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866B1 - 펀칭장치 - Google Patents

펀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866B1
KR100750866B1 KR1020060028818A KR20060028818A KR100750866B1 KR 100750866 B1 KR100750866 B1 KR 100750866B1 KR 1020060028818 A KR1020060028818 A KR 1020060028818A KR 20060028818 A KR20060028818 A KR 20060028818A KR 100750866 B1 KR100750866 B1 KR 100750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guide
jig
pla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540A (ko
Inventor
김옥환
이상호
Original Assignee
김옥환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환, 이상호 filed Critical 김옥환
Publication of KR2007000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특정 문양의 패턴을 가진 펀칭날이 구비된 펀칭부재; 상기 패턴과 동일 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상부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펀칭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패턴과 동일 형태의 펀칭공이 형성된 하부지그를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정위치가 얼라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칭작업의 대상이 되는 시트 등의 펀칭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펀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펀칭장치. 자석. 얼라인. 가이드날.

Description

펀칭장치{Punching machine}
도 1은 종래 펀칭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펀칭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펀칭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펀칭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 및 상부지그의 각각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라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펀칭부재 11: 가압판
12, 13: 펀칭날 13a: 가이드 돌기
14:가이드 날 21: 상부 플레이트
22: 상부 지그 23: 가이드 공
23': 절개부 24. 24': 가이드 홀
25, 25', 26, 26', 27, 27': 자석
28: 스프링 29, 29': 스프링홀더
31: 하부 플레이트 32: 하부 지그
33: 펀칭공 34: 가이드 홀
34a: 테이퍼면
35, 35', 36, 36', 37, 37': 자석
본 발명은 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펀칭작업의 대상이 되는 시트의 펀칭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펀칭을 할 수 있는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펀칭장치는 사진이나 카드, 편지지 등(이하, “시트”라 한다)의 소정부분을 천공하는 장치이며, 서류 보관 등을 목적으로 단순한 원형으로 천공할 수도 있고, 장식을 위해 꽃무늬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천공함으로써 시트에 미적감각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펀칭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문양의 패턴을 가진 펀칭날(102)이 구비된 펀칭부재(101)와, 상기 펀칭날(102)이 관통되는 가이드공(112)이 구비된 상부지그(111)와, 역시 상기 펀칭날(102)이 관통되는 펀칭공(114)이 구비된 하부지그(113)와, 상기 하부지그(113)를 지지하는 베이스(121)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펀칭부재(101)의 펀칭날(102)과 상기 가이드공(112) 및 펀칭공(114)이 정확히 일직선상에 얼라인되어야만 펀칭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상기 상부지그(111) 및 하부지그(111)의 단부에는 이음부(115)에 의해 일체로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의해 상기 상부지그(111) 및 하부지그(113)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마련되고, 이 간극에 천공할 시트를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천공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상부지그(111) 및 하부지그(113) 사이의 간극에 천공할 시트를 삽입하고 펀칭부재(101)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펀칭날(102)과 동일 형태의 패턴으로 상기 시트를 천공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펀칭장치에 시트를 삽입할 때 상기 이음부(115)를 지나쳐 삽입할 수는 없다. 따라서, 시트의 삽입이 상기 이음부에 의해 제한 받게 되므로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에 국한되어 천공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펀칭작업의 대상이 되는 시트의 펀칭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펀칭을 할 수 있는 펀칭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펀칭장치는 특정 문양의 패턴을 가진 펀칭날이 구비된 펀칭부재; 상기 패턴과 동일 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상부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펀칭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패턴과 동일 형태의 펀칭공이 형성된 하부지그를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정위치가 얼라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펀칭날에는 그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부가될 수 있고, 상기 펀칭부재에는 상기 펀칭날보다 높이가 더 큰 가이드날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부가되고, 상기 상부 지그 및 하부 지그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날이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 지그에 형성된 가이드홀은 상부 단면이 외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펀칭장치에 의해 1차 펀칭된 시트를 180°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날에 의해 펀칭된 부위를 일치시켜 얼라인한 후, 상기 시트를 2차 펀칭함으로써 상기 패턴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얼라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지그 및 하부지그는 각각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펀칭장치는 특정 문양의 패턴을 가진 펀칭날 및 상기 펀칭날보다 높이가 더 큰 가이드날이 구비된 펀칭부재; 상기 펀칭부재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펀칭날이 관통하는 절개부 및 상기 가이드날이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패턴과 동일 형태의 펀칭공이 형성된 하부지그를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정위치가 얼라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은 얼라인의 정확성을 위하여 다극자석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펀칭장치는 펀칭부재(10), 상부지그(22)를 구비한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지그(32)를 구비한 하부 플레이트(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펀칭부재(10)는 손 또는 별도의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힘을 가하는 가압판(11)과, 상기 가압판(11)의 하부에 펀칭날(12,13)이 형성되며, 이와 별도로 가이드날(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1)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절개되어 있다. 상기 절개된 부분에 상부지그(22)가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상부지그(22)의 사방에는 네개의 스프링홀더(29)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그 위에 스프링(28)이 입설된다. 또한 상기 펀칭날(12,13)의 패턴과 동일 형태로 절개된 가이드공(23)이 형성되며, 이와 별도로 상기 가이드공(23)과 동일 형태로 가이드홀(24)이 두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21)의 양 단부에는 각각 세개씩, 총 여섯개의 자석(25, 25', 26, 26', 27, 2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1)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2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며, 역시 중앙이 절개되어 있다. 상기 절개된 부분에 하부지그(32)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그(32)에는 상기 펀칭날(12,13)의 패턴과 동일 형태로 절개된 펀칭공(33)이 형성되며, 이와는 별도로 가이드홀(34)이 두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31)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21)에 구비된 자석(25, 25', 26, 26', 27, 27')들과 동일 수직선상에는 각각 세개씩, 총 여섯개의 자석(35, 35', 36, 36', 37, 37')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플레이트(31)에 구비된 자석의 극성은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플레이트(21)의 자석(25, 25', 26, 26', 27, 27')은 N극으로, 하부 플레이트(31)의 자석(35, 35', 36, 36', 37, 37')은 S극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부 플레이트의 25, 25', 27, 27'로 지시된 자석은 N극으로, 26, 26'로 지시된 자석은 S극으로 배치하며, 이와 대응되도록 하부 플레이트의 35, 35', 37, 37'로 지시된 자석은 S극으로, 36, 36'로 지시된 자석은 N극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플레이트(31)의 각각 대응되는 자석이 서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반대 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만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펀칭부재(10)는 가압판(11)의 하부에 특정 문양의 패턴을 가진 펀칭날(1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펀칭날(12,13)의 문양을 다양할 수 있 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펀칭날(12,13)과 별도로 두개의 가이드날(14)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날(14)은 상기 펀칭날(12,13)보다 높이(길이)가 더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가압판의 가압시, 상기 특정 문양의 패턴을 가지는 펀칭날(12,13)이 가이드공(23)을 통과하여 시트를 펀칭하기 전에, 가이드날(14)이 먼저 가이드홀(24)을 통과하면서 펀칭날(12,13), 가이드공(23) 및 펀칭공(33)을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펀칭날(13)에는 그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 돌기(13a)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3a)도 상기 가이드날(14)과 마찬가지로 상기 펀칭날(12,13)이 가이드공(23)을 통과하기 전에 상기 가이드 돌기(13a)가 먼저 가이드공(23)을 통과하면서 펀칭날(12,13), 가이드공(23) 및 펀칭공(33)을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13a)는 상기 펀칭날(13)의 단부에 연장형성되기 때문에 펀칭된 시트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a)의 모양이 펀칭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날(14)은 상기 펀칭날(12,13)과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에도 상기 가이드날(14)의 형상대로 펀칭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날(14)에 의한 펀칭부위(형상)가 상기 펀칭날(12,13)에 의한 펀칭부위(형상)와 조화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날(14)의 위치 및 형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21)의 중앙에는 상부지그(22)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지그(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의 사방에는 네개의 스프링홀더(29)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펀칭날(12,13)의 패턴과 동일 형태로 절개된 가이드공(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23)을 상기 패턴과 동일 형태로 형성함으로 써, 다시 말하면 상기 펀칭날(12,13)이 상기 가이드공(23)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펀칭날(12,13)이 정위치로 얼라인되도록 가이드되는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21)에는 상기 펀칭날(12,13)의 패턴과 동일 형태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된 상부지그(22)를 구비하지 않는다. 대신 상기 상부 플레이트(21)의 중앙에 상기 펀칭날(12,13)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절개부(23') 및 가이드날(14)이 관통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24')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상기 가이드날(14) 및 가이드홀(24')에 의해 펀칭날(12,13)이 가이드 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도 5a와 같이 가이드공(23)이 형성된 상부지그(22)를 별도로 구비하지 아니한 것이다. 그러나 네개의 스프링 홀더(29')는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하부 플레이트(31) 위에 시트(40)를 올려 놓는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플레이트(31)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40)의 펀칭위치에 제약이 없다. 즉, 시트(40)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중앙이나 그 어느 곳이라도 펀칭이 가능하며, 원하는 위치를 찾아 상기 하부 플레이트(31) 위에 올려 놓으면 된다.
상기 시트(40)가 투명재질이 아닐 경우에 펀칭날(12,13)과 가이드공(23) 및 펀칭공(33)을 동일선상에 얼라인하는 것이 문제된다. 특히 펀칭날(12,13)과 가이드공(23)은 이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되지 않지만, 펀칭날(12,13)과 펀칭공 (33)의 얼라인이 특히 문제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부 플레이트(21)를 하부플레이트(31) 상의 정확한 위치에 올려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31)의 펀칭공(33)과 상부 플레이트(21)의 가이드 공(23)이 동일선상에 위치해야 하고, 마찬가지로 하부 플레이트(31)의 가이드홀(34)과 상부 플레이트(21)의 가이드홀(24)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얼라인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플레이트(31) 각각에 형성된 자석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1)에 시트(40)의 소정위치를 올려 놓고, 그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21)를 올려 놓으면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자석(26,36)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얼라인되는 것이다. 상기 각 자석(26,36)이 다극자석일 경우 얼라인의 정확성은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이 얼라인된 상태에서 상기 펀칭부재(10)의 가압판(11)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펀칭날(12,13)이 상기 가이드공(23)을 지나 펀칭공(33)을 통과하기 전에, 그 하부에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13a)가 상기 가이드공(23) 및 펀칭공(33)을 먼저 통과하면서 미세조정하여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이와 별도로 가이드날(14)은 가이드 홀(24,34)을 통과함으로써 역시 펀칭날(12,13)의 가이드를 하게 된다.
하지만, 자석(26,36)에 의한 얼라인에는 한계가 있어 오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부지그(32)에 형성된 가이드홀(34)은 그 상부 단면이 외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면(3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도 6a의 확대도 참조). 상기 테이퍼면(34a)은 자석에 의한 얼라인 후, 그 오차에 의해 상기 가이드날(14)과 하부지그의 가이드홀(34)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자석(26,36)에 의한 얼라인이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상기 가이드날(14)이 상기 테이퍼면(34a)을 따라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미세조정을 하면서 펀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가이드 돌기(13a) 및 가이드날(14)에 의해 미세조정되어 가이드된 펀칭날(12,13)은 상부지그(22)의 가이드공(23)을 관통하고 시트를 펀칭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펀칭날(12,13), 가이드날(14) 및 가이드 돌기(1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이 용이하도록 단부가 날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칭작업의 대상이 되는 시트 등의 펀칭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펀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자석이 부착됨으로써 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정위치로 정확하게 얼라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펀칭부재에 펀칭날과 별도로 가이드날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펀칭날에 가이드 돌기가 더 부가됨으로써 상기 자석에 의한 1차적 얼라인 후, 펀칭시 선 행하여 가이드함으로써 미세조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얼라인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펀칭부재가 가지고 있는 특정 문양의 패턴의 단절 또는 중복없이 연속하여 펀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지그 및/또는 하부지그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펀칭부재의 패턴이 바뀌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지그 및/또는 하부지그도 그에 대응되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높다.
또한, 자석을 다극자석으로 함으로써 이들의 인력과 척력에 의한 얼라인의 정확성이 높아진다.
특히, 가이드날이 테이퍼면을 따라 하부지그의 가이드 홀을 관통하기 때문에, 자석에 의한 얼라인 이외에도 미세얼라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특정 문양의 패턴을 가진 펀칭날(12,13)이 구비된 펀칭부재(10);
    상기 패턴과 동일 형태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된 상부지그(22)를 구비하고, 상기 펀칭부재(10)를 탄성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21); 및
    상기 패턴과 동일 형태의 펀칭공(33)이 형성된 하부지그(32)를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플레이트(31) 각각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25, 25', 26, 26', 27, 27',35, 35', 36, 36', 37, 37')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플레이트(31)의 정위치가 얼라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날(12,13)에는 그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 돌기(13a)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재(10)에는 상기 펀칭날(12,13)보다 높이가 더 큰 가이드날(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 지그(22) 및 하부 지그(32)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날(14)이 관통되는 가이드홀(24,3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그(32)에 형성된 가이드홀(34)은 상부 단면이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그(22) 및 하부지그(32)는 각각 상기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플레이트(31)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8. 특정 문양의 패턴을 가진 펀칭날(12,13) 및 상기 펀칭날보다 높이가 더 큰 가이드날(14)이 구비된 펀칭부재(10);
    상기 펀칭부재(10)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펀칭날(12,13)이 관통하는 절개부(23') 및 상기 가이드날(14)이 관통하는 가이드홀(24')이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21); 및
    상기 패턴과 동일 형태의 펀칭공(33)이 형성된 하부지그(32)를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플레이트(31) 각각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25, 25', 26, 26', 27, 27',35, 35', 36, 36', 37, 37')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21) 및 하부 플레이트(31)의 정위치가 얼라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날(12,13)에는 그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 돌기(13a)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그(32)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1)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다극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KR1020060028818A 2005-07-01 2006-03-30 펀칭장치 KR100750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249 2005-07-01
KR20050059249 2005-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540A KR20070003540A (ko) 2007-01-05
KR100750866B1 true KR100750866B1 (ko) 2007-08-22

Family

ID=3787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818A KR100750866B1 (ko) 2005-07-01 2006-03-30 펀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3460A (zh) * 2017-03-24 2017-06-20 长葛市航天密封科技有限公司 一种压制密封件的模具
CN108858452A (zh) * 2018-07-06 2018-11-23 宁波市恺丰文具礼品有限公司 一种磁性切压垫及拥有该磁性切压垫的图案切压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639B1 (ko) 2005-07-11 2006-06-20 김옥환 회전식 펀칭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639B1 (ko) 2005-07-11 2006-06-20 김옥환 회전식 펀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540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058B2 (en) Punching device for edge decoration
US7201101B2 (en) Punch capable of punching an object at four directions
KR100827284B1 (ko) 자유자재로 패턴 천공이 가능한 시트 펀칭 장치
KR20000013773A (ko)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KR101623179B1 (ko)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천공 장치
NZ201605A (en) Sheet punch with replaceable die mounts
KR100644316B1 (ko) 펀칭기
KR100750866B1 (ko) 펀칭장치
KR100797511B1 (ko) 펀칭장치
JP2004330408A (ja) 裁断機とツールの組合せと、裁断機のブレードアセンブリの位置を変える方法
KR100591639B1 (ko) 회전식 펀칭장치
EP1839823A1 (en) Punching device for oval edge decoration
US20030037657A1 (en) Puncher for decorative sheet
US6752057B2 (en) Device for blanking out patterns
JP2008044085A (ja) 並び模様形成方法、及び並び模様形成装置
US20080295666A1 (en) Sheet punch devices having cutting blade formed with slant surface
WO2012121001A1 (ja) 見出し形成用器具
JP3205965U (ja) パンチ
JPH0970793A (ja) コーナカッター
KR200389767Y1 (ko) 사무용 펀치
KR102394144B1 (ko) 상이한 직경의 구멍을 형성하는 인증 천공기
KR100721992B1 (ko) 펀칭장치의 얼라인 구조
KR100693128B1 (ko) 회전식 펀칭장치
KR200389773Y1 (ko) 사무용 펀치
KR200293603Y1 (ko) 문방구용 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