KR19970010444 U KR 19970010444U KR 19980066081 U KR19980066081 U KR 199800660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aper
roll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0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081U/ko
Publication of KR19980066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081U/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용지 배출시 용지의 컬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두꺼운 용지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배지장치를 제공한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정착기 후단의 페이스 다운 배출경로상에 설치되는 상부 배지롤러와, 상부 배지롤러와 대향되며 가압 접촉되게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하부 배지롤러로 구성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이용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본 고안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이하 LBP라 함),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프로세스(process)는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대전 → 노광 → 현상 → 전사 → 정착등의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서 통상적인 LBP의 개략적인 엔진 메카니즘(engine mechanism)을 도 1로서 도시하였다. 도 1에서 감광드럼(100)과 각종 롤러들은 프로세스의 진행에 대응되게 메인 모터를 포함한 구동계(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용지는 용지 카셋트(106)로부터 급지되어 용지 이송경로(132)를 따라 이송되며, 최종적으로 페이스 업(face up) 배출경로(134) 또는 페이스 다운(face down) 배출경로(136)를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페이스 업 배출경로(134)는 용지의 인쇄면이 페이스 업형태로 배출되는 경로이고, 페이스 다운 배출경로(136)는 용지의 인쇄면이 페이스 다운형태로 배출되는 경로이다.
상기한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프로세스에 따라 도 1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감광드럼(100)은 현상 유니트(102)내에 장착된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어 균일한 전하가 표면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용지 카셋트(106)에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108)에 의해 1매가 픽업되어 이송롤러(110)를 거쳐 레지스터롤러(112)로 이송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광드럼(100)의 표면이 노광장치인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Laser Scanner Unit: LSU)(104)에 의해 화상데이터에 대응되게 노광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104)는 인쇄할 화상데이터에 대응되게 레이저 빔(L)을 발생하여 감광드럼(100)을 노광시킨다. 그리고 레지스터롤러(112)로 이송된 용지는 선단이 정렬된후, 상기한 노광의 시작과 동기하여 전사롤러(114)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이때 노광에 의해 감광드럼(100)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 유니트(102)로부터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가시상으로 전환된다. 이후 감광드럼(100)상에 부착된 토너는 전사롤러(114)에 의해 용지에 옮겨짐으로써 전사가 이루어진 다음에 압력롤러(118)와 히트롤러(120)로 이루어지는 정착기(116)로 이송된다. 그러면 용지에 전사되어 있는 토너는 히트롤러(120)의 열과 압력롤러(118)의 압력에 의해 용지상에 정착된다. 이와같이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페이스 업 배지롤러들(122,124)을 거쳐 바로 외부로 배출되거나 페이스 다운 배지롤러들(126∼13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용지 1매에 대한 인쇄가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전에는 페이스 다운 배지롤러들(126∼130)중에 하부 배지롤러들(128,130)이 도 1에 보인 바와 달리 1개만 설치되었었다. 한편 용지가 정착기(116)를 거치면서 히트롤러(120)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바로 배출된다. 이때 인쇄 완료된 용지가 페이스 다운 배출경로(136)로 배출되는 경우 심하게 컬(curl)을 그리면서 뒤집어져 배출된다. 이때 도 1과 같이 하부 배지롤러들(128,130)이 2개가 아니고 1개일 경우 용지가 고온인 상태에서 바로 배출되면서 하부쪽, 즉 용지의 인쇄면쪽으로 컬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된 용지가 컬이 발생한 모양 그대로 남게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2개의 하부 배지롤러들(128,130)을 설치하여 컬 발생을 방지하여 왔었다. 그러한 이와 같이 상부 배지롤러(126)와 하부 배지롤러들(128,130)을 구비하는 배지장치는 용지가 얇은 경우에는 효과가 있으나, 용지가 두꺼운 경우에는 또다른 문제가 발생되어 왔었다. 즉,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용지(138)가 두꺼운 경우 용지(138)의 장력(tension)이 강해짐으로써 용지(138)의 선단이 하부 배지롤러들(128,130) 사이에 걸림으로써 용지 잼(jam)이 빈번히 발생되어 왔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지장치는 두꺼운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지 배출시 배지장치에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지 배출시 용지의 컬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두꺼운 용지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배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착기 후단의 페이스 다운 배출경로상에 설치되는 상부 배지롤러와, 상부 배지롤러와 대향되며 가압 접촉되게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하부 배지롤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엔진 메카니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페이스 다운 배지롤러들(126∼130)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지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6: 상부 배지롤러128: 하부 배지롤러
142: 용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본 고안을 전술한 바와 같은 LBP에 적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지장치의 구성도로서, 전술한 도 1에 보인 하부 배지롤러들(128,130) 대신에 탄성재질의 하부 배지롤러(140)를 1개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하부 배지롤러(140)는 상부 배지롤러(126)와 대향되며 가압 접촉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배지롤러(140)는 예를들어 고무 롤러나 스폰지 롤러를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배지롤러(140)를 설치하면, 용지(142)가 상,하부 배지롤러(126,140)의 접촉부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상부 배지롤러(126)에 의해 용지(142)와 하부 배지롤러(140)가 함께 눌려진다. 그러므로 용지(142)에는 상부쪽으로 컬이 발생된다. 이에따라 용지(142)가 페이스 업 배출경로(136)로 배출됨으로 인해 하부쪽으로 발생되는 컬이 상쇄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용지(142)는 평평한 상태로 배출된다. 이때 하부 배지롤러(140)를 종래와 달리 1개만 사용하기 때문에 용지(142)가 두꺼운 경우에도 용지 걸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지(142)가 두꺼운 경우에도 용지 걸림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이고 배출된 후의 컬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재질의 하부 배지롤러를 1개만 사용하고 상부 배지롤러와 가압 접촉되게 설치함으로써 용지 배출시 용지의 컬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두꺼운 용지의 걸림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에 있어서,
    정착기 후단의 페이스 다운 배출경로상에 설치되는 상부 배지롤러와,
    상기 상부 배지롤러와 대향되며 가압 접촉되게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하부 배지롤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배지롤러가, 각각 1개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지롤러가, 고무 롤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지롤러가, 스폰지 롤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장치.
KR2019970010444U 1997-05-12 1997-05-12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KR199800660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44U KR19980066081U (ko) 1997-05-12 1997-05-12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44U KR19980066081U (ko) 1997-05-12 1997-05-12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81U true KR19980066081U (ko) 1998-12-05

Family

ID=6967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444U KR19980066081U (ko) 1997-05-12 1997-05-12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08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8390A (en) Cleaning sheet for fixating rotational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ixating rotational member
JP340305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117793B2 (ja) 電子写真装置の転写装置
KR20050040078A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H01214550A (ja) 静電写真式複写機
JP3302337B2 (ja) 両面印刷装置
KR100196572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역전사 감소방법과 장치
JPH01303252A (ja) 画像印刷装置
JPH11246102A (ja) しわ防止定着器バッフルを有するプリンタ
JP4074025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66081U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JP3578980B2 (ja) 転写材分離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57400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50663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1280782A (ja) 画像形成装置
JP4164335B2 (ja) シート案内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920005086Y1 (ko) 전자 사진 기록장치의 정착기
JP200034746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H09114288A (ja) 画像形成装置
JPH0318867A (ja) 画像形成装置
JPS60121478A (ja) 記録装置
JP2003345141A (ja) 転写前ガイド装置およびこの転写前ガイド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837431B2 (ja) 画像形成装置
JP35276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535025Y2 (ja) 記録紙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