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394U - 조립식 부품용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394U
KR19980060394U KR2019970004440U KR19970004440U KR19980060394U KR 19980060394 U KR19980060394 U KR 19980060394U KR 2019970004440 U KR2019970004440 U KR 2019970004440U KR 19970004440 U KR19970004440 U KR 19970004440U KR 19980060394 U KR19980060394 U KR 199800603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ntainer
column
longitudin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준
Original Assignee
김종준
우강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준, 우강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준
Priority to KR2019970004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394U/ko
Publication of KR19980060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394U/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생산현장에서 각종의 산업용부품을 적재하는 부품용기를 개선한 조립식 부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에서는 부품용기를 조립형태로 제작하여 부품용기의 보관과 운반, 부품의 교환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부품용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품용기(10)는 뼈대를 구성하는 종지주(11, 11')와; 상기 종지주(11, 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24, 25)과 결합공(26) 및 결합돌기(22, 23)를 가지고 종지주(11, 11')의 상, 중, 하측에 결합되는 연결구(15, 16, 17)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1, 21')를 가지고 각 연결구(15, 16, 17)와 결합되는 횡지주(12, 13, 14); 모서리에는 절단부(32, 32')를 저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리브(31, 31')를 형성하여 하측횡지주(14)의 상면에 안치되고 종지주(11, 11')의 하단부에 치합되는 바닥판(20)과; 상기 횡지주(12, 13, 14)에 결합되는 측판(18, 19)로 구성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부품용기를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작함으로서 사용후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하여 물류비용이 대폭 절감되고, 부품용기를 구성하는 일부부품이 파손되더라도 교환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규격화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품질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부품용기
본 고안은 조립식 부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현장에서 각종의 산업용부품을 적재하는 부품용기를 개선하여 운반/보관과 정비/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부품용기는 생산현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각종의 부품들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에 용이하도록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5면을 폐색된 형태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부품용기가 철판과 찬넬을 이용하여 용접고정하여 규격화 내지는 표준화하지 않고 현장에서 필요시 무작위로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부품용기 전체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산되는 부품의 경중(輕重)에 상관없이 부품용기의 중량이 상당하여 운반과 보관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는 부품용기의 중량이 무거운 관계로 인력으로 부품용기를 보관하기 위하여 옮기거나 보관된 용기를 생산현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어려워 지게차와 같은 별도의 운반수단을 구비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고, 부품용기가 분리되지 않는 관계로 부품을 적재하지 않았거나 부품을 적재한 용기를 보관하는 데에도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부품용기의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부품용기가 금속재질로 용접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용기의 일부분이 파손 또는 변형 등이 일어날 경우에는 보수를 하거나 부품의 교환이 어려워 파기처리되어야 하므로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하는 요인이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부품용기를 조립형태로 제작하여 부품용기의 보관과 운반, 부품의 교환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품용기의 사시도.
제 2 도 (가, 나, 다)는 제 1 도의 A, B, C부를 발췌한 사시도.
제 3 도 (가, 나, 다)는 제 1 도의 A, B, C부를 발췌한 정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A, B, C부를 발췌한 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품용기11, 11' : 종지주
12, 13, 14 : 횡지주15, 16, 17 : 연결구
18, 19 : 측판20 : 바닥판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품용기의 사시도, 제 2 도 (가, 나, 다)는 제 1 도의 A, B, C부를 발췌한 사시도, 제 3 도 (가, 나, 다)는 제 1 도의 A, B, C부를 발췌한 정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A, B, C부를 발췌한 평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생산현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각종의 부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에 용이하도록 적재하기 위한 부품용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품용기(10)는 뼈대를 구성하는 종지주(11, 11')와 종지주(11, 11')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횡지주(12, 13, 14), 상기 종지주(11, 11')와 횡지주(12, 13, 14)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15, 16, 17), 상기 횡지주(12, 13, 14)에 고정되어 격벽을 구성하는 측판(18, 19) 및 바닥면을 커버하는 바닥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종지주(11, 11')와 횡지주(12, 13, 14)는 사각, 삼각, 원형 등의 다양한 바(Bar)형상일 수 있으나 각 부품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1, 21')를 갖는 사각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15, 16, 17)는 종지주(11, 11')의 상, 중, 하측에 결합되어 횡지주(12, 13, 14)를 연결하여 주는 것으로서, 상측연결구(15)와 중측연결구(16) 및 하측연결구(17)로 구분된다.
상기 상, 중, 하측연결구(15, 16, 17)에는 직각방향으로 횡지주(12, 13, 14)의 중공부(21')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22, 23)를 형성하고, 상, 하측 연결구(15, 17)의 저면과 상면에는 종지주(11, 11')의 상,하단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4, 25)을 형성하고, 중측연결구(16)의 중앙에는 관통된 결합공(26)을 형성하여 종지주(11, 11')를 끼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 하측연결구(15, 17)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돌기(27)와 요입부(28)를 형성하여 부품용기(10)를 다단으로 적재시 동기(27)와 요입부(28)가 치합되어 이탈 내지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횡지주(12, 13, 14)의 외측에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진 측판(18, 19)을 고정핀이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30)으로 고정하여 개방면을 폐색토록 하고, 바닥판(20)은 강도보강을 위하여 저면에 다수개의 리브(31, 31')를 고정하고, 사방모서리를 종지주(11, 11')의 단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절단한 절단부(32, 32')를 형성하여 하측에 위치한 횡지주(14)의 상면에 안치되도록 하였다.
상기 종지주(11, 11')와 횡지주(12, 13, 14) 및 연결구(15, 16, 17) 상간에는 연결후 이탈의 우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역시 고정핀이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50)을 강구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부품용기(10)를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지주(11, 11')와 연결구(15, 16, 17)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구(15, 16, 17)를 연결할 때에는 종지주(11, 11')의 하단에는 하측연결구(17)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25)에 종지주(11, 11')의 하단부를 삽입하고, 다음에 중측연결구(16)를 중측연결구(16)의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한 결합공(26)을 통하여 종지주(11, 11')의 상부에는 하부로 삽입하여 종지주(11, 11')의 중간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상기 상측연결구(15)는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24)에 종지주(11, 11')의 상간부를 삽입하면 종지주(11, 11')와 연결구(15, 16, 17) 상간의 연결이 완료되며, 이때 각 연결구(15, 16, 17)의 종지주(11, 11') 상간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 종지주(11, 11')와 연결구(15, 16, 17)의 연결이 완료되면 각 연결구(15, 16, 17)에 직각방향으로 형성한 결합돌기(22, 23)에 횡지주(12, 13, 14)를 각각 연결하여 육면체 형상을 완성한다.
상기 각 연결구(15, 16, 17)와 횡지주(12, 13, 14) 상간의 연결은 횡지주(12, 13, 14)상에 형성된 중공부(21')를 연결구(15, 16, 17)에 형성된 결합돌기(22, 23)과 일치시켜 압입시키면 되면데, 이또한 고정핀이나 볼트 등의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종지주(11, 11'), 연결구(15, 16, 17) 및 횡지주(12, 13, 14)의 연결(결합)이 완료되면 바닥판(20)을 장입하면, 모서리에 형성한 절단부(32, 32')는 종지주(11, 11')의 하단부 모서리와 치합되고 이외의 부분은 위치한 횡지주(14)의 상면에 안치되어 자중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바닥판(2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리브(31, 3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강도가 보강되어 부품이 안치 내지 적재되더라도 하향휘어지는 형상이 방지된다.
바닥판(20)의 안치가 완료되면 횡지주(12, 13, 14) 상간에 측판(18, 19)을 밀착시켜 고정핀이나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횡지주(12, 13, 14)와 결합시키면 부품용기(1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부품용기(10)는 통상의 사용방법과 같이 생산현장에 투입되어 생산 및 조립되는 각종의 부품을 적재하는데 사용하면 되고, 적재된 부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부품용기(10)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보관 및 운송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다단적재가 가능한 것은 종지주(11, 11')의 상,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구(15, 17) 상면과 저면에 각각 돌기(27)와 결합홈(28)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부품용기(10)를 다단으로 적재하면 상축에 적재되는 부품용기(10)의 하측연결구(17) 저면에 형성된 요입홈(28)이 하측에 위치하는 부품용기(10)의 상측연결구(15)의 상면에 형성한 돌기(27)상에 안치가 되므로 가능하여진다.
그리고, 사용이 끝난 부품용기를 운반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부품용기(10)를 구성하는 각 부품인 종지주(11, 11'), 횡지주(12, 13, 14), 연결구(15, 16, 17), 측판(18, 19) 및 바닥판(20)을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하면 부피가 축소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량을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에 필요한 면적이 줄어들어 공간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부품용기를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작함으로서 사용후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하여 물류비용이 대폭 절감되고, 부품용기를 구성하는 일부부품이 파손되더라도 교환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이 규격화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품질의 향상에도 지대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생산현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각종의 부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에 용이하도록 적재하기 위한 부품용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품용기(10)는 뼈대를 구성하는 종지주(11, 11')와;
    상기 종지주(11, 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24, 25)과 결합공(26) 및 결합돌기(22, 23)를 가지고 종지주(11, 11')의 상, 중, 하측에 결합되는 연결구(15, 16, 17)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1, 21')를 가지고 각 연결구(15, 16, 17)와 결합되는 횡지주(12, 13, 14);
    모서리에는 절단부(32, 32')를 저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리브(31, 31')를 형성하여 하측횡지주(14)의 상면에 안치되고 종지주(11, 11')의 하단부에 치합되는 바닥판(20)과;
    상기 횡지주(12, 13, 14)에 결합되는 측판(18, 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품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측연결구(15, 17)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돌기(27)와 요입부(28)를 형성하여 부품용기(10)를 다단으로 적재시 돌기(27)와 요입부(28)가 치합되어 이탈과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품용기.
KR2019970004440U 1997-03-06 1997-03-06 조립식 부품용기 KR199800603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440U KR19980060394U (ko) 1997-03-06 1997-03-06 조립식 부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440U KR19980060394U (ko) 1997-03-06 1997-03-06 조립식 부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394U true KR19980060394U (ko) 1998-11-05

Family

ID=6968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440U KR19980060394U (ko) 1997-03-06 1997-03-06 조립식 부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39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6366A1 (en) Article storage case
EP1045796B1 (en) Prefabricated pallet
JPH02205553A (ja) 液体及び細かく分散したばら積み材料を運搬及び/又は貯蔵する容器
EP1744966A1 (en) Foam block
KR19980060394U (ko) 조립식 부품용기
US3160120A (en) Stackable pallet of pressed sheet material
US5234120A (en) Sectional box with corner forming and locking elements
KR200335538Y1 (ko) 조립식 컨테이너
KR200453055Y1 (ko) 스틸박스
JP2004359328A (ja) 組立て式金属製パレット
KR200157554Y1 (ko) 팰릿
KR20200056678A (ko) 조립식 스태킹 랙
KR200191408Y1 (ko) 팔레트 박스
JPH0694892A (ja) 放射性物質の輸送および貯蔵兼用容器のバスケット
JP3764554B2 (ja) リターナブルケース
JP4866657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H10211935A (ja) プラスチック製通い容器
JP3980879B2 (ja) パレット
KR200326883Y1 (ko) 접철식 팔레트
JP4550225B2 (ja) パレット
JP4519194B2 (ja) 組立式箱体
KR200451574Y1 (ko) 조립식 펠릿
WO2015072844A1 (en) Modular pallet
KR20210002178U (ko) 다단식 적재 창고용 파레트 지지대
JPS63272661A (ja) パレ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