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833A -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833A
KR19980061833A KR1019960081210A KR19960081210A KR19980061833A KR 19980061833 A KR19980061833 A KR 19980061833A KR 1019960081210 A KR1019960081210 A KR 1019960081210A KR 19960081210 A KR19960081210 A KR 19960081210A KR 19980061833 A KR19980061833 A KR 19980061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message
processor
activ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4134B1 (ko
Inventor
정용성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8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1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DX-100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에 따른 액티브/스탠바이 사이드(active/standby side)에 있어서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에 적합한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 자기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스탠바이 사이드 프로세서의 상태 파악이 어려우며, 소프트웨어 패키지(software package) 변경 등의 이유로 불가피하게 절체해야하는 경우에 비정상 상태에 있는 스탠바이 프로세서로 절체를 시도할 경우 서비스 장애를 발생시키게 되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프로세서가 스스로 자기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액티브 사이드(130)의 프로세서에게 보고해 줌으로써 절체 시도시 비정상 상태의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프로세서에 대한 절체 시도를 미리 방지하여 서비스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 자기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DX-100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에 따른 액티브/스탠바이 사이드(active/standby side)에 있어서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에 적합한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 자기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TDX-100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이중화는 주로 액티브-스탠바이 이중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액티브 사이드(side)에서만 태스크(task) 처리가 이루어지고 스탠바이 사이드는 태스크 수행을 하지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스탠바이 사이드 프로세서의 상태 파악이 어려우며, 소프트웨어 패키지(software package) 변경 등의 이유로 불가피하게 절체해야하는 경우에 비정상 상태에 있는 스탠바이 프로세서로 절체를 시도할 경우 서비스 장애를 발생시키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탠바이 사이드의 프로세서가 스스로 자기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액티브 사이드의 프로세서에게 보고해 줌으로써 절체 시도시 비정상 상태의 스탠바이 사이드의 프로세서에 대한 절체 시도를 미리 방지하도록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 자기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주기적으로 진단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진단 메시지 수신에 따른 처리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IPC 네트웍120 : 스탠바이 사이드
130 : 액티브 사이드140 : OMP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프로세서 간의 통신망을 제공하는 IPC 네트웍(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network)(110)과, 상술한 IPC 네트웍(110)으로 루프백(loop-back)을 송신했다가 상술한 IPC 네트웍(110)으로부터 루프백을 수신하여 자신의 정상 여부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탠바이 사이드(120)와, 상술한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상태 신호를 인가받아 상술한 IPC 네트웍(110)을 통해 출력하는 액티브 사이드(130)와, 상술한 IPC 네트웍(110)으로부터 상술한 액티브 사이드(130)의 상태 신호 및 상술한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상태 신호를 인가받아 시스템의 응용 및 유지 보수 관련 기능을 총괄하는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IPC 네트웍(110)은 프로세서 간의 통신망을 제공하며, 스탠바이 사이드(120)는 상술한 IPC 네트웍(110)으로 루프백을 송신했다가 상술한 IPC 네트웍(110)으로부터 루프백을 수신하여 자신의 정상 여부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액티브 사이드(130)로 출력시킨다.
다음, 액티브 사이드(130)는 상술한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상태 신호를 인가받아 상술한 IPC 네트웍(110)을 통해 OMP(140)로 출력하며, OMP(140)는 상술한 IPC 네트웍(110)으로부터 상술한 액티브 사이드(130)의 상태 신호 및 상술한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상태 신호를 인가받아 시스템의 웅용 및 유지 보수 관련 기능을 총괄한다.
이때, 절체에 의해 상술한 스탠바이 사이드(120) 및 상술한 액티브 사이드(130)의 처지가 바뀌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주기적으로 진단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진단 메시지 수신에 따른 처리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2와 같이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로 동작하게 될 프로세서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결정해서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실행 모드에 따라 자신의 어드레스를 결정하여 세팅하고 동작 모드가 액티브이면 액티브 사이드(130)는 정상적인 IPC에 필요한 각종 자료구조, 즉 윈도우 관리 데이터, 메시지 송신/수신 버퍼, 각종 변수의 초기화를 수행한다(202,204,206,208,210).
다음, 메시지 수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nterrupt service routine)에 등록하며, 메시지를 송신/수신하는 서버 태스크를 실행시켜 메시지의 송신/수신을 시작한다(212,214,216).
이에 반하여, 상술한 단계(202,204,206,208,210)에서 동작 모드가 스탠바이이면 스탠바이 사이드(120)는 액티브 사이드(130)와는 다른 메모리 영역에 송신/수신 버퍼를 설정하고 자기 진단에 사용될 루프백 메시지 프레임을 미리 구성한다(218,220).
이어, 진단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소정의 주기 예를 들어, 500ms의 주기로 소정의 타이머를 구동시켜 타이머 인터럽트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진단 메시지를 송출한다(222,224).
그리고 스탠바이 사이드(120)는 상술한 단계(222,224)에서 주기적으로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도 3과 같이 메시지 수신 순서 검사용인 메시지의 시퀀스 번호를 1증가시키고 메시지 시퀀스 번호를 미리 구성되어 있는 상술한 진단 메시지 프레임 내에 써넣은 후, 전체 프레임의 체크섬(check sum)을 계산해서 프레임에 첨가하여 프레임을 자신의 어드레스로 루프백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메시지는 상술한 IPC 네트웍(110)을 통해 다시 자신에게 루프백 수신되어 인터럽트 이전 상태로 복귀하며, 수신 인터럽트에 의해 진단 메시지 수신 루틴이 동작된다(302,304,306,308,310,312).
또한, 상술한 단계(302,304,306,308,310,312)의 수신 루틴을 보면, 도 4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의 에러를 검사하고 수신된 메시지의 체크섬을 계산하여 메시지내의 체크섬과 일치하고 수신된 메시지의 시퀀스 번호가 일치하면 액티브 사이드(130)에 스탠바이 사이드(120) 자신이 정상 상태임을 보고하는 인터럽트 이전 상태로 복귀하며, 수신된 메시지의 체크섬을 계산하여 메시지 내의 체크섬과 일치하지 않거나 수신된 메시지의 시퀀스 번호가 일치하지않으면 액티브 사이드(130)에 스탠바이 사이드(120) 자신이 비정상 상태임을 보고하고 인터럽트 이전 상태로 복귀하고 액티브 사이드(130)는 절체시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상태에 따라 절체 여부를 결정한다(402,404,406,408,410,412,414).
다음, 상술한 단계(402,404,406,408,410,412,414)에 있어서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상태에 따라 액티브 사이드(130)가 절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액티브 사이드(130)는 스탠바이 사이드(120)가 정상이면 절체를 수행하고 스탠바이 사이드(120)이 비정상이면 절체를 수행시키지않는다.
이때, 절체가 이루어질 경우 액티브 사이드(130)는 스탠바이 사이드로되어 상술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프로세서가 스스로 자기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액티브 사이드(130)의 프로세서에게 보고해줌으로써 절체 시도시 비정상 상태의 스탠바이 사이드(120)의 프로세서에 대한 절체 시도를 미리 방지하여 서비스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운용, 유지, 보수면에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프로세서 간의 통신망을 제공하는 IPC 네트웍(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IPC 네트웍으로 루프백(loop-back)을 송신했다가 상기 IPC 네트웍으로부터 루프백을 수신하여 자신의 정상 여부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탠바이 사이드, 상기 스탠바이 사이드의 상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IPC 네트웍을 통해 출력하는 액티브 사이드, 상기 IPC 네트웍으로부터 상기 액티브 사이드의 상태 신호 및 상기 스탠바이 사이드의 상태 신호를 인가받아 시스템의 웅용 및 유지 보수 관련 기능을 총괄하는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로 동작하게 될 프로세서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결정해서 액티브 또는 스탠바이 실행 모드에 다라 자신의 어드레스를 결정하여 세팅하고 동작 모드가 액티브이면 상기 액티브 사이드는 정상적인 IPC에 필요한 자료구조를 초기화하는 제 1단계;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메시지 수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nterrupt service routine)에 등록하며, 메시지를 송신/수신하는 서버 태스크를 실행시켜 메시지의 송신/수신을 시작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동작 모드가 스탠바이이면 상기 스탠바이 사이드는 상기 액티브 사이드와는 다른 메모리 영역에 송신/수신 버퍼를 설정하고 자기 진단에 사용될 루프백 메시지 프레임을 미리 구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수행 후, 진단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타이머를 구동시켜 타이머 인터럽트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진단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상기 자료구조는 윈도우 관리 데이터, 메시지 송신/수신 버퍼, 각종 변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소정의 주기는500ms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사이드는 상기 제4단계에서 주기적으로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메시지 수신 순서 검사용인 메시지의 시퀀스 번호를 1 증가시키고 메시지 시퀀스 번호를 상기 제3단계에서 미리 구성한 상기 진단 메시지 프레임 내에 써넣은 후, 전체 프레임의 체크섬(check sum)을 계산해서 프레임에 첨가하여 프레임을 자신의 어드레스로 루프백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메시지는 상기 IPC 네트웍을 통해 다시 자신에게 루프백 수신되어 인터럽트 이전 상태로 복귀하며, 수신 인터럽트에 의해 진단 메시지 수신 루틴이 동작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루틴은,
    수신된 메시지의 에러를 검사하고 수신된 메시지의 체크섬을 계산하여 메시지 내의 체크섬과 일치하고 수신된 메시지의 시퀀스 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액티브 사이드에 상기 스탠바이 사이드 자신이 정상 상태임을 보고하고 인터럽트 이전 상태로 복귀하며, 수신된 메시지의 체크섬을 계산하여 메시지 내의 체크섬과 일치하지 않거나 수신된 메시지의 시퀀스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액티브 사이드에 상기 스탠바이 사이드 자신이 비정상 상태임을 보고하고 인터럽트 이전 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액티브 사이드는 절체시 상기 스탠바이 사이드의 상태에 따라 절체 여부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KR1019960081210A 1996-12-31 1996-12-31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KR10021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10A KR100214134B1 (ko) 1996-12-31 1996-12-31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10A KR100214134B1 (ko) 1996-12-31 1996-12-31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33A true KR19980061833A (ko) 1998-10-07
KR100214134B1 KR100214134B1 (ko) 1999-08-02

Family

ID=1949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210A KR100214134B1 (ko) 1996-12-31 1996-12-31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1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403B1 (ko) * 1999-10-21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화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절체 방법
KR100464354B1 (ko) * 1997-07-11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러없는메시지처리를위한클라이언트/서버시스템및그방법
KR100506279B1 (ko) * 1997-12-2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교환시스템에서인터럽트를관리하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767A (ko) * 1998-03-24 1999-10-15 김영환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의 장애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354B1 (ko) * 1997-07-11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러없는메시지처리를위한클라이언트/서버시스템및그방법
KR100506279B1 (ko) * 1997-12-2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교환시스템에서인터럽트를관리하는방법
KR100390403B1 (ko) * 1999-10-21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화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절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4134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8020B1 (en) Data communication network
EP0196911A2 (en) Local area networks
US4127845A (en) Communications system
US5329528A (en) Duplex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KR10021413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US5421002A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redundant buses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KR100216580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와 운용워크스테이션간의 통신장애상태 관리방법
KR100525677B1 (ko) 통신제어모듈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191678B1 (ko) 통신망 이중화를 위한 통신망 검사방법
JPS6398242A (ja) 直列データ交換装置
KR10027783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이중화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변경 방법
JP2001297016A (ja) 命令実行システム
KR950010483B1 (ko) 전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망에 접속된 신호버스정합보드에서의 메시지 송신방법
JP2637313B2 (ja) 伝送路2重化バス型伝送システム
KR930010292B1 (ko) 통신제어보드의 장애 진단 및 복구 방법
KR100227516B1 (ko)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에서의 전화망 가입자 제어장치
JPS6010940A (ja) デ−タ伝送装置
KR0155335B1 (ko) 데이타 통신용 보드에서의 이중화 접속 구조 및 그 제어방법
KR100347848B1 (ko) 교환기의 데이터 패스 상태 보고방법
KR0143970B1 (ko)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일 프로세서의 통신포트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3291729B2 (ja) 二重化計算機システム
JPH0612290A (ja) 制御データ監視方式
JP2635835B2 (ja) 呼処理多重監視方式
JP2000295142A (ja) 自己診断装置
JP2002044113A (ja) ハ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