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864Y1 - 장식용 펀칭기 - Google Patents

장식용 펀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864Y1
KR200184864Y1 KR2019990027447U KR19990027447U KR200184864Y1 KR 200184864 Y1 KR200184864 Y1 KR 200184864Y1 KR 2019990027447 U KR2019990027447 U KR 2019990027447U KR 19990027447 U KR19990027447 U KR 19990027447U KR 200184864 Y1 KR200184864 Y1 KR 200184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late
punching
decorative
punc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대
Original Assignee
디앤크래프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앤크래프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앤크래프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7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8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26F1/46Loose press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26F2001/4481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having special lateral or edge outlines or special surface shapes, e.g. aper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펀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카드, 편지 기타 종이류의 모서리부분 또는 소정부분을 다양한 모양으로 펀칭하여 미적감각을 부여하여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한 것인바, 본 고안은 펀칭작업시 펀칭칼날수단에 의하여 지그의 연결부위가 피로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펀칭기{Punch machine}
본 고안은 장식용 펀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카드, 편지 기타 종이류의 모서리부분 또는 소정부분을 다양한 모양으로 펀칭하여 미적감각을 부여하여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하는 장식용 펀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펀칭기의 구조는 고정받침대의 센터에 장식용 펀칭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그 고정받침대와 소정간격을 유지한 일측 가장자리부에 펀치홀더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펀치홀더의 센터에는 장식용 펀치구멍과 일치되는 홀더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한 펀치홀더의 외주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한 구멍들의 모양과 동일한 장식용 펀치의 하단부가 펀치홀더구멍에 지지되며 상단부에는 누름판이 일체로 고정되고, 그 누름판위에 누름버턴을 결착한 구조이다.
상기 종래 펀칭기는 펀칭되는 모양이 원형에서 변형된 단일의 천공모양 예컨데 하트, 별, 삼각형 및 사각형 모양과 같이 펀칭되는 부위가 전부 천공되어 단일의 장식용 펀칭구멍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 펀칭기는 펀칭칼날수단이 압입되는 힘에 의하여 수직 하강하여 도형판과 지그가 일체화되는 폭이 좁은 연결부위에서는 피로하중이 계속적으로 작용하여 이 부위가 파손되므로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펀칭작업시 펀칭칼날수단에 의하여 지그의 펀칭홀더구멍을 형성시 연결부위가 피로하중에 의해 쉽게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장식용 펀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우징 3 : 누름부재
4 : 펀칭칼날부재 5 : 탄성부재
6 : 지그수단 7 : 받침부재
21 : 걸림테 31 : 걸림환편
42 : 칼날부재 43 : 절결부
60 : 하부판 61 : 상부판
64 : 도형판 66 : 지지돌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형상을 구비하되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관통공 내주연과 일체로 그 길이를 연장하여 가이드역할을 하는 걸림테를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부가 노출되게 삽입 설치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칼날부재와; 상기 칼날부재를 상부로 들어 올리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와; 상기 칼날부재의 외형과 같은 가이드공을 형성한 상부판과 상기 칼날부재의 외형과 같은 절단공을 형성한 하부판이 일측부가 연결되어 폐쇄되고 일측부는 개방되어 공간부를 형성한 지그수단과; 상기 지그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받침수단을 구비하는 장식용 펀칭기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재는 중앙 내측에 일측이 개방된 소정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그부재의 상부판의 가이드공과 하부판의 절단공에는 칼날부재의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의 도형판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도형판의 하부에 받침수단의 바닥면까지 연장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펀칭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인 장식용 펀칭기(1)의 구조는 하우징(2)과, 누름부재(3)와, 펀칭칼날수단(4)과, 탄성부재(5)와, 지그수단(6)과, 받침수단(7)으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은 저면은 개방되고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며 이의 상부로는 관통공(21)을 형성하되, 이 관통공(21)으로부터 하부로 절곡되어 가이드역활을 하는 걸림테(22)를 형성하되 이 걸림테(22)에는 고정홈(23)이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누름부재(3)는 걸림테(22)의 하부에 걸려 상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환편(31)에는 요홈이 구비하고 하우징의 관통공에 삽설시 고정홈에 삽착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펀칭칼날수단(4)은 누름부재(3)의 요홈에 삽설되는 돌기를 형성한 머리부(41)의 하방으로는 소정의 형상을 구비한 칼날부재(4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며, 일측으로는 도형판(64)을 하부판(60)과 일체로 연결 구성하는 연결부위와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절결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그수단(6)은 펀칭칼날수단(4)과 같은 형상의 가이드공(61) 양측단으로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상부판(63)과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61)과 동일 형상의 절단공(62)을 형성하도록하는 중앙부 도형판(64) 하부로는 지지돌기(66)가 설치된 하부판(60)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부판(61)과 하부판(60) 사이에는 공간부(68)를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 펀칭칼날수단(4)과 지그수단(6) 사이에는 펀칭칼날수단(4)을 상부로 원위치하도록 들어 올리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수단(7)은 하우징(2)의 저면과 같은 형상을 구비하며 지그수단(6)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71)와 펀칭칼날수단(4)에 의하여 펀칭되어 잘려진 지류가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관통공(72)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인 장식용 펀칭기(1)의 작동을 살펴보면 누름부재(3)를 가압하면 관통공(21)의 걸림테(22)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펀칭칼날수단(4)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2)의 걸림테(2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23)에 삽착되어 있던 걸림돌기(32)가 이탈되면서 누름부재(3)가 하강하게 되는데 걸림환편(31)에 형성된 요홈에 펀칭칼날수단(4)의 머리부(41)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져 있어 좌우로 움직임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누름부재(3)에 의해 가압되는 펀칭칼날수단(4)은 연동되어 머리부(41)가 탄성부재(5)를 가압하게 되면서 머리부(41)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칼날부재(42)가 지그수단(6)의 상부판(6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공(63)에 인입되어 안내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공(63)에 안내되어 하강하는 칼날부재(42)는 받침수단(7)의 고정부(71)에 고정 설치된 지그수단(6)의 상부판(61)을 관통하여 하부판(60)의 상부 즉, 공간부(68)에 삽입되어 있는 지류를 가압하면서 절단공(62)으로 인입되어 지류를 펀칭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칼날부재(42)가 절단공으로 삽입되어 상부판(61)와 하부판(60) 사이에 놓여진 지류를 천공하면, 이 천공된 지류에는 칼날부재(42)의 외형과 와 동일한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의 내측으로는 하부판(60)의 도형판(64)과 동일한 형상의 지류가 천공되지 않고 잔류하게 된다.
상기 펀칭에 의해 천공된 지류조각은 받침수단(7)의 관통공(72)으로 토출되게 되고 사용자는 받침수단(7)의 관통공(72)으로 토출된 지류조각을 별도로 수거하여 버리면 된다.
이때, 상기 절단공(62)을 형성하도록하는 중앙부의 도형판(64)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돌기(66)에 의하여 펀칭칼날수단(4)의 가압시 도형판(64)과 맞닫서 받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여 지그수단(6)의 도형판(64)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형판(64)의 저면에 구비된 지지돌기(66)의 단면이 봉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의 단면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돌기(66)가 도형판의 두께를 연장하여 받침수단(7)의 저면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누름부재(3)를 가압하고 있던 가압력을 해지하게 되면 탄성부재(5)의 탄성력에 의해 펀칭칼날수단(4)이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누름부재(3) 또한 이동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5)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 이동하는 누름부재(3)는 하우징(2)의 걸림테(22)에 걸림환편(31)이 걸림과 동시에 걸림돌기(32)가 요홈(23)내로 삽설되어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유동이 방지되어 작동전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고안인 장식용 펀칭기는 펀칭작업시 펀칭칼날수단에 의하여 지그의 펀칭홀더구멍을 형성시 연결부위가 피로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소정 형상을 구비하되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관통공 내주연과 일체로 그 길이를 연장하여 가이드역할을 하는 걸림테를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부가 노출되게 삽입 설치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칼날부재와; 상기 칼날부재를 상부로 들어 올리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와; 상기 칼날부재의 외형과 같은 가이드공을 형성한 상부판과 상기 칼날부재의 외형과 같은 절단공을 형성한 하부판이 일측부가 연결되어 폐쇄되고 일측부는 개방되어 공간부를 형성한 지그수단과; 상기 지그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받침수단을 구비하는 장식용 펀칭기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재는 중앙 내측에 일측이 개방된 소정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그부재의 상부판의 가이드공과 하부판의 절단공에는 칼날부재의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의 도형판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도형판의 하부에 받침수단의 바닥면까지 연장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펀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판의 저면에 구비된 지지돌기의 단면이 봉형 및 사각의 단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펀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판의 저면에 구비된 지지돌기가 도형판과 일체로 그 두께가 연장되어 받침수단의 저면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펀칭기.
KR2019990027447U 1999-12-08 1999-12-08 장식용 펀칭기 KR200184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447U KR200184864Y1 (ko) 1999-12-08 1999-12-08 장식용 펀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447U KR200184864Y1 (ko) 1999-12-08 1999-12-08 장식용 펀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864Y1 true KR200184864Y1 (ko) 2000-06-01

Family

ID=1960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447U KR200184864Y1 (ko) 1999-12-08 1999-12-08 장식용 펀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8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237B1 (ko) * 2002-05-03 2005-05-31 디앤크래프트 주식회사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KR20170028161A (ko) 2015-09-03 2017-03-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 모양 변환이 가능한 펀칭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237B1 (ko) * 2002-05-03 2005-05-31 디앤크래프트 주식회사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KR20170028161A (ko) 2015-09-03 2017-03-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 모양 변환이 가능한 펀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566B1 (ko)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US7201101B2 (en) Punch capable of punching an object at four directions
US4594927A (en) Punch having improved cutter attachment means
US20050211041A1 (en) Punch capable of punching and embossing simultaneously
KR200184864Y1 (ko) 장식용 펀칭기
US6752057B2 (en) Device for blanking out patterns
US6547067B1 (en) CD holder structure for an individual CD case
US20030088985A1 (en) Note magnet assembly with letter blade
KR200140862Y1 (ko)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구조
JPS63256398A (ja) 書類穴あけ器
KR930004413Y1 (ko) 사무용 펀치
KR200194930Y1 (ko) 사무용 펀치
KR200209839Y1 (ko) 장식용 펀칭기
KR200235728Y1 (ko) 사무용 펀치
KR200184871Y1 (ko) 일공용 펀치
KR20000013452U (ko) 사무용펀치
KR200264220Y1 (ko) 문양 천공장치
KR200173294Y1 (ko) 펀치겸용 스테이플러
KR200268186Y1 (ko) 펀칭기의 원고고정장치
US5618121A (en) File clip with punching function
KR200284443Y1 (ko) 펀칭기
KR200234640Y1 (ko) 육절기
KR200239640Y1 (ko) 천공기
KR940004347Y1 (ko) 바인더북 철 보강 용지 제조용 펀칭장치
KR20100077063A (ko) 중심부가 돌출되어 있는 펀치봉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한 펀치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