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062U -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062U
KR19980061062U KR2019970005248U KR19970005248U KR19980061062U KR 19980061062 U KR19980061062 U KR 19980061062U KR 2019970005248 U KR2019970005248 U KR 2019970005248U KR 19970005248 U KR19970005248 U KR 19970005248U KR 19980061062 U KR19980061062 U KR 199800610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switch
vehicle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행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2019970005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062U/ko
Publication of KR19980061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062U/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차량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차량을 장시간 주차하는 경우에 배터리가 방전됨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현한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는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의 마이너스(-)단자와 솔레노이드의 전원입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의 플러스(+)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소정 방전방지 요구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플러스(+)단자와 상기 마이너스(-)단자의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a접점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차량이 장시간 주차됨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과, 완전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을 장시간 주차하는 경우에 배터리가 방전됨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배터리(battery)는 엔진룸에 실장되어 엔진의 시동시에 전류를 공급하고, 또한 발전기의 고장시에는 일시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배터리로는 주로 납산배터리가 이용되는데, 이 배터리는 상기 차량에 있어서 발전기 출력과 전류소모 부하와의 언밸런스를 조정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운전자들이 종종 차량을 장시간 주차하게 되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더 이상 차량의 시동을 걸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차량이 무용지물로 되는 심각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시동을 거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그 방법은 운전자에게 있어서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즉,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 자신의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다른 차량을 확보한 후에 그 차량의 배터리를 자신의 배터리에 연결하여 자신의 배터리를 충전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을 장시간 주차함에 따라 배터리가 방전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이 장시간 방치됨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차량이 장시간 방치됨에 따라 완전히 방전된 배터리를 재충전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는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의 마이너스(-)단자와 솔레노이드의 전원입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의 플러스(+)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소정 방전방지 요구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플러스(+)단자와 상기 마이너스(-)단자의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a접점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배터리 10과, 점화스위치 20과, 솔레노이드 30과, 시동모터 40과, 스위치 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 10과, 점화스위치 20과, 솔레노이드 30과, 시동모터 40은 차량의 엔진을 기동시키는 수단으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수단에 스위치 50이 더 연결되어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1에서 점화스위치 20은 차량의 점화동작을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30의 BAT단자와 S단자의 사이에 접속된다. 이 점화스위치 20은 통상 키스위치로서 구현되어 운전자에 의해 키가 입력된 후 회전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한다. 솔레노이드 30은 배터리 10의 플러스(+)단자와 점화스위치 20의 일단이 연결되는 BAT단자와, 점화스위치 20의 다른 일단이 연결되는 S단자와, 시동모터 40에 연결되는 M단자로 이루어진다. 이 솔레노이드 30은 배터리 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BAT단자로 제공받으므로 점화스위치 20의 스위칭동작에 응답하여 소정 전류흐름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전류흐름은 솔레노이드 30의 M단자를 통해 시동모터 40으로 제공된다. 그러면 시동모터 40은 상기 솔레노이드 3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류흐름에 따라 응답하여 구동되어 이후에 연결되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에 시동을 걸게 된다.
한편, a접점의 스위치로 구현되는 스위치 5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의 방전방지 요구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배터리 10의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의 사이를 연결한다. 이ㄹ한 방전방지 요구는 운전자에 의해 손쉽게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 이 요구가 입력되어 스위치 50이 스위칭동작하면 배터리 10의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의 사이가 접속되므로 배터리 10의 솔레노이드 30 및 시동모터 40의 구동에 의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터리의 양단에 접속된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방전방지 요구시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차단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차량이 장시간 방치됨에 따라 배터리가 방전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이 장시간 방치됨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완전 방전된 배터리를 재충전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점화동작을 위한 점화스위치와, 소정 전류흐름에 따라 시동을 걸기 위한 시동모터와, 상기 점화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시동모터의 시동을 위한 전류흐름을 생성하여 상기 시동모터로 제공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점화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가 상기 전류흐름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단자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원입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소정 방전방지 요구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플러스(+)단자와 상기 마이너스(-)단자의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a접점 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KR2019970005248U 1997-03-20 1997-03-20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KR199800610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248U KR19980061062U (ko) 1997-03-20 1997-03-20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248U KR19980061062U (ko) 1997-03-20 1997-03-20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062U true KR19980061062U (ko) 1998-11-05

Family

ID=6968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248U KR19980061062U (ko) 1997-03-20 1997-03-20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06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2361B2 (en) Battery system
JP3826992B2 (ja) アイドルストップ車両
JP2003517806A (ja) 電池充電維持装置および方法
JP4096785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2003155968A (ja) エンジン自動始動システム
US20030222501A1 (en) Vehicle with switched supplemental energy storage system for engine cranking
KR101887748B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3095039A (ja) 自動車用電源システム
KR20040074783A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전원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9980061062U (ko)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방지장치
KR100507496B1 (ko) 전기 자동차의 초기 충전전류 및 방전전류 제어장치
KR200318811Y1 (ko) 이중화 밧데리 시스템
KR20200001784A (ko) 리튬전지와 납축전지를 이용한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
KR100233295B1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감시 장치
JP7139071B2 (ja) 車載用制御装置
KR100211380B1 (ko) 전기자동차의 시동장치
KR200272116Y1 (ko) 자동차의 전원장치
KR100197495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충전시스템
JPH0946919A (ja) バッテリアイソレータ
JP2001123923A (ja) 電流供給回路
KR200178370Y1 (ko) 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KR19980017467A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JP2006152940A (ja) 車両の電源装置
KR19980037657U (ko) 선루프에 장착된 솔라셀을 이용한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장치
KR19990003987U (ko) 차량용 축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