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0862Y1 -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 Google Patents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0862Y1
KR200140862Y1 KR2019960028444U KR19960028444U KR200140862Y1 KR 200140862 Y1 KR200140862 Y1 KR 200140862Y1 KR 2019960028444 U KR2019960028444 U KR 2019960028444U KR 19960028444 U KR19960028444 U KR 19960028444U KR 200140862 Y1 KR200140862 Y1 KR 200140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decorative
hole
die
punc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229U (ko
Inventor
배형대
Original Assignee
배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형대 filed Critical 배형대
Priority to KR2019960028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0862Y1/ko
Publication of KR19980015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2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0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08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26F1/46Loose press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드나 사진 등의 종이 모서리부를 한 대의 펀칭기로 네가지 모양으로 균일하게 따낼 수 있는 편리하고도 경제적인 장식용 펀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에 장식구멍이 뚫린 다이(6)과, 그 다이(6)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중앙에 구멍(5a)이 뚫린 펀치홀더(5)와, 코일스프링(4)을 개재하여 펀치홀더(5)에 지지되는 펀치(3)와, 누름버튼(2)을 내설하여 하우징(1)으로 펀치홀더(5)에 결착한 통상의 장식용 펀칭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펀치(3)의 외주에 4가지 장식모양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3)모양과 같은 구멍(6a)이 형성된 다이(6)위에 대각선방향으로 4개의 가이드부재(7a)(7b)(7c) (7d)가 돌출형성되며, 그 가이드부재(7a)(7b)(7c)(7d)상면에 상기 펀치(3)모양과 같은 구멍(5a)이 형성된 펀치홀더(5)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재(7a)(7b)(7c) (7d)에 의해 4개의 삽입부(8a)(8b)(8c)(8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4개의 삽입부에 종이의 모서리부가 양측 가이드에 접하도록 끼워넣어 세트시킨 후 누름버튼을 압입하면 펀치가 하강하여 펀치의 외주에 형성된 장식 모양대로 모서리부를 예쁘게 따낼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카드나 사진 등의 종이 모서리부를 한 대의 펀칭기로 네가지 모양으로 균일하게 따낼 수 있는 편리하고도 경제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종이 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본 고안은 사진이나 카드등 종이의 모서리부분을 다양한 모양으로 따내서 예쁘게 장식할 수 있는 종이 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장식용 펀칭기 구조는, 고정받침대의 센터에 장식용 구멍이 뚫려 있고, 그 고정받침대와 소정간격을 유지한 일측가장자리부에 펀치홀더가 일체로 금형되어 있고, 그 핀치홀더의 센터에는 상기한 장식용 펀치구멍과 일치되는 홀더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한 펀치홀더의 외주에 코일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한 구멍들의 모양과 동일한 장식용 펀치의 하단부가 펀치홀더구멍에 지지되며, 상단부에는 금속제 누름판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그 누름판위에 플라스틱제 누름버튼을 내설하고, 플라스틱제 하우징에 성형된 누름버튼구멍에 상기한 누름버튼을 내삽한 하우징을 상기한 펀치홀더에 결착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펀칭기 1대로는 종이에 단일의 장식용 펀치구멍을 내거나 일정한 모양의 조각을 따내는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장식모양을 얻고자하는 경우에는 여려가지의 장식모양을 갖춘 펀칭기들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컸을 뿐만 아니라, 또한 사각형 사진이나 카드의 모서리부분을 따내서 예쁜 모양을 내고자 하는 경우 종이를 바르게 세트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재가 없기 때문에 따낸 네귀퉁이의 모양이 상이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해 낸것으로서, 1대의 펀칭기로 카드나 사진 등의 종이 모서리부를 네가지 모양으로 균일하게 따낼 수 있는 편리하고도 경제적인 장식용 펀칭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1a : 구멍
2 : 누름버튼
3 : 펀치3a : 누름판
4 : 코일 스프링
5 : 펀치홀더5a : 구멍5b : 돌출부
6 : 다이6a : 구멍
7a,7b,7c,7d : 가이드부재
8a,8b,8c,8d : 삽입부
9 : 종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1)은 플라스틱제 하우징으로, 그 중앙에 구멍(1a)이 뚫려 있고, 하단 내측벽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2)는 플라스틱제 누름버튼(2)으로,상기한 하우징(1)의 구멍(1a)에 지지되어 상하로 소정간격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3)은 펀치로서, 그 외주의 4방향에는 4가지 장식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그 외주의 지름보다 큰 누름판(3a)이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4)을 유지하고 있다.
(5)는 코일스프링(4)을 지지할 수 있는 돌출부(5b)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펀치홀더로서, 그 중앙에는 상기한 펀치(3)의 외주에 형성된 4가지 장식모양에 대응하는 구멍(5a)이 뚫려 있고, 그 양측면에는 결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6)은 상기한 펀치홀더(5)보다 약간 큰 사각형 다이으로서, 그 중앙에 상기한 펀치(3)의 외주에 형성된 4가지 장식모양에 대응하는 구멍(6a)이 뚫려 있고, 그 상면에는 대각선방향으로 4개의 가이드부재(7a)(7b)(7c)(7d)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펀치홀더(5)의 구멍(5a)과 다이(6)의 구멍(6a)이 일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다이(6)의 상면와 상기한 펀치홀더(5)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상기한 4개의 가이드부재(7a)(7b)(7c)(7d)에 의해 사각형 종이(9)의 양측 모서리부를 바르게 세트시킬 수 있는 4개의 삽입부(8a)(8b)(8c)(b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이(6)의 상부에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가이드부재(7a)(7b)(7c) (7d)상부에 일체로 고정된 펀치홀더(5)의 양측에 형성된 결착홈에, 상기한 펀치홀더(5)와 펀치(3)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4)을 개재하여 펀치(3)의 하단부를 펀치홀더(5)의 구멍(5a)에 지지하고 그 펀치(3)의 누름판(3a)에 누름버튼(2)을 탑재하여 하우징(1)의 하단 내측벽면에 형성된 걸림턱이 결착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4개의 삽입부(8a)(8b)(8c)(8d)에 종이(9)의 모서리부가 양 가이드(7a)(7b)에 접하도록 끼워넣어 세트시킨 후 누름버튼(2)을 누르면 펀치(3)가 하강하여 펀치(3)의 외주에 해당하는 장식 모양대로 종이 모서리부가 따내지게 되고, 상기한 누름버튼(2)에서 손을 떼면 코일스프링(4)의 탄발력에 의하여 펀치(3)가 승강하여 처음상태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4개의 삽입부에 종이의 모서리부가 양측 가이드에 접하도록 끼워넣어 세트시킨 후 누름버튼을 압입하면 펀치가 하강하여 펀치의 외주에 형성된 장식 모양대로 모서리부를 따낼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카드나 사진 등의 종이 모서리부를 한 대의 펀칭기로 네가지 모양으로 균일하게 따낼 수 있는 편리하고도 경제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중앙에 장식구멍이 뚫린 다이(6)과, 그 다이(6)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중앙에 구멍(5a)이 뚫린 펀치홀더(5)와, 코일스프링(4)을 개재하여 펀치홀더(5)에 지지되는 펀치(3)와, 누름버튼(2)을 내설하여 하우징(1)으로 펀치홀더(5)에 결착한 통상의 장식용 펀칭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펀치(3)의 외주에 4가지 장식모양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3)모양과 같은 구멍(6a)이 형성된 다이(6)위에 대각선방향으로 4개의 가이드부재(7a)(7b)(7c) (7d)가 돌출형성되며, 그 가이드부재(7a)(7b)(7c)(7d)상면에 상기 펀치(3)모양과 같은 구멍(5a)이 형성된 펀치홀더(5)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재(7a)(7b)(7c) (7d)에 의해 4개의 삽입부(8a)(8b)(8c)(8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KR2019960028444U 1996-09-06 1996-09-06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KR200140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444U KR200140862Y1 (ko) 1996-09-06 1996-09-06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444U KR200140862Y1 (ko) 1996-09-06 1996-09-06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229U KR19980015229U (ko) 1998-06-25
KR200140862Y1 true KR200140862Y1 (ko) 1999-05-01

Family

ID=1946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444U KR200140862Y1 (ko) 1996-09-06 1996-09-06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08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161A (ko) 2015-09-03 2017-03-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 모양 변환이 가능한 펀칭기
KR20180087703A (ko)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헬로아트 휴대용 모양커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161A (ko) 2015-09-03 2017-03-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 모양 변환이 가능한 펀칭기
KR20180087703A (ko)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헬로아트 휴대용 모양커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229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566B1 (ko)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US7201101B2 (en) Punch capable of punching an object at four directions
US5967786A (en) Pattern cutting apparatus for paper margin
KR200140862Y1 (ko)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US20030037657A1 (en) Puncher for decorative sheet
KR200184864Y1 (ko) 장식용 펀칭기
KR200173294Y1 (ko) 펀치겸용 스테이플러
KR950003090Y1 (ko) 펀치장치를 갖인 바인더화일
US6826838B2 (en) Clip-on corner alignment device
JPH0423662Y2 (ko)
KR200428426Y1 (ko) 종이카세트를 구비한 천공제본기
KR200264283Y1 (ko) 다기능 압정
KR200167811Y1 (ko)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압정
KR950004877Y1 (ko) 펀칭장치를 가진 바인더화일
KR200326647Y1 (ko) 장식용 꽂이함
KR200190437Y1 (ko) 사진 등을 내장할 수 있는 티슈 케이스
JPS646240Y2 (ko)
JPS6240799Y2 (ko)
KR200193524Y1 (ko) 자수 버튼
KR900010706Y1 (ko) 내면 부착식 책철이 설치된 파일
KR880002539Y1 (ko) 조각기구
JPH0526609Y2 (ko)
JPS61172363U (ko)
DE3869643D1 (de) Brieflocher.
TW406615U (en) A paper puncher with an accessory to latch its punching cap at pressing s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