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598U - 작업대 - Google Patents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598U
KR19980057598U KR2019970001848U KR19970001848U KR19980057598U KR 19980057598 U KR19980057598 U KR 19980057598U KR 2019970001848 U KR2019970001848 U KR 2019970001848U KR 19970001848 U KR19970001848 U KR 19970001848U KR 19980057598 U KR19980057598 U KR 199800575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work
surface plate
lifting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80528Y1 (ko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이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구 filed Critical 이용구
Priority to KR2019970001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52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금형 또는 공작물의 마무리 가공이나 조립, 치수측정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의 금형 또는 공작물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면적을 갖는 정반의 평면 또는 평면과 측면에 걸쳐 적정부위로 외주연에 평활하도록 노출되는 마그네트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정반의 저부로는 판체가 절곡된 형태로서 소정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다리를 설치하며, 상기 정반의 일측으로는 공작물을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크레인을 결합설치하여 이루어서, 별도 보조수단의 구비없이도 상기 정반을 통해 가공 또는 조립, 측정대상의 공작물을 평활한 상태로 손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고, 공작물이 재치되는 정반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별도의 장치구성이 없어 작업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며, 작업대상의 공작물을 훼손이나 파괴의 우려없이 간편하게 작업대 상으로 승강시키거나 또는 하강시켜 작업효율의 월등한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작업대
본 고안은 각종 금형 또는 공작물의 마무리 가공이나 조립, 치수측정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의 금형 또는 공작물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작물에 대한 재치 및 기타의 가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기계나 그 부품의 제작현장에서는 주조 또는 공작기계의 성형공정을 거친 금형이나 공작물(이하 『공작물』이라 칭한다)에 대해 다듬질이나 구멍뚫기, 나사형성 등과 같은 마무리 가공공정이나 완성된 공작물의 치수측정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공작물을 안전하게 재치시킬 수 있도록 된 작업대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대는 금속 또는 목재의 재질로서 일정두께 및 면적을 갖는 판체의 저부에 소정길이의 다리를 다수개 설치한 일반적인 형태가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작업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먼저, 종래의 작업대 자체에는 가공이나 조립, 측정대상의 공작물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치수측정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를 위해서는 상기의 작업대 상으로 바이스나 정반, 또는 기타의 각종 보조수단들을 별도로 고정설치하거나 안착시켜 주어야만 함으로써, 상기 보조수단의 부가설치로 인해 작업대 제작과정에서의 작업공수가 증가되게 되고, 고정설치된 각종 보조수단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해 작업대에서의 작업공간이 축소되어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작업대 상으로 가공이나 조립, 치수측정 등의 작업대상이 되는 공작물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작업이 완료된 공작물을 내려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전적으로 인력에 의존하거나 작업현장에 별도 설치된 대형크레인을 사용하여야만 함으로써, 노력의 수고가 과다하게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됨과 동시에 이동시 공작물을 떨어뜨려 훼손시키거나 파괴할 위험성이 항상 잔존하였고, 타 장소에서 상기의 크레인을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을 멈추고 대기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작업대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평활하지 못할 경우 종래 작업대에는 이를 보정할 만한 적절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일방향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의 작업대 상으로 정반과 같은 기준수단을 설치한다 하여도 평활면을 유지할 수 없게 됨으로써, 가공이나 치수측정 작업시 오차가 발생되어 공작물에 대한 정밀가공 및 조립, 치수측정 등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작업대 상에서의 공작물에 대한 가공작업은 간단한 구조의 수동공구 및 공작기계 등을 이용하여 단순가공 및 조립만을 행하고 있어 그 활용범위가 매우 국한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작업대에서 드러난 여러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특히 일정면적을 갖는 정반의 평면 또는 평면과 측면에 걸쳐 적정부위로 외주연에 평활하도록 노출되는 마그네트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정반의 저부로는 판체가 절곡된 형태로서 소정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다리를 설치하며, 상기 정반의 일측으로는 공작물을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크레인을 결합설치하여 이루어서, 별도 보조수단의 구비없이도 상기 정반을 통해 가공 또는 조립, 측정대상의 공작물을 평활한 상태로 손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고, 공작물이 재치되는 정반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별도의 장치구성이 없어 작업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며, 작업대상의 공작물을 훼손이나 파괴의 우려없이 간편하게 작업대 상으로 승강시키거나 또는 하강시켜 작업효율의 월등한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대를 이루는 다리의 저부로 소정의 승, 하강수단을 마련하여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작업대의 정반이 평활면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가공 및 치수측정시의 작업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대를 이루는 정반의 일측에 소정의 승, 하강 가능한 가공장치를 설치하여 작업대의 활용범위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외관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발췌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은 주요 구성요소로써 적용되는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형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크레인의 주요 구성요소인 취부수단의 다른 형성례를 나타낸 것으로,
도 4는 취부수단으로서 마그네트체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발췌측단면도,
도 5는 취부수단으로서 걸고리와 마그네트체의 결합체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발췌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변형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작업대10 : 정반
11 : 마그네트20 : 다리
21 : 승, 하강실린더30 : 크레인
31 : 지지체32 : 회전체
33 : 승, 하강부재34 : 취부수단
40, 40' : 가공장치41 : 안내수단
42 : 공구대43 : 회전나사축
44, 44' : 정, 역회전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각종 금형 또는 공작물의 마무리 가공이나 조립, 치수측정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의 공작물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는 작업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반(10) 및 다리(20), 크레인(30)으로 결합구성되어 작업대(1)를 이루게 되는 바, 이들의 구조 및 결합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반(10)은 평활면인 평면 또는 상기 평면과 측면에 걸쳐 적정부위로 일정면적을 갖는 마그네트(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삽입설치하여 이룬다.
다음으로 다리(20)는 일정길이를 갖는 판체가 절곡된 형태로서 상기 정반(10)의 저부측에 다수개 부착결합하여 이룬다.
다음으로 크레인(30)은 원통형으로 양측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32a)를 갖는 회전체(32)의 상부측에 일방향으로 연장간(32b)을 연장형성하고, 상기 연장간(32b)에는 이와 끝단이 힌지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승, 하강부재(33)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체(32)의 내부로는 승, 하강실린더(S1)를 장착하여 승, 하강부재(33)의 소정위치에 힌지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 하강부재(33)의 타단에는 이와 힌지결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부수단(34)을 마련하되, 상기 회전체(32)는 정반(10)의 일측으로 부착고정된 지지체(31)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삽입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의 취부수단(34)은 첨부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걸고리(341) 형태이거나, 또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그네트체(342)이거나, 또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걸고리(341)와 마그네트체(342)가 상, 하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체(343)로써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20)의 각 저부측에는 첨부도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축가능한 유, 공압실린더(21)를 부착결합시켜 정반(10)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로써 10a는 안내구멍, 20a는 각종 공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서랍을, 40과 40'는 가공장치를, 41은 안내수단을, 42는 공구대를, 43은 회전나사축을, 44와 44'는 정, 역회전수단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 작업대(1)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차적으로 주조나 공작기계의 성형공정을 거친 공작물에 대해 마무리 가공공정이나 치수측정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대(1)상에 재치시키는 경우, 상기 공작물이 안착되는 정반(10)은 그 자체가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어 기준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도구인 별도의 정반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정반(10)의 외주연상에 삽입설치되어 있는 마그네트(11)는 통상 금속재질인 공작물을 자기력에 의해 정반(10)상에 부착고정시킴으로써, 별도 고정기구인 바이스나 척 등의 구비없이도 공작물에 대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완료되어진다.
이때, 작업대상의 공작물이 비금속으로서 마그네트(11)에 의해 부착고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의 정반(10)상으로 금속재의 고정기구를 별도 설치하여 상기 고정기구로써 공작물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역시 전술한 작용예와 마찬가지로 고정기구를 정반(10)상에 안착시키는 단순동작으로 이의 설치작업을 위한 별도의 체결 및 분해작업 없이 마그네트(11)의 자기력으로써 정반(10)의 평면 또는 측면 일 부위에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한편, 필요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공작물을 정반(10)상으로 재치시키는 작업의 수행 중 무게가 무거운 공작물일 경우에는 상기 정반(1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크레인(30)을 활용할 수 있는 바, 이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승, 하강부재(33)를 잡고 이를 적절히 회전시켜 주면 상기 승, 하강부재(33)와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체(32)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있는 승, 하강실린더(S1)로 인해 상호 연결되어진 승, 하강부재(33)와 회전체(32)가 정반(10) 일측에 부착고정된 지지체(30)내에서 회전되어 작업대상의 공작물이 위치된 장소로 회전, 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 하강실린더(S1)를 하향작동시켜 주면 일측으로 상기 승, 하강실린더(S1)와 힌지결합된 승, 하강부재(33)가 회전체(32)의 연장간(32b)과 결합되어 있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하강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32)의 양측 일부위로는 각각 소정의 절개부(32a)이 형성되어 있어 승, 하강부재(33)의 하강동작시 이를 방해하거나 걸려 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승, 하강부재(33)가 하강되어 공작물측에 위치된 후에는 상기 승, 하강부재(33)의 타단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취부수단(34)을 통해 공작물을 취부시킨 다음, 전술한 작동례와 반대로 승, 하강실린더(S1)를 상승작동시켜 승, 하강부재(33)를 승강동작시키고, 이어 상기 승, 하강부재(33)가 정반(10)상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키는 단순한 방식으로 무거운 공작물을 작업대(1)상에 간편히 재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의 취부수단(34)으로는 공작물의 재질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활용가능한 걸고리(341)나, 또는 금속재질의 공작물을 전용으로 부착, 취부시킬 수 있는 마그네트체(342)나, 또는 상기의 걸고리(341) 및 마그네트체(34)가 상, 하 일체로 결합된 형태의 결합체(343)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바, 이 중 특히 결합체(343)가 취부수단(34)으로 채택된 경우에는 취부시키고자 하는 공작물에 따라 이를 적절히 회전시켜 걸고리(341) 또는 마그네트체(34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하향 노출시키는 것으로, 하나의 장치구성에 의해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공작물을 더욱 손쉽게 취부시킬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으로 구체화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취부수단(34)이 결합되는 승, 하강부재(33)를 승, 하강시키도록 된 승, 하강실린더(S1) 대신에, 정, 역구동모터와 연결되는 나사축을 상기 승, 하강부재(33)와 결합시켜 나사축의 정, 역회전으로써 승, 하강부재(33)를 적절히 승, 하강시킬 수 있으며, 이는 당 업자라면 용이한 설계변경 정도로서 그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공작물의 재치가 이루어지는 정반(10)은 그 자체가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어 공작물에 대한 정확한 가공 및 조립, 치수측정의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정반(10)과 다리(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작업대(1)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평활하지 못할 경우에는 작업대(1) 자체가 기울어져 정밀가공 및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바닥면이 평활하지 못한 장소에 작업대(1)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 다리(20)의 저부측에 부가적으로 각각 부착결합되어 있는 유, 공압실린더(21)를 적절히 승, 하강시켜 각 다리(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어떠한 조건을 갖는 바닥면에서도 본 고안의 작업대(1)를 이루는 정반(10)이 평활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다리(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유, 공압실린더(21) 역시 전술한 크레인(30)의 예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정, 역구동모터회전와 연결되는 나사축을 각 다리(20)의 저부측에 각각 대체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사축을 정, 역회전시켜 다리(20)를 적절히 승, 하강시키는 것으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정반(10)의 일측으로 이와 부착고정되는 더브테일 형태의 안내수단(41)과, 공작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드릴 또는 엔드밀, 커터 등과 같은 가공공구가 설치되어 상기 안내수단(41)에 승, 하강가능토록 결합되는 공구대(42)와, 상기 공구대(42)에 결합되어 이를 승, 하강시키도록 된 회전나사축(43)과, 상기 공구대(42)의 승, 하강을 위해 회전나사축(43)을 정,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나사축(43)의 일측으로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와 치합되는 타 베벨기어로 정, 역회전모터를 설치한 정, 역회전수단(44)으로 이루어진 가공장치(40)를 별도 형성하여, 정, 역회전수단(44)의 선택적인 정, 역회전구동에 의해 회전나사축(43)을 일방향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안내수단(41)상에 결합설치되어 있는 가공대(42)를 적절히 승, 하강시킴으로써, 작업대(1)의 정반(10)상에 재치되어 있는 공작물로 보다 정밀하고 다양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8 및 도 9는 상기의 도 7에 도시된 가공장치(40)의 다른 변형례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도 8의 경우에 있어서는 별도의 정, 역회전수단(44')이 일측에 설치된 탁상 드릴링 머신이나 보오링 머신과 같은 승, 하강 가능한 가공장치(40')를 전술한 작업대(1)의 정반(10) 상부에 부착설치한 일례이고, 도 9의 경우는 자체에 정, 역회전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탁상 드릴링 머신이나 보오링 머신과 같은 승, 하강 가능한 가공장치(40')를 작업대(1)의 정반(10) 상부에 부착설치한 일례로서, 이러한 가공장치(40') 역시도 전술한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반(10)상에 재치되는 가공대상의 공작물로 다양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의 가공장치(40')가 승, 하강되는 정반(10)의 일 위치로는 안내구멍(10a)을 천공형성하여 공작물에 대해 가공을 수행하는 공구의 안정적인 상, 하 이송됨을 보장할 수 있으며, 가공대상의 공작물이 위치되는 정반(10)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마그네트(11)를 삽입설치하여 상기 마그네트(11)로써 공작물을 부착고정시키는 단순작업에 의해 인력이나 별도 보조기구의 도움없이도 가공을 위한 공작물의 고정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완료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도면으로 구체화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가공장치(40)(40')가 설치된 정반(10)의 일측으로 X, Y축 이송이 가능한 이송대를 별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이송대상에 공작물을 재치한 후 이를 이송시키는 단순작업으로써 가공대상의 공작물에 대한 가공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업대는, 별도 보조수단의 구비없이도 가공 또는 조립, 측정대상의 공작물을 평활한 상태에서 손쉽게 고정설치하여 작업대로의 공작물 재치작업시 그 작업공수를 절감하고, 공작물이 재치되는 정반의 표면으로 별도의 장치구성이 돌출되는 것을 배제하여 작업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작업대상의 공작물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작업대 상으로 간편하게 승, 하강시켜 작업효율의 월등한 상승효과를 구현함과 더불어 공작물에 대한 가공 및 조립, 치수측정시의 작업정밀성을 향상시키고, 작업대의 활용범위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등의 여러 장점을 갖는다.

Claims (6)

  1. 각종 금형 또는 공작물의 마무리 가공이나 조립, 치수측정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의 금형 또는 공작물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는 작업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평활면인 평면 또는 상기 평면과 측면에 걸쳐 적정부위로 일정면적을 갖는 마그네트(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삽입설치되어 있는 정반(10)과;
    일정길이를 갖는 판체가 절곡된 형태로서 상기 정반(10)의 저부측에 부착결합되는 다수개의 다리(20)와;
    원통형으로서 양 측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32a)를 갖는 회전체(32)의 상부측에 일방향으로 연장간(32b)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간(32b)에는 이와 끝단이 힌지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승, 하강부재(33)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32)의 내부로는 승, 하강실린더(S1)가 장착되어 승, 하강부재(33)의 소정위치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 하강부재(33)의 타단에는 이와 힌지결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부수단(34)을 마련하되, 상기 회전체(32)는 정반(10)의 일측으로 부착고정된 지지체(31)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삽입설치하여 이루어진 크레인(30)으로써;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30)을 이루는 취부수단(34)은 걸고리(341)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30)을 이루는 취부수단(34)은 마그네트체(3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30)을 이루는 취부수단(34)은 걸고리(341)와 마그네트체(342)가 상, 하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체(3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20)의 각 저부측에는 신축가능한 유, 공압실린더(21)를 부착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10)의 일측으로는 이와 부착고정된 안내수단(41)과, 소정의 가공공수가 설치되어 상기 안내수단(41)에 승, 하강 가능토록 결합된 공구대(42)와, 상기 공구대(42)를 승, 하강 시키도록 된 회전나사축(43)과, 상기 회전나사축(43)을 양 방향 회전시키도록 된 정, 역회전수단(44)으로 이루어진 가공장치(40)를 부착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KR2019970001848U 1997-02-06 1997-02-06 작업대 KR200280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848U KR200280528Y1 (ko) 1997-02-06 1997-02-06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848U KR200280528Y1 (ko) 1997-02-06 1997-02-06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98U true KR19980057598U (ko) 1998-10-15
KR200280528Y1 KR200280528Y1 (ko) 2002-11-23

Family

ID=5389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848U KR200280528Y1 (ko) 1997-02-06 1997-02-06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5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8817A (zh) * 2018-01-31 2018-06-0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磁铁取放装置、热熔点胶机
KR20190000503U (ko) * 2017-08-16 2019-02-26 김형진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16B1 (ko) * 2008-09-02 2011-09-28 최현근 교육용 용접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503U (ko) * 2017-08-16 2019-02-26 김형진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CN108098817A (zh) * 2018-01-31 2018-06-0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磁铁取放装置、热熔点胶机
CN108098817B (zh) * 2018-01-31 2023-12-2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磁铁取放装置、热熔点胶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528Y1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504Y1 (ko) 드릴장치
PT1747843E (pt) Máquina ferramenta com um dispositivo de mudança de peças a maquinar
JP6263607B2 (ja) 工作機械
US5099980A (en) Pallet exchanger for machine tools
KR200280528Y1 (ko) 작업대
JP3171314B2 (ja) ガイド付ワークテーブル
KR100369178B1 (ko) 가공물 고정용 지그
CN205415144U (zh) 一种用于工件加工的机床
KR20080051719A (ko) 공작물 가공기준용 지그유닛
CN208163121U (zh) 一种机床配件加工用固定定位装置
CN216541238U (zh) 一种齿轮加工机床的夹持机构
IT9020752A1 (it) Macchina utensile a teste multiple particolarmente studiata per la lavorazione di pannelli
KR100600026B1 (ko) 자동 파렛트 교환장치의 기울어짐 방지용 가이드 장치
JP2002154026A (ja) アタッチメント収納装置
KR101045553B1 (ko) 목형 가공기
JP2604055Y2 (ja) 工作機械のパレット交換装置
CN220427620U (zh) 一种不规则精铸件外表面加工用水平固定结构
CN220783095U (zh) 一种机械加工液压夹具
CN212191308U (zh) 一种精密工件钻孔加工用定位装置
CN213134779U (zh) 一种机床加工用冲压件加工用定位装置
CN218556287U (zh) 一种数控四轴加工用组合夹具
CN113319600B (zh) 一种桥式龙门加工中心
CN220921620U (zh) 一种五金转轴钻孔模具
CN218532920U (zh) 一种钻床加工用工件定位装置
CN215846963U (zh) 一种机械加工用定位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