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283A - 테이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283A
KR19980063283A KR1019970014386A KR19970014386A KR19980063283A KR 19980063283 A KR19980063283 A KR 19980063283A KR 1019970014386 A KR1019970014386 A KR 1019970014386A KR 19970014386 A KR19970014386 A KR 19970014386A KR 19980063283 A KR19980063283 A KR 1998006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liding block
pressing
contac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789B1 (ko
Inventor
츠요시 마에다
시게유키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쇼지 고메이
린텟쿠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지 고메이, 린텟쿠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쇼지 고메이
Publication of KR1998006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51Auto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는 접착 테이프를 워크(work)상에 형성된 테이프 부착면에 접합시키도록 설계된다. 테이프 부착장치는 파지 부재(23)를 갖는 장치 본체(22)와, 이 장치 본체(22)에 설치되며 접착 테이프(11)를 테이프 부착면(33)상에 가압하는 가압부(16)를 갖는 테이프 안내부(14)와, 가압 드럼(16)을 테이프 부착면(33)상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가압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결합수단은 장치 본체(22)에 설치된 홀더 블록(13)에 대하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고정된 미끄럼 블록(20)를 갖는 제 1 결합부와, 미끄럼 블록(20)에 설치되고 워크(17)과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는 제 1 접촉부(32)와, 테이프 안내부(14)를 사이에 두고 제 1 결합부에 대향하게 장치 본체부(22)에 설치되고 제 2 접촉부(18)가 워크(17)에 접촉하는 제 2 결합부(18)를 갖는 제 2 접촉부를 구비한다. 테이프 부착장치는 접착 테이프(11)를 좌우 도어 샤시부의 소정위치에 접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접합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부착장치
본 발명은 워크에 형성된 테이프 부착면을 따라 띠형상의 접착 테이프를 해제지로부터 박리하여 부착하기 위한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 샤시부의 실내측을 색이 소거된 흑색으로 하는 것은, 다음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즉 차 밖, 특히 차체의 측방으로부터 본 때의 도어 샤시부의 실내측의 광의 반사를 억제하여, 차체 전체에 산뜻한 외관을 확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 때문에, 도어 샤시부에 색소거 흑색 도료를 흡착 도장하는 것이 종래로부터 행해져 오고 있다. 그러나, 흡착 도장은 작업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대설비에 비용이 들며, 도료의 건조까지 시간이 걸리는 등의 각종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의 해결책으로써, 그 대신에 내후성 또는 내마모성 등이 양호한 색소거 흑색 접착 테이프를 도어 샤시부에 부착하는 것이 일본 특허공개 제 76-135015 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공개 제 87-46780 호 공보 등에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자동차의 도어 샤시부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3 차원적인 곡면부분이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상술한 접착 테이프 부착장치는 크기가 너무 크므로, 실제의 생산 라인에서 조립한 경우 생산 라인의 설비 비용이 많이 드는 데다가, 도어 샤시부의 설계변경에 대한 추종성이 나쁘고, 범용성이 뒤떨어진다.
그러나, 이 접착 테이프의 부착작업을 작업자가 도구를 전혀 사용함이 없이 수작업만으로 행하고자 한 경우, 자동차의 제조 라인에 대응한 속도로 이것을 정확히 수행하는 것은 극히 고도의 작업 숙련도가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작업을 숙련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하도록, 예를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 93-338627 호 공보 등에 개시된 테이프 부착장치가 제안되어 있고, 이 테이프 부착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숙련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도어 샤시부의 소정위치에 접착 테이프를 정확히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웨더 스트립을 도어 샤시부에 자동적으로 부착하는 장치, 예를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 90-221582 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제 91-166068 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공개 제 93-65298 호 공보에 개시된 것도 응용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일본 특허공개 93-338627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테이프 부착장치는, 자동차의 우측 도어와 좌측 도어에 대응하여 각기 우 절개부와 좌 절개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세단형 승용 자동차에 대하여 좌측 전방 도어, 좌측 후방 도어, 우측 전방 도어 및 우측 후방 도어용으로 각기 4 종류의 테이프 부착장치를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어서 테이프 부착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롭다.
또한, 차종에 따라 도어 샤시부의 폭 등의 형상이 변한 경우, 이에 대응한 테이프 부착장치를 그 때마다 신경을 써서 준비하여야 만다. 즉 종래의 테이프 부착 장치는 테이프 부착 표면의 모양의 변화에 대응하는 융통성이 매우 부족하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제 90-221582 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제 91-166068 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공개 제 93-65298 호 공보에 개시된 웨더 스트립의 설치장치를 테이프 부착장치에 응용하고자 한 경우에, 도어 패널의 유지 및 위치 결정 장치 외에도 매니플레이터(manipulator)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해서, 자동차의 생산라인을 변경하지 않으면 이것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부착 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융통성이 풍부하므로 숙련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좌우의 도어 샤시부의 소정위치에 접착 테이프를 각기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테이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는, 워크에 형성된 테이프 부착면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한 테이프 부착장치에 있어서, 파지부를 가지는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부착면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가지는 테이프 안내부와, 상기 가압부를 상기 테이프 부착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가압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가압부를 그의 가압방향을 따라 출몰시킬 수 있는 출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된 홀더 블록에 대하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미끄럼 블록과, 이 미끄럼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워크에 착탈가능하게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갖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테이프 안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워크에 접촉 가능한 제 2 접촉부를 갖는 제 2 결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접착 테이프의 선단부를 워크의 테이프 부착면의 소정위치에 부착한 후, 장치 본체의 테이프 안내부와 접착 테이프의 선단부가 부착된 테이프 부착면의 부분이 중첩 결합하도록 결합수단의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를 워크에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접착 테이프가 가압부에 의해 테이프 부착면에 가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를 테이프 부착면을 따라 이동하면, 테이프 안내부에 의해 테이프 부착면에 대한 오프셋이 억제된 접착 테이프는 가압부의 탄성변형에 에 의하여 테이프 부착면으로 가압되어, 장치 본체의 이동에 따라 테이프 접착면에 부착되어진다.
워크로부터 테이프 부착장치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미끄럼 블록을 조작하여 제 1 접촉부를 워크로부터 분리하고, 그 때 출몰 수단이 가압부를 워크의 테이프 부착면으로부터 이동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접촉부는 미끄럼 블록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여도 좋고, 마찬가지로 제 2 접촉부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여도 좋으며, 이것에 의해 워크에 대한 테이프 부착장치의 이동시의 저항이 감소된다.
또한, 테이프 안내부에 의한 접착 테이프의 안내 방향을 따라 제 2 접촉부를 서로 이격되게 복수 배치하도록 하여도 되며,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착장치가 워크에 흔들림 없이 결합한다.
더우기, 가압부의 표면을 고무상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도 유효하며, 이것에 의해 접착 테이프가 테이프 부착면에 대하여 고르게 부착된다.
한편, 미끄럼 블록은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의 대향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여도 좋고, 그럼으로써 제 2 결합부로부터 제 1 결합부가 이격되도록 미끄럼 블록을 미끄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워크에 대한 테이프 부착장치의 착탈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제 1 결합부를 제 2 결합부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장치 본체와 미끄럼 블록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테이프 부착장치가 워크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된다.
또한, 출몰 수단을 미끄럼 블록의 미끄럼 동작에 따라 연동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 출몰 수단은 미끄럼 블록에 연결되는 기단측이 대직경부가 되고 선단측의 소직경부가 테이프부를 거쳐서 대직경부와 접속하는 단차진 샤프트와, 이 단차진 샤프트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기단부가 장치 본체에 지지되는 지지 핀을 가지며, 이 지지핀의 선단측이 단차진 샤프트에 그의 소직경부로부터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부가 단차진 샤프트에 대응한 단차진 구멍을 가져서 단차진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 2 결합부로부터 제 1 결합부가 이격되도록 미끄럼 블록을 미끄럼 이동하면, 가압부가 그의 무게에 의해 워크의 테이프 부착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멀어지고, 이것에 의해 단차진 샤프트의 대직경부에 대응한 가압부의 대직경 보어부가 단차진 샤프트의 소직경부로 지지되는 것과 아울러, 단차진 샤프트의 소직경부에 대응한 가압부의 소직경 보어부가 지지 핀으로 지지된다. 이와 반대로 제 1 결합부가 제 2 결합부에 근접하도록 미끄럼 블록을 미끄럼 이동하면, 가압부가 그의 무게에 대항하여 워크의 테이프 접착면에 가압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이것에 의해 단차진 샤프트의 대직경부에 가압부의 대직경 보어부가 지지됨과 아울러 단차진 샤프트의 소직경부에 가압부의 소직경 보어부가 지지된다. 이 경우, 단차진 샤프트의 대직경부와 소직경부의 직경의 차이와, 단차진 샤프트의 소직경부와 지지 핀의 직경의 차이를 거의 같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가압부가 단차진 샤프트의 축선과 평행상태로 출몰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부착장치에 따르면, 장치 본체의 테이프 안내부에 대하여 접착 테이프를 통과하는 방향이 방향성이 없으며, 다시 말하면 접착 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어떤 방향으로부터도 접착 테이프를 테이프 안내부로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좌우 절개부에 있는 워크 중 어떤 것에도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워크의 폭의 변동이나 형상의 변화에 따라 결합수단의 제 1 접촉부가 제 2 접촉부의 대향 방향으로 변위하여 워크에 대하여 장치 본체를 언제나 흔들림 없이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숙련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접착 테이프를 정확히 워크의 테이프 부착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워크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는 적응성이 종래의 것보다 우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를 롤러로 형성한 경우에는, 테이프 부착장치의 이동시의 저항이 감소되기 때문에, 테이프 부착 작업을 작은 조작력으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테이프 안내부에 의한 접착 테이프의 안내 방향을 따라 제 2 접촉부를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한 경우에는 테이프 부착장치가 워크에 대하여 흔들림 없이 결합하기 때문에, 접착 테이프를 정확히 워크의 테이프 부착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가압부의 표면을 고무상 탄성체로 형성한 경우에는, 공기의 혼입을 방지하여 접착 테이프를 테이프 부착면에 대하여 불균일하지 않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출몰 수단을 미끄럼 블록의 조작과 연동시킨 경우에는 워크에 대하여 테이프 부착장치의 착탈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첨부 도면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것이나, 본 발명이 그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이해를 위한 설명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를 승용 자동차의 전방 도어 내측 샤시부에 응용한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도 3중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3중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미끄럼 블록을 조작한 상태에서 도 4에 대응한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테이프 부착장치를 전방 도어 샤시부에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테이프 부착장치를 전방 도어 샤시부에 연결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접착 테이프 12: 말단 블록
13: 홀더 블록14: 테이프 안내부
15: 감마(減摩) 부재16: 가압 드럼
17: 전방 도어 샤시부18: 위치 결정 롤러
19: 안내 벽부 20: 미끄럼 블록
21: 안내봉 홀더 22: 장치 본체
23: 파지 부재 24: 가압판
25, 37, 44, 52: 고정용 나사
26: 단차부27: 멈춤부
28, 35: 안내홈29: 안내봉
30: 고정 나사31: 압축 코일 스프링
32: 가압 롤러33: 테이프 부착면
34: 손잡이부36: 연결판
37: 고정용 나사38: 단차진 샤프트
39: 대직경부40: 소직경부
41: 테이퍼부 42: 고정 홈
43: 핀 고정판45: 지지 핀
46: 핀 결합 구멍47: 대직경 보어부
48: 소직경 보어부49: 테이퍼 보어부
50: 고무상 탄성체 51:브래킷
53: 간격 54: 해제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를 승용자동차의 전방 도어 샤시부에 응용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이 이후에서 설명하며,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2는 이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그의 평면 상태를 나타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Ⅳ-Ⅳ선 및 V-V선의 단면 형상을 각기 나타내며, 도 6은 미끄럼 블록을 조작한 상태에서 도 4에 대응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전방 도어 샤시부에 접속된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8은 그것의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다양한 특정 설명이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라면 본 발명을 이들 특정 실시예 없이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알려진 구조체는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므로 상세한 설명에 나타내지 않았다.
즉, 접착 테이프(11)의 한쪽의 측단면에 접촉하는 말단 블록(12)과, 접착 테이프(11)의 다른 쪽의 측단면에 접촉하는 홀더 블록(13)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쌍의 테이프 안내부(14)를 거쳐서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되어있다. 다시 말하면 한쌍의 테이프 안내부(14)는 접착 테이프(11)의 폭(도 3에서, 수직방향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며, 이들 테이프 안내부(14)의 표면은 고밀도의 폴리에틸렌 시이트 등의 저마찰계수의 감마 부재(15)로 피복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테이프 안내부(14) 사이에는 본 발명의 가압부로써 가압 드럼(16)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압 드럼(16)의 지지구조에 관하여서는 후술한다.
말단 블록(12)에는 전방 도어 샤시부(17)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는 한쌍의 위치 결정 롤러(18)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들의 외주연부의 일부가 테이프 안내부(14)의 전단측(도 3에서 하측)의 바로 위에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접촉부를 갖는 제 2 결합부인 이들 한쌍의 위치결정 롤러(18)는 전방 도어 샤시부(17)의 폭방향 크기나 형상에 맞추어서 최적의 것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더 블록(13)위에는 한쌍의 안내 벽부(19)가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며, 이들 안내 벽부(19)의 사이에 미끄럼 블록(20)이 상기 위치 결정 롤러(18)의 대향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더우기, 이 홀더 블록(13)의 테이프 안내부(14)의 반대측의 단부에는 미끄럼 블록(20)에 대향하는 안내봉 홀더(21)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22)는 상술한 말단 블록(12), 홀더 블록(13), 안내 벽부(19), 안내봉 홀더(21) 및 파지 부재(2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벽부(19)의 상단에는 이들 안내 벽부(19)로부터 미끄럼 블록(20)이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성공적으로 방지하는 가압판(24)이 각기 고정용 나사(25)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블록(20)의 안내봉 홀더(21) 측에는 홀더 블록(13)의 중앙부에 형성된 단차부(26)에 결합되어 미끄럼 블록(20)이 말단 블록(12) 측으로 빠지는 것을 성공적으로 방지하는 멈춤부(27)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안내봉 홀더(21)에는 말단 블록(12)과 홀더 블록(13)의 대향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미끄럼 블록(20)에 형성된 한쌍의 안내 홈(28)에 대하여 선단측이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한쌍의 안내봉(29)의 기단부가 고정 나사(30)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고, 이들 안내봉(29)에는 미끄럼 블록(20)과 안내봉 홀더(21)의 사이에 위치하여 미끄럼 블록(20)을 말단 블록(12)측으로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1)이 권취되어 있다.
따라서, 미끄럼 블록(20)은 압축 코일 스프링(31)에 의하여 말단 블록(12) 측으로 가압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3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미끄럼 블록(20)이 안내봉 홀더(21) 측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압 드럼(16)의 바로 위로 돌출하는 미끄럼 블록(20)의 말단 블록(12) 대향 측에는 한쌍의 위치 결정 롤러(18)와 함께 전방 도어 샤시부(17)에 결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1 접촉부로서의 가압 롤러(32)가 돌출 설치되고, 이 가압롤러(32)와 상술한 위치 결정 롤러(18)에 의하여, 장치 본체(22)가 전방 도어 샤시부(17)에 결합하여, 가압 드럼(16)을 전방 도어 샤시부(17)의 편평한 테이프 부착면(33)에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미끄럼 블록(20)의 상단에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3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미끄럼 블록(20)을 안내봉 홀더(21)측으로 후퇴시키기 위한 손잡이부(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블록(20)의 후측의 중앙부에는 말단 블록(12)과 홀더 블록(13)의 대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안내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홈(35)에는 안내봉 홀더(21)의 대향측에서 미끄럼 블록(20)에 연결판(36)을 거쳐서 고정용 나사(37)에 의해 나사 고정된 단차진 샤프트(38)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단차진 샤프트(38)는 고정용 나사(37)에 의해서 기단부가 연결판(36)에 나사 고정되는 대직경부(39)와, 선단측에 위치하는 소직경부(40)와, 이들 대직경부(39)와 소직경부(40)를 연결하는 테이퍼부(41)를 가지며, 단차진 샤프트의 축선이 말단 블록(12)과 홀더 블록(13)의 대향 방향에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말단 블록(12)의 후측 중앙부에는, 이 말단 블록(12)과 홀더 블록(13)의 대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고정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홈(42)에는 말단 블록(12)의 후측에 고정판(43)을 거쳐서 고정용 나사(44)에 의하여 유지된 지지핀(45)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핀(45)은 단차진 샤프트(38)와 동축으로 설정되며, 그의 단부가 단차진 샤프트(38)의 선단면측으로부터 형성한 핀 결합 구멍(46)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단차진 샤프트(38)의 선단측은 지지핀(45)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가압 드럼(16)은 이 단차진 샤프트(38)에 대응한 대직경 보어부(47)와, 소직경 보어부(48)와 테이퍼 보어부(49)를 가지며, 단차진 샤프트(3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압드럼(16)의 대직경 보어부(47)와 단차진 샤프트(38)의 대직경부(39)의 결합 길이(도 4에서 횡방향의 접촉길이)와, 가압 드럼(16)의 소직경 보어부(49)와 단차진 샤프트(38)의 소직경부(40)의 결합 길이는 같게 설정되어 있어서, 홀더 블록(13)의 단차부(26)와 멈춤부(27)가 접촉한 도 4의 상태로부터, 미끄럼 블록(20)을 소정거리만큼 안내봉 홀더(21) 측으로 후퇴시킨 경우, 이들 결합위치가 어긋나서 가압 드럼(16)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그의 소직경 보어부(48)가 지지핀(45)에 접촉하게 함과 아울러 대직경 보어부(47)가 단차진 샤프트(38)의 소직경부(40)에 접촉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드럼(16)이 지지핀(45) 및 단차진 샤프트(38)에 대하여 여유있게 결합한 상태로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 가압 드럼(16)의 대직경 보어부(47)와 단차진 샤프트(38)의 대직경부(39)의 결합길이, 및 가압 드럼(16)의 소직경 보어부(48)와 단차진 샤프트(38)의 소직경부(40)의 결합길이는 이 테이프 부착장치를 사용하는 전방 도어 샤시부(17)의 폭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압 드럼(16)의 표면은 그의 반경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발포 폴리우레탄이나 경질 고무 등의 고무상 탄성체(50)로 피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차진 샤프트(38)의 대직경부(39)의 직경과 소직경부(40)간의 직경의 차이는 소직경부(40)의 직경과 지지 핀(45)의 직경간의 차이와 같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미끄럼 블록(20)을 도 6에 도시한 후퇴 상태로 이동한 경우, 가압 드럼(16)의 축선을 평행하게 유지한 채 파지 부재(23)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홀더 블록(13)의 중앙부에는 말단 블록(12)과 홀더 블록(13)의 대향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가압 드럼(16)의 바로 아래로 돌출하는 파지 부재(23)의 기단부가 한쌍의 브래킷(51)을 거쳐서 고정용 나사(52)에 의해 나사 고정되고, 가압 드럼(16)과의 사이에 간격(53)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의 작업시, 먼저 접착 테이프(11)의 선단부를 해제지(54)로부터 박리하고, 이 접착 테이프(11)의 선단부를 평탄한 테이프 부착면(33)의 소정위치(일반적으로는 부착개시위치)에 부착한 다음에, 손잡이부(34)를 이용하여 미끄럼 블록(20)을 말단 블록(12)측으로부터 분리하고, 이 상태를 유지한 채 장치 본체(22)의 홀더 블록(13)과 접착 테이프(11)의 선단부가 부착된 테이프 부착면(33)의 부분이 중첩 결합하도록 전방 도어 샤시부(17)에 장치 본체(22)를 가압하고, 손잡이부(34)로부터 손가락을 떼어서 압축 코일 스프링(31)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위치결정 롤러(18)와 가압 롤러(32)를 전방 도어 샤시부(17)에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가압 드럼(16)이 테이프 부착면(33)측으로 밀어올려지고, 그럼으로써 가압 드럼(16)이 테이프 부착면과 접촉하여, 그 표면의 고무상 탄성체(50)가 눌려지도록 탄성 변형하고, 접착 테이프(11)가 테이프 부착면(33)에 가압된 상태로 된다. 또한 미끄럼 블록(20)을 말단 블록(12)측으로부터 당겨 분리한 경우, 가압 드럼(16)과 롤러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기 때문에, 전방 도어 샤시부(17)에 대한 테이프 부착장치의 착탈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접착 테이프(11)를 해제지(54)로부터 잡아당겨 박리하면서 장치본체(22)를 테이프 부착면(33)을 따라 도 7에서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테이프 안내부(14)에 의하여 테이프 부착면(3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오프셋이 제한된 접착 테이프(11)는 가압 드럼(16)의 탄성변형을 따라 테이프 부착면(33)에 압착된다. 따라서, 상술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접착 테이프(11)가 테이프 부착면(33)에 부착되어진다.
여기에서, 미끄럼 블록(20)이 압축 코일 스프링(31)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한쌍의 위치결정 롤러(18) 측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전방 도어 샤시부(17)의 폭의 변동이나 형상의 변화에 따라 미끄럼 블록(20)이 위치결정 롤러(18)에 대하여 변위하고, 그 결과로서 전방 도어 샤시부(17)에 대하여 위치 결정 롤러(18)를 기준으로 장치 본체(22)를 흔들림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안내부(14)의 표면이 저마찰계수의 감마부재(15)로 덮혀 있고 가압 드럼(16)이 단차진 샤프트(3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부착면(33)을 따라 장치 본체(22)를 이동시킨 때의 마찰 저항이 작게 되어, 이 부착 조작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방 도어 샤시부(17)의 테이프 부착면(33)에 접착 테이프(11)를 부착한 후, 도시하지 않은 스퀴징 롤러를 이용하여 접착 테이프(11)의 폭 방향 양 단부를 전방 도어 샤시부(17)의 잔여 부분에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전방 도어 샤시부(17)에 대하여 이미 접착 테이프(11)가 위치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 없이 부착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 테이프(11) 및 해제지(54)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 방향전방측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 접착 테이프(11)와 해제지(54)가 파지 부재(23)와 테이프 안내부(14) 사이의 간격(53)을 통과한다. 그 때 접착 테이프(11)를 테이프 안내부(14) 측으로 되꺽는 것에 의해, 장치 본체(22)의 이동방향 전방에 해제지(54)만 위치시켜,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전방 도어 샤시부(17)는 자동차의 차체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므로, 이들 좌우 절단부에 따라서 테이프 안내부(14)에 대한 접착 테이프(11)의 통과 방향이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상태와 역으로 되고, 그리고 전방 도어 샤시부(17)에 대하여 장치 본체(22)가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테이프 부착장치의 본 실시예는 변경의 필요가 전혀 없이 좌측 및 우측 전방 도어샤시부에 적용가능하다.
더우기 차종의 상위 등에 의하여 전방 도어 샤시부(17)의 폭이나 형상이 극단적으로 다른 경우에는, 테이프 부착 장치의 도시된 실시예가 위치결정 롤러(18)나 가압 롤러(32)를 다른 크기나 형상의 것으로 교환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 및 대응 가능하다.
본 발명을 그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 및 상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내에서 앞서와 다른 변형, 생략 및 추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특징에 의하여 그 보호범위 및 균등성의 범위내에서 실현가능한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압부로서 원통형의 가압 드럼(16)을 채용하였지만, 평판형의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출몰 수단으로서 단차진 샤프트(38)와 이에 대응하는 단차진 보어부를 가압 드럼(16)에 형성하였지만, 미끄럼 블록의 미끄럼 조작과 연동하여 가압드럼(16)을 출몰시킬 수 있는 구조의 것이라면, 본 실시예 이외의 다른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발명의 테이프 부착장치에 따르면, 장치 본체의 테이프 안내부에 대하여 접착 테이프를 통과하는 방향이 방향성이 없으며, 다시 말하면 접착 테이프의 종방향을 따라 어떤 방향으로부터도 접착 테이프를 테이프 안내부로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좌우 절개부에 있는 워크 중 어떤 것에도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워크의 폭의 변동이나 형상의 변화에 따라 결합수단의 제 1 접촉부가 제 2 접촉부의 대향 방향으로 변위하여 워크에 대하여 장치 본체를 언제나 흔들림 없이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숙련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접착 테이프를 정확히 워크의 테이프 부착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워크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는 적응성이 종래의 것보다 우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를 롤러로 형성한 경우에는, 테이프 부착장치의 이동시의 저항이 감소되기 때문에, 테이프 부착 작업을 작은 조작력으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테이프 안내부에 의한 접착 테이프의 안내 방향을 따라 제 2 접촉부를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한 경우에는 테이프 부착장치가 워크에 대하여 흔들림 없이 결합하기 때문에, 접착 테이프를 정확히 워크의 테이프 부착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워크에 형성된 테이프 부착면에 접착 테이프를 접합하기 위한 테이프 부착장치에 있어서,
    파지부를 가지는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부착면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가지는 테이프 안내부와,
    상기 가압부를 상기 테이프 부착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가압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가압부를 그의 가압방향을 따라 출몰시킬 수 있는 출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된 홀더 블록에 대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미끄럼 블록과, 이 미끄럼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워크에 착탈가능하게 접촉하는 제 1 접촉수단을 갖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테이프 안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워크에 접촉 가능한 제 2 접촉부를 갖는 제 2 결합부를 갖는 테이프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가 상기 미끄럼 블록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이고, 상기 제 2 접촉부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인 테이프 부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테이프 안내부에 의한 상기 접촉 테이프의 안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 배치되어 있는 테이프 부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그의 표면이 고무상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테이프 부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블록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대향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한 테이프 부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를 상기 제 2 결합부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미끄럼 블록사이에 설치한 테이프 부착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 수단은 상기 미끄럼 블록의 미끄럼 동작과 연동하도록 된 테이프 부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 수단은 상기 미끄럼 블록에 연결되는 기단부가 대직경부가 되고 선단측의 소직경부가 테이퍼부를 거쳐서 상기 대직경부에 접속하는 단차진 샤프트와, 이 단차진 샤프트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기단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지지되는 지지 핀을 가지며, 이 지지 핀의 선단측이 상기 단차진 샤프트에 상기 소직경부 측으로 부터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단차진 샤프트에 대응한 단차진 보어를 가지며 상기 단차진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테이프 부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진 샤프트의 대직경부와 소직경부의 직경의 차이와, 상기 단차진 샤프트의 소직경부와 상기 지지 핀의 직경의 차이가 대략 같게 설정되어 있는 테이프 부착장치.
KR1019970014386A 1996-12-18 1997-04-18 테이프부착장치 KR100434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8232 1996-12-18
JP33823296A JP4295835B2 (ja) 1996-12-18 1996-12-18 テープ貼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83A true KR19980063283A (ko) 1998-10-07
KR100434789B1 KR100434789B1 (ko) 2004-09-18

Family

ID=1831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386A KR100434789B1 (ko) 1996-12-18 1997-04-18 테이프부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95835B2 (ko)
KR (1) KR100434789B1 (ko)
DE (1) DE19725184A1 (ko)
GB (1) GB23204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203A (ko) * 2000-12-27 2002-07-05 민효근 콘테이너표면 마킹지자동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9345B2 (ja) * 1997-11-17 2003-10-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テープ貼付装置
JP4901893B2 (ja) * 1999-07-28 2012-03-21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粘着性テープ貼付け治具
JP2001123127A (ja) * 1999-10-26 2001-05-08 Kansai Paint Co Ltd 粘着性テープ貼付け治具
US7152651B2 (en) 2002-01-16 2006-1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tape attaching jig
JP4274729B2 (ja) * 2002-01-16 2009-06-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粘着テープの貼付治具
KR101369699B1 (ko) * 2013-12-04 2014-03-04 임성일 스펀지 테이프 자동 부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5053A (en) * 1976-06-25 1978-02-21 Price International, Inc. Masking tape applicator for pipe
GB2238339B (en) * 1989-11-22 1993-10-13 Draftex Ind Ltd Apparatus for fitting flexible strips
JP3634453B2 (ja) * 1995-08-11 2005-03-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テープ貼付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203A (ko) * 2000-12-27 2002-07-05 민효근 콘테이너표면 마킹지자동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25184A1 (de) 1998-07-02
GB2320485B (en) 2000-07-19
JP4295835B2 (ja) 2009-07-15
JPH10176143A (ja) 1998-06-30
GB2320485A (en) 1998-06-24
KR100434789B1 (ko) 2004-09-18
GB9706913D0 (en) 199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3162A (en) Automatic rivet feed apparatus
EP1211136B1 (en) Tape application apparatus
US5820725A (en) Tape application device
JP3459345B2 (ja) テープ貼付装置
KR19980063283A (ko) 테이프 부착장치
US4818329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nd applying tape
KR100259315B1 (ko) 테이프 접착 지그
DE3831829C2 (ko)
JP2006306618A (ja) 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JP4731369B2 (ja) テープ貼付装置
JP5041742B2 (ja) 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KR20020037073A (ko) 자동차 도어샤시의 테이프 부착장치
US6796351B1 (en) Tape application device
JP4293859B2 (ja) 粘着テープ貼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338739B (en) A clamping tool for pulling together and clamping spaced apart workpieces
CN210675693U (zh) 擦胶结构和点胶设备
KR100293602B1 (ko) 점착 테이프 접착 장치
US7287567B2 (en) Tape application jig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CN108407271B (zh) 包胶皮夹爪及包胶皮装置
KR100371386B1 (ko) 점착 테이프 접착 장치
KR101113365B1 (ko) 접착 테이프 부착 지그
JP2007126115A (ja) 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KR200238024Y1 (ko) 자동차 도어섀시 테이핑용 테이프 접착기
CN219665652U (zh) 一种弹性工件装配装置
JP3534835B2 (ja) テープ貼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