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868U -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 Google Patents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868U
KR19980063868U KR2019970008435U KR19970008435U KR19980063868U KR 19980063868 U KR19980063868 U KR 19980063868U KR 2019970008435 U KR2019970008435 U KR 2019970008435U KR 19970008435 U KR19970008435 U KR 19970008435U KR 19980063868 U KR19980063868 U KR 199800638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rod
movable sleeve
locking
spir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후따 야스니시
쵸우에이 히로타니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양행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riority to KR2019970008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868U/ko
Publication of KR19980063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868U/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조출조작성이 좋고 홀더내에 남겨진 잔류필심도 쉽게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가 줄여져 구조가 간단함과 더불어 조립하기도 쉬운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에 관한 것으로, 앞쪽외통(1)에 대해 뒤쪽외통(2)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됨과 더불어 이들 앞뒤외통(1,2)내에 설치되어 봉상물은 조출시키는 작동로드(3)로 구성되고서, 상기 뒷쪽외통(2)의 앞쪽부위 내주에 나선안내수단(2b)이 형성되면서 이 나선안내수단(2b)의 앞쪽외통(1) 내에 회전저지부재(4)가 고정설치되고, 작동로드(3)가 상기 나선안내수단(2b)에 걸려짐과 더불어 상기 회전저지부재(4)를 매개로 회전은 저지하지만 축방향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걸림부(3b)가 갖춰지고, 상기 작동로드(3)의 앞쪽부위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가동슬리이브(5)와 이 가동슬라이브(5)가 걸려지도록 상기 앞쪽외통(1)내에 설치된 걸림부(1e,1g)로 구성되어, 가동슬리이브(5)가 앞쪽외통(1)과 걸어 맞춰짐으로써 가동슬리이브(5)가 앞쪽외통(1)에 일시적으로 걸려진 상태에서 작동로드(3)가 가동슬리이브(5) 내를 전·후진하면서 봉상물을 보유지지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본 고안은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립스틱이나 눈썹연필과 같은 봉상화장품, 지우개고무, 색연필심과 같은 봉상물을 회전조작으로 조출시키기 위한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봉상물조출구로서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색연필심 조출구가 제안되어 있는바, 이 색연필심 조출구는 회전조작부(12)의 앞쪽부위에 부착된 나선형상철사(13)와 이 철사(13) 내에 장착된 색연필심홀더(14)로 이루어진 작동기구를 외통(11)내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내장시켜 놓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부호 15는 외통(11)의 앞부위내주면에 형성된 사시홈(11a)에 나사결합된 선구이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색연필심조출구는, 회전조작부(12)를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형상철사(13)도 함께 회전하지만, 이 나선형상철사(13)에 삽입된 색연필심홀더(14)의 회전저지돌기(14a)가 외통(11)의 내벽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11b)에 걸려져 있기 때문에 색연필심(14)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여기서, 이 색연필심홀더(14)는 3개의 걸림부(14b)를 갖고서 이들 걸림부(14b)에 의해 나선형상철사(13) 내에 끼워져 내장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나선형상철사(13)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색연필심홀더(14)의 앞쪽에 부착된 색연필심이 외통(11)의 선구(15) 앞끝에 뚫려진 개구부로부터 천천히 조출되게 된다. 한편, 회전조작부(12)를 상기와는 반대쪽으로 회전시키면 색연필심이 퇴몰되어 들어가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색연필심조출구는, 색연필심홀더(14)의 회전지지용 돌기(14a)가 걸려지도록 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11b)과 선구(15)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선홈(11a), 회전조작부(12)의 환상돌조(12a)가 외통(11)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상홈(11c)을 외통(11)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져 조립에 품이 많이 들게 되고, 게다가 나선형상철사(13)를 쓰기 때문에 나선피치사이에 오차가 생기기 쉬워 봉상물조출의 조작성이 좋지 못하였다.
그리고 봉상물이 소모됨으로써 짧아져 새로운 필심으로 바꿔야 하는 경우 색연필심홀더(14) 내에 짧아진 필심이 파묻혀 뽑아내기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색연필심홀더(14)에 화장품과 같은 비교적 연질의 봉상물이 보유지지되는 경우에는, 소모되어 홀더(14) 내에 남아 있는 이른바 잔류필심을 배출하기가 극히 곤란하였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출조작성이 극히 양호하고, 홀더내에 남아있는 잔류필심을 쉽게 배출할 수도 있으며, 부품수도 줄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음과 더불어, 조립하기 쉬운 회전식 봉상물조출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를 봉상물이 수납된 상태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도 1에서의 뒤목외통 앞쪽부분을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도 4는 제1도의 뒤쪽외통 앞쪽부분을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확대저면도,
도 5는 도 1의 회전식 봉상물조출구를 봉상물이 수납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종단면도,
도 6는 도 5의 가장 짧아진 봉상물이 수납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종단면도,
도 7는 도 5의 봉상물이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종단면도,
도 8는 도 5에서의 가동슬리이브의 변형례를 나타낸 확대평면도,
도 9는 도 5의 변형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는 도 5의 변형례를 나타낸 요부종단면도,
도 11는 종래의 회전식 봉상물조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앞쪽외통1a-앞쪽부위
1b-얇은벽부위1c-앞끝안내부
1d-끼움돌조1e-걸림오목부(걸림부)
1f-위치결정용 계단부1g-리브(걸림부)
2-뒷쪽외통2a-얇은벽체부
2b-나선안내부(나선안내수단)2bb-반원통형상부
2c-힌지부2d-나선돌조
2f-환상홈3-작동로드(작동부재)
3a-걸림돌기3b-걸림돌기
3c-머리부3d-분할홈
4-회전저지부재4a-걸림홈
5-가동슬리이브5a-분할홈
5b-앞쪽걸림구멍5c-뒷쪽걸림구멍
5d-팽대부6-0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쪽외통에 대해 뒤쪽외통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고, 이들 앞쪽외통과 뒤쪽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봉상물을 보유지지함과 더불어 조출작동부재를 조출시키는 작동부재로 구성되면서, 상기 뒤쪽외통의 앞쪽부위 내주에 나선안내수단이 형성되면서 이 나선안내수단의 앞쪽인 앞쪽외통내에 회전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앞쪽부위에 걸림부가 갖춰져, 이 걸림부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나선안내수단에 걸어 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회전저지부재를 매개로 회전이 저지되지만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해 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앞쪽외통에 대해 뒤쪽외통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됨과 더불어, 이들 앞쪽외통과 뒤쪽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봉상물을 조출시키는 작동로드로 구성되고서, 상기 앞쪽외통의 내주에 나선안내수단이 설치되면서 이 나선안내수단의 앞쪽 앞쪽외통내에 회전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나선안내수단에 걸려짐과 더불어 상기 회전저지부재를 매개로 회전은 저지하지만 축방향은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가 갖춰지며, 또 상기 작동로드의 앞족부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동슬라이브와 이 가동슬리이브가 걸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앞쪽외통내에 설치된 걸림부로 구성되어, 가동슬리이브가 앞쪽외통과 일시적으로 걸려진 상태에서 작동로드가 가동슬리이브내를 전·후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앞쪽외통에 대해 뒤쪽외통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이들 앞뒤쪽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봉상물을 조출시키는 동작로드로 구성되고서, 상기 앞쪽외통내주에 나선안내수단이 설치되면서 이 나선안내수단의 앞쪽 앞쪽외통내에 회전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나선안내수다에 걸어 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회전저지부재를 매개로 회전이 저지되지만, 축방향이동을 가능하도록 된 걸림부가 갖춰지며, 상기 작동로드의 앞쪽부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동슬리이브와 이 가동슬리이브가 걸려지도록 상기 앞쪽외통내에 설치된 걸림부로 구성되어, 이 가동슬리이브가 앞쪽외통과 일시적으로 걸려진 상태에서 작동로드가 가동슬리이브를 전·후진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의 1실시에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눈썹연필심과 같은 봉상물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앞쪽외통(1)과 이 앞쪽외통(1)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뒷쪽외통(2)으로 외통이 구성되고서 이 외통내에 봉상물을 조출시키는 작동로드(3)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먼저 앞쪽외통(1)에 대해 설명하면, 이 앞쪽외통(1)은 앞쪽부위가 앞쪽을 향해 점차 그 외경이 좁혀진 앞쪽부위(1a)로 형성되어 있고, 뒷쪽부위는 뒷쪽외통(2)과 회전할 수 있게 끼워맞춰지기 위한 얇은 벽체부(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쪽부위(1a)의 선단부 내주에는 봉상물을 확실하게 안내하기 위한 두꺼운벽체로 된 앞끝안내부(1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뒷쪽외통(2)의 앞쪽부위는 앞쪽외통(1)과 걸맞춰지기 위해 바깥쪽이 얇아진 얇은 벽체부(2a)가 갖춰지고, 이 얇은 벽체부(2a)에는 앞쪽으로부터 뒤에 설명되는 0링(6)이 삽입되는 받침홈(2e) 및 앞쪽외통(1)의 걸림돌조(1d; 제1도)가 회전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지는 환상홈(2f)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앞쪽외통(1)의 위치결정용 계단부(1f)에 닿는 위치까지 회전저지부재(4)가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바, 이 회전저지부재(4)에는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a)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걸어맞춰져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이 회전지지부재(4)는 그 내주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로서, 회전저지부재(4)의 내주부에 축방향으로 4줄의 걸림홈(4a)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걸림홈(4a)은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a)만큼의 줄수(도시의 경우는 2줄)만으로 충분하지만, 작동로드(3)와 회전저지부재(4)를 조합시킬 경우의 방향성을 고려한다면 도시된 것과 같이 4즐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뒷쪽외통(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뒷끝이 바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 뒷쪽외통(2)의 앞쪽부위에는 1쌍의 반원통형상체로 된 나선 안내부(2b)가 힌지부(2c)를 지지점으로 하여 접을 수 있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나선안내부(2b)의 내주에는 나선돌조(2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성형시에 2개로 분할시켜 힌지(2c)를 매개로 접속되도록 한 반원통형상체(2bb,2bb)를 각각 전개시켜 성형하게 되면, 나선돌조(2d) 때문에 무리해서 뽑아내어야 하는 성형회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코어핀을 회전시키면서 성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 작동로드(3)는 그 앞쪽부위에 1개의 걸림돌기(3b)를 갖고 있고, 또 이 작동로드(3)의 뒷부위 내주부에는 축방향으로 2줄씩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걸림돌기(3a)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들 걸림돌기(3a)는 뒷쪽외통(2)의 회전조작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나선안내부(2b)의 나선돌조(2d)에 걸어맞춰진 상태로 안내됨과 더불어 뒤에 설명되는 앞쪽외통(1)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회전저지부재(4)의 걸림홈(4a)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에는 축방향으로 분할홈(5a)이 형성된 가동슬리이브(5)가 부착되어 있다.
즉, 이 가동슬리이브(5)는 2점 사이를 가동할 수 있도록 그 양끝 가장자리에서 떨어져서 앞쪽걸림구멍(5b)과 뒷쪽걸림구멍(5c)이 분할홈(5a)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뒤에 설명되듯이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가 상기 앞쪽걸림구멍(5b)과 뒷쪽걸림구멍(5c)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가동슬리이브(5) 내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봉상물의 뒷끝을 밀어내어 잔류필심을 배출시키게 된다.
또, 뒷쪽외통(2)의 받침홈(2e)과 앞쪽외통(1) 사이에는 탄성을 가진 0링(6)이 끼워져, 이 0링(6)에 의해 앞쪽외통(1)과 뒷쪽외통(2) 사이에 무척 고급감을 느낄 수 있는 회전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작동로드(3)의 후단부 머리부위(3c)는 작동로드(3)가 나선안내부(2b)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큰직경으로 형성되고, 특히 나선안내부(2b)가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처음부터 완전한 원통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립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뒷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가늘아지면서 뒷끝 정수리부위에서부터 머리부(3c)의 직경이 좁혀지도록 분할홈(3d)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조립할 때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의 이해를 쉽도록 하기 위해 그 조립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필요에 따라 O링(6)을 뒷쪽외통(2)의 받침홈(2e)에다 끼운 다음, 이 뒷쪽외통(2)의 나선안내부(2b)의 2개의 반원통형상체(2bb,2bb)를 전개시킨 그대로의 상태에서 작동로드(3)의 머리부(3c)로부터 뒷쪽외통(2) 내로 삽입한다. 단, 나선안내부(2b)가 최초부터 완전한 원통형상인 경우에는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로드(3)의 머리부(3c)가 뒷쪽으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좁아지면서 뒷끝에부터 축방향으로 분할홈(3d)이 형성되어져 있어서 머리부(3c)를 삽입하기가 쉽게 되고, 머리부를 삽입한 후에는 작동로드(3)를 회전시켜 가면서 뒷쪽외통(2) 내로 삽입하면 된다.
다음, 뒷쪽외통 조립체의 작동로드(3) 앞쪽부위에 형성된 걸림돌기(3b)에다 앞쪽으로부터 회전저지부재(4)를 삽입하고 나서 가동슬리이브(5)를 끼워맞추고, 이 가동슬리이브(5)의 뒷부위 걸림구멍(5c)에 상기 걸림돌기(3b)가 도달할때까지 눌러 넣어 부착시킨다. 그런다음, 뒷쪽외통(1)의 뒷쪽으로부터 뒷쪽외통 조립체를 삽입함과 동시에, 회전저지부재(4)가 위치결정용 계단부(1f)에 닿을때까지 압입해서 고정시킨다. 그 후 봉상물을 앞쪽외통(1)의 앞끝 개구부로 밀어 넣어 조립하면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된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할때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로드(3)의 뒷끝이 뒷쪽외통(2)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의 봉상물을 조출하기 위해, 예컨대 뒷쪽외통(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앞쪽외통(1)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앞쪽외통(1)이 회전하게 되면 그와 함께 나선안내부(2b)도 일체로 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나선안내부(2b)의 나선돌조(2d)내에 작동로드(3)이 걸림돌기(3a)가 걸려져 안내되게 되나, 동시에 작동로드(3) 앞쪽의 다른 걸림돌기(3a)가 앞쪽외통(1)에 압입되어 있는 회전저지부재(4)의 걸림홈(4a)에 걸어맞춰져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그 결과 작동로드(3)만 축방향으로 전진해서 작동로드(3)에 부착된 봉상물이 앞쪽외통(1)의 앞끝 개구부로부터 돌출하게 되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사용한 후에는 앞쪽외통(2)을 반대로 회전조작하게 되면 봉상물이 쉽게 수납되게 된다.
그런데, 봉상물이 다 소모되어 새로운 것과 교환하기 위해서는 가동슬리이브(5)에 남아있는 이른 바 잔류필심을 제거해야만 하고, 그러기 위해 뒷쪽외통(2)을 계속 회전조작해서 작동로드(3)을 앞끝을 다시 전진시켜야 한다.
그러한 조작을 계속하게 되면 마침내 가동슬리이브(5) 앞끝의 팽대부(5d)가 앞쪽외통(1)의 걸림오목부에 닿아 정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작동로드(3) 앞쪽부위의 걸림돌기(3b)가 가동슬리이브(5)의 앞쪽걸림구멍(5b)에서부터 분할홈(5a)을 통해 뒷쪽걸림구멍(5c)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가동슬리이브(5) 내에 작동로드(3)가 깊이 침입해 들어가 잔류필심을 쉽게 배출시키게 된다.
이 봉상물 배출동작에 대해 도 5 내지 도 7를 가지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도 1에서의 앞쪽외통(1)의 앞쪽부위(1a)의 형상을 다르게 해서 나타내었는 바, 그렇다 하더라도 도면들은 모두가 상기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어서 확실히 봉상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기구를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도 1와 비교한다면 도 5 및 도 6에서는 봉상물이 사용에 따라 조금 짧아져 있도록 된 점에서 다르다. 또 도면에서 앞쪽외통(1) 내에서 작동로드(3)의 앞끝에서 떨어진 앞쪽부위에는 걸림돌기(3b)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슬리이브(5)와 앞쪽외통(1)의 걸림오목부(1e),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와 가동슬리이브(5)의 앞쪽걸림구멍(5b),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와 가동슬리이브(5)의 뒤쪽걸림구멍(5c) 사이의 각 걸림강도를 각각 α,β,γ로 하면 βαγ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에는 가동슬리이브(5)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가동 슬리이브(5)에는 그 축방향 전체길이에 걸쳐 분할홈(5a)이 형성되고서 이 분할홈(5a)에 양끝으로부터 각각 떨어진 곳에 2개의 걸림구멍(5b,5c)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슬리이브(5)의 앞끝에는 팽대부(5d)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팽대부(5d)에 대응해서 앞쪽외통(1)의 선단부 안쪽에는 걸림오목부(1e)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에 의해 뒤에 설명하게 되는 봉상물을 배출하기 위한 기능이 갖춰지게 된다.
먼저 도 5에는, 봉상물이 사용에 따라 얼마간 짧아지기는 하였으나 아직 회전에 따른 배출조작으로 봉상물이 조출되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가 가동슬리이브(5)의 뒷부위 걸림구멍(5c)과 걸려지고, 가동슬리이브(5) 앞끝의 팽대부(5d)는 앞쪽외통(1)의 앞부위 뒷쪽의 걸림오목부(1e)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된다.
다음 도 6에서는 다시 회전조작이 이루어져 작동로드(3)와 함께 가동슬리이브(5)가 전진하게 되어 이 가동슬리이브(5) 양끝의 팽대부(5d)가 앞쪽외통(1)의 앞부위 뒷쪽의 걸림오목부(1e) 내에 도달해서 보유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가 가동슬리이브(5)의 뒷쪽걸림구멍(5c)에 걸려져 있게 된다.
도 7에는, 최종적으로, 봉상물이 배출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는 바, 따라서 작동로드(3)의 앞끝이 앞쪽외통(1)의 개구부에 도달해 있게 된다.
즉, 가동슬리이브(5) 앞끝의 팽대부(5d)가 앞쪽외통(1)의 앞부위 뒷쪽의 걸림오목부(1e)내에 기히 도달해서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는 상태로 걸려져 있다.
그 상태에서 다시 작동로드(3)가 전진시켜지게 되므로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가 가동슬리이브(5)의 뒷쪽걸림구멍(5c)에서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분할홈(5a)을 벌리고서 이동하여 앞쪽걸림구멍(5b)에 이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동로드(3)가 봉상물의 뒷끝을 밀어 봉상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도 8는 가동슬라이브(5)의 확대 평면도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앞쪽걸림구멍(5b)의 뒷끝과 그에 이어진 분할홈(5a)과의 접속부분이 완만한 곡선으로 된 윤곽부(5bb)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앞쪽걸림구멍(5b)이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퇴조작시에 곡선윤곽부(5bb)에 의해 가장 먼저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와 앞쪽걸림구멍(5b)과의 걸림이 해제되고, 그 다음에야 비로소 앞쪽 외통(1)의 걸림오목부(1e)와 가동슬리이브(5)의 팽대부(5d)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기 쉬어져 βαγ의 관계에 따른 동작이 확실하게 보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동로드(3)에 가동슬리이브(5)를 부착시켜 봉상물의 보유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그와 같은 배출기능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부품수를 줄여 조립하기 쉽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다. 이 경우에는 가동슬리이브(5)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한데, 주지하듯이 작동로드(3)의 선단면에다 봉상물이 끼워넣어져 지지되도록 하는 봉상물받침부로 되는 오목부를 형성시켜 놓으면 동작로드(3)를 작동부재로 쓸 수가 있게 된다. 다시 필요에 따라 봉상물을 조립할때 이 받침부가 벌려지도록 축방향으로 분할홈을 형성시켜 작동로드(3)가 보유지지기능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9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앞쪽외통(1)의 앞끝내부의 단면에 형성된 걸림오목부(1e)와 가동슬리이브(5) 앞끝가장자리의 팽대부(5d)가 걸어맞춰지도록 된 것 대신, 앞쪽외통(1)의 선단부 안쪽에 형성된 두꺼운 벽체부 뒷쪽에 리브(1g)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로드(3)가 회전조작으로 후퇴하게 되더라도 이 리브(1g)와 가동슬리브(5)가 끼워맞춰지게 됨으로써 가동슬리이브(5)의 후퇴가 일시적으로 저지되게 된다. 그 사이에 작동로드(3) 앞부위의 걸림돌기(3b)가 앞쪽걸림구멍(5b)에서 뒤쪽걸림구멍(5c)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걸림강도의 βαγ의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도 10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는 앞쪽외통(1)의 걸림부로서의 걸림오목부(1e)나 리브(1g)를 필요로 하지 않고 팽대부(5b)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간단한 구조이기는 하지만, 잔류필심을 배출시킨다고 하는 효과는 전혀 마찬가지가 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즉, 이 변형례는 미리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가 가동슬리이브(5)의 뒷쪽걸림구멍(5c)에 부착시켜진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조작으로 작동로드(3)가 전진함에 따라 가동슬리이브(5)가 전진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앞쪽외통(1)의 앞끝안쪽의 단면에 가동슬리이브(5)의 앞끝이 닿아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가 앞쪽걸림구멍(5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앞쪽외통(1)의 안쪽에 걸림오목부(1e)나 리브(1g)와 같은 걸림부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성형할때 무리하게 뽑아내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작동로드(3)를 후퇴시킬때는 걸림오목부(1e) 또는 리브(1g)는 물론 팽대부(5b)도 존재하지 않아 걸림돌기(3b)가 앞쪽걸림구멍(5b)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가동슬리이브(5)의 뒷끝단면이 회전저지부재(4)의 앞끝단면에 닿을때까지 작동로드(3)를 후퇴시킨 단계에서 비로소 걸림돌기(3b)가 뒤쪽걸림구멍(5c)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이 끝났을때 작동로드(3)의 머리부(3c) 말단부가 뒷쪽외통(2)의 바닥부에 닿게 되도록 설계하여도 좋다.
이상과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봉상물홀더내에 남겨지는 이른 바 잔류필심을 쉽게 배출시킬 수가 있고, 또 부품수가 적어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하기도 쉬운 회전식 봉상물조출구가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앞쪽외통(1)에 대해 뒷쪽외통(2)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됨과 더불어 이들 앞뒷쪽외통(1,2)의 내부에 설치되어 봉상물을 보유지지하고서 조출시키는 작동로드(3)로 구성된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에 있어서,
    상기 뒷쪽외통(2)의 앞쪽부위 내주에 나선안내수단(2b)이 형성되면서 이 나선안내수단(2b) 앞쪽의 앞쪽외통(1)내에 회전저지부재(4)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3)가 앞쪽부위에 걸림부를 가져 이 걸림부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3)가 상기 나선안내수단에 걸어 맞춰짐과 더불어 상기 회전저지부재(4)를 매개로 회전은 저지되지만 축방향이동은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쪽외통(2)의 나선안내수단(2b)이, 원통현상의 뒷쪽 외통(2) 본체와 힌지부(2c)에서 각각 일체적으로 접속된 1쌍의 반원통체(2bb,2b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안내수단이 난선돌조(2d)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걸림부가 작동로드(3)의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직렬상 2줄로 배열된 복수의 걸림돌기(3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가 그 후단부에 큰 직경을 한 머리부(3c)를 갖고서, 이 머리부(3c)가 뒷쪽을 향해 점차 직경이 가늘어지면서 뒷끝에서부터 축방향으로 분할홈(3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의 앞쪽부위(1a)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동슬리이브(5)와 이 가동슬리이브(5)가 걸려지도록 상기 앞쪽외통(1)내에 설치된 걸림부(1g)로 구성되어, 상기 가동슬리이브(5)가 앞쪽외통(1)과 일시적으로 걸려진 상태에서 작동부재(3)가 가동슬리이브(5)내를 전·후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6. 앞쪽외통(1)에 대해 뒷쪽외통(2)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됨과 더불어 이들 앞뒷쪽외통(1,2)의 내부에 설치되어 봉상물을 조출시키는 작동로드(3)로 구성된, 회전식 종상물조출구에 있어서, 상기 뒷쪽외통(2)의 내주에 나선안내수단(2b)이 갖춰지는 한편, 이 나선안내수단(2b) 앞쪽의 앞쪽외통(1) 내에 회전저지부재(4)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3)가 상기 나선안내수단(2b)에 걸려짐과 더불어 상기 회전저지부재(4)를 매개로 회전은 저지하지만 축방향 이동은 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를 갖추고, 상기 작동로드(3)의 앞쪽부위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가동슬리이브(5)와 이 가동슬리이브(5)가 걸려지도록 상기 앞쪽외통(1)내에 설치된 걸림부(1e)로 구성되어, 가동슬리이브(5)가 앞쪽외통(1)과 일시적으로 걸려진 상태에서 작동로드(3)가 가동슬리이브(5)내를 전·후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슬리이브(5)가 축방향안내용 분할홈(5a)을 갖고서 이 분할홈(5a)내에 상호 떨어져 앞쪽걸림구멍(5b)과 뒷쪽걸림구멍(5c)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작동로드(3)에는 이들 앞뒷쪽걸림구멍(5b,5c)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걸림돌기(3b)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슬리이브(5)와 상기 앞쪽외통(1)의 걸림부(1e), 사이 상기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와 가동슬리이브(5)의 앞쪽걸림구멍(5b) 사이, 상기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와 가동슬리이브(5)의 뒤쪽걸림구멍(5c) 사이의 각 걸림강도를 각각 α,β,γ라 할때 βαγ가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걸림구멍(5b)의 뒷끝과 상기 분할홈(5a)과의 접속부가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가 후퇴하기 쉽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슬리이브(5)가 앞끝에 팽대부(5d)를 갖는 한편, 상기 앞쪽외통(1)의 걸림부가 이 팽대부(1e)가 걸려지도록 앞쪽외통(1)의 앞끝 내주부에 형성된 걸림오목부(1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외통(1)의 걸림부가 앞쪽외통(1)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가동슬리이브(5)를 일시적으로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1g)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슬리이브(5)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이 가동슬리이브(5)의 앞끝단면이 앞쪽외통(1)의 끝면안쪽의 단면에 닿아 상기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가 가동슬리이브(5)의 뒷쪽걸림구멍(5c)로부터 앞쪽걸림구멍(5b)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가동슬리이브(5)가 후퇴하는 과정에서는 이 가동슬리이브(5)의 뒷끝단면이 회전저지부재(4)의 앞끝단면에 닿아 상기 작동로드(3)의 걸림돌기(3b)가 가동슬리이브(5)의 앞쪽걸림구멍(5b)으로부터 뒷쪽걸림구멍(5c)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13. 앞쪽외통(1)에 대해 뒷쪽외통(2)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됨과 더불어 이들 앞뒷쪽외통(1,2)의 내부에 설치되어 봉상물을 조출하는 작동로드(3)로 구성된 회전식 봉상물조출구에 있어서,
    상기 뒷쪽외통(2)의 앞부위 내주에 나선안내수단(2b)이 갖춰지는 한편, 이 나선안내수단(2b)의 앞쪽외통(1) 내에 회전저지부재(4)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작동로드(3)가 상기 나선안내수단(2b)에 걸려짐과 더불어 상기 회전저지부재(4)를 매개로 회전은 저지하지만 축방향이동은 가증하도록 하는 걸림부를 갖고, 작동로드(3)의 앞쪽부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동슬리이브(5)와 이 가동슬리이브(5)가 걸려지도록 상기 앞쪽외통(1) 내에 설치된 걸림부(1e)로 구성되어, 가동슬라이브(5)가 앞쪽외통(1)의 걸림부(1e)와 일시적으로 걸려진 상태에서 작동로드(3)가 가동슬리이브(5) 내를 전·후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KR2019970008435U 1997-04-22 1997-04-22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KR199800638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435U KR19980063868U (ko) 1997-04-22 1997-04-22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435U KR19980063868U (ko) 1997-04-22 1997-04-22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868U true KR19980063868U (ko) 1998-11-25

Family

ID=6967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435U KR19980063868U (ko) 1997-04-22 1997-04-22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86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3381A (ko) 조출 펜슬
KR100339817B1 (ko) 회전식 봉상물 조출구
JPH07232495A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2989503B2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US6244769B1 (en) Stick cosmetic container
KR970003363Y1 (ko) 복합필기구
JPH1199795A (ja) シャ−プペンシル
KR19980063868U (ko) 회전식 봉상물조출구
CN110525083B (zh) 棒状体的旋转式放出机构
KR0148084B1 (ko) 샤프펜슬
JPH01110199A (ja) シヤープペンシル
KR200160097Y1 (ko) 봉상물조출장치를 갖춘 용기
US5816727A (en) Cosmetics container
US3196838A (en) Writing instrument
JPH1178364A (ja) 筆記具
JPH0534596Y2 (ko)
JP7433649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2000085861A (ja) 直充填式棒状物繰り出し具
US3137275A (en) Mechanical pencil
JPH09295491A (ja) 回転式棒状物繰り出し具
KR960005199Y1 (ko) 봉상물 조출구
KR970003360Y1 (ko) 봉상물조출구
KR960000588Y1 (ko) 봉상물조출용기
KR910001046Y1 (ko) 샤아프펜슬
KR960005195Y1 (ko) 봉상물 조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