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306A -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306A
KR19980061306A KR1019960080676A KR19960080676A KR19980061306A KR 19980061306 A KR19980061306 A KR 19980061306A KR 1019960080676 A KR1019960080676 A KR 1019960080676A KR 19960080676 A KR19960080676 A KR 19960080676A KR 19980061306 A KR19980061306 A KR 19980061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ral
air
lateral arm
ar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성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80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306A/ko
Publication of KR1998006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306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링크식 서스펜션의 래터럴아암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아암 제어장치는 래터럴아암(10, 20)을 분할하여 인너래터럴아암(11, 21)의 선단에는 실린더(13, 23)를 설치하고, 아우터래터럴아암(12, 22)의 선단에는 피스톤(14, 24)을 형성하여 래터럴아암(1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인너래터럴아암(12)의 선단에 형성된 실린더(13)에는 에어펌프(30)와 연결된 에어탱크(31)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33)과 에어유출관(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공급관(33)과 에어유출관(34)에는 각기 전자개폐밸브(32, 35)가 설치되어 제어부(4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차속센서(41), 조향각센서(42), 횡력감지센서(43) 등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주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아 내장된 데이타에 의거 래터럴로드(10, 20)의 실린더(13, 23)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여 인너래터럴아암(11, 21)과 아우터래터럴아암(12, 22)의 강성과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래터럴아암 제어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주행중 차량에 작용하는 다양한 진동에 대해 래터럴아암의 길이나 강성을 가변시켜 리어서스펜션의 변화를 수용하여 차량의 주행성이나 승차감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본 발명은 멀티링크식 서스펜션의 래터럴아암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한 쌍의 전·후 래터럴아암을 구비한 서스펜션의 래터럴아암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노면으로의 충격외에도 구동력, 제동력, 원심력 등 다양한 힘이 동시에 작용하여 차량의 상·하로의 진동인 바운싱(bouncing), 차량의 좌우로의 진동인 러칭(lurching), 차량의 전·후로 진동하는 서징(surging),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진동하는 롤링(rolling) 등의 진동을 받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자동차의 서스펜션에는 승차감과 주행안정성 및 선회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서스펜션과 스프링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멀티링크형식의 리어서스펜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링크형식의 리어서스펜션은 차량에 작용하는 횡력을 지지하기 위해 래터럴아암(3, 4)을 구비한 형태의 서스펜션으로 래터럴아암(3, 4)은 휠(1)의 스핀들(5)과 러버부시(5)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러칭이나 롤링시 작용하는 횡력에 대한 서스펜션의 변화를 수용하기 이해 서스펜션의 지오메트리나 부시의 컴플라이언스에 의해 콘트롤해야 하므로 리어서스펜션의 변화에는 한계가 있고 또한, 주행성능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리어서스펜션의 제어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횡력이나 선회시 리어서스펜션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리어서스펜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링크식 서스펜션의 래터럴아암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아암의 구성을 도시하는 서스펜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아암의 제어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횡력작용시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아암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선회시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아암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 인너래터럴아암12, 22 : 아우터래터럴아암
13, 23 : 실린더14, 24 : 피스톤
16, 26 : 벨로우즈17, 18, 27, 28 : 클립
30 : 펌프31 : 에어탱크
32, 34 : 개폐밸브33 : 에어공급관
34 : 에어유출관40 : 제어부
41 : 차속센서42 : 조향각센서
43 : 횡력감지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래터럴아암과 후방래터럴아암을 포함하는 멀티링크형식의 리어서스펜션에 있어서, 전방래터럴아암과 후방래터럴아암을 분할하여 차량의 내측을 향하여 인너래터럴아암의 선단에 실린더를 설치하고, 휠과 연결된 아우터래터럴아암의 선단에는 인너래터럴아암의 실린더에 장착된 피스톤을 설치하여, 실린더에는 에어탱크로부터 연장하는 에어공급관과 실린더 내부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유출관을 설치하고, 에어공급관과 에어유출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주행상태에 따라 제어부가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래터럴아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가 차속센서, 조향각센서 및 횡력감지센서로부터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한 신호를 받아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래터럴아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래터럴아암 제어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주행중 차량에 작용하는 다양한 진동에 대해 래터럴아암의 길이나 강성을 가변시켜 리어서스펜션의 변화를 수용하여 차량의 주행성이나 승차감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아암 제어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리어서스펜션에서 횡력에 대한 적응성을 위해 다수의 래터럴아암을 사용하므로 본 발명은 래터럴아암이 리어휠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래터럴아암의 강성과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래터럴아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도 2와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아암 제어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터럴아암 제어장치는 래터럴아암(10, 20)을 분할하여 인너래터럴아암(11, 21)의 선단에는 실린더(13, 23)를 설치하고, 아우터래터럴아암(12, 22)의 선단에는 피스톤(14, 24)을 형성하여 래터럴아암(1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인너래터럴아암(11, 21)과 아우터래터럴아암(12, 22)은 벨로우즈(16, 26)를 클립(17, 18, 27, 28)으로 고정하여 연결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너래터럴아암(12)의 선단에 형성된 실린더(13)에는 에어펌프(30)와 연결된 에어탱크(31)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33)과 에어유출관(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공급관(33)과 에어유출관(34)에는 각기 전자개폐밸브(32, 35)가 설치되어 제어부(4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차속센서(41), 조향각센서(42), 횡력감지센서(43) 등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주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아 내장된 데이타에 의거 래터럴아암(10, 20)의 실린더(13, 23)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여 인너래터럴아암(11, 21)과 아우터래터럴아암(12, 22)의 강성과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력 F가 작용하면 제어부(40)는 횡력감지센서(43)로부터 이에 대한 신호를 받아 에어공급관(33)의 개폐밸브(32)를 개방하여 실린더(13, 23) 내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므로써 아우터래터럴아암(12, 22)를 외측으로 밀어 횡력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선회시 토우아웃이 필요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래터럴아암(10)의 실린더(13)의 에어공급관(33)을 개방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전방래터럴아암(10)의 아우터래터럴아암(12)를 외측으로 밀고, 후방래터럴아암(20)의 실린더(23)의 에어공급관(33)의 밸브(33)는 폐쇄하고, 유출관(34)의 개폐밸브(34)를 개방하여 실린더(23)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후방래터럴아암(20)의 아우터래터럴아암(22)을 수축시켜 토우아웃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토우인상태는 상술한 반대의 과정으로 전방래터럴아암(10)는 수축시키고 후방래터럴아암(20)는 팽창시켜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래터럴아암 제어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주행중 차량에 작용하는 다양한 진동에 대해 래터럴아암의 길이나 강성을 가변시켜 리어서스펜션의 변화를 수용하여 차량의 주행성이나 승차감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전방래터럴아암과 후방래터럴아암을 포함하는 멀티링크형식의 리어서스펜션에 있어서, 전방래터럴아암과 후방래터럴아암을 분할하여 차량의 내측을 향하여 인너래터럴아암의 선단에 실린더를 설치하고, 휠과 연결된 아우터래터럴아암의 선단에는 인너래터럴아암의 실린더에 장착된 피스톤을 설치하여, 실린더에는 에어탱크로부터 연장하는 에어공급관과 실린더 내부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유출관을 설치하고, 에어공급관과 에어유출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주행상태에 따라 제어부가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차속센서, 조향각센서 및 횡력감지센서로부터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한 신호를 받아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KR1019960080676A 1996-12-31 1996-12-31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KR19980061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676A KR19980061306A (ko) 1996-12-31 1996-12-31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676A KR19980061306A (ko) 1996-12-31 1996-12-31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306A true KR19980061306A (ko) 1998-10-07

Family

ID=6642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676A KR19980061306A (ko) 1996-12-31 1996-12-31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3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213A (ko) * 2001-12-14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 지오메트리 가변형 현가장치
KR20040006912A (ko) * 2002-07-16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
KR20160072402A (ko) 2014-12-15 2016-06-23 손계동 차량 서스펜션시스템용 완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서스펜션시스템 보조장치
KR102278299B1 (ko) 2020-03-30 2021-07-15 강대협 보조 쇽업소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213A (ko) * 2001-12-14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 지오메트리 가변형 현가장치
KR20040006912A (ko) * 2002-07-16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
KR20160072402A (ko) 2014-12-15 2016-06-23 손계동 차량 서스펜션시스템용 완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서스펜션시스템 보조장치
KR102278299B1 (ko) 2020-03-30 2021-07-15 강대협 보조 쇽업소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424B2 (en) Stabilizer device and stabilizer system
KR970706138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서스펜션장치
JP3785598B2 (ja) 自動車の後輪サスペンション
US4856815A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KR19980061306A (ko) 래터럴아암 제어장치
US5472225A (en) Mounting for suspension arm control actuator
JP3346588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S61166715A (ja) 後輪の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JPS6194809A (ja) 車輌懸架用スタビライザ装置
JPS58152617A (ja) 自動車用スタビライザ装置
JP3157343B2 (ja) 自動車の4リンク式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471810B1 (ko) 자동차의 가변형 레벨링 밸브 장치
KR100599570B1 (ko) 토션빔액슬의 토우각 조절장치
KR20010065855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20055815A (ko) 차량의 안티 롤 제어장치
KR100337306B1 (ko) 레이디어스 로드 시스템
KR100192357B1 (ko)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제어장치
KR0183125B1 (ko) 주행상태에 따른 차체 높이 조절 장치
KR100192379B1 (ko)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제어장치
KR100267647B1 (ko) 쇽 업소버를 이용한 차체 롤링억제장치
KR100345128B1 (ko) 쇽 업소오버의 감쇠력 조절장치
KR100527771B1 (ko)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
JPH0717526Y2 (ja) 流体圧式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
JPS6237209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9980049193A (ko) 스테빌라이저 바아를 이용한 앤티 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