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184U - 셔터용 자물쇠 - Google Patents

셔터용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184U
KR19980065184U KR2019980014893U KR19980014893U KR19980065184U KR 19980065184 U KR19980065184 U KR 19980065184U KR 2019980014893 U KR2019980014893 U KR 2019980014893U KR 19980014893 U KR19980014893 U KR 19980014893U KR 19980065184 U KR19980065184 U KR 199800651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ember
shutter
lock
release le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열
Original Assignee
한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열 filed Critical 한정열
Priority to KR2019980014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184U/ko
Publication of KR19980065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184U/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따라서 본 고안은 셔터의 쇄정이 2단계로 되어 외부에서 강제로 열기가 어려운 구조로 개량된 셔터용 자물쇠를 제공하여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성 :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케이싱의 내부에 1쌍의 자물쇠가 소정 위치로 대향 배치되고, 그 사이로 훅크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한 릴리스 레버가 설치되어서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훅크부재와 항상 접촉하고 있는 구성으로 된 셔터용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레버는 훅크부재와 접촉되는 면에 2단계의 계지턱을 보유하고, 지중에 매설된 잠금 고리를 걸어 고정하는 상기 훅크부재는 상기 릴리스 레버와의 접촉면이 장변부와 단변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효과 : 상술한 구성에서 잠금 고리는 일단부가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수납되어서 접고 펼칠 수 있게 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이 지면과 일치되도록 통상의 앵커 볼트에 의존하여 매설되거나 또는 밑면에 블래킷을 부착한 채로 콘크리트 타설되어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릴리스 레버에 맞물려지는 훅크부재가 장변부와 단변부를 통해 2단계로 계지되어 견고하게 록킹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셔터용 자물쇠
본 고안은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점이나 건물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셔터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잠글 수 있는 셔터용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셔터는 슬리트 혹은 브레이드로 불리는 원호상의 부재를 긴 변에서 연결시킨 구조로 되어 있어서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임에도 불구하고 감고 풀어놓을 수 있는 장치로서, 이것의 쇄정은 셔터의 최하단측 플랜지에 슬로트를 형성하여 놓고, 문틀이나 지면 등에 고정시킨 잠금 고리를 상기 슬로트에 관통시켜 통상의 자물쇠로 잠그고 있다. 이 경우에 자물쇠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절도범이 볼트 커터 등의 도구로 쉽게 자물쇠를 절단할 수 있는 허점이 생긴다.
종래의 셔터 방범 대책으로서, 상기 자물쇠를 금속관체로 피복하거나 또는 자물쇠의 케이싱을 개량하여 볼트 커터 등으로 절단될 수 없는 구조가 실용화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방호를 위한 금속관체 또는 볼품없이 커다랗게 된 자물쇠가 셔터 하단에 달려 있는 모양으로 되어 외관적으로 흉하고, 이러한 자물쇠를 잠그거나 열기도 번거로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셔터의 미관을 손상하지 않는 자물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1283호, 공고번호 90-7487호, 샷터의 자물쇄장치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1283호, 공고번호 90-7485호, 셔터용 자물쇠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전자의 자물쇄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L형 걸걸이가 쉽게 해정되는 약점과, 셔터를 열었음에도 L형 걸걸이에 걸려지는 걸림핀이 지상으로 돌출하고 있어 장애물로 작용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후자의 셔터용 자물쇠는 본체의 하단 중심부가 하측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어 외관이 좋지 않게 되고, 또 그 내부에 설치된 걸고리(12)는 지중에 매설된 고리와 걸려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고리가 외부로 돌출되어 장애물화되는 문제는 없으나, 얼마 안가 매설부위로 흙이나 오물이 퇴적되어 주기적으로 소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종래의 셔터용 자물쇠의 사용을 통해 경험하는 불편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차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431호, 공개번호 91-2766호, 셔터문의 괘정 및 해정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개시된 괘정 및 해정장치는 몸체가 셔터의 최하단측 플랜지에 일치하는 형태로 되고, 지면에 매설되어 상기 몸체로 쇄정되는 고정구는 축에 지지되어서 셔터가 열려졌을 때는 지중으로 접어 넣을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셔터용 자물쇠는 외관적 손상도 없고, 또 지중에 매설된 구조물은 사용 시에만 외부로 돌출 시키게 한 것이므로 대단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구성의 셔터용 자물쇠는 잠금 고리가 1단계로 걸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방법 대책이 허술한 약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셔터용 자물쇠는 몸체 내부에 설치된 릴리스 레버를 쇄정하는 자물쇠와, 이 릴리스 레버를 연동시켜 해정되게 하는 자물쇠로 2개가 비치되어 있어서 절도범이 쉽게 열 수 없는 구조로 된 것이기는 하지만, 셔터의 하측단으로 지렛대 등을 끼워 넣고 강제로 들어올리거나 하면, 잠금 고리가 훅크부재에서 쉽게 빠져 열쇠가 없이도 셔터를 열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셔터의 쇄정이 2단계로 되어 외부에서 강제로 열기가 어려운 구조로 개량된 셔터용 자물쇠를 제공하여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케이싱의 내부에 1쌍의 자물쇠가 소정 위치로 대향 배치되고, 그 사이로 훅크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한 릴리스 레버가 설치되어서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훅크부재와 항상 접촉하고 있는 구성으로 된 셔터용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레버는 훅크부재와 접촉되는 면에 2단계의 계지턱을 보유하고, 지중에 매설된 잠금 고리를 걸어 고정하는 상기 훅크부재는 상기 릴리스 레버와의 접촉면이 장변부와 단변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잠금 고리는 일단부가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수납되어서 접고 펼칠 수 있게 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이 지면과 일치되도록 통상의 앵커 볼트에 의존하여 매설되거나 또는 밑면에 블래킷을 부착한 채로 콘크리트 타설되어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릴리스 레버에 맞물려지는 훅크부재가 장변부와 단변부를 통해 2단계로 계지되어 견고하게 록킹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해정 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1단계 쇄정 상태도.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2단계 쇄정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합한 잠금 고리부재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싱 4 : 셔터 6 : “L”자상의 플랜지
8 : 잠금 고리 10 : 하우징 20, 21 : 열쇠공
22 : 미장판 24 : 페세이지 26 : 컨테이너
28, 30 : 자물쇠뭉치 32 : 푸시로드 34 : 빗장
36, 38 : 축부재 40 : 릴리스 레버 40a : 축공
40b : 2단계 계지턱 40c : 1단계 계지턱 42, 46 : 고정축
44 : 장공 48 : 훅크부재 48a : 축공
48b : 장변부 48c : 단변부 48d : 아암
48e : 훅크 50 : 스톱퍼 52 : 인장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셔터용 자물쇠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자물쇠용 구성부를 내부에 수용한 케이싱(2)은 통상의 셔터(4)에서 최하측에 놓여지는 “L”자상의 플랜지(6)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2)과 대응하여 쇄정되는 잠금 고리(8)는 지면에 일치하도록 매설되는 하우징(10)에 수납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2)은 그 외부가 1쌍의 열쇠공(20)(21)을 갖춘 미장판(22)으로 피복되고, 상기 잠금 고리(8)와는 “L”자상의 플랜지(6)에 열려진 페세이지(24)를 통해 연계된다.
도 2는 상술한 케이싱(2)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로서, 미장판(22)은 컨테이너(26)를 피착하게 되어 있고, 이 컨테이너(26)에서 1쌍의 열쇠공(20)(2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자물쇠뭉치(28)(30)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들 자물쇠뭉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1283호, 공고번호 90-7485호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431호, 공개번호 91-2766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물쇠뭉치(28)는 부속되어 있는 푸시로드(32)를 연동시켜서 해정되게 하는 작용을 하고, 또 자물쇠뭉치(30)는 빗장(34)을 연동시켜 록킹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도시하지 않은 열쇠는 컨테이너(26)에서 상기 1쌍의 열쇠공(20)(21)의 중심에 해당되는 부위로 고정 부착된 축부재(36)(38)로 연계되어서 회동 조작된다. 상기 1쌍의 자물쇠뭉치(28)(30) 사이로 릴리스 레버(40)가 배치된다. 이 릴리스 레버(40)는 몇 장의 플레이트를 조합하여 형성된 것이며, 그 중심점에는 축공(40a)이 뚫려 있고, 측변에는 2단계 계지턱(40b)과 1단계 계지턱(40c)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축공(40a)이 컨테이너(26)의 내부에 세워진 고정축(42)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설됨에 따라 릴리스 레버(40)의 일단부(40d)는 상기 1쌍의 자물쇠뭉치(28)(30) 사이를 지나 컨테이너(26)에 형성된 장공(4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릴리스 레버(40)의 일단부(40d)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는 셔터(4)의 내측으로 된다.
상술한 고정축(42)에 대향하는 위치에도 또 하나의 고정축(46)이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축(46)에는 훅크부재(48)의 축공(48a)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훅크부재(48)는 릴리스 레버(40)의 2단계 및 1단계 계지턱(40a)(40b)과 접촉되는 면에 장변부(48b)와 단변부(48c)를 형성하고 있고, 그 반대측으로는 아암(48d)을 연장하여 상기 고정축(46)의 주변 소정 개소로 부착된 스톱퍼(50)에 간섭받게 되며, 또 상기 단변부(48c)의 하측방에는 훅크(48e)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릴리스 레버(40)와 훅크부재(48) 사이의 연계 관계는 양 사이로 걸쳐져 연결되는 인장스프링(52)에 의해 항상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보전된다.
도 3a는 상술한 구성의 셔터용 자물쇠가 해정 상태인 때를 묘사하고 있다.
해정 상태에서 훅크부재(48)는 인장스프링(52)에 최대한 당겨져서 아암(48d)이 스톱퍼(50)에 걸려짐과 동시에 장변부(48b)는 릴리스 레버(40)의 1단계 계지턱(40c)에서 하방으로 미끄러져 놓여짐으로써 훅크(48e)는 잠금 고리(8)에서 벗어나 멀리 위치하고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셔터(4)를 내리면 잠금 고리(8)가 훅크(48e)의 안쪽에 접촉하여 이를 밀게 됨으로써 상기 훅크부재(48)의 회동이 시작되고, 이에 따라 먼저 도 3b의 도시와 같이 훅크부재(48)의 장변부(48b)가 릴리스 레버(40)의 1단계 계지턱(40c)에 맞물려지게 된다. 이렇게 1단계 계지턱(40c)에 장변부(48b)가 맞물려져 있어도 잠금 고리(8)는 록킹된다. 그렇지만 셔터(4)를 완전히 내렸을 때는 도 3c의 도시와 같이 훅크부재(48)의 장변부(48b)는 릴리스 레버(40)의 2단계 계지턱(40b)에, 그리고 단면부(48c)는 2단계 계지턱(40c)에 각각 동시에 물려지게 되어 대단히 견고하게 록킹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자물쇠뭉치(30)를 조작하여 빗장(34)이 릴리스 레버(40)를 구속하게 하는 것으로 셔터의 쇄정은 종료된다. 이와 같이 2단계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은 셔터의 제조 과정과 시공 과정을 통해 훅크부재(48)의 훅크(48e)와 잠금 고리(8)의 위치 사이에 편차가 생기더라도 2단계 록킹 작용을 통해 해결하여 준다. 즉, 훅크(48e)가 잠금 고리(8)에 충분히 미치지 못하는 위치로 놓여질 때는 1단계 계지턱(48c)에만 장변부(48b)가 걸려져 록킹되어 셔터(4)를 쇄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작용은 본 고안에서 부수적으로 얻어지는 작용이고, 의도하는 작용은 다음의 설명을 통해 알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은 릴리스 레버(40)가 빗장(34)에서 해방되지 않는 한, 훅크부재(48)를 해방시킬 수 없게 된다. 여기서 빗장(34)은 자물쇠뭉치(30)를 통해 조작되어 도 3c의 “X”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릴리스 레버(40)를 해방하게 되고, 또 록킹된 잠금 고리(8)의 해방은 상술한 다른 자물쇠뭉치(28)를 조작하여 푸시로드(32)가 릴리스 레버(40)의 일측단(40d)을 밀어서 훅크부재(48)와의 계합이 벗겨지게 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상기 잠금 고리(8)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일측변이 둥근 축(82)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은 잠금 고리(8)가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내측에 수납부(102)를 갖추고 그 상방이 오프닝(104)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잠금 고리(8)가 수납부(102)에 수용되었을 때는 하우징(10)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어 오물이나 흙 등이 침입하여 퇴적될 염려가 없게 된다.
또, 상기 하우징(10)은 통상의 앵커 볼트(106)에 의존하여 지중으로 고정 매설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하우징(10)의 밑면에 블래킷(108)을 장착한 채로 콘크리트 타설하여 지중에 매설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지면에 매설된 잠금 고리를 록킹시켜 주는 훅크부재가 릴리스 레버에 2단계로 맞물려져 견고하게 록킹되는 것이므로 절도범이 지렛대 등을 사용하여 강제로 셔터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도 쉽게 열려지지 않음은 물론, 열려지더라도 단번에 열려지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열려지기 때문에 이를 열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방법 효과가 크다. 그리고 상술한 훅크부재와 릴리스 레버의 2단계 맞물림은 셔터를 닫은 상태에서 훅크부재의 위치가 규정보다 높게 설치되었을 때는 1단계 록킹으로 쇄정되고, 정상으로 설치되었을 때에는 2단계 록킹까지 쇄정되는 것이므로 셔터의 제작과 시공 과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포함되어도 쉽게 적응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케이싱의 내부에 1쌍의 자물쇠가 소정 위치로 대향 배치되고, 그 사이로 훅크부재를 연동시키기 위한 릴리스 레버가 설치되어서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훅크부재와 항상 접촉하고 있는 구성으로 된 셔터용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레버(40)는 훅크부재(48)와 접촉되는 면에 2단계로 계지턱(40b)(40c)을 보유하고, 지중에 매설된 잠금 고리(8)를 걸어 고정하는 상기 훅크부재(48)는 상기 릴리스 레버(40)와의 접촉면이 장변부(48b)와 단변부(48c)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용 자물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고리(8)의 일단부는 지중에 매설되는 하우징(10)에 수납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둥근 축(82)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용 자물쇠.
KR2019980014893U 1998-08-07 1998-08-07 셔터용 자물쇠 KR199800651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93U KR19980065184U (ko) 1998-08-07 1998-08-07 셔터용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93U KR19980065184U (ko) 1998-08-07 1998-08-07 셔터용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184U true KR19980065184U (ko) 1998-11-25

Family

ID=6951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893U KR19980065184U (ko) 1998-08-07 1998-08-07 셔터용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18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6428A1 (en) * 2018-06-20 2019-12-26 Qualitas Manufacturing, Inc. Base slat pry stopper
US11536086B2 (en) 2018-06-20 2022-12-27 Qualitas Manufacturing, Inc. Base slat pry stopp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6428A1 (en) * 2018-06-20 2019-12-26 Qualitas Manufacturing, Inc. Base slat pry stopper
US11203900B2 (en) 2018-06-20 2021-12-21 Qualitas Manufacturing, Inc. Base slat pry stopper
US11536086B2 (en) 2018-06-20 2022-12-27 Qualitas Manufacturing, Inc. Base slat pry stop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68B2 (ja) 自己ラッチ装置
US4793163A (en) Hasp-type latch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CA2856757C (en) Locking latch for yard door
JP4540917B2 (ja) ロック
KR19980065184U (ko) 셔터용 자물쇠
KR100648574B1 (ko) 2중 물림 빗장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US6490892B1 (en) Padlock device
KR200259136Y1 (ko) 원터치형 도어록
KR200366984Y1 (ko) 2중 물림 빗장
JPH045116B2 (ko)
KR200378678Y1 (ko) 잠금장치를 갖는 출입문
JPH083625Y2 (ja) 扉用錠
KR101127548B1 (ko) 도어록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JP3171571B2 (ja) ハンドル装置における開扉防止装置
JP4189905B2 (ja) サッシの防犯用ロック装置
JP4598931B2 (ja) ドア錠
JP3449608B2 (ja) 地下構造物用錠装置
JPH063091Y2 (ja) ラッチ錠
JP3094369U (ja)
JPH0337351Y2 (ko)
JP2567205B2 (ja) 平面ハンドル
JP3407369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200182722Y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JPH0743402Y2 (ja) 門扉の掛金装置における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