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772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772A
KR19980063772A KR1019970065857A KR19970065857A KR19980063772A KR 19980063772 A KR19980063772 A KR 19980063772A KR 1019970065857 A KR1019970065857 A KR 1019970065857A KR 19970065857 A KR19970065857 A KR 19970065857A KR 19980063772 A KR19980063772 A KR 1998006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ide edge
handle
she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4143B1 (ko
Inventor
오니시가즈아키
이노우에야스시
사야마야스시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게이이치로
유니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게이이치로, 유니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1998006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관한다.
본 발명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6,7)의 측가장자리(13,14)를 겹치게 하여, 각 측가장자리(13,14)의 고정부를 이탈가능하게 걸어맞춤시켜서 착용하는 일회용 기저귀의 겹쳐졌을 때에 외측이 되는 측가장자리(14)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부(22)가 적어도 측가장자리(14)의 외측가장자리(14A) 근처 부분에서 상하로 분단되어 그 분단된 부위에 비고정성의 손잡이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은 앞뒤 몸통 둘레 측가장자리가 착탈가능한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뒤몸통 둘레 영역의 각 측가장자리를 서로 겹치게 하여 각 측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부(파스너)로 그들 측가장자리를 이탈가능하게 걸어맞춤시켜서 착용하는 일회용 기저귀는 개방형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주지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평 3-107917호에 개시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의 좌우 각 측가장자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1개씩 테이프 파스너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귀에서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넓게 걸어맞춤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스너가 상하 어느 한쪽만인 경우보다도 신체에 대한 기저귀의 밀착성이 향상한다.
상기 공지예와 같이 파스너가 상하로 이간하여 존재하는 기저귀를 보호자가 유아에게 착용시키기 위해서는 파스너를 한개씩 순서대로 고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조작이 번거로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하로 이간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일회의 조작으로 동시에, 또한 보호자가 그 손가락을 파스너의 걸어맞춤면에 닿는 일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기저귀의 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측가장자리 확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표면 시이트
3 : 이면 시이트
4 : 코어
6 : 앞몸통 둘레 영역
7 : 뒤몸통 둘레 영역
8 : 가랑이 영역
13,14 : 측가장자리
22, 22A, 22B : 고정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것은 투액성 표면 시이트,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 이들 양시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에 의해서 구성되고, 전후의 길이 방향으로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뒤몸통 둘레 영역, 이들 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앞뒤 몸통 둘레 각각의 측가장자리를 겹치게 하여 서로의 측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부를 이탈가능하게 걸어맞춤시켜서 착용하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이러한 전제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고정부 중, 겹쳐졌을 때에 외측이 되는 상기 측가장자리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부가 적어도 해당 측가장자리 외측 부근의 부분에서 10∼30㎜의 상하 방향의 치수와, 5㎜ 이상의 몸통 둘레 방향의 치수를 갖는 비고정성의 손잡이 영역에 의해서 상하로 분단되어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는 폭 2∼10㎜ 범위의 제 1 주변 영역과 상기 손잡이 영역으로 이루어진 영역의 핸들-O-미터법에 의한 강성치가 1∼50g인 것에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대로이다.
도 1에 부분 파단 사시도로 표시된 일회용 기저귀는 개방형인 것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이트(2),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3), 이들 양시이트(2,3) 사이에 개재된 흡액성 코어(4)에 의해서 구성되고, 전후의 길이 방향에 앞몸통 둘레 영역(6), 뒤몸통 둘레 영역(7), 이들 양 영역(6,7)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8)을 갖는다. 표·이면 시이트(2,3)는 코어(4)의 둘레로부터 연장하여 겹쳐지고, 서로 접합하여 앞뒤 몸통 둘레 영역(6,7)의 끝가장자리 플랩(ll,12), 측가장자리 플랩(13,14) 및 가랑이 영역(8)의 다리 둘레 플랩(16)을 형성하고 있다. 뒤몸통 둘레 영역(7)의 끝가장자리 플랩(12)과 가랑이 영역(8)의 각 다리 둘레 플랩(16)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17)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8)가 표·이면 시이트(2,3) 사이에 위치하여, 적어도 한쪽의 시이트의 내면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고 있다. 앞몸통 둘레 영역(6)의 측가장자리 플랩(13)에는 이면 시이트(3)의 외면에 상품명 매직 테이프나 베르크로로 알려진 메카니칼 파스너의 암부재(21)가 장착되고 뒤몸통 둘레(7)의 측가장자리 플랩(14)에는 그 내면에 메카니칼 파스너의 수부재(22)가 장착되어 있다.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는 뒤몸통 둘레 측가장자리 플랩(14)을 그것이 외측이 되도록 화살표 Y 방향에서 앞몸통 둘레 측가장자리(13)에 겹쳐지고, 암수 부재(21,22)를 걸어맞춤시킨다.
뒤몸통 둘레 영역(7)의 측가장자리 플랩(14)에 있어서는, 표면 시이트(2)의 내면에 보강용 시이트편(23)이 접합되고, 시이트편(23)의 내면에는 측가장자리 플랩(14)의 상하 방향에 일렬로 나열되며, 수부재(22)를 구성하는 상부 수부재(22A)와 하부 수부재(22B)가 장착되어 있다. 상하 수부재(22A,22B)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5∼50㎜ 연장되는 치수(W), 상하 방향으로 5∼50㎜ 연장되는 치수(L)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으로 10∼30㎜의 상하 방향의 이간 치수(D)를 가지며, 시이트편(23)의 둘레로부터 2∼10㎜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치수(W)와 (D)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하부 수부재(22A,22B)간의 부위는 측가장자리 플랩(14)을 잡아서 수부재(22)를 암부재(21)에 고정할 때의 손잡이 영역의 일부로서 여기에는 손끝을 접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좌우의 측가장자리 플랩(14)의 한쪽에 측가장자리(14)를 잡는 기저귀를 착용시키는 보호자들의 3개의 손가락(26,27,28)이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화살표로 본 단면도이지만, 측가장자리(14)는 손가락(26,27,28)에 의하여 잡혀진 상태로 있으며, 아울러 암부재(21)가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손가락(26,27,28)이 예컨대 엄지, 검지, 중지인 경우, 엄지(26)의 배를 상하부 수부재(22A,22B)와의 사이에서 측가장자리 플랩(14)의 내면에 붙이고, 검지(27)와 중지(28)의 배를 플랩(14)의 외면에 붙이며, 상하부 수부재(22A,22B)를 그들의 배면측에서 압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하부 수부재(22A,22B)를 암부재(21)에 대하여 압압하면, 양 수부재(22A,22B)를 동시에 암부재(21)에 대하여 걸어맞춤시킬 수 있다. 양 수부재(22A,22B)는 그들을 따로따로 걸어맞춤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기저귀를 착용할 때의 수고를 덜 수 있다.
시이트편(23)은 암부재(21)와 수부재(22)의 착탈 반복을 견딜 수 있도록 측가장자리 플랩(14)을 보강하는 동시에 수부재(22) 주변의 강성을 높이기 때문에, 도 2에 표시되는 플랩(14)의 손잡기가 용이해지며, 또는, 잡았을 때에 플랩(14)이 상하 방향에 거의 평평한 상태가 되거나, 또한 〈 자형으로 약간 만곡한 상태로 되어 암부재(21)로의 접촉이 용이해진다. 일반적으로, 표·이면 시이트(2,3)에는 촉감이 좋으며 유연한 시이트 소재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로 구성되는 측가장자리 플랩(14)도 유연하고, 그와 같은 플랩(14)을 도 2와 같이 평평한 상태로 잡는 것은 때로 곤란하다. 시이트편(23)은 이러한 곤란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이트편(23)을 플랩(14)에 접합함으로써, 상하부 수부재(22A,22B)를 둘러싸는 폭 2∼10㎜의 범위와 양 부재(22A,22B) 사이에 형성된 손끝 접촉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의 강성이 상기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의 그것보다도 높아지고, 또한 상하부 수부재(22A,22B)가 위치하는 영역의 그것보다도 낮아지도록 한다. 이때, 상하부 수부재(22A,22B)를 둘러싸는 범위와 손끝 접촉 부위로 이루어진 상기 영역의 핸들-O-미터법 에 의한 강성치는 1∼5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성이 비교적 높은 이 영역은 저 강성의 주변 영역으로 둘러싸임으로써 착용자의 피부를 강하게 자극하는 일이 없다. 이 시이트편(23)에는 부직포나 직포, 플라스틱 필름, 종이등의 시이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시이트편(23)은 이면 시이트(3)의 외면에 접합하거나, 표·이면 시이트(2,3) 사이에 삽입되어 적어도 한쪽의 시이트의 내면에 접합할 수도 있다. 핸들-O-미터법에 의한 강성치의 측정은 종이 펄프 기술 협회 발행의 「J. TAPPI 종이 펄프 시험 방법」에 규정되어 있다.
겹치게 한 앞뒤 몸통 둘레 영역 측가장자리(13,14)의 걸어맞춤에는 도시예의 메카니칼 파스너를 대신하여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가 도포된 플라스틱 필름편을 상하부 수부재(22A,22B)를 대신하여 시이트편(23)에 접합하는 한편, 암부재(21)를 박리제가 도포된 플라스틱 필름편으로 바꾸면 좋다.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편은 수부재(22A,22B)와 동일하게 해당 부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그 재질과 두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기저귀 측가장자리(14)의 확대 평면도이다. 이 기저귀에서는 상하부 수부재(22A,22B)가 기저귀를 좌우로 이분하는 중심선(도시 생략) 근처에서 수부재(22)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간 부분(31)을 통해 연속하고 있다. 플랩(14)의 외측가장자리(14A) 근처에서는 부분(31)의 외측가장자리(3lA)가 치수선(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부 수부재(22A,22B)의 외측가장지리(32A,32B) 중 어느 하나에서도 5㎜이상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그 만곡 부분이 측가장자리(14A)를 향하여 개구된 부위에서는 양 수부재(22A,22B)가 치수(A)로 표시된 바와 같이 10∼30㎜ 이간되어 있다. 만곡 부분의 내측은 보강 시이트(3)가 노출된 비고정성의 부위이다. 측가장자리(14)는 상기 부위를 손잡이 영역의 일부로서 엄지를 붙일 수 있다. 수부재(22)의 강성이 비교적 높을 때에는 이와 같이 하면 수부재(22)의 암부재(21)에 대한 고정이 도 1, 2의 경우보다도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부재는 핫멜트 접착제등으로 접착하는 것 외에 용착에 의해서 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보호자들이 측가장자리에 형성된 상하의 고정부를 일회의 조작으로 동시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 착용에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 특히, 보호자들이 비교적 단시간내에 다수의 유아나 병상 노인등에게 기저귀를 착탈시키는 것이 필요한 병원, 보육소, 양로원등에서는 보호자들의 기저귀 착용에 요하는 노동력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자들은 그 손끝을 파스너의 걸어맞춤면에 닿지 않아서 좋기 때문에 그 손끝이 아프게 되는 일도 없다.

Claims (2)

  1. 투액성 표면 시이트,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 이들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전후의 길이 방향에 앞몸통 둘레 영역, 뒤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앞뒤 몸통 둘레 각각의 측가장자리를 겹치게 하여 서로의 측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부를 이탈가능하게 걸어맞춤시켜서 착용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고정부 중 겹쳐졌을 때에 외측이 되는 상기 측가장자리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부가 적어도 해당 측가장자리 외측 근처 부분에서 10∼30㎜의 상하 방향의 치수, 적어도 5㎜의 몸통 둘레 방향의 치수를 갖는 비고정성의 손잡이 영역에 의해서 상하로 분단되어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는 폭 2∼l0㎜ 범위의 제 1 주변 영역과 상기 손잡이 영역으로 이루어진 영역의 핸들-O-미터법에 의한 강성치가 l∼5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는 폭 2∼10㎜ 범위의 제 1 주변 영역과 상기 접지 영역으로 이루어진 영역 및 상기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주변 영역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강성이 고정부, 상기 영역, 제 2 주변 영역 순으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KR1019970065857A 1996-12-05 1997-12-04 일회용 기저귀 KR100474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502796A JP3313293B2 (ja) 1996-12-05 1996-12-05 使い捨ておむつ
JP96-325027 1996-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772A true KR19980063772A (ko) 1998-10-07
KR100474143B1 KR100474143B1 (ko) 2005-07-25

Family

ID=1817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857A KR100474143B1 (ko) 1996-12-05 1997-12-04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313293B2 (ko)
KR (1) KR100474143B1 (ko)
CN (1) CN1163208C (ko)
ID (1) ID18448A (ko)
MY (1) MY120963A (ko)
SG (1) SG63783A1 (ko)
TW (1) TW4653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81A3 (ko) * 2020-10-26 2022-12-22 신왕수 외과용 가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2691B2 (ja) * 2003-05-23 2005-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3648237B2 (ja) 2003-08-19 2005-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7351236B2 (en) 2003-11-21 2008-04-01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losing mechanism
CN1314379C (zh) * 2003-12-14 2007-05-09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制造短裤式纸尿裤的方法及所制得的物品
BRPI0620320A2 (pt) 2005-12-22 2011-11-08 Procter & Gamble fechos com rigidez relativa
US7870652B2 (en) 2005-12-22 2011-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ers having improved comfort
JP5211375B2 (ja) 2007-11-26 2013-06-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074884B2 (ja) * 2007-10-25 2012-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BRPI0816586A2 (pt) * 2007-10-25 2015-09-08 Unicharm Corp "artigo do vestuário "
JP2011078491A (ja) * 2009-10-05 2011-04-21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おむつ
JP2011156309A (ja) * 2010-02-04 2011-08-18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おむつ
JP5329620B2 (ja) * 2011-08-22 2013-10-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ファスニングテープを備えた紙おむ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81A3 (ko) * 2020-10-26 2022-12-22 신왕수 외과용 가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13293B2 (ja) 2002-08-12
MY120963A (en) 2005-12-30
CN1196920A (zh) 1998-10-28
ID18448A (id) 1998-04-09
SG63783A1 (en) 1999-03-30
CN1163208C (zh) 2004-08-25
JPH10155834A (ja) 1998-06-16
TW465339U (en) 2001-11-21
KR100474143B1 (ko) 2005-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0626A (en) Sanitary article with improved fitness
JP3550053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960001478Y1 (ko) 일회용 기저귀
TW380049B (en) Throwaway paper diaper
JP3398047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US5858012A (en) Pull-on disposable diaper
US6547774B2 (en)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JP3172408B2 (ja) 使い捨ておむつ
US6562017B1 (en) Absorbent article with raisable strips
US20040243092A1 (en) Disposable pant type absorbent article
JP2001129011A (ja) 体液吸収性インナーパネル
KR19980081789A (ko)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
JP2002301104A (ja) 使い捨ておむつ
JP3208258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KR100474143B1 (ko) 일회용 기저귀
JP334318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8161204A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2002238950A (ja) 後処理可能なパンツ型おむつ
JPH10272157A (ja) 使い捨ておむつ
JPH09290003A (ja) 使い捨ておむつ
JP344795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321494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023960B2 (ja) 止着用フロントシートを有する紙おむつ
JP2001145665A (ja) 吸収性物品
JP3597795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