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314U - 차량용 방충망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314U
KR19980059314U KR2019980012274U KR19980012274U KR19980059314U KR 19980059314 U KR19980059314 U KR 19980059314U KR 2019980012274 U KR2019980012274 U KR 2019980012274U KR 19980012274 U KR19980012274 U KR 19980012274U KR 19980059314 U KR19980059314 U KR 199800593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net
insect screen
window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정
Original Assignee
박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정 filed Critical 박찬정
Priority to KR2019980012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314U/ko
Publication of KR19980059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314U/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벌레들의 차량 실내 유입 및 차광수단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방충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차량용 방충망은 차량용 도어의 유리창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조밀한 그물 모양을 이루는 망과 상기 망의 테두리를 따라 재봉 처리되어 상기 망의 변형을 방지하는 가이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창문틀에 장착하여 각종 벌레들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방충망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광수단 및 각종 벌레들의 차량 실내 유입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여름철에 차량을 운행 시에는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해 운전 시야에 제약을 받을뿐만 아니라 특히 여름철 저녁에 유리창을 열고 운전을 하게되면 모기, 날파리 등의 각종 벌레들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태양의 직사광선만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광망이 있으며, 이 또한 차량의 유리창을 닫은(Close)상태에서 차광망을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 실내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실내에 일산화탄소의 적체로 졸음 운전을 유발시켜 대형사고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방충망은 차량의 유리창보다 크기가 현저히 작기 때문에 모기, 날파리 등의 각종 벌레들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며, 이는 여름철 야간 운전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벌레들이 차량 실내 유입 및 차광 수단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방충망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면서 차량 실내로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차량용 방충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방충망은 차량용 도어의 유리창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조밀한 그물 모양을 이루는 망과 상기 망의 테두리를 따라 재봉 처리되어 상기 망의 변형을 방지하는 가이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창문틀에 장착하여 각종 벌레들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충망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차량용 방충망이 도어의 창문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충망 102 : 가이드 프레임
104 : 망 106 : 재봉선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차량 실내로 각종 벌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태양의 직사광선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방충망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통상 차량의 저면 양측단에는 루프 10을 지지하고 윈드실드 22를 고정시키는 프런트- 필러 12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차량의 좌/우 중앙에는 루프 10과 도어 16을 지지하는 센터-필러 1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루프 10의 양측단에는 아랫방향으로 절곡진, 바람직하게는 도어 16 쪽으로 절곡지게 형성된 루프-테두리 10a를 가지며, 상기 도어 16에는 상/하로 작동하는 유리창 18이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의 좌/우 후단부에는 상기 루프 10을 지지하고 뒷창문을 고정시키는 리어-필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창 18이 오픈되면(즉, 상기 유리창 18이 도어 16 쪽으로 내려지게 되면), 상기 도어 16의 상측에는 소정의 공간부 20이 형성되며, 이 공간부 20에는 본 고안의 방충망 10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방충망 100은 차량 실내로 모기, 날파리 등의 각종 벌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태양의 직사광선을 차단시킨다. 즉, 상기 방충망 100은 차량의 유리창 18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며, 이는 상기 방충망 100이 공간부 20에 꽉끼이도록 하여 벌레들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 100은 전체 테두리를 따라 스프링 강 재질의 가이드 프레임 102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 102에는 통상 천 재질의 망 104가 재봉(106) 처리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망 104는 조밀한 그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 테두리면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 102를 감싸면서 재봉(106) 처리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망 104는 탱탱하게 팽창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 10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방충망 100은 모든 차량의 유리창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제작되어지며, 이는 차량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고안의 방충망을 차량에 장착하고자 할 때는 우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창 18을 오픈(Open)시킨다. 다음 상기 방충망의 가이드 프레임 102를 약간 비틀어 도어의 공간부 20에 끼운다. 즉, 상기 가이드 프레임 102를 도어 16의 상단부, 프런트-필러 12 및 센터-필러 14, 루프-테두리10a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운다. 그러면 상기 방충망 100은 공간부 20의 전체를 막으면서 장착되어진다. 이로써 차량 실내에는 모기, 날파리 등의 각종 벌레들이 유입되지 않고 동시에 태양의 직사광선을 차단시킨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즉, 상기 방충망을 승용차, 상용차, 버스, 트럭 등의 모든 차량에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름철에 유리창을 열어 놓고 운전을 해도 모기, 날파리 등의 각종 벌레들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태양의 직사광선을 차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리창을 오픈시킨 상태에서 본 고안의 방충망을 설치하기 때문에 차량내에는 항상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며, 이는 일산화탄소로 인한 졸음 운전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실내 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차량용 도어의 유리창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조밀한 그물 모양을 이루는 망과 상기 망의 테두리를 따라 재봉 처리되어 상기 망의 변형을 방지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충망을 상기 도어의 창문틀에 장착하여 각종 벌레들의 유입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망.
KR2019980012274U 1998-07-01 1998-07-01 차량용 방충망 KR199800593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274U KR19980059314U (ko) 1998-07-01 1998-07-01 차량용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274U KR19980059314U (ko) 1998-07-01 1998-07-01 차량용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314U true KR19980059314U (ko) 1998-10-26

Family

ID=6950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274U KR19980059314U (ko) 1998-07-01 1998-07-01 차량용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3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21958A (ja) 自動車の換気機能付きサイドバイザ
US20070068638A1 (en) Anti-wind buffe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KR20170001069U (ko) 차량용 방충장치
US4836599A (en) Vehicle visor installation
KR19980059314U (ko) 차량용 방충망
KR200433475Y1 (ko) 대형 차량용 방충망
CN210941272U (zh) 一种车窗导气组件
US1785891A (en) Ventilator for automobiles
KR200226193Y1 (ko) 자동차용 다기능 차광막
KR19980017222U (ko) 자동차의 방충망 겸용 햇빛가리개
JPH10278577A (ja) 車両用サイドバイザ
KR102571709B1 (ko) 캠핑카용 모기장
KR200325928Y1 (ko) 자동차의 햇빛 가리개 겸용 방충망
EP0980775A1 (en) Screen mountable to the door of a vehicle
KR200236750Y1 (ko) 자동차의방충망용햇빛가리개
JPH09175185A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JP2004042772A (ja) サンシェードの上部取付部材
KR101912087B1 (ko) 자동차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 겸용 가림개
KR20090012369U (ko) 자동차용 차단막
KR100465202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JPH0825973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
JPH11115828A (ja) キャブオーバ型トラック
KR880001370Y1 (ko) 자동차의 차광막
KR20010000671U (ko) 차량용 햇빛가리개
KR200336004Y1 (ko) 차량용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