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960U -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960U
KR19980062960U KR2019970007376U KR19970007376U KR19980062960U KR 19980062960 U KR19980062960 U KR 19980062960U KR 2019970007376 U KR2019970007376 U KR 2019970007376U KR 19970007376 U KR19970007376 U KR 19970007376U KR 19980062960 U KR19980062960 U KR 199800629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let
filter
pressure cha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홍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70007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960U/ko
Publication of KR19980062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960U/ko

Links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의 유입구와 토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여과기와, 케이스의 유입구와 연결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수단과, 케이스의 유입구와 토출구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여 여과 수단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여과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에 연결하여 압력차를 이용하여 여과기의 이상유무를 육안이나 청각으로 용이하게 식별가능함으로써 적절한 대책을 신속하게 세울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 장치
본 고안은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기에 가해지는 공기압의 차이를 감지하도록 개선된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여과 장치(10)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불어 넣는 송풍 수단(11)과, 상기 송풍 수단(11)에서 유입된 공기를 여과 및 정화하는 여과기(12)와, 상기 여과기(12)를 그 내부에 장착하는 케이스(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여과기(12)의 내부에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 필터(15)와, 상기 여과 필터(15)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시키는 활성탄(1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3)는 유입구(16)와 토출구(17)를 형성하고, 상기 여과기(12)가 그 내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여과 장치(1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풍 수단(11)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유입구(16)를 통하여 상기 여과기(12) 내부에 유입된다. 상기 여과기(12)내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여과 필터(14)에 의해 여과되고, 상기 활성탄(14)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정화된 공기는 상기 여과기(12)의 일측과 연결된 클린 룸(clean room;18)에 공급된다.
그런데, 종래의 여과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상기 여과기(12)가 막혀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므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여과 필터(15)의 교환 시기 등을 제때에 감지할 수가 없으므로 교환 시기를 예측할 수 없으며, 일정시간 운용후에는 여과 능력이 충분하더라도 무조건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과기 유입구 및 토출구측에 감지 수단을 연결하여 공기압의 차이를 측정하고, 그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여과기의 교환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과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송풍 수단12. 여과기
13. 케이스14. 활성탄
15. 여과 필터16. 유입구
17. 토출구18. 클린 룸
21. 제 1 튜브22. 제 2 튜브
23. 압력실23a. 상부 압력실
23b. 하부 압력실24a. 벨로우즈
24b. 스프링25. 표시 수단
26. 스위치27. 경고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여과 장치는, 공기의 유입구와 토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여과기와,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와 연결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와 토출구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여과기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측과 연결된 제 1 튜브와, 상기 제 1 튜브와 연결된 압력실과, 상기 압력실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측과 연결된 제 2 튜브와, 상기 압력실과 접속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여과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 장치(2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 장치(20)는 유입구(16)와 토출구(17)를 가지는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 내부에 장착되는 여과기(12)와, 상기 유입구(16)측과 연결되어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 수단(11)과, 상기 유입구(16)와 토출구(17)에 접속되어 상기 여과기(12)의 공기압 차이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여과기(12) 내부에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여과 필터(15)와, 상기 여과 필터에서 여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활성탄(14)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감지 수단(20)은 상기 유입구(16)에 연결된 제 1 튜브(21)와, 상기 토출구(17)에 연결된 제 2 튜브(22)와, 상기 제 1,2 튜브(21)(22)와 연결된 압력실(23)과, 상기 압력실(23)내에 설치된 벨로우즈(24a)와, 상기 벨로우즈(24a)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24b)과, 상기 압력실(23)과 연결된 표시 수단(25)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압력실(23)은 상기 벨로우즈(24a)로 구획되는 상부 압력실(23a)과 하부 압력실(23b)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압력실(23a)은 상기 제 1 튜브(21)와 접속되고, 하부 압력실(23b)는 상기 제 2 튜브(22)와 접속된다.
한편, 상기 표시수단(25)은 상기 벨로우즈(24a)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스위치(26)와, 상기 스위치(26)의 감지 신호에 따라 육안이나 청각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경고 수단(27)을 구비한다. 상기 경고 수단(27)은 예컨대, 경고등이나 부저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여과 장치(2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풍 수단(11)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유입구(16)를 통하여 상기 여과기(12)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여과 필터(15)에서 여과되고, 상기 활성탄(14)을 빠져 나가면서 정화된다. 이 정화된 공기는 클린 룸(18)에 공급되어 불순한 오염 물질등이 상기 클린 룸(18)에 유입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여과기(12) 내부에 설치된 상기 여과 필터(15)등이 오염된 물질등으로 막히게 되면, 공기압은 상기 유입구(16) 측에서는 서서히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토출구 (17) 측에서는 감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6)측에 발생하는 공기압은 상기 유입구(16)측과 연결된 상기 제 1 튜브(21)를 통하여 상기 압력실(23)의 상부 압력실(23a)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17)측에 발생하는 공기압은 상기 토출구(17)측과 연결된 상기 제 2 튜브(22)를 통하여 상기 하부 압력실(23b)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압력실(23a)과 하부 압력실(23b)에 공급되는 공기압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압력실(23)내에 설치된 상기 벨로우즈(24a)는 변위된다. 즉, 상기 벨로우즈(24a)는 고압이 발생하는 상부 압력실(23a)과 저압이 발생하는 하부 압력실(23b)간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상기 하부 압력실(23b)측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벨로우즈(24a)의 하부에 작용하는 압력은 그 하부에 지지된 상기 스프링(24b)에 작용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24b)과 연결된 상기 표시 수단(25)의 스위치(26)는 정상 상태인 A-C의 접점에서 A-B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26)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접속된 상기 경고 수단(27)은 작동하기 시작하여 상기 여과기(12)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여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여과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에 연결하여 압력차를 이용하여 여과기의 이상유무를 육안이나 청각으로 용이하게 식별가능함으로써 적절한 대책을 신속하게 세울 수 있다.
둘째, 여과기의 이상 유무를 초기에 발견함으로써 여과기의 교환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공기의 유입구와 토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여과기와,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와 연결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와 토출구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여과기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측과 연결된 제 1 튜브와, 상기 제 1 튜브와 연결된 압력실과, 상기 압력실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측과 연결된 제 2 튜브와, 상기 압력실과 접속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로 구획된 상부 압력실은 상기 제 1 튜브와 연결되고, 하부 압력실은 제 2 튜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압력 수단과 연결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수단은 부저 또는 경고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KR2019970007376U 1997-04-10 1997-04-10 여과장치 KR199800629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76U KR19980062960U (ko) 1997-04-10 1997-04-10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76U KR19980062960U (ko) 1997-04-10 1997-04-10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960U true KR19980062960U (ko) 1998-11-16

Family

ID=6969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376U KR19980062960U (ko) 1997-04-10 1997-04-10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96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5291B1 (en) Detection of airborne pollutants
KR102375980B1 (ko)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한 자동 필터 모듈 교환 장치
JPH0671120A (ja) 濾過器の目詰まり検出方法
CN104958961A (zh) 一种自洁式空气净化装置
CN206793274U (zh) 一种压缩空气过滤器滤芯使用寿命报警装置
JP2007130566A (ja) 集塵機用濾布の破損検知方法
KR19980062960U (ko) 여과장치
US3199488A (en) Dust and liquid detector
KR102251456B1 (ko) 정화 장치
JP2008136976A (ja) 空気清浄機
KR200235271Y1 (ko) 공기 정화율 감지장치
KR940006628A (ko) 집진장치의 동작 제어씨스템
KR100894897B1 (ko) 자가 진단형 오일필터
JP2014083469A (ja) 圧縮空気浄化システムにおけるフィルタ手段の使用期限告知装置
JPH11221415A (ja) ガスを脱塵するフィルタプラントの能力の保護方法
KR0110463Y1 (ko) 반도체 증착장비의 오일미스트 트랩 오염감지장치
WO1998041858A3 (en) Fume extraction apparatus
KR100535546B1 (ko) 에어클리너의 먼지 오염 경고장치
CN213689155U (zh) 一种高粉尘烟气采集装置
JPS6238215A (ja) フイルタの目詰り検知装置
KR100252235B1 (ko) 에어크리너 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KR0171666B1 (ko) 오일여과기
JPH0321309A (ja) 供給ラインのフィルタ監視装置
KR970011962B1 (ko) 보일러 여과기 막힘여부표시장치
GB2343947A (en) Filter cartridge for smoke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