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767Y1 - 사무용 펀치 - Google Patents

사무용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767Y1
KR200389767Y1 KR20-2005-0011878U KR20050011878U KR200389767Y1 KR 200389767 Y1 KR200389767 Y1 KR 200389767Y1 KR 20050011878 U KR20050011878 U KR 20050011878U KR 200389767 Y1 KR200389767 Y1 KR 200389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bracket
fixing
drill
predetermin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김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석 filed Critical 김진석
Priority to KR20-2005-0011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7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B26F2001/365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hand held pliers with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래킷부의 선단부를 절개함과 아울러 용지 크기별 천공간격조절표식이 형성된 천공간격조절바를 구비하여 천공부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사무용 펀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하단부에 수납부가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선단부가 절개된 고정 브래킷과 일측 소정위치에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누름브래킷으로 구성되는 브래킷부와; 상기 브래킷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종이를 천공할 수 있도록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펀치드릴과, 상기 펀치드릴의 상측에 구비되는 펀치드릴 누름핀과 상기 펀치드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펀치드릴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1고정수단과 서로 엇갈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펀치드릴을 감싸게 되는 제2고정수단 및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누름브래킷의 이탈방지턱에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천공부와; 상기 누름브래킷의 소정위치 내측에 삽입되어 천공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천공간격조절바와; 상기 받침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다수의 펀치를 연결시킬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무용 펀치{PUNCH FOR OFFICE WORK}
본 고안은 사무용 펀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래킷부의 선단부를 절개함과 아울러 용지 크기별 천공간격조절표식이 형성된 천공간격조절바를 구비하여 천공부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사무용 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펀치는 서류의 일측 가장자리를 철끈, 파스너 또는 바인더로 묶어 철할 수 있도록 구멍을 천공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사무용 펀치(10)를 도시한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를 수납하는 수납부(40)가 구비된 받침부(30)와, 상기 받침부(30)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래킷(24)과 누름브래킷(22)으로 이루어진 브래킷부(20)와, 천공해야 하는 소재를 천공하는 천공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에 따른 사무용 펀치(10)는, 상기 고정브래킷(24)과 상기 누름브래킷(22)이 상기 천공부(5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문서나 서류를 철하기 위한 천공작업시 천공부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어 많은 주의가 요구됨과 아울러 천공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업무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업무상 사무용 펀치를 사용할 경우에 정확한 위치의 천공이 요구되지만, 정확하게 천공부위를 식별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천공작업을 할 때에 천공부위에 대한 식별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천공해야할 부위의 부적절한 천공이 유발되는데 이런 부적절한 천공으로 말미암아 전체의 업무를 다시 해야 하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브래킷부의 선단부를 절개함과 아울러 용지 크기별 천공간격조절표식이 형성된 천공간격조절바를 구비하여 천공부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사무용 펀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사무용 펀치에 의하면, 하단부에 수납부가 구비되는 받침대;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선단부가 절개된 고정브래킷과 일측 소정위치에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누름브래킷으로 구성되는 브래킷부와; 상기 브래킷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종이를 천공할 수 있도록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펀치드릴과, 상기 펀치드릴의 상측에 구비되는 펀치드릴 누름핀과 상기 펀치드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펀치드릴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고정수단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1고정수단과 서로 엇갈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펀치드릴을 감싸게 되는 제2고정수단 및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누름브래킷의 이탈방지턱에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천공부와; 상기 누름브래킷의 소정위치 내측에 삽입되어 천공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천공간격조절바와; 상기 받침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다수의 펀치를 연결시킬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회동핀에 의해 회전식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출부재를 구비하여 펀치드릴에 의해 천공된 종이가 쉽게 밖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수납부를 완정히 개방하지 않고도 천공된 종이를 버릴 수 있게 되어 수납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천공간격조절바의 일단부 소정위치에 눈금자의 필요없이 화살표 등의 천공간격조절표식을 구비하여 천공부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금자 생산에 따른 원가 등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를 절곡시켜 용지의 유동(예를 들면, 용지의 펄럭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지유동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펀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펀치의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펀치(100)는, 하단부에 수납부(130)가 구비되는 받침대(118); 상기 수납부(130)의 상측에 구비되는 선단부가 절개된 고정브래킷(112)과 일측 소정위치에 이탈방지턱(114a)이 구비된 누름브래킷(114)으로 구성되는 브래킷부(110)와; 상기 브래킷부(1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종이를 천공할 수 있도록 고정핀(122a)에 의해 고정된 펀치드릴(122)과, 상기 펀치드릴(122)의 상측에 구비되는 펀치드릴 누름핀(123)과 상기 펀치드릴(122)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124a)과 상기 펀치드릴(122)를 감싸는 상기 제1고정수단(124a)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1고정수단(124a)과 서로 엇갈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펀치드릴(122)을 감싸게 되는 제2고정수단(124b) 및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고정브래킷(112)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누름브래킷(114)의 이탈방지턱(114a)에 지지되는 스프링(126)으로 구성된 천공부(120)와; 상기 누름브래킷(114)의 소정위치 내측에 삽입되어 천공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천공간격조절바(116)와; 상기 받침대(118)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다수의 펀치를 연결시킬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브래킷(112)은 상기 펀치드릴(122)과 대응하는 소정위치에 핀 가이드부(112a)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118)에 장착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누름브래킷(114)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병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브래킷(112)과 누름브래킷(114)의 선단부를 절개하여 구성함으로써 천공작업시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천공부위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브래킷(114)은 상기 고정브래킷(112)과 힌지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되어 지렛대 역할을 함으로서 상기 누름브래킷(114)을 작동했을 때 상기 고정핀(122a)이 핀 가이드부(112a)를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 즉, 이로 인해, 상기 천공부(120)가 상/하 직선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12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무용 펀치(100)는 연결부재(140)를 매개로 사용자가 천공하고자 하는 갯수만큼 연결하여 일체를 이룰 수 있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천공부위를 쉽게 찾을 뿐만 아니라 다수 개의 천공부위를 동일 간격으로 동시에 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펀치드릴(122)의 상측에 구비되는 펀치드릴 누름핀(123)은 사용자의 천공작업시 상기 펀치드릴(122)을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펀치드릴 누름핀(123)은 상리 펀치드릴(122)의 상측에 누름핀 가이드홈(미도시) 등을 형성하여 그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펀치드릴(122)을 눌러줄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11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천공부(120)의 고정핀(122a)에 의해 고정된 펀치드릴(122)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124a)과 상기 제1고정수단(124a)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1고정수단(124a)과 서로 엇갈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펀치드릴(122)을 감싸게 되는 제2고정수단(124b)은 각각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천공부위 식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30)는 상기 받침대(118)에 고정되는 고정홈(132a-1)이 형성된 고정부(132a)와, 상기 고정부(132a)의 고정홈(132a-1)에 끼워지는 회동핀(132b-1)에 의해 회전식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출부재(132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납부(130)를 구성하는 고정부(132a)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출부재(132b)를 상기 받침대(118)로 부터 이탈시켜 개방함으로써 천공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수납부(130)에 절단되어 수납되는 용지를 용이하게 밖으로 유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절단용지를 밖으로 유출한 후, 수납부(130)의 유출부재(132)는 사용자가 닫아 원위치시킨 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수납부를 완정히 개방하지 않고도 천공된 종이를 버릴 수 있게 되어 수납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간격조절바(116)의 일단부 소정위치에 천공간격조절표식(116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천공간격조절바(116)의 천공간격조절표식(116a)은 눈금자의 필요없이 화살표 등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며, 각각의 천공간격 만큼 천공부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금자 생산에 따른 원가 등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간격조절표식(116a)은 각각의 용지별(예를 들면, A3, A4, B5 등)로 천공간격에 맞는 위치에 표식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용지별 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를 절곡시켜 용지의 유동(예를 들면, 용지의 펄럭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지유동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천공 작업시 유동될 수 있는 용지를 가이드해주는 등의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천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펀치에 의하면, 브래킷부의 선단부를 절개함과 아울러 용지 크기 별 천공간격조절표식이 구비된 천공간격조절바를 구비하여 천공부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사무용 펀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무용 펀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펀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펀치의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펀치(Punch), 110 : 브래킷부,
112 : 고정브래킷, 114 : 누름브래킷,
114a : 이탈방지턱, 116 : 천공간격조절바,
116 : 천공간격조절표식, 118 : 받침대,
120 : 천공부, 122 : 펀치드릴,
122a : 고정핀, 123 : 펀치드릴 누름핀,
124a : 제1고정수단, 124b : 제2고정수단,
126 : 스프링, 130 : 수납부,
132 : 유출부재, 140 : 연결부재,
142 : 용지유동방지부.

Claims (4)

  1. 하단부에 수납부(130)가 구비되는 받침대(118);
    상기 수납부(130)의 상측에 구비되는 선단부가 절개된 고정브래킷(112)과 일측 소정위치에 이탈방지턱(114a)이 구비된 누름브래킷(114)으로 구성되는 브래킷부(110)와;
    상기 브래킷부(1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종이를 천공할 수 있도록 고정핀(122a)에 의해 고정된 펀치드릴(122)과, 상기 펀치드릴(122)의 상측에 구비되는 펀치드릴 누름핀(123)과 상기 펀치드릴(122)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124a)과 상기 제1고정수단(124a)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1고정수단(124a)과 서로 엇갈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펀치드릴(122)을 감싸게 되는 제2고정수단(124b) 및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고정브래킷(112)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누름브래킷(114)의 이탈방지턱(114a)에 지지되는 스프링(126)으로 구성된 천공부(120)와;
    상기 누름브래킷(114)의 소정위치 내측에 삽입되어 천공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천공간격조절바(116);
    상기 받침대(118)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다수의 펀치를 연결시킬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펀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30)는 상기 받침대(118)에 고정되는 고정홈(132a-1)이 형성된 고정부(132a)와, 상기 고정부(132a)의 고정홈(132a-1)에 끼워지는 회동핀(132b-1)에 의해 회전식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출부재(132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펀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간격조절바(116)의 일단부 소정위치에 용지 크기별로 천공간격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천공간격조절표식(116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펀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40)의 일단부를 절곡시켜 용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지유동방지부(1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펀치.
KR20-2005-0011878U 2005-04-28 2005-04-28 사무용 펀치 KR200389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78U KR200389767Y1 (ko) 2005-04-28 2005-04-28 사무용 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78U KR200389767Y1 (ko) 2005-04-28 2005-04-28 사무용 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767Y1 true KR200389767Y1 (ko) 2005-07-14

Family

ID=4369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878U KR200389767Y1 (ko) 2005-04-28 2005-04-28 사무용 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7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547A (ko) 2017-07-25 2019-02-07 화신공업주식회사 사무용 펀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547A (ko) 2017-07-25 2019-02-07 화신공업주식회사 사무용 펀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10468A (ja) 穴あけ綴じ用具
KR200389767Y1 (ko) 사무용 펀치
KR100797511B1 (ko) 펀칭장치
KR200389773Y1 (ko) 사무용 펀치
KR100877333B1 (ko) 사무용 펀치
KR100807777B1 (ko) 사진 부착용 시트 펀칭 장치
JP4626313B2 (ja) ゲージ付パンチ
KR100907211B1 (ko) 천공거리조절용 받침대를 구비한 펀치
KR200381777Y1 (ko) 제본기능을 갖는 천공기
WO2012121001A1 (ja) 見出し形成用器具
KR101966192B1 (ko) 사무용 펀치
KR101037799B1 (ko) 펀치
KR200250274Y1 (ko) 사무용 펀치
KR200163691Y1 (ko) 종이천공기
JP6043978B2 (ja) 2段式2孔パンチ器
US20120039664A1 (en) Binder having structure for punching document
KR200181462Y1 (ko) 펀치 천공구를 구비한 바인다 파일
JP2006326698A (ja) 穿孔具
KR200243815Y1 (ko) 사무용 펀치
JP6270279B2 (ja) 1穴パンチ具
JP3088003U (ja) パンチャー
JPS6021194Y2 (ja) クリツプと一穴穿孔器とを組合せた穿孔器具
KR200477892Y1 (ko) 접이식 호치키스
JPH11300649A (ja) 多機能パンチホッチキス
JPS5835436Y2 (ja) ル−ズリ−フ紙用孔あ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