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930Y1 - 사무용 펀치 - Google Patents

사무용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930Y1
KR200194930Y1 KR2019980010536U KR19980010536U KR200194930Y1 KR 200194930 Y1 KR200194930 Y1 KR 200194930Y1 KR 2019980010536 U KR2019980010536 U KR 2019980010536U KR 19980010536 U KR19980010536 U KR 19980010536U KR 200194930 Y1 KR200194930 Y1 KR 200194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unch
screw
predetermined interval
mar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934U (ko
Inventor
오영도
Original Assignee
오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도 filed Critical 오영도
Priority to KR2019980010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93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9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9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28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unting the number of cuts or measuring cut len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87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use on a desktop

Abstract

본 고안 사무용 펀치는 원형의 봉체로 구비되고 일측은 지지할 수 있는 측벽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단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이 표시된 걸이대를 구성하고,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는 장공이 통공된 몸체가 구비되고 일측 상부에 길게 구성된 걸림편이 구비되며, 상기 장공의 외측에 손잡이가 달린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나사공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된 눈금자가 구비된 조절구를 구성하며, 다수개의 원형 고리로 연결 구성되며 단부는 걸림구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구가 끼워 고정되는 통공이 간격조절편이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이 표시된 고정구를 구성함으로서, 펀치에 의해 뚫리는 구멍과 측부 가장자리의 너비를 쉽게 알 수 있어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펀치에 의해 뚫리는 구멍과 상부 가장자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공간을 작게 차지하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사무용 펀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무용 펀치
본 고안은 사무용 펀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펀치구멍간의 간격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서류의 가장자리와 한 쌍으로 통공된 구멍과의 거리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사무용 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펀치는 서류의 일측 가장자리를 철끈이나 파스너로 묶어 철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구멍을 통공시키는 기구인 것으로, 이러한 사무용 펀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소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곽주연부가 하향절곡된 받침판부(10)가 구성되고, 상기 받침판부(10)의 상면 브라켓(2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 누름부(20)가 구성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상기 누름부(20)의 하강으로 가압되어 삽입공간(21)에 삽입된 문서에 펀치구멍을 뚫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상복귀되는 펀칭부(30)가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부(10)는 받침부재(12)의 하부를 감싸며 사용된 조각종이를 수집시키는 수집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12)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대향하게 관통된 고정공(13)이 구비된다.
상기 누름부(20)는 상기 받침부재(12)의 일측과 브라켓(22)사이의 공간을 문서의 천공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21)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22)의 상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누룰수 있는 손잡이(23)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23)의 단부에 관통된 끼움공(24)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24)에 끼워지는 판체로 구비된 간격조절편(26)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재(12)와 상기 브라켓(22)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25)가 구비된다.
상기 펀칭부(30)는 브라켓(22)의 상부측에 축 결합되는 누름부(20)의 힌지축 전방에 횡봉을 설치하고, 상기 횡봉의 하부에는 상기 누름부(20)의 누름에 의한 횡봉의 가압에 의해서 하강되어 삽입공간(21)에 삽입된 문서의 천공부위를 뚫는 작동봉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봉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원상복구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12)의 고정공(13)에 끼워지는 걸이대(40)는 원형의 봉체(41)로 구비되고 일측은 지지할 수 있는 측벽(42)이 구비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사무용 펀치는 펀치에 의해 뚫리는 구멍과 측부 가장자리와의 너비를 알 수 없어 펀치의 이동으로 하여금 그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펀치에 의해 뚫리는 구멍과 상부 가장자리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측부 가장자리와 펀치구멍과의 간격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가장자리로부터 펀치구멍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하는 사무용 펀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사무용 펀치는 펀치구멍간격조절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걸이대가 구성되고, 가장자리로부터 통공된 구멍과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가 구성되며, 보관시 편리하게 결합되는 고정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무용 펀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이 적용된 사무용 펀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 조절구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펀치구멍간의 간격조절을 나타낸 측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조절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c는 본 고안의 고정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받침판부 13: 고정공
20: 누름부 25: 고정스크류
26: 간격조절편 40: 걸이대
50: 조절구 52: 장공
53: 걸림편 55: 눈금자
56: 나사공 60: 고정구
62: 걸림구 63: 통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이 적용된 사무용 펀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사무용 펀치는 통상에서와 같이 바닥면과 소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곽주연부가 하향절곡된 받침판부(10)가 구성되고, 상기 받침판부(10)의 상면 브라켓(2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 누름부(20)가 구성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상기 누름부(20)의 하강으로 가압되어 삽입공간(21)에 삽입된 문서에 펀치구멍을 뚫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상복귀되는 펀칭부(30)가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부(10)는 받침부재(12)의 하부를 감싸며 사용된 조각종이를 수집시키는 수집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12)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대향하게 관통된 고정공(13)이 구비된다.
상기 누름부(20)는 상기 받침부재(12)의 일측과 브라켓(22)사이의 공간을 문서의 천공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21)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22)의 상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누룰수 있는 손잡이(23)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23)의 단부에 관통된 끼움공(24)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24)에 끼워지는 판체로 구비된 간격조절편(26)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재(12)와 상기 브라켓(22)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25)가 구비된다.
상기 펀칭부(30)는 브라켓(22)의 상부측에 축 결합되는 누름부(20)의 힌지축 전방에 횡봉을 설치하고, 상기 횡봉의 하부에는 상기 누름부(20)의 누름에 의한 횡봉의 가압에 의해서 하강되어 삽입공간(21)에 삽입된 문서의 천공부위를 뚫는 작동봉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봉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원상복구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12)의 고정공(13)에 끼워지는 걸이대(40)는 원형의 봉체(41)로 구비되고 일측은 지지할 수 있는 측벽(4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사무용 펀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펀치구멍간격조절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눈금(43)이 표시된 걸이대(40)가 구성되고, 가장자리로부터 통공(63)된 구멍과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50)가 구성되며, 보관시 편리하게 결합되는 고정구(6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걸이대(40)는 원형의 봉체(41)로 구비되고 일측은 지지할 수 있는 측벽(42)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42)으로부터 상단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43)이 표시된다.
상기 조절구(5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는 장공(52)이 통공(63)된 몸체(51)가 구비되고 일측 상부에 길게 구성된 걸림편(53)이 구비되며, 상기 장공(52)의 외측에 손잡이가 달린 스크류(54)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54)가 체결되는 나사공(56)이 상기 받침부재(1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나사공(56)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된 눈금자(5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60)는 다수개의 원형 고리(61)로 연결 구성되며 단부는 걸림구(62)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구(62)가 끼워 고정되는 통공(63)이 간격조절편(26)이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64)이 표시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사무용 펀치의 결합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바닥면과 소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곽주연부가 하향절곡된 받침판부(10)가 구성되고, 상기 받침판부(10)의 상면 브라켓(2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 누름부(20)가 구성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상기 누름부(20)의 하강으로 가압되어 삽입공간(21)에 삽입된 문서에 구멍을 뚫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상복귀되는 펀칭부(30)가 구성된 펀치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내부는 장공(52)이 통공(63)된 몸체(51)가 구비되고 일측 상부에 길게 걸림편(53)이 구비된 조절구(50)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51)의 상부에 구성된 걸림편(53)을 삽입공간(21)에 끼우고 밀착시킨후, 상기 몸체(51)의 장공(52)과 상기 받침부재(12)의 일측에 구성된 나사공(56)을 일치시킨 후 손잡이가 구성된 스크류(54)를 일방향 회전시켜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부재(12)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대향하게 관통된 고정공(13)에 원형의 봉체(41)로 구비되고 일측은 지지할 수 있는 측벽(42)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42)으로부터 상단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43)이 표시된 걸이대(40)를 끼운다.
이와 같이 결합된 한 쌍의 펀치사이에 다수개의 원형 고리(61)로 연결 구성되며, 타측은 걸림구(62)가 구성된 고정구(60)를 상기 걸이대(40)의 일측 즉, 한 쌍의 펀치 사이에 끼운다.
그리고, 누름부(20) 손잡이(23)의 단부에 관통된 끼움공(24)에 다수개의 통공(63)이 구비되며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64)이 표시된 간격조절편(26)을 끼운후, 상기 간격조절편(26)의 상면에 표시된 눈금(64)을 보면서 펀치와 펀치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펀치를 사용하고자할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받침부재(12)와 상기 브라켓(22)을 체결하여 고정시킨 고정스크류(2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풀고 누름부(20)의 단부에 끼워진 간격조절편(26)을 상부에 표시된 눈금(64)을 보면서 펀치와 펀치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후, 몸체(51)의 일측에 끼워진 걸이대(40)를 조절하여 오른쪽펀치의 왼쪽 가장자리를 뚫고자하는 길이에 맞추고, 상기 고정스크류(2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킨 후 종이를 걸이대(40)의 일측에 구성된 측벽(42)에 맞추고 상단을 삽입공간(21)에 밀착시킨 후 누름부(20)의 손잡이(23)를 눌러 사용하면 된다.
다음은 펀치된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단의 가장자리까지의 길이을 맞추려고 할 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가 달린 스크류(5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어 조절구(50)가 내부에 형성된 장공(52)을 따라 움직이게 한 후, 조절구(50)의 하부에 부착된 눈금자(55)를 보고 뚫고자하는 위치에 맞추고, 스크류(54)를 일방향 회전시켜 고정시킨 후, 종이를 삽입공간(21)에 일정거리로 밀어 넣으면 걸림편(53)에 걸려 일정거리로 셋팅된 간격보다 더 적은 간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40)의 일측에 구성된 고정구(60)의 걸림구(62)를 누름부(20)의 단부에 끼워진 간격조절편(26)의 상면에 관통된 통공(63)에 끼워 고정시킨후 보관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사무용 펀치는 원형의 봉체로 구비되고 일측은 지지할 수 있는 측벽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단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이 표시된 걸이대를 구성하고,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는 장공이 통공된 몸체가 구비되고 일측 상부에 길게 구성된 걸림편이 구비되며, 상기 장공의 외측에 손잡이가 달린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나사공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된 눈금자가 구비된 조절구를 구성하며, 다수개의 원형 고리로 연결 구성되며 단부는 걸림구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구가 끼워 고정되는 통공이 간격조절편이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이 표시된 고정구를 구성함으로서, 펀치에 의해 뚫리는 구멍과 측부 가장자리의 너비를 쉽게 알 수 있어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펀치에 의해 뚫리는 구멍과 상부 가장자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공간을 작게 차지하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한 쌍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 펀치에 있어서,
    원형의 봉체(41)로 구비되고 일측은 지지할 수 있는 측벽(42)이 구비되며, 상기 측벽(42)으로부터 상단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43)이 표시된 걸이대(40)와;
    내부는 장공(52)이 통공(63)된 몸체(51)가 구비되고 일측 상부에 길게 구성된 걸림편(53)이 구비되며, 상기 장공(52)의 외측에 손잡이가 달린 스크류(54)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54)가 체결되는 나사공(56)이 상기 받침부재(1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나사공(56)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된 눈금자(55)가 구비된 조절구(50)와;
    다수개의 원형 고리(61)로 연결 구성되며 단부는 걸림구(62)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구(62)가 끼워 고정되는 통공(63)이 간격조절편(26)이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눈금(64)이 표시된 고정구(6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펀치.
KR2019980010536U 1998-06-18 1998-06-18 사무용 펀치 KR200194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36U KR200194930Y1 (ko) 1998-06-18 1998-06-18 사무용 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36U KR200194930Y1 (ko) 1998-06-18 1998-06-18 사무용 펀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34U KR20000000934U (ko) 2000-01-15
KR200194930Y1 true KR200194930Y1 (ko) 2000-10-02

Family

ID=1953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536U KR200194930Y1 (ko) 1998-06-18 1998-06-18 사무용 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9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7139B (zh) * 2020-06-15 2022-07-29 山东大学 实现多条预应力碳纤维板同时张拉的群锚锚具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34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2884A (en) Locking device
US4105168A (en) Rolled paper holder
KR20000013773A (ko)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ES235787U (es) Un pestillo de plastico.
US4190929A (en) Plastic hinge
KR200194930Y1 (ko) 사무용 펀치
US2589609A (en) Roller chart
US2964280A (en) Curtain rod supporting bracket
US2639500A (en) Can punch
JPH07299981A (ja) ハトメ機構付き穿孔機
JPH11228080A (ja) 支柱脚部
JP2649146B2 (ja) パンチ
KR200215878Y1 (ko) 사무용펀치
KR101966192B1 (ko) 사무용 펀치
KR101404483B1 (ko) 천공용 펀치
KR200331920Y1 (ko)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184864Y1 (ko) 장식용 펀칭기
US2028848A (en) Perforator
US4387623A (en) Parallel motion linkage for the sliding keyboard cover of a piano
KR910001449Y1 (ko) 휴지걸이
KR20000014975U (ko) 천공거리 조절 펀치
US2083334A (en) Mounting for venetian blinds
KR200166343Y1 (ko) 잠금장치가구비된펀치
JPS6216900Y2 (ko)
GB688283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asement and like telescopic st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