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03U -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03U
KR20190000503U KR2020170004329U KR20170004329U KR20190000503U KR 20190000503 U KR20190000503 U KR 20190000503U KR 2020170004329 U KR2020170004329 U KR 2020170004329U KR 20170004329 U KR20170004329 U KR 20170004329U KR 20190000503 U KR20190000503 U KR 201900005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ork table
main body
work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411Y1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2020170004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1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4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거치 및 수납을 위한 복수의 공간확장부들을 포함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작기기의 설치를 위한 여정반(110)이 상측에 결합되는 작업대본체(130)와;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대본체(13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40)들과;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40)들 및 작업대본체(130)로 형성되는 내부공간(S)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작업시 상기 내부공간(S)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공간확장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Desk for workspace expansion}
본 고안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링 등 물품에 대한 가공을 수행하는 공작기기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작업대는 용도에 따라 공부용 작업대, 작업용 작업대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며, 그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작업대에 밀링과 같은 공작기기가 설치되는 작업대는, 공작기기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제품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공작기기의 고정을 위하여 공작기기가 설치되는 위치에 여정반을 설치하고, 여정반에 공작기기를 고정함으로써 공작기기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공작기기의 고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여정반의 경우 공작기기의 고정을 위하여 크기가 크기 때문에 여정반이 설치되는 작업대의 공간 활용 효율이 현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대의 하측에서 작업시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공간확장부를 설치하여 작업공간의 활용 및 설치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공작기기의 설치를 위한 여정반(110)이 상측에 결합되는 작업대본체(130)와;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대본체(13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40)들과;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40)들 및 작업대본체(130)로 형성되는 내부공간(S)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작업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내부공간(S)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공간확장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를 개시한다.
상기 공간확장부는, 작업시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위치 방향을 전면방향으로 할 때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전면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면공간확장부(200)와; 상기 전면방향과 수평상태에서 수직을 이루는 양 측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방향으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공간확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작업시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전면방향으로 이동될 때 서로 연계하여 그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확장되거나, 서로 독립하여 이동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상면에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거치대(220, 230)와,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210)는,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로 복수개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확장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공간확장부(300)는, 상측 및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개구가 형성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310)은,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로 복수개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확장부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본체(130)는, 작업시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전방에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작업대본체(130)로부터 상기 전면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작업대(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는, 사용자가 위치되는 일측면, 즉 전면방향을 기준으로, 전면방향 및 전면방향과 수평으로 수직을 이루는 양 측면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간확장부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작업대에 비하여 작업 공간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는, 복수의 공간확장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인접한 위치에 있는 공간확장부와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수납 및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는, 작업대의 하측에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공간확장부를 설치하여 공간 효율을 최대로 극대화 할 뿐 아니라, 연장형성되는 작업공간의 하측에 서랍을 형성함으로써 수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는 복수의 공간확장부들의 미사용시 내부공간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설치공간의 효율 또한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는, 공간확장부 및 지지부재의 하측에 하나 이상의 이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작업대의 이동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복수의 공간확장부 및 보조공간확장부가 최대로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업대를 상측에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복수의 공간확장부 및 보조공간확장부가 최대로 인출된 모습을 상측에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의 전면공간확장부의 일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면공간확장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기기의 설치를 위한 여정반(110)이 상측에 결합되는 작업대본체(130)와; 작업대본체(13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작업대본체(13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40)들과; 복수의 지지부재(140)들 및 작업대본체(130)로 형성되는 내부공간(S)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작업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내부공간(S)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공간확장부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여정반(110)은, 밀링, 드릴링 등과 같은 공작기기의 고정결합을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 및 크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여정반(110)은, 작업대본체(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 정밀도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여정반(110)은,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대본체(130)는, 공작기기의 설치를 위한 여정반(110)이 결합되어 작업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 및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작업대본체(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본체(1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여정반(11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상면으로부터 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보조거치부(1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거치부(120)는, 작업대본체(130)에 설치되어 물품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조로서 물품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보조거치부(120)는, 공작기기의 작업을 위한 파일확인 및 프로그램을 위한 노트북이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거치부(120)는, 작업대본체(1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거치부(120)는, 사용자가 위치되는 작업대본체(130)의 일측과, 여정반(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대본체(130)는, 작업시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전방에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작업대본체(130)로부터 전면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작업대(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작업대(400)는, 작업대본체(1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작업대본체(130)로부터 사용자 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면 다양한 형태 및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보조작업대(400)는, 작업홈(120)에 설치되는 노트북에 작동을 위한 키보드 및 마우스가 설치되는 제1보조작업대(410)와; 제1보조작업대(4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각종 도구들을 수용하는 제2보조작업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조작업대(410) 및 제2보조작업대(420)는, 사용자 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면 슬리브구조, 서랍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140)들은, 작업대본체(130)에 결합되어 작업대본체(130)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지지부재(140)들은, 사용자가 착삭되는 방향을 제외한 작업대본체(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1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본체(130)는, 작업대본체(1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작업대본체(130)를 지지하며, 지지부재(140)와 함께 후술하는 공간확장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지지부재(1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확장부는, 복수의 지지부재(140)들 및 작업대본체(130)로 형성되는 내부공간(S)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작업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내부공간(S)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공간확장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시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위치 방향을 전면방향(Y축방향)으로 할 때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전면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면공간확장부(200)와; 전면방향과 수평상태에서 수직을 이루는 양 측면 방향(X축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방향으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공간확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 및 측면공간확장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되어 일출시 그 이동방향에 따라서 확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작업시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위치 방향을 전면방향(Y축방향)으로 할 때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전면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작업시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계에 따라서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전면방향(Y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서로 연계하여 그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확장되거나, 서로 독립하여 이동되도록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가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확장되도록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되는 경우, 작업대본체(130)로부터 인출시 상호 결합상태의 유지, 순차적 확장을 위하여 가이드레일 등과의 결합 등 가구 등에 적용되는 서랍구조가 차용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거치대(220, 230)와,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전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일단이 작업대본체(200)에 전면방향(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거치대(230)와, 제1거치대(230)의 하측에서 결합되어 제1거치대(230)에 전면방향(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거치대(220)와, 제2거치대(220)의 하측에서 결합되어 제2거치대(220)에 전면방향(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20, 230), 즉 제1거치대(230) 및 제2거치대(220)는,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작업공구, 측정공구 등 물품을 거치하는 구성으로서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거치대(230)는, 일단이 작업대본체(2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는바, 지지부재(140) 및 보조지지부재(150)에 형성된 걸림턱(144, 154)에 걸림되는 걸림부(233)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210)는, 작업공구, 측정공구 등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물품의 수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재(210)는, 측방 또는 상측에서 물품을 수납하는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납부재(210)는, 수납공간을 상하로 및/또는 수평으로 복수개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확장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확장부재(211)는, 수납공간을 상하로 및/또는 수평으로 복수개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격벽부재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공간확장부재(211)는, 수납부재(210)의 수납공간의 분할을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수납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공간확장부재(211)는, 수납부재(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미도시)에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상측, 하측 및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부(222, 232)가 돌출형성되며, 작업대본체(130), 지지부재(140) 및 인접한 위치의 전면공간확장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되어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전면공간확장부(200)의 인출 및 삽입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부(222, 232)는, 복수개 설치되는 전면공간확장부(200)가 서로 연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조로서 복수개 설치되는 전면공간확장부(200)가 서로 연계 가능하도록 형성되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걸림돌기부(222, 2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면공간확장부(200)의 상측, 하측 및 양측면 각각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의 각 구성은, 걸림돌기부(222, 232)에 걸림되는 걸림부(213, 2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부(222, 232)의 가이드를 위하여 복수의 전면공간확장부(200)의 걸림돌기부(222, 23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전면공간확장부(200)와 인접하는 위치의 전면공간확장부(200)에 형성되어 걸림돌기부(222, 232)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조로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인접한 위치의 전면공간확장부(20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부(222, 232)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걸림돌기부(222, 2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가 복수개, 즉 제1거치대(230) 및 제2거치대(220) 등의 거치대(220, 230) 및 수납부재(210)가 전방측으로 서로 연계하여 이동되는 것으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제1거치대(230), 제2거치대(220) 및 수납부재(210) 등의 각 부재가 독립적으로 전방측으로 선형이동되거나, 제1거치대(230) 및 제2거치대(220)는, 서로 연계하여 이동되고, 수납부재(210) 만이 독립적으로 선형이동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물론이다.
한편, 상기 측면공간확장부(300)는, 사용자의 작업위치의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측면공간확장부(300)는, 상측 및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개구가 형성되어 수납공간을 추가로 형성하는 서랍(31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310)은,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납공간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확장부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확장부재(311)는, 서랍(310)의 수납공간의 분할을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수납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공간확장부재(311)는, 서랍(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미도시)에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확장부는, 하측에 내부공간(S)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이동 및 외부에서 내부공간(S)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240, 16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240, 160), 복수의 공간확장부가 내부공간(S)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외부방향에서 내부공간(S)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이동수단(240, 160)은, 공간확장부의 하측에 복수개 설치되는 바퀴와; 지지부재(140)의 하측에 복수개 설치되는 바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공간확장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위치에 있는 공간확장부와 연계되어, 내부공간(S)으로부터 인접한 위치에 있는 공간확장부의 인출 및 삽입시 함께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간확장부들, 즉 전면공간확장부(200) 및 측면공간확장부(300)에는, 작업자에 의하여 작업대본체(130)로부터 인출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손잡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공간확장부들, 즉 전면공간확장부(200) 및 측면공간확장부(300)와, 작업대본체(130)에는, 작업자에 의한 인출시 원활한 인출을 위하여, 전면공간확장부(200) 및 측면공간확장부(300)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구성(212, 231, 221, 141, 142, 143)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복수의 공간확장부들, 즉 전면공간확장부(200) 및 측면공간확장부(300)는, 작업대본체(130)와 완전히 분리되어 작업대본체(130)의 주변에서 작업자의 작업편의에 따라 작업자에 의하여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여정반 130: 작업대
140: 지지부재 200: 전면공간확장부
300: 측면공간확장부

Claims (9)

  1. 공작기기의 설치를 위한 여정반(110)이 상측에 결합되는 작업대본체(130)와;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대본체(13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40)들과;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40)들 및 작업대본체(130)로 형성되는 내부공간(S)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작업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내부공간(S)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공간확장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확장부는,
    작업시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위치 방향을 전면방향으로 할 때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전면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면공간확장부(200)와;
    상기 전면방향과 수평상태에서 수직을 이루는 양 측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방향으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공간확장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작업시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전면방향으로 이동될 때 서로 연계하여 그 이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확장되거나, 서로 독립하여 이동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면공간확장부(200)는,
    상면에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거치대(220, 230)와,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210)는,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로 복수개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확장부재(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공간확장부(300)는,
    상측 및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개구가 형성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랍(310)은,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로 복수개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확장부재(3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본체(130)는,
    작업시 상기 작업대본체(130)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전방에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작업대본체(130)로부터 상기 전면방향으로 인출 및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작업대(40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KR2020170004329U 2017-08-16 2017-08-16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KR200489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29U KR200489411Y1 (ko) 2017-08-16 2017-08-16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29U KR200489411Y1 (ko) 2017-08-16 2017-08-16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03U true KR20190000503U (ko) 2019-02-26
KR200489411Y1 KR200489411Y1 (ko) 2019-06-13

Family

ID=6551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29U KR200489411Y1 (ko) 2017-08-16 2017-08-16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4133A (zh) * 2020-04-16 2021-10-22 施耐宝公司 带有保持特征的储藏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598U (ko) * 1997-02-06 1998-10-15 이용구 작업대
US6322754B1 (en) * 1998-01-15 2001-11-27 Kaltenbach & Voigt Gmbh & Co. Translatable hood arrangement for a medical-technical or dental-technical worktable
KR200331489Y1 (ko) * 2003-08-14 2003-10-30 주식회사 경호 다단 확장 테이블
US7159629B1 (en) * 2005-07-22 2007-01-09 Rowe Braxton E Worktable apparatus
US7647956B1 (en) * 2008-02-20 2010-01-19 Rolling Trades Inc. Portable carpentry worksho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598U (ko) * 1997-02-06 1998-10-15 이용구 작업대
US6322754B1 (en) * 1998-01-15 2001-11-27 Kaltenbach & Voigt Gmbh & Co. Translatable hood arrangement for a medical-technical or dental-technical worktable
KR200331489Y1 (ko) * 2003-08-14 2003-10-30 주식회사 경호 다단 확장 테이블
US7159629B1 (en) * 2005-07-22 2007-01-09 Rowe Braxton E Worktable apparatus
US7647956B1 (en) * 2008-02-20 2010-01-19 Rolling Trades Inc. Portable carpentry worksho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4133A (zh) * 2020-04-16 2021-10-22 施耐宝公司 带有保持特征的储藏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11Y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0360A1 (en) Splash guard for machine tool
JPH0121716Y2 (ko)
JPH08507703A (ja) 作業テーブル
KR200489411Y1 (ko) 작업공간 확장형 작업대
JP5385063B2 (ja) 工作機械
JP2020519788A (ja) 家具ドアのキャリッジをガイドするためのレール
US10421167B2 (en) Movable stand with casters and processing machine line
JP5795894B2 (ja) カート装置
KR101838060B1 (ko) 공구함
CN112054440B (zh) 一种电缆头加工台
CN112475936A (zh) 一种门型封闭式高刚性结构的五轴小龙门数控加工中心
US6315376B1 (en) Universal tool transport cart
US2824499A (en) Machine tool
IT9020752A1 (it) Macchina utensile a teste multiple particolarmente studiata per la lavorazione di pannelli
CN211029960U (zh) 一种移动装配小车
CN214490502U (zh) 电路板加工操作台
JP2017024088A (ja) 工作機械
CN210231762U (zh) 一种液压阀体加工装置
CN212578359U (zh) 一种工作台可移动的磨床
RU2807719C2 (ru) Встраиваемый в мебель двухуровневый модуль для хранения и эксплуатации техники
CN219487306U (zh) 一种可伸缩式储物结构及儿童安全座椅
JP3232515U (ja) 整理用仕切り具
CN106239184A (zh) 一种叠轴龙门铣床
WO2023080808A1 (ru) Мультикассета
CN215147696U (zh) 多轴自由曲面光学元件的抛光设备的床身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