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034A -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4034A KR19980064034A KR1019970067724A KR19970067724A KR19980064034A KR 19980064034 A KR19980064034 A KR 19980064034A KR 1019970067724 A KR1019970067724 A KR 1019970067724A KR 19970067724 A KR19970067724 A KR 19970067724A KR 19980064034 A KR19980064034 A KR 199800640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valve body
- cam
- movement
- valve sea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07—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밸브시이트의 가공에 고정밀도의 곤란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장기에 걸쳐서 우수한 밸브시이트의 밀봉내구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개밸브시의 조작력이 경감된 버터플라이밸브를 제공한다.
로드(4)에 설치된 슬라이드키이(5)와 밸브본체(3)의 보스부(9)와의 사이에, 보스부에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디스크부시(10)가 배설되어 있다. 디스크부시의 주위에는, 와셔(7)가 배설되어, 상기 디스크부시와 와셔는, 결합하여 통형상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와셔의 주위에는, 시이트링(2a)측에 디스크부시가 부분적으로 돌출가능한 절결(6c)을 보유하는 부시(6)가 배설되어 있다. 디스크부시가 절결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동안은, 밸브본체가 직선적으로 운동하며, 절결로부터 퇴출하고 있는 사이에는, 상기 통형상 어셈블리가 부시에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밸브본체는 로드와 일체로 회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 밸브와 같은, 밸브장치에 관하여, 특히, 밀봉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아울러, 밸브개시의 조작력을 경감시키도록 개량한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버터플라이밸브는, 일반적으로, 밸브시이트에 고무를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고, 그와 같은 버터플라이 밸브에서는 고온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유로에 있어서 이용하는 데는 통상 부적당한 것이였다. 그 때문에, 고온고압 조건하에서 이용되는 버터플라이밸브에는, 금속제의 밸브시이트가 이용되어왔다. 금속제의 밸브시이트를 보유하는 버터플라이밸브로서는, 금속제 O링을 밀봉재로서 밸브시이트부에 채용한 것이나, 밸브본체의 회전축을 유로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편심시키는 것에의해서, 폐밸브 상태중, 비탈밸브 시이트면에 밀봉압을 가해서 기밀을 유지하는, 이른바 틸칭형의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금속제의 밸브시이트를 보유하는 버터플라이밸브의 경우에는, 밸브시이트에 있어서의 밀봉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 밸브본체를 밸브시이트의 소정위치에 확실히 착좌시킬 필요가 있어서, 밸브본체와 밸브시이트의 가공정밀도를 상당히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제 O링을 사용하는 밸브시이트에 있어서는, 폐밸브시, 밸브본체 외주의 밀봉부가 금속제 O링의 밸브시이트에 균일하게 접촉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밸브 본체와 금속제 0링과의 위치관계에 유의하여, 양자를 고정밀도로 제작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틸칭형의 버터플라이밸브에 있어서, 설계상에서는, 밸브본체와 밸브시이트와의 접촉은 전폐점 만이긴 하지만, 실제로는, 상술한 밸브본체의 회전축의 결합부가 든든하지 못해서, 소위 가터가 발생하기 때문에, 개밸브를 시작하면, 반드시 밸브본체와 밸브시이트가 딱 들어맞지는 않게 된다. 또한, 회전축이 편심하고 있기 때문에, 폐밸브시에 밸브본체에 작용하는 압력의 불균형도 크다. 이상과 같이, 틸칭형의 버터플라이밸브는, 전폐때부터의 개토크가 과대하고 개밸브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특히 고압의 유체의 밀봉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밸브시이트의 가공에 고정밀도로 곤란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밸브시이트의 밀봉 내구성을 장기에 걸쳐서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개밸브시의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는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통로를 내부에 구성한 밸브상자와, 그 유체통로에 형성된 밸브시이트와, 상기 유체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시이트에 대하여 걸어맞춤·이탈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밸브상자 내에 마련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상자를 통해서 상기 유체통로로 들어가 그 밸브본체를 지지하는 회전이동축을 구비한 밸브장치는, 상기 밸브본체와 상기 회전이동축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시이트에 걸어맞춘 상기 밸브본체를 상기 밸브시이트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 및 상기 밸브시이트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상기 밸브본체를 상기 밸브시이트에 걸어맞추기 위해서, 상기 회전이동축을 회전시킬 때, 그 회전이동축의 소정각도 위치의 회전에 따라서 움직이고, 그 회전이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밸브본체의 거의 직선적인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I항에 기재된 밸브장치에 있어서, 회전이동축이 전부 폐상태로부터 개밸브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로 회전이동하는 사이에는, 운동변환 기구는, 회전이동축의 회전운동을 거의 직선적인 운동으로서 밸브본체에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본체는, 밸브시이트와 실질적으로 미끄럼이동하는 것이 아닌 거의 직선적으로 동작한다. 한편, 회전이동축이 상기 소정각도 범위 외에서 회전이동하는 동안은, 운동변환기구는, 회전이동축의 회전운동을 그대로 밸브본체에 회전운동으로서 전달한다. 상기한 운동변환기구는, 1개라도 좋고, 상기 회전이동축의 길이가 긴 방향에 따라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더라도 양호하다.
상기 운동변환기구는, 상기 회전이동축에 설치된 캠장치와, 상기 캠장치 및 상기 밸브본체의 사이에 상기 캠장치의 운동을 상기 밸브본체에 전달하기 위해서 배설되고, 상기 캠장치에 걸어맞추는 캠면을 보유하고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와 일체적으로 운동하는 운동전달부재와, 그 운동전달부재의 거의 직선적인 운동을 허용하도록 그 운동전달부재를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직선운동 허용부재와, 상기 밸브상자에 부착되고, 상기 운동전달부재 및 상기 직선운동 허용부재를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밸브시이트의 거의 축심방향으로 상기 운동전달부재가 상기 직선운동 허용부재로부터 돌출가능하게 하는 제1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운동변환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장치는, 상기 회전이동축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기하여 배설된 1대의 슬라이드키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캠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운동 허용부재는, 상기 통형상부재가 그 직선운동 허용부재의 내부에서 측쪽으로 선택적으로 돌출하는것을 허용하는 크기의 제2절결이 형성된 부분통형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절결이 정렬할 때에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직선적인 운동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기한 슬라이드키이의 캠면은 원호면으로 양호하고, 상기 밸브시이트에 걸어맞춘 상기 밸브본체를 상기 밸브시이트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 및 상기 밸브시이트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상기 밸브본체를 상기 밸브시이트에 걸어맞추기 위해서, 상기 원호면을 걸어맞추는 상기 통형상 부재의 상기 캠면도 원호면으로 양호하다. 그러나, 적어도 한쪽의 상기 1대의 슬라이드키이의 캠면을 평탄면으로 하여, 그 평탄면을 걸어맞추는 상기 통형상부재의 상기 캠면도 평탄면으로 하면, 면접촉이 되기 때문에, 로드의 회전운동을 밸브본체의 직선운동에 적절히 변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캠장치는, 1대의 슬라이드키이에 가하여, 더욱, 회전이동축의 외주면에 배설되어 상기한 1대의 슬라이드 키이를 보조하는 센터키이를 포함하여도 좋고, 그것에 따른, 상기 통형상부재의 상기 내주면에, 그 통형상부재가 상기 제2절결에 관하여 비돌출위치인 경우에 상기 센터키이의 개밸브 동작시에 있어서의 진행방향측으로 접촉하는 센터키이용 캠면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변환기구는, 상기 회전이동축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기하여 배설된 1대의 슬라이드키이로 이루어지는 캠장치와, 상기 캠장치 및 상기 밸브본체의 사이에 상기 캠장치의 운동을 상기 밸브본체에 전달하기 위해서 배설되고, 상기 캠장치에 걸어맞추는 캠면을 내주면에 보유하는 통형상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본체와 일체적으로 운동하는 운동전달부재와,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거의 직선적인 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운동전달부재를 직경방향으로 대기하여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직선운동 허용부재와, 상기 밸브상자에 부착시키고, 상기 운동전달부재 및 상기 직선운동 허용부재를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밸브 시이트의 거의 축심방향으로 상기 운동전달부재가 상기 직선운동 허용부재로부터 돌출가능하게 하도록 직경방향으로 대기하여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운동변환부재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직선운동 허용부재 및 운동변환부재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제조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가 있다.
상기 캠장치는 상기 회전이동축과 일체의 부분으로서도 양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밸브장치의 횡단면도.
도 2는, 전부 폐상태에 있어서의 밸브장치를 도 1의 X-X선에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개밸브도중 또는 폐밸브도중에 있는 밸브장치를 도 1의 X-X선에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전부 개상태에 있어서의 밸브장치를 도 1의 X-X 선에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의 (a)∼(d)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밸브장치의 로드, 디스크부시, 와셔 및 부시를 각각 단체로 표시한 단면도.
도 6의 (a)∼(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밸브장치의 운동변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Y-Y선에 따라서 밸브장치의 다른 개폐과정 별로 표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밸브장치의 도 6의 (b)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밸브장치의 도 6의 (b)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밸브장치의 도 6의 (a) 및 (b)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0의 (a)는, 부분볼록부가 형성된 부시의 사시도, (b)는, 보스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밸브본체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부시와 밸브본체의 보스부와의 조합에 관한 도면이고, (a)는, 도 6의 (b)의 상태, (b)는, 도 6의 (d)의 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밸브상자 1a : 유체통로
2a : 시이트링(밸브시이트) 3 : 밸브본체
4, 4' : 로드(회전이동축)
5, 5a, 5a', 5b, 5b' : 슬라이드키이(캠장치)
6, 6' : 부시(운동변환부재)
6c : 제1절결 7, 7' : 와셔(직선운동허용부재)
7c : 제2절결 10, 10' : 디스크부시(운동전달부재)
10a∼10g, 10k, 10n : 캠면 10m : 캠면(센터키이용 캠면)
10h∼10j, 10p : 캠볼록부(캠면) 10A, 10H : 평탄면(캠면)
11, 12 : 밸브시이트면 17 : 센터키이(캠장치)
a1, a2 : 평탄면 b1 : 캠면
b2 : 평탄면(캠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즉 실시예에 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면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은, 방향에 관해서는, 도 1의 지면우측을「전측」이라고 하고, 지면좌측을「후측」이라고 하며, 또한, 도 l에 있어서 중심축선(O2)에 관하여 윗쪽을「상측」이라고 하고, 아래쪽을 「하측」으로 하여, 도 1의 지면의 표측을 「좌측」이라고 하여, 지면의 이측을 「우측」이라고 행한다.
도 1은, 전개방 상태에 있는 본 실시예의 밸브장치의 종단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X-X선에 있어서의 단면이고, 도 3 및 도 4는, 개밸브 도중의 상태, 전부 개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밸브장치는, 주로, 밸브상자(1), 플랜지부(2), 밸브본체(3), 로드(4) 및 구동장치(20)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상자(1)는, 중심축선(O2)을 보유하는 실질적으로 거의 원통형의 부재로서, 내부에는 유체통로(1a)가 구성되어 있다. 유체통로(1a)에 있어서의 유체의 흐름은, 도l에 있어서 참조부호(R)를 붙인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에서 후측으로 향한다. 유체통로(la)를 구성하는 밸브상자(l)의 내면에는, 밸브본체(3)에 형성된 스토퍼(3a)와 맞닿는 것이 가능한 스토퍼(1b)가 형성되어 있다(도 2참조). 스토퍼(1b, 3a)가 서로 맞닿는 시기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밸브의 동작설명시와 더불어 설명한다. 플랜지부(2)는, 밸브상자(1)의 후측에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부(2)에는, 고리형상의 밸브시이트면(12)을 보유하는 시이트링(2a)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중심축선(02)은, 밸브시이트면(12)의 축심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시이트링(2a)에 관해서는, 플랜지부(2)와 별도로도 양호하다.
밸브본체(3)는, 밸브상자(1) 내에 있어서,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그 밸브본체(3)의 후측의 원주면에는, 절두원추형상의 밸브시이트(l1)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시이트면(11)은, 밸브본체(3)의 전폐시에, 도 1 및 도 2에 표시하듯이, 상술한 밸브시이트(12)와 걸어맞춰서 유체통로(1a)를 차단한다. 밸브시이트면(11)은, 금속 등으로부터 강철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일반적인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시이트 보수방법에 의해서 밀봉기능을 발휘하는 적합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밸브시이트면(11) 및 (12)는, 통상의 옥형밸브와 동일한 절두원추형상이라도 좋지만, 특히 소구경의 밸브의 경우에는, 옥시이트면으로 하면 더욱 높은 밀봉효과가 발휘된다. 밸브본체(3)의 앞측부분에는, 도 1에 표시하듯이, 밸브상자(1)내의 유체통로(1a)를 구성하는 벽부(1c)에 근접하여, 중심축선(02)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이하에 1개씩, 합계 2개의 보스부(9)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본체(3)는, 보스부(9)에 있어서,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디스크부시(운동전달부재)(10)를 통해서, 로드(회전이동축)(4)에 지지되어 있다.
로드(4)는, 양 보스부(9)를 관통하여 도 1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뒤에서부터 상세히 설명하는 부시(운동변환부재)(6)를 통해서 밸브상자(1)에 지지되어 있다. 로드(4)의 상단부는, 밸브상자(l)를 관철하여 윗쪽으로 연장되어, 도시와 같이 배설된 통상의 구동장치(20)에 접속되어 있다. 로드(4)에는, 각 보스부(9)에 의해 포위된 부분의 원주면에, 소정의 크기의 키이홈이 형성되어 있다. 키이홈은, 도 l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원주방향으로 거의 180도 간격인 2개소, 로드축방향으로 간격을 둔 2개소, 합계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각 키이홈에는, 슬라이드키이(캠장치)(5)가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키이(5)는, 뒤에서부터 상세히 설명하듯이, 디스크부시(10)에 맞닿고 있다.
다음에, 운동변환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운동변환기구는, 디스크부시(운동전달부재)(10)와, 와셔(직선운동 허용부재)(7)와, 부시(운동전환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의(a)∼(d)는, 키이부착로드(4), 디스크부시(10), 와셔(7) 및 부시(6)를 각각 단체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d)는, 도 1의 Y-Y 선에 따라서, 밸브의 개폐상태 별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디스크부시(10)는, 보스부(9)와 로드(4)와의 사이에 배설되어, 밸브본체(3)와 일체적으로 동작하도록 보스부(9)에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부시(10)의 외형은, 앞측부분에 형성된 곡률반경(D1/2)의 곡면(S1)과, 후측부분에 형성된 곡률반경D2/2(D2D1)의 곡면(S2)과, 곡면(S1) 및 (S2)을 접속하는 평면(S3)으로 된다. 또한, 디스크부시(10)에는, 축심방향으로 연장하고, 로드(4)가 관통하는 구멍(13)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구멍(13)은 캠면 또는 원호면(10a∼10g)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캠면(10a∼10g)은, 캠볼록부(캠면)(10h∼10j)와 협동하여, 뒤에서부터 동작설명하는 바와 같이, 로드(4)에 결합한 슬라이드키이(5)와 맞닿아서, 밸브본체(3)에 소정의 운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캠면(10a∼10g), 캠볼록부(10h∼10j)의 형상은, 로드(4)의 회전중의 각도에 있어서도, 슬라이드키이(5)와 디스크부시(10)와의 사이가 완전히 떨어져 있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밸브장치의 개폐동작중, 밸브본체(3)의 가터를 방지하는 일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캠면중, 캠면(10b, 10d, 10f)은 거의 동일한 중간곡률반경을 보유하는 원호면이고, 캠면(10a, 10e)은 그것 보다 큰 곡률반경 및 작은 곡률반경을 보유하는 원호이고, 캠면(l0c, 10g)은 캠(10b)과 (10d)을 접속하는 평면이다. 곡률반경등의 차에 의해 각 캠 사이에는 캠볼록부(10h, l0i, 10j)가 존재한다.
와셔(7)는, 로드(4)의 축심방향에 관하여 밸브본체(3)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디스크부시(10)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포위하도록 배설된다. 도 l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와셔(7)는, 중앙에 로드(4)가 관통하는 구멍(14)이 천설된 외경이 거의 (D2)의 원판부(7a)와, 그 원판부(7a)에서 거의 수직으로 로드축심에 따라서 연장되는 거의 외경(D2), 내경(D1)의 부분원 고리부(7b)로 구성되어 있다. 부분원고리부(7b)의 후측부분은, 디스크부시(10)의 곡면(S2)에 상당하는 부분이 절단되어 있어서, 절결(7c)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부분원 고리부(7b)의 내주면은, 디스크부시(10)의 곡면(S1) 및 평면(S3)에 대응한 형상을 보유한다. 따라서, 와셔(7)와 디스크부시(10)가 결합하면, 부분원 고리부(7b)의 내주면과 디스크부시(10)의 곡면(S1) 및 평면(S3)이 맞닿아서, 도 1로부터 양해되도록, 외경(D2)의 통형상 어셈블리가 형성된다.
부시(6)는, 도 1 및 도 5의 (d)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밸브상자(1) 및 로드(4)의 사이에 고정되어 로드(4)가 관통하는 구멍(15)을 보유하는 상대적으로 소경의 원통부(6a)와, 밸브상자(1) 및 와셔(7)의 사이에 위치하여 내경이 거의 (D2)의 부분원통부(6b)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부분원통부(6b)는, 와셔(7)를 포위하여 배설되고, 그 와셔(7) 및 디스크부시(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상기 통형상 어셈블리는, 부분원통부(6b)내에 있어서 자유롭게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도 6참조). 부분원통부(6b)의 후측부분에는, 현장(H)을 보유하는 절결(6c)이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결(6c)의 현장(H)은, 디스크부시(10)의 평면(S3), (S3) 사이의 거리에 거의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양호하다(도 5참조).
다음에, 본 실시예의 밸브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는, 전폐시의 밸브장치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6의 (a)에는, 전폐시의 슬라이드키이(5)와 운동변환기구의 관계가 나타나 있다. 전폐시는, 도 6의 (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키이(5)중, 후측 슬라이드키이(5b)가 디스크부시(10)를 후측으로 누르도록 캠볼록부(10i)와 맞닿아서, 앞측 슬라이드키이(5a)가 캠면(I0a)과 맞닿고 있다. 이때문에, 디스크부시(10)의 평면(S3)의 후측단 가장자리는, 부시(6)의 절결(6c)내로 중심축선(02)에 따라서 Lmm 돌출하기 때문에, 디스크부시(10)의 곡면(Sl)은, 부분원 고리부(7b)의 내주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서, 곡면(S1)과 그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16)이 발생한다. 또한, 밸브본체(3)의 전측면에는, 흐름방향(R)에 관하여 밸브본체(3)의 상류측에 있는 유체의 압력(Pl)(도 1)이 시이트링(2a)의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압력(P1)에 의해서, 밸브본체(3)의 밸브시이트면(11)은, 시이트링(2a)의 밸브시이트면(12)에 압착되고, 밸브본체(3)를 횡단하는 유체통로(1a)의 흐름이 차단된다. 또한, 이 때, 상술한 밸브본체(3)의 스토퍼(3a)는, 밸브상자(1)의 스토퍼(1b)로부터 Lmm만큼 떨어진다(도 2참조).
상술한 전부 폐상태로부터의 밸브본체(3)의 개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밸브본체(3)를 열기 위해서 구동장치(20)를 작동하면, 로드(4)는, 도 2 및 도 6의 (a)에 있어서 화살표(Q)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로드(4)의 길이가 긴쪽 방향의 축심(O1)의 주위에 회전한다. 이 회전에 따라서, 로드(4)에 부착된 슬라이드키이(5)도 화살표(Q)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앞측 슬라이드키이(5a)는, 디스크부시 내주면이 원호면(10a)으로부터 볼록부(10h)에 걸쳐서 길이가 긴 방향의 축심(O1)까지의 거리가 점감하도록 한 캠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부시(I0)를 앞측으로 압압하면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디스크부시(10)는, 절결(6c), 절결(7c) 및 부분원 고리부(7b) 내를 중심축선(02)에 따라서 앞측방향에 미끄럼이동한다. 그러나, 디스크부시(10)의 평면(S3)이 절결(6c)내에 돌출하고 있는 한은, 디스크부시(10)가 회전하더라도, 그 평면(S3)이 절결(6c)을 구성하는 부분원통부(6b)의 단면(6d)에 걸리기 때문에, 디스크부시(10)는, 로드(4) 및 슬라이드키이(5)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부시(10)가 앞측으로 미끄럼이동하면, 그 디스크부시(10)와 일체로 결합된 밸브본체(3)도, 중심축선(02)과 평행하게 앞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본체(3)의 밸브 시이트면(11)이 시이트링(2a)의 밸브시이트면(12)으로부터 이간하여, 밸브본체(3)의 앞측면에 작용하는 압력(P1)은, 밸브 본체(3)의 후측으로 해방된다.
이상과 같이, 전부 폐상태로부터 로드(4)가 본 실시예 에서는 약 20。회전하는 동안은, 밸브본체(3)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4)의 회전운동이 운동변환기구에 의해서 병진운동으로 변환되어서 밸브본체(3)에 전달되고, 밸브본체(3)가 확실히 앞쪽으로 이동한다. 게다가, 이 각도는, 임계적인 값이 아니고, 캠면, 슬라이드키이 등의 형상에 따라서 20。이상 혹은 20。이하의 여러가지의 값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캠면, 슬라이드키이 등의 형상에 따라서 밸브본체의 직선운동도 직선형상으로부터 원호형상까지 변화하지만, 운동거리(Lmm)는 짧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직선형상으로 고려할 수가 있다. 또한, 특히 개밸브시에는, 밸브본체에 작용하는 유체압력를 획득하여 동일한 밸브본체를 개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운동변환기구를 개재하여 밸브본체에 큰 힘을 부여할 수 있도록, 상술한 운동거리는 어느 정도 작은 쪽이 바람직하며, 그와 같은 캠면, 슬라이드키이 등의 형상을 설계하면 양호하다.
상술한 디스크부시(10) 및 밸브본체(3)의 앞쪽의 이동은, 로드(4)가 전부 폐상태로부터 화살표(Q)의 방향으로 약20。회전하는 동안에 계속된다. 즉, 로드(4)가 약20。회전하면, 밸브본체(3)는, 도 2의 상태로부터 앞측으로 Lmm 이동하여, 도 3에 표시하듯이, 밸브본체(3)의 스토퍼(3a)가 밸브상자(1)의 스토퍼(1b)에 맞닿게 된다. 동시에, 디스크부시(l0)는, 도 6의 (a)의 상태로부터 앞측으로 Lmm 이동하여, 도 6의(b)에 표시하듯이, 디스크부시(10)의 곡면(Sl)이 부분원 고리부(7b)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부시(10)의 평면(S3)은, Lmm만큼 앞측으로 이동하여, 절결(6c)을 구성하는 단면(6d) 보다도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절결(6c)과의 걸어맞춤으로부터 벗어난다. 또한, 부시(6)내에 있어서는, 디스크부시(10) 및 와셔(7)가 딱 끼워 맞춰지고, 절결에 있어서 양자의 경계선에 요철이 없는 직경(D2)의 통형상 어셈블리가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키이(5)에 관해서는, 앞측 슬라이드키이(5a)가 볼록부(10h)에 걸린 상태로 되어, 후측 슬라이드키이(5b)는 캠면(10e) 내에 딱 삽입된 상태로 된다(도 6의 (b)참조).
밸브장치의 각(各) 부가 도 3 및 도 6의 (b)에 나타나는 상태로 된 후, 더욱, 로드(4)가 화살표(Q)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로드(4)의 회전력은, 슬라이드키이(5)를 통해서 디스크부시(10)에 그대로 회전력으로서 전달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앞측슬라이드키이(5a)가 볼록부(10h)에 걸려서, 평면(S3)이 절결(6c)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디스크부시(10) 및 와셔(7)로 이루어지는 통상 어셈블리가, 부시(6) 내에 있어서, 로드(4)와 함께 회전하여(도 6의 (C) 참조), 디스크부시(l0)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밸브본체(3)도, 로드(4)와 함께 회전하여, 최종적으로는, 도 4 및 도 6의 (d)에 표시되는 전부 개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로드(4)가 전부 폐상태로부터 본 실시예로서는 약20。회전한 뒤, 밸브본체(3)는 중심축선(02)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고, 로드(4)의 회전력이 운동변환기구에 의해서 회전력으로서 그대로 밸브본체(3)에 전달되기 때문에, 밸브본체(3)가 확실히 개밸브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전부 개상태로부터 밸브본체(3)가 폐동작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의 (d)에 표시되는 상태로부터, 로드(4)가 화살표(Q)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캠면(10e)에 끼워맞춘 후측 슬라이드키이(5b)가 볼록부(10d)에 걸려서, 디스크부시(10) 및 와셔(7)로 이루어지는 통상 어셈블리가 부시(6)내에 있어서 로드(4)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부시(10)와 일체적으로 연결한 밸브본체(3)도, 로드(4)와 같은 방향(폐밸브방향)으로 회전한다. 운동변환기구가, 도 6의 (c)의 상태를 거쳐서 (b)의 상태가 되면, 부시(6)의 절결(6c)에 대한 와셔(7)의 절결(7c)의 각도위치가 일치하여 양자가 직선적으로 정렬함과 아울러,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본체(3)에 설치된 스토퍼(3a)가 밸브상자(1)측의 스토퍼(1b)에 접촉한다. 로드(4)가 화살표(Q)와 반대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면, 밸브 본체(3)는 스토퍼(1b, 3a)에 의해 회전을 저지하고 있기 때문에, 후측 슬라이드키이(5b)에 의해 볼록부(10i)가 압압되는 디스크부시(10)는, 절결(6c), 절결(7c) 및 부분원 고리부(7b)내를 중심축심(02)에 따라서 후측으로 미끄럼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부시(10)와 연결한 밸브본체(3)도, 중심축심(02)과 평행하게 후측으로 이동한다. 밸브본체(3)가 도 3의 상태로부터 Lmm 뒤쪽으로 이동하면, 밸브시이트면(11)이 밸브시이트면(12)과 딱 밀봉결합하여, 밸브장치는 전부 폐상태로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실시예의 밸브장치로는, 밸브본체(3)는, 전부 폐상태로부터 개동작하는 경우, 밸브시이트면(12)의 중심축심(02)과 평행하게 시이트링(2a)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밸브본체(3)와 시이트링(2a)의 밸브시이트면(1l,12) 사이에 있어서의 미끄럼이동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밸브시이트면의 마모가 감소하고, 장기에 걸쳐서 우수한 밀봉내구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미끄럼이동에 의한 마모저항이 감소하는 것으로 밸브본체 조작력을 극히 가볍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폐밸브시는, 밸브본체(3)는, 밸브시이트면(12)의 중심축선(02)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시이트링(2a)과 결합하여, 유체압력을 밀봉하기 위해서, 극히 높은 밀봉효과가 얻어진다.
더욱, 밸브시이트면은, 밸브본체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행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일반적인 밸브에 있어서의 통상의 밸브시이트 보수방법에 의해, 고정밀도로 곤란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밀봉기능을 발휘하도록 한 적합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적합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개변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6의 (b)에 상당하는 도면인)에 표시하듯이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명이 장황하게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상술한 실시예와는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주로 설명하면, 도 7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드(4')에 설치된 슬라이드키이중 후측의 슬라이드키이(5b')는, 그 하반부의 캠면(b1)의 형상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원호형상으로 양호하지만, 도 7에 있어서 상반부의 캠면(b2)은 거의 직선형상의 평탄면(b2)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이 평탄면(b2)과 결합하는 디스크부시(10')의 캠면(10I)도 거의 직선형상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앞측의 슬라이드키이(5a')는, 도 7에 있어서 상반부의 캠면(a2)이 직선형상의 경사평탄면으로 된다. 하반부의 캠면(a1)도 경사의 방향을 제외하고 거의 동일한 직선형상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이, 원호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디스크부시(10')의 캠면(l0A) 및 (l0H)은, 이러한 슬라이드키이(5a')의 형상 및 동작에 적응하는 형상을 보유하며, 캠면(10H)은 경사평탄면이다.
따라서, 이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드(4')를 소정각도의 범위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밸브본체를 개폐할 때에, 어느쪽의 경우라도, 슬라이드키이와 디스크부시사 직선형상으로 경사진 평탄면에서 면접촉하면서 밸브본체를 직선형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로드의 회전력이 확실히 밸브본체에 전해지기 때문에,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하며, 특히 대형의 밸브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도 8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드키이(5a', 5b')의 캠면 및 디스크부시(I0')의 캠면의 형상은 도 7과 동일하지만, 부시(6') 및 와셔(7')의 형상이 다르다. 즉, 이것의 부재에 필요로 하는 것은, 상술한 절결을 보유함과 아울러, 로드의 회전에 따르는 디스크부시의 회전 및 미끄럼이동을 안내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 1∼도 7에 표시한 실시예와 같이, 단면이 U자형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이,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부시(10')를 좁히도록 한 구조로도 양호하다. 이 경우, 부시(6') 및 와셔(7')의 가공이 간단하게 되어, 제조비용의 저감을 기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9(도 6의 (a) 및 (b)에 상당하는 도면인)에 표시하듯이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변실시예에 관해서도, 설명이 장황하게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상술한 도 1로부터 도 6에 표시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주로 설명한다. 도 9의 개변실시예에 있어서, 로드(4)의 외주면에는, 앞측 슬라이드키이(5a) 및 후측슬라이드키이(5b)의 각각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되는 위치에 센터키이(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터키이(17)의 캠면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부시(10)의 캠면(10a)과 캠면(10f)과의 사이에는, 캠면(10K), (10m), (10n)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10m)은, 센터키이(17)의 원호형상 캠면의 전반부분측(개밸브동작시에 있어서의 진행방향측)의 곡률과 거의 동일한 곡률의 원호면이고, 도 9의 (b)에 표시되는 상태 즉 디스크부시(10)가 절결(7c)에 관하여 비돌출위치에 있고 로드(4)의 길이가 긴 방향 축심(01)과 디스크부시(10)의 곡면(S1, S2)의 곡률중심(03) 등이 합치한 상태의 경우에, 센터키이(17)의 캠면의 전반분측과 전체적으로 걸어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면(10n)은, 캠면(10m)과 캠면(10f)을 연결하는 곡면이고, 캠면(10m) 보다도 그 곡률이 크고, 센터키이(17)와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캠면(10n)에 의해, 센커키이(17)의 동작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10k)은, 캠면(10a)과 캠면(10m)을 연결하는 평면이다. 또한, 곡률반경 등의 차에 의해 캠면(10k)과 캠면(10m)의 사이에는 캠볼록부(10p)가 존재한다.
도 9의 (a)에 표시되는 전폐시로부터 개밸브동작이 개시되고, 로드(4)가 Q 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측 슬라이드키이(5a)가 디스크부시(10)를 앞측으로 억누르면서 회전하고, 디스크부시(10)는, 와셔(7) 내에 있어서 중심축선(02)에 따라서 전진한다. 디스크부시(10)가 전폐시에서 Lmm 전진하면, 도 9의 (b)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로드(4)의 길이가 긴 방향 축심(O1)과 디스크부시(10)의 곡면(S1, S2)의 곡률중심(03)과 합치한 상태로 된다. 이 사이, 센터키이(17)는 캠면(10m)과 접촉하는 일 없이 원호형상으로 이동하여, 도 9의 (b)에 나타나는 상태에 있어서 센터키이(17)의 전반분측이 캠면(10m)과 결합한다. 그러나, 수십회의 작동에 의한 부품의 마모에 의해서 혹은 실시자에 의한 부품제작시의 가공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것에 의해서, 앞측 슬라이드키이(5a) 또는 후측 슬라이드키이(5b)와 디스크부시(10)의 캠면의 사이에 간신히 빈틈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동작중, 센터키이(17)는, 도 9의 (b)에 표시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끝나기 전까지 캠면(10m) 혹은 캠볼록부(10p)와 맞닿고 있는 그대로 디스크부시(10)를 앞쪽으로 압압을 계속하여, 길아가 긴 방향 축심(01)과 곡률중심(03)이 합치한 상태로 유도할 수가 있다. 즉, 본 실시예 에서는, 앞측슬라이드키이(5b)에 가하여, 이 슬라이드키이(5a. 5b)의 동작을 보조하는 센터키이(1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가 긴쪽 방향 축심(01)과 곡률중심(03)과의 합치를 그 부분에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센터키이(17)에 관해서는, 상기한 것의 캠면(10n)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항상 디스크부시(10)의 캠면과 접촉하고 있는 앞측 슬라이드키이(5a)나 후측슬라이드키이(5b)에 비하여 마모조건은 적합하다. 더욱, 센터키이(17)는, 도 9의(b)에 나타나도록 캠면(10m)과 결합한 후, 도시생략하지만 더욱 로드(4)가 Q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로드(4)의 회전력을 디스크부시(10)에 전달하는 역할도 다하기 위해서, 그 부분, 앞측 슬라이드키이(5a) 및 후측슬라이드키이(5b)에 부과되는 회전력의 부담은 경감된다.
또한, 별도의 변경으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보스부(9)와 최초로부터의 일체에, 디스크부시(10)에 상당하는 부분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즉, 디스크부시(10)를 별도의 부재로서 부가하지 않고서, 밸브본체(3)의 보스부(9)의 로드(4)가 관통하는 구멍의 내면에, 직접, 상술한 캠면, 볼록부(10a∼10j)와 동일한 작용을 겸하는 캠면, 볼록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특히, 밸브가 대구경의 것인 경우에는, 로드(4)에 키이홈을 설치해서 슬라이드키이(5)를 결합시키는 대신에, 슬라이드키이(5)에 상당하는 볼록부분을 구비한 판형상의 캠을 로드(4)에 설치하기도 하고, 로드자체에 슬라이드키이에 상당하는 볼록부를 형성하여, 슬라이드키이를 로드와 일체의 부분으로서도 양호하다. 또한, 보스부(9)는 로드의 길이가 긴쪽 방향에 따라서 2개 설치하는 것이 밸브본체의 지지의 안정상에서 바람직하지만, 단지 한개라도, 또한, 그 밖의 수라도 좋다.
한편,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는 전부, 밸브상자(1)의 내면에, 밸브본체(3)의 폐밸브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1b)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스토퍼(1b)를 설치하는 형태에 대해서,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부시(6)에 부분볼록부(6e)를 형성하여, 밸브본체(3)의 보스부(9)에 이 부분볼록부(6e)와 조합된 오목부(9a)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부분볼록부(6e)는, 부시(6)의 부분원통부(6b)에 있어서 축심방향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오목부(9a)는, 보스부(9)의 축심방향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부분볼록부(6e) 및 오목부(9a)가 조합된 도 11의 (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9a)의 단면(9b)과 부분볼록부(6e)의 단면(6g)이 걸어맞춰지는 것으로 밸브본체(3)의 폐밸브방향의 회전이 규정되는 폐밸브용 스토퍼로서의 기능이 얻어지고, 또한, 도 11의 (b)에 표시되는 바와 같아, 오목부(9a)의 단면(9c)과 부분볼록부(6e)의 단면(6f)이 걸어맞춰지는 것으로 밸브본체(3)의 전개위치가 규정되는 전개스토퍼로서의 기능도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밸브장치에 의하면, 밸브시이트면 사이의 미끄럼이동이 실질적으로 없어지기 때문에, 밸브시이트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 미끄럼이동시의 마찰저항에 저항하여 밸브본체를 동작시키고 있는 만큼의 조작력이 필요없이, 밸브본체의 개폐조작이 극히 경감된다.
또, 캠장치인 슬라이드키이의 캠면과 운동전달부재인 디스크부시의 캠면과 면접촉하도록 구성하면, 밸브본체의 개폐동작의 신뢰성이 향상할 수가 있다.
또한, 캠장치에 슬라이드키이를 보조하는 센터키이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밸브본체의 개폐동작의 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Claims (10)
- 유체통로(1a)를 내부에 구성하는 밸브상자(1)와, 그 유체통로(1a)에 형성된 밸브시이트(2a)와, 상기 유체통로(1a)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 시이트(2a)에 대하여 걸어맞춤·이탈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밸브상자(1) 안에 설치된 밸브본체(3)와, 상기 밸브상자(1)를 관철하여 상기 유체통로(1a)에 들어가 상기 밸브본체(3)를 지지하는 회전이동축(4)을 구비한 밸브장치에 있어서,상기 밸브본체(3)와 상기 회전이동축(4)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시이트(2a)에 걸어맞춘 상기 밸브본체(3)를 상기 밸브시이트(2a)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 및 상기 밸브시이트(2a)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상기 밸브본체(3)를 상기 밸브시이트(2a)에 걸어맞추기 위해서, 상기 회전이동축(4)을 회전시킬 때, 그 회전이동축(4)의 소정각도 위치의 회전에 따라서 움직여서, 그 회전이동축(4)의 회전운동을 상기 밸브본체(3)의 거의 직선적인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기구는, 상기 회전이동축(4)의 길이가 긴쪽의 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밸브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기구는, 상기 회전이동축(4)에 설치된 캠장치(5)와, 상기 캠장치(5) 및 상기 밸브본체(3)의 사이에 상기 캠장치(5)의 운동을 상기 밸브본체(3)에 전달하기 위해서 배설되고, 상기 캠장치(5)에 걸어맞추는 캠면을 보유하고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3)와 일체적으로 운동하는 운동전달부재(10)와, 그 운동전달부재(10)의 거의 직선적인 운동을 허용하도록 그 운동전달부재(10)를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직선운동허용부재(7)와, 상기 밸브상자(1)에 부착되고, 상기 운동전달부재(10) 및 상기 직선운동허용부재(7)를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밸브시이트(2a)의 거의 축심방향으로 상기 운동전달부재(10)가 상기 직선운동허용부재(7)부터 돌출가능하게 되는 제1절결(6c)이 형성되어 있는 운동변환부재(6)로 구성되는 밸브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장치(5)는, 상기 회전이동축(4)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기하여 배설된 1대의 슬라이드키이(5a, 5b)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동전달부재(10)는, 내주면이 상기 캠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운동허용부재(7)는, 상기 통형상 부재가 그 직선운동허용부재(7)의 내부에서 측쪽으로 선택적으로 돌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의 제2절결(7c)이 형성된 부분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절결(6c, 7c)이 정렬할 때에 상기 운동전달부재(10)의 직선적인 운동을 허용하는 밸브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장치(5)에는, 상기 1대의 슬라이드키이(5a, 5b)에 가하여, 상기 회전이동축(4)의 외주면에 배설되어 상기 1대의 슬라이드키이(5a, 5b)를 보조하는 센터키이(17)가 포함되어 있는 밸브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재의 상기 내주면에는, 그 통형상부재가 상기제2절결(7c)에 관하여 비돌출위치인 경우에 상기 센터키이(17)의 개밸브동작시에 에 있어서의 진행방향측에 접촉하는 센터키이용 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장치.
- 제4항 내지 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키이(5a, 5b)의 캠면은 원호면이고, 상기 밸브시이트(2a)에 걸어맞춘 상기 밸브본체(3)를 상기 밸브시이트(2a)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 및 상기 밸브시이트(2a)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상기 밸브본체(3)를 상기 밸브시이트(2a)에 걸어맞추기 위해서, 상기 원호면을 걸어맞추는 상기 통형상부재의 상기 캠면도 원호면인 밸브장치.
- 제4항 내지 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상기 1대의 슬라이드키이(5a, 5b)의 캠면은, 평탄면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시이트(2a)에 걸어맞춘 상기 밸브본체(3)를 상기 밸브시이트(2a)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 및 또는 상기 밸브시이트(2a)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상기 밸브본체(3)를 상기 밸브시이트(2a)에 걸어맞추기 위해서, 상기 평탄면을 걸어맞추는 상기 통형상부재의 상기 캠면도 평탄면인 밸브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기구는, 상기 회전이동축(4)의 외주면에 지름방향으로 대기하여 배설된 1대의 슬라이드키이(5a,5b)로 이루어지는 캠장치(5)와, 상기 캠장치(5) 및 상기 밸브본체(3)의 사이에 상기 캠장치(5)의 운동을 상기 밸브본체(3)에 전달하기 위해서 배설되고, 상기 캠장치(5)에 걸어맞추는 캠면을 내주면에 보유하는 통형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본체(3)와 일체적으로 운동하는 운동전달부재(10)와, 그 운동전달부재(10)의 거의 직선적인 운동을 허용하도록 그 운동전달부재(10)를 직경방향으로 대기하여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직선운동허용부재(7)와, 상기 밸브상자(1)에 부착되고, 상기 운동전달부재(10) 및 상기직선운동허용부재(7)를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밸브시이트(2a)의 거의 축심방향으로 상기 운동전달부재(10)가 상기 직선운동허용부재(7)로부터 돌출가능하도록 직경방향으로 대기하여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운동변환부재(6)로 구성되어 있는 밸브장치.
- 제4항 내지 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장치(5)는 상기 회전이동축(4)과 일체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4795896 | 1996-12-26 | ||
JP96-347958 | 1996-12-26 | ||
JP27558097A JP3242869B2 (ja) | 1996-12-26 | 1997-10-08 | 弁装置 |
JP97-275580 | 1997-10-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4034A true KR19980064034A (ko) | 1998-10-07 |
KR100478094B1 KR100478094B1 (ko) | 2005-07-18 |
Family
ID=2655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7724A KR100478094B1 (ko) | 1996-12-26 | 1997-12-11 | 밸브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3242869B2 (ko) |
KR (1) | KR100478094B1 (ko) |
CN (1) | CN1121566C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0905B1 (ko) * | 2009-03-13 | 2009-06-03 | 백두산업 주식회사 | 분체이송설비용 원형 개폐밸브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42869B2 (ja) * | 1996-12-26 | 2001-12-25 | 岡野バルブ製造株式会社 | 弁装置 |
JP2003014139A (ja) * | 2001-07-04 | 2003-01-15 | Okm:Kk | バタフライ弁 |
JP6014476B2 (ja) * | 2012-12-04 | 2016-10-25 |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 バタフライ式圧力制御バルブ |
JP6370705B2 (ja) * | 2014-12-26 | 2018-08-08 |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 バタフライ弁 |
US10100934B2 (en) | 2015-02-25 | 2018-10-16 | Elkhart Brass Manufacturing Company, Inc. | Valve with movable valve seat |
JP6612142B2 (ja) | 2016-02-04 | 2019-11-27 | 愛三工業株式会社 | 流量制御弁 |
CN108679242B (zh) * | 2018-06-21 | 2024-02-27 |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 铰接式阀门 |
CN113242947B (zh) * | 2018-12-28 | 2023-12-01 | 株式会社开滋 | 中心型蝶形阀 |
JP7379701B2 (ja) * | 2019-11-21 | 2023-11-14 | アイティーティー マニュファクチャーリング エンタープライジズ エルエルシー | デュアルモーションシャットオフバルブ及びデュアルモーションシャットオフバルブアセンブリを製造する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100618A (ko) * | 1973-01-29 | 1974-09-24 | ||
JPS534225A (en) * | 1975-12-28 | 1978-01-14 | Kenji Kitazawa | Flap valve |
JPS5671554U (ko) * | 1979-11-08 | 1981-06-12 | ||
JPS63148028A (ja) * | 1986-12-09 | 1988-06-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加熱調理器 |
US4817916A (en) * | 1987-03-09 | 1989-04-04 | Jamesbury Corporation | Butterfly valve |
CA2120483C (en) * | 1991-10-02 | 2002-07-09 | John Edward Chapman | Butterfly valve with compound movement |
JP3242869B2 (ja) * | 1996-12-26 | 2001-12-25 | 岡野バルブ製造株式会社 | 弁装置 |
-
1997
- 1997-10-08 JP JP27558097A patent/JP3242869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2-11 KR KR1019970067724A patent/KR1004780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12-25 CN CN97125666A patent/CN112156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0905B1 (ko) * | 2009-03-13 | 2009-06-03 | 백두산업 주식회사 | 분체이송설비용 원형 개폐밸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90168A (zh) | 1998-08-12 |
JPH10238637A (ja) | 1998-09-08 |
KR100478094B1 (ko) | 2005-07-18 |
JP3242869B2 (ja) | 2001-12-25 |
CN1121566C (zh) | 2003-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69309B2 (ja) | デュアルリフトロッカーアームのラッチ機構とその作動構成 | |
JP4271905B2 (ja) | バタフライ・バルブ | |
KR100243923B1 (ko) | 볼 밸브 커플링 장치 | |
KR19980064034A (ko) | 밸브장치 | |
JP5585896B2 (ja) | バルブ連結器用インタロックシステム | |
JP2004530846A (ja) | ピボット作動型スリーブバルブ | |
RU2689232C1 (ru) | Клапаны типа бабочка с осевым уплотнением | |
JPH0379872A (ja) | 改良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弁 | |
US4921212A (en) | Hybrid butterfly valve | |
US20040021105A1 (en) | Rotating regulating device | |
JP3376325B2 (ja) | 弁装置 | |
JPS6149538B2 (ko) | ||
KR100279925B1 (ko) | 역류방지밸브구조 및 그 역류방지밸브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밸브부재 | |
KR20200139376A (ko) | 펌핑 디바이스의 클러치캠 | |
KR100613882B1 (ko) | 버터플라이 밸브 | |
JP2005113981A (ja) | バタフライバルブ | |
JP3248788U (ja) | 円錐状ステム、及び円錐状ステムを備えたボールバルブ | |
JPH11304014A (ja) | ボールコック | |
KR200356872Y1 (ko) | 버터플라이 밸브 | |
JPH04136567A (ja) | 回転型弁 | |
JP2671233B2 (ja) | 回転型弁 | |
JPH043162Y2 (ko) | ||
EP3739246B1 (en) | Butterfly valve | |
JP3889809B2 (ja) | 蒸気流量を調整するための絞り機構付きの蒸気タービン構成要素並びに蒸気タービンにおける蒸気流量の調整方法 | |
WO2023162139A1 (ja) | 可変ノズル装置及び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20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