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041A -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041A
KR19980060041A KR1019960079389A KR19960079389A KR19980060041A KR 19980060041 A KR19980060041 A KR 19980060041A KR 1019960079389 A KR1019960079389 A KR 1019960079389A KR 19960079389 A KR19960079389 A KR 19960079389A KR 19980060041 A KR19980060041 A KR 19980060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osition sensor
throttle position
condition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7080B1 (ko
Inventor
서광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080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상태가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량의 상태가 상기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는 단계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하제한치보다 크고 상향 상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하제한치보다 크고 상향 상제 한치보다 작으면 상향 학습치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하향 학습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하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는 단계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으면 하향 학습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를 상향 학습과 하향 학습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알맞게 학습함으로써 보정된 학습치가 정확해진다.

Description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이 발명은 스로틀 포지션 센서(TPS:throttle position sensor)의 학습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향 학습과 하향 학습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알맞게 학습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는 엔진에서 전달되는 회전속도 및 회전력을 변화시켜서 구동륜에 전달하는 변속기의 작용을 변속 패턴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한다.
자동변속기는 크게 구분하여 토크 컨버터, 클러치와 브레이크 등을 포함하는 작동기구, 유성치차장치, 유압제어기구 및 전자제어장치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자동변속기의 전자제어장치인 변속제어장치(TCU:transmission control unit)는 엔진 및 변속기에 부착된 각종 센서로부터 스로틀 밸브 개도, 엔진회전수, 차량 속도 등, 차량운행 상태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연산한 후 유압작동, 기어변속 및 댐퍼 클러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변속제어장치가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센서들 중 스로틀 포지션 센서는 스로틀 보디의 스로틀축과 같이 회전하는 가변 저항기로서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기능으로 밸브의 회전에 따라 변화되는 출력 전압으로 변속 및 댐퍼 클러치 제어 기능에 사용된다.
한편, 스로틀 포지션 센서가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된 기간 또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 각각의 특성에 따라서 그 출력값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차이를 보상해 주는 것을 스로틀 포지션 센서 학습 제어라고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은 차량이 아이들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와; 상기 단계(S1)에서 판단된 차량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학습치를 초기화하는 단계(S2)와;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는 단계(S3)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4)와;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S5)와; 상기 단계(S5)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제한치보다 작으면 학습치를 보정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가를 판단하고(S1), 만약 차량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학습치를 초기화한다(S2).
그리고,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한(S3) 다음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 받는다(S4).
다음에 상기 단계(S4)에서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여(S5), 만약 상향 제한치보다 작으면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치를 보정한다(S6).
이 때, 이전 주기에서의 학습치와 학습 제어 주기를 통하여 학습치를 보정한다.
그리고, 이렇게 보정된 학습치를 사용하여 자동변속기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 방향이 한가지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보정된 학습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를 상향 학습과 하향 학습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일맞게 학습함으로써 보정된 학습치가 정확해지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은,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상태가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량의 상태가 상기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는 단계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하제한치보다 크고 상향 상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하제한치보다 크고 상향 상제한치보다 작으면 상향 학습치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하향 학습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하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는 단계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으면 하향 학습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은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상태가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1)와; 상기 단계(S11)에서 차량의 상태가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2)와; 상기 단계(S12)에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치를 초기화하는 단계(S13)와; 상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는 단계(S14)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15)와; 상기 단계(S15)에서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하제한치 보다 크고 상향 상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S16)와; 상기 단계(S16)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하제한치보다 크고 상향 상제한치보다 작으면 상향 학습치를 보정하는 단계(S17)와; 상기 단계(S12)에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하향 학습치를 초기화하는 단계(S18)와; 하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는 단계(S19)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S21)와; 상기 단계(S21)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으면 하향 학습치를 보정하는 단계(S22)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상태가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한다(S11).
여기에서 공통 학습 조건은 수온센서(WTS:coolant temperature sensor)로부터 검출된 냉각수 온도가 일정 온도보다 커야 하는 조건과, 아이들 속도 제어(ISC:idle speed control) 궤환 제어 중이어야 하는 조건과, 변속레버가 중립단 또는 주차단에 있어야 하는 조건과, 일정 기간의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의 편차가 일정값 이내여야 하는 조건과, 일정 기간 동안의 엔진회전수의 편차가 일정값 이내여야 하는 조건을 포함한다.
차량의 상태가 상기한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 조건도 또한 만족하는가를 판단한다(S12).
여기에서 상향 학습 조건은 엔진 부하가 일정 부하보다 작아야 하는 조건과, 엔진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보다 작아야 하는 조건을 포함한다.
차량의 상태가 상기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 제어를 수행한다.
즉, 상향 학습치를 초기화하고(S13), 상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고(S14),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아서(S15) 상향 하제한치보다 크고 상향 상제한치 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S16).
만약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하제한치보다 크고 상향 상제한치보다 작으면 상향 학습치를 보정하는데, 이 때 이전 주기의 상향 학습치와 상향 학습 제어 주기를 사용하여 보정한다(S17).
그런데, 상기 단계(S12)에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하향 학습 제어를 수행한다.
즉, 하향 학습치를 초기화하고(S18), 하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한다(S19).
이때, 하향 학습 제어 주기는 상향 학습 제어 주기와 같게 설정하여도 되지만, 여기에서는 상향 학습 제어 주기는 빠르게 설정하고, 하향 학습 제어 주기는 느리게 설정한다.
그리고,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아서(S20)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S21).
만약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으면 하향 학습치를 보정한다(S22 ).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를 상향 학습과 하향 학습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알맞게 학습함으로써 보정된 학습치가 정확해지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상태가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량의 상태가 상기 공통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면 상향 학습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는 단계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하제한치보다 크고 상향 상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상향 하제한치보다 크고 상향 상제한치보다 작으면 상향 학습치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상향 학습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하향 학습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하향 학습 제어 주기를 세팅하는 단계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가 하향 상제한치보다 작으면 하향 학습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공통 학습 조건은 수온센서로부터 검출된 냉각수 온도가 일정 온도보다 커야 하는 조건과, 아이들 속도 제어 궤환 제어 중이어야 하는 조건과, 변속레버가 중립단 또는 주차단에 있어야 하는 조건과, 일정 기간의 스로틀 포지션 센서신호의 편차가 일정값 이내여야 하는 조건과, 일정 기간 동안의 엔진회전수의 편차가 일정값 이내여야 하는 조건을 포함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상향 학습 조건은 엔진 부하가 일정 부하보다 작아야 하는 조건과, 엔진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보다 작아야 하는 조건을 포함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조건.
KR1019960079389A 1996-12-31 1996-12-31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KR10021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389A KR100217080B1 (ko) 1996-12-31 1996-12-31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389A KR100217080B1 (ko) 1996-12-31 1996-12-31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041A true KR19980060041A (ko) 1998-10-07
KR100217080B1 KR100217080B1 (ko) 1999-09-01

Family

ID=1949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389A KR100217080B1 (ko) 1996-12-31 1996-12-31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0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023B1 (ko) * 2000-10-06 2003-02-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엠에이피 센서 고장 판정방법
KR100461398B1 (ko) * 2002-08-13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의 가속 연료량 보정 방법
KR100507070B1 (ko) * 2002-06-28 2005-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로틀 위치 센서 학습방법
KR100809262B1 (ko) * 2006-12-29 2008-02-29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TIA(Throttle Idle Actuator)의기계적공차보정 ECU학습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9771B (zh) * 2018-12-24 2020-07-03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电子节气门特征点位置自学习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023B1 (ko) * 2000-10-06 2003-02-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엠에이피 센서 고장 판정방법
KR100507070B1 (ko) * 2002-06-28 2005-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로틀 위치 센서 학습방법
KR100461398B1 (ko) * 2002-08-13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의 가속 연료량 보정 방법
KR100809262B1 (ko) * 2006-12-29 2008-02-29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TIA(Throttle Idle Actuator)의기계적공차보정 ECU학습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7080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7239A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JPH0481658B2 (ko)
JP3168951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0171466B1 (ko) 변속 제어 장치
US5812957A (en) Automatic transmission learning control apparatus
US4982621A (en) Line pressur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217080B1 (ko)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학습 제어방법
KR100357587B1 (ko) 댐퍼 클러치 해제 제어방법
KR100311137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JPH0840115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970046586A (ko) 자동 변속기의 다운 시프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6176812B1 (en) Speed change tran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EP0355574A1 (en) Line pressure control during downshift
KR100211094B1 (ko) 자동 변속 학습 제어 장치
JP2686544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298733B1 (ko)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교정에의한변속제어방법
US7134983B2 (en) Shift control method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JP3097442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容量制御装置
KR100376702B1 (ko) 자동 변속기의 킥다운 3-2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GB2282861A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s to allow engine braking
KR100284827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응답성 증대 방법
KR10034512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KR10034512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JPH023754A (ja) 自動変速機の変速時ライン圧制御装置
JP3114381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