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895A -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895A
KR19980057895A KR1019960077201A KR19960077201A KR19980057895A KR 19980057895 A KR19980057895 A KR 19980057895A KR 1019960077201 A KR1019960077201 A KR 1019960077201A KR 19960077201 A KR19960077201 A KR 19960077201A KR 19980057895 A KR19980057895 A KR 1998005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frame
bracket
mounting structure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895A/ko
Publication of KR1998005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895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앞뒤범퍼와 보강대를 연결하는 브라켓트를 2조로 하여 보강대의 수축에 의해 범퍼로부터 상하 단차가 발생하면 2조로 형성된 브라켓트를 조정함으로써, 범퍼 라인을 균일화시킴과 동시에 범퍼의 변형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로, 자동차 앞뒤범퍼와 보강대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20)를 제 1프레임(100)과 제 2프레임(200)으로 하여 각각 사출하고, 상기 제 1 프레임(10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 1편(110)과 제 2편(120)에 적어도 3개의 구멍이 한조를 이루는 설치구멍(111)을 상부로 부터 하부까지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이 제 1판(110)과 제 2판(120)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까지 걸림턱(2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 2프레임(200)을 끼워맞춤시킨 것을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앞뒤범퍼와 보강대를 연결하는 브라켓트를 2조로 하여 보강대의 수축에 의해 범퍼로부터 상하 단차가 발생하면 2조로 형성된 브라켓트를 조정함으로써, 범퍼 라인을 균일화시킴과 동시에 범퍼의 변형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 앞뒤범퍼는 크게 범퍼 페시아(Bumper Fascia)와 이 범퍼 페시아 내부에 설치되며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와 이들 범퍼 페시아 및 충격흡수부재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범퍼 보강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20)를 연결부재로 하여 나사(30)에 의해 범퍼(1)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브라켓트(20)가 대략 ㄷ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짐으로서, 차체 주변의 온도에 따라 페시아가 팽창 또는 수축할 경우 보강대(10)가 상기 범퍼(1)의 유동방향을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보강대(10)가 상하로 유동됨으로써 범퍼(1)의 외곽 라인이 불균일하여 외관미를 저하시키고, 또한 장시간 범퍼가 처진 상태로 방치할 경우 범퍼자체가 뒤틀리거나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앞뒤범퍼와 보강대를 연결하는 브라켓트를 2조로 하여 보강대의 수축에 의해 범퍼로부터 상하 단차가 발생하면 2조로 형성된 브라켓트를 조정함으로써, 범퍼 라인을 균일화시킴과 동시에 범퍼의 변형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앞뒤범퍼와 보강대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를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으로 하여 각각 사출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 1편과 제 2편에 적어도 3개의 구멍이 한조를 이루는 설치구멍을 상부로 부터 하부까지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이 제 1판과 제 2판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까지 걸림턱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 2프레임을 끼워맞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범퍼에 브라켓트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위치 를 나타낸 도,
도 2 는 종래 범퍼와 보강대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트의 설치 상태를 나 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브라켓트의 정면도,
도 5a 는 본 발명 브라켓트를 구성하는 제 1프레임,
도 5b 는 본 발명 브라켓트를 구성하는 제 2프레임,
도 6은 본 발명 브라켓트를 구성하는 제 1프레임에 제 2프레임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범퍼 10 : 보강대
20 : 브라켓트 30 : 체결나사
100 : 제 1프레임 110 : 제 1판
111 : 설치구멍 120 : 제 2판
200 : 제 2프레임 210 : 걸림턱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와 동일한 명칭 및 형상에는 동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브라켓트의 정면도이며, 도 5a는 본발명 브라켓트를 구성하는 제 1프레임이고, 도 5b는 본 발명 브라켓트를 구성하는 제 2프레임이고, 도 6은 본 발명 브라켓트를 구성하는 제 1프레임에 제 2프레임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동차 앞뒤범퍼(1)와 보강대(10)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트(20)로,
상기 브라켓트(20)를 제 1프레임(100)과 제 2프레임(200)으로 하여 각각 사출된다.
한편, 상기 제 1 프레임(100)는 도 3 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단면이 대략 ㄲ형상을 가지며, 이 브라켓트(100)의 제 1판(110)과 제 2판(120)에 3개의 구멍이 한조를 이루는 설치구멍(111)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100)의 제 1판(110)과 제 2판(120)에 끼워짐과 동시에 각각의 설치구멍(111)에 걸어맞춤되기 위한 제 2브라켓트(200)는 도 3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단면이 대략 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걸림턱(210)이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2조로 구성되는 브라켓트(20)는 종래와 같이 나사(3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 1프레임(100)의 제 1판(110)과 제 2판(120) 사이에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프레임(20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210)을 걸어맞춤시킨다.
즉, 범퍼(1)에 제 1프레임(100)을 나사(30)로 고정한 상태에서 범퍼(1)의 라인의 높이가 불일치 할 경우 상기 제 1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정하고, 이 제 1프레임(100)의 높이 조정이 완료되면 제 1 프레임(100)의 제 1판(110)과 제 2 판(120) 사이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 2프레임(200)을 삽입시키면 제 2프레임(2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210)을 제 1판(110)과 제 2판(120)에 형성된 설치구멍(111)에 끼워맞춰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범퍼(1)의 라인이 불일치 할 경우 제 2프레임(200)을 상하로 이동시켜 범퍼의 높이를 균일하게 수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앞뒤범퍼와 보강대를 연결하는 브라켓트를 2조로 하여 보강대의 수축에 의해 범퍼로부터 상하 단차가 발생하면 2조로 형성된 브라켓트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서, 범퍼 라인을 균일화시킴과 동시에 범퍼의 변형 방지 등을 도모하여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를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으로 구분되게 하여 나사를 체결하지 않고서도 손 쉽게 체결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앞뒤범퍼와 보강대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를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으로 하여 각각 사출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 1편과 제 2편에 적어도 3개의 구멍이 한조를 이루는 설치구멍을 상부로 부터 하부까지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이 제 1판과 제 2판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까지 걸림턱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 2프레임을 끼워맞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KR1019960077201A 1996-12-30 1996-12-30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KR19980057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201A KR19980057895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201A KR19980057895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895A true KR19980057895A (ko) 1998-09-25

Family

ID=6639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201A KR19980057895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8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8384A (en) Mounting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front-end component made of plastics
US4830416A (en) Bumper structure
US4765665A (en) Bumper structure
US6155633A (en) Bumper-mounting structure for frame-mounted-body vehicle
US5271658A (en) Plastic fender for motor vehicles
US4167282A (en) Impact absorbing type bumper
KR19980057895A (ko)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KR19980057894A (ko)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KR19980056329A (ko)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US20050093310A1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19980056316A (ko)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구조
KR100398437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JPH07156728A (ja) バンパ取付構造
JPH0776251A (ja) 車両用バンパ
KR200141883Y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페시아와 서포트브라켓 장착구조
KR100309576B1 (ko) 범퍼 패시어와 범퍼 리인프 연결용 브라켓트
KR200166639Y1 (ko)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
KR100324693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범퍼 체결구조
KR200141667Y1 (ko) 자동차 범퍼 장착구조
KR200144917Y1 (ko) 자동차의 범퍼 체결용 브라켓
KR0136948Y1 (ko) 범퍼 스테이의 처짐방지구조
CN116767100A (zh) 车门装饰次附件
KR0126162Y1 (ko) 자동차의 리어스페이서 브라켓 장착구조
KR970003972Y1 (ko) 차량용 범퍼 임팩트 바 체결구조물
JP2529204Y2 (ja) 車両用フルフェイシャバン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