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484U - 지철기(호치케스) 겸용 천공기 - Google Patents

지철기(호치케스) 겸용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484U
KR19980063484U KR2019970007993U KR19970007993U KR19980063484U KR 19980063484 U KR19980063484 U KR 19980063484U KR 2019970007993 U KR2019970007993 U KR 2019970007993U KR 19970007993 U KR19970007993 U KR 19970007993U KR 19980063484 U KR19980063484 U KR 199800634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se
machine
gripping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김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성 filed Critical 김태성
Priority to KR2019970007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484U/ko
Publication of KR19980063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484U/ko

Links

Landscapes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철기 겸용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지철기와 천공기가 따로 떨어져 있어 사용하기 불편 하였으나 하나로 두개의 기능을 하므로 사용하기 편하고 천공기를 사용할때 천공위치가 보이지 않아 그 위치를 정확히 천공하기 힘들어 이 결함을 없애기 위해 지철핀 삽입대(2)에 천공핀(4)을 형성하고 케이스(5)에는 천공홈(8)이 있는 파지 저장통(7)을 형성하여 지철기로 천공할 수 있게 하였고 파지 저장통(7)의 파지 저장통 케이스(9)을 투명하게 하여 천공홈(8)을 볼 수 있게 하므로 종이에 천공 위치를 표시하여 삽입시키면 그 표시 부위가 보이므로 정확히 그 위치를 천공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철기 겸용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철기(호치케스) 겸용 천공기
도 1. 사시도
도 2. 단면도
도 3.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받침대2:지칠핀삽입대
3:천공핀지지판4:천공핀
5:케이스6:케이스홈
7:파지저장통8:천공홈
9:파지저장통 케이스10:리벳홈
11:천공핀 고정나사12:리벳
13:종이14:축
15:종이에 표시한 천공할 위치16:종이 삽입홈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종래 기술]
본 고안은 지철기(호치케스) 겸용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지철기와 천공기가 따로따로 있어 서류나 종이를 철하고자 할 때는 지철기로 박아서 묶고 이것을 다시 화일에 꽂아두기 위해서는 천공기로 구멍을 뚫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천공기와 지철기가 따로 있어 불편 하였다.
그리고 천공기로 구멍을 천공하고자 할때 종이에 천공해야 할 부위를 표시해도 천공기에 종이를 삽입하면 표시한 부분이 천공기에 안쪽으로 들어가 가려져서 보이지 않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조절하여 천공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고 이렇게 천공을 하면 이미 화일에 철이 되어 있는 다른 서류와 천공 구멍 위치가 정확히 맞지 않아 깨끗히 정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 및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목적[1]은 지철기와 천공기를 결합시키므로 하여 지철기와 천공기의 두가지 역할을 하나로 할 수 있게 한 것이고 목적(2)는 종이를 천공할때 표시한 부위를 정확히 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인데 통상적인 천공기는 천공핀이 하단(바닥)을 향하여 천공홈을 지나면서 천공이 되기 때문에 천공되는 부분을 눈으로 볼 수 없어 대략적으로 천공을 시키는 수 밖에 없었으나 본 고안은 천공되는 부분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천공핀이 위쪽을 향하게 하고 천공핀이 통과하는 천공홈(8)이 있는 파지저장통(7)을 상단에 두고 파지 저장통 케이스(9)를 밖에서 볼 수 있게 투명한 것으로 하여 종이를 넣었을 때 표시 부분(15)이 투명한 케이스(9)와 천공홈(8)을 통해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1]을 달성하기 위해 지철기의 내부에 지철핀삽입대(2)에 천공핀(4)을 내설하고 천공핀(4)을 고정하기 위해 하단에 천공핀 고정나사(11)와 상단에는 천공핀 지지판(3)을 결합하였고 케이스(5)에는 천공홈(8)이 있는 파지 저장통(7)을 리벳(12)으로 결합하므로 지철기와 천공기를 결합하여 두가지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목적[2]를 달성하기 위해 파지 저장통(7)을 형성한 위에도 파지 저장통케이스(9)을 형성하는데 투명한 케이스로 함으로 내부를 볼 수 있고 그 내부에 천공홈(8)이 보인다.
케이스(5)와 파지 저장통(7) 사이에는 종이를 삽입 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이 사이에다 천공시킬 종이에 천공할 위치를 표시한 후 천공시킬 종이를 삽입하여 천공하는데 천공홈(8)을 통해 종이에 천공할 위치를 표시하였으므로 그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 천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고안의 구성 및 작동]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동작 예에 의한 사시도로 종이를 삽입했을 때 모형과 종이에 천공 위치를 표시하였을때 천공홈(8)을 통해 그 위치를 확인 할 수 있게 한 것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단면도로서 천공핀(4)과 천공홈(8)이 있는 파지저장통(7)의 형성 모형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3는 분해도로서 도 2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기본적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적인 지철기에 있어 지철핀 삽입대(2)에 천공핀(4)과 이를 고정시켜 주는 천공핀 지지판(3)과 천공핀 고정나사(11)를 형성하고 케이스(5)에는 천공홈(8)이 있는 파지저장통(7)과 이를 덥고 있는 파지 저장통케이스(9)으로 구성되며 리벳이 파지 저장통(7)과 케이스(5)를 연결한다.
실시예에 따라 동작을 설명하면 지철기는 축(14)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지철기는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축을 중심으로 최 외각에 지철핀이 작용하지만 천공기는 지철기에 비해 많은 힘이 있어야 하므로 지랫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철핀 삽입대(2)의 축(14) 가까이에 형성하여 작동 된다. 지철핀 삽입대(2)에 천공핀(4)은 케이스(5)를 누를 경우 케이스(5)가 눌려지므로 천공핀이 케이스홈(6)을 지나 천공홈(8)을 지나 파지 저장통(7)으로 삽입 된다. 이때 케이스(5)와 파지 저장통(7) 사이의 종이삽입홈(16)에 종이를 넣었을 경우 천공핀에 의해 천공되게 된다. 그리고 지철기로 사용할 때는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천공기로 사용할 때는 먼저 천공할 종이에 천공 부위를 표시(15)로 하고 종이를 케이스(5)와 파지 저장통(7) 사이 홈에 넣으면 그 표시를 보이게 하기 위해 파지 저장통 케이스(9)를 투명한 것으로 하면 천공홈(8)에 표시한 부위가 보인다. 그러면 천공홈(8)으로 보이는 부위가 천공이 되는 부위이므로 정확히 그 위치를 조정한 후에 케이스(5)를 누르면 천공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철기와 천공기 두가지 기능을 갖춘 것과 천공기의 천공홈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므로 천공 위치를 조정하여 정확히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지철기의 내부에 지철핀 삽입대(2)에 천공핀(4)을 케이스(5)가 있는 위쪽으로 향하도록 내설하고 이를 고정시키는 천공핀 지지판(3)과 천공핀 고정나사(11)를 형성하고 케이스(5)에는 천공홈(8)이 있는 파지 저장통(7)과 파지 저장통 케이스(9)로 구성되어 케이스(5)의 눌림에 작용에 의해 천공이 되는 지철기에 천공기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철기 겸용 천공기.
  2. 지철기 케이스(5)에 있는 파지 저장통케이스(9)을 투명한 재질로 하여 삽입되는 종이에 표시한 천공할 위치(15)가 천공홈(8)을 통해 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철기 겸용 천공기.
KR2019970007993U 1997-04-14 1997-04-14 지철기(호치케스) 겸용 천공기 KR199800634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993U KR19980063484U (ko) 1997-04-14 1997-04-14 지철기(호치케스) 겸용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993U KR19980063484U (ko) 1997-04-14 1997-04-14 지철기(호치케스) 겸용 천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484U true KR19980063484U (ko) 1998-11-16

Family

ID=6969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993U KR19980063484U (ko) 1997-04-14 1997-04-14 지철기(호치케스) 겸용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48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237B1 (ko)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KR100797511B1 (ko) 펀칭장치
KR19980063484U (ko) 지철기(호치케스) 겸용 천공기
US200500286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atterns and/or Labels to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of an Article
KR970020352A (ko) 구멍 뚫는 펀치
KR200381777Y1 (ko) 제본기능을 갖는 천공기
KR100907211B1 (ko) 천공거리조절용 받침대를 구비한 펀치
KR200163691Y1 (ko) 종이천공기
KR200265739Y1 (ko) 복사용지
KR100750866B1 (ko) 펀칭장치
KR900011394Y1 (ko) 수동 천공기
KR200389767Y1 (ko) 사무용 펀치
KR200353053Y1 (ko) 펀칭기
KR950004877Y1 (ko)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화일
JPS5835435Y2 (ja) ル−ズリ−フノ−トの穿孔用治具
KR200389773Y1 (ko) 사무용 펀치
KR200140862Y1 (ko)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JPS5924480Y2 (ja) 穿孔器
KR20040003463A (ko) 문서 보관용 용지
JP3032024U (ja) 穴開綴込器
JP3100541U (ja) パンチャー
KR200240200Y1 (ko) 스테플러 겸용 눈금 펀치
KR880002280Y1 (ko) 피혁 봉침구의 천공기
KR950003090Y1 (ko) 펀치장치를 갖인 바인더화일
KR200293596Y1 (ko)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