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5470A -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470A
KR19980055470A KR1019960074691A KR19960074691A KR19980055470A KR 19980055470 A KR19980055470 A KR 19980055470A KR 1019960074691 A KR1019960074691 A KR 1019960074691A KR 19960074691 A KR19960074691 A KR 19960074691A KR 19980055470 A KR19980055470 A KR 19980055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ide frame
mounting structure
automobi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경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5470A/ko
Publication of KR1998005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470A/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배터리(1)의 양측면이 한 쌍의 브래키트(10)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2)과 에이프런(3)에 직접 고정되고, 상기 브래키트(10)가 설치되는 면과 직교를 이루는 배터리(1)의 다른 양측면에 지지봉(5)이 종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이 클램프(6)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각 지지봉(5)의 하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이 사이드 프레임(2)에 형성되고, 사이드 프레임(2)의 구멍 밑면에는 웰딩 너트(11)가 부착되며, 상기 웰딩 너트(1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선(51)이 지지봉(5)의 하단 외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터리(battery)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 고정시 투입되는 부품의 수를 크게 줄여서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한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 전기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전원으로는 배터리와 발전기의 2계통이 있다. 기관이 운전하고 있을 때는 충전장치인 발전기가 각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나, 기관이 정지하고 있거나 시동을 할 때는 발전기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가 없으므로 전력을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배터리는 기관이 운전하고 있을 때도 발전기의 출력 부족이나 전압변동을 보상하여 전력의 공급이 안정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배터리는 엔진등이 장착되는 엔진룸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종래의 종래의 배터리 취부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는 엔진룸의 측부 구조를 이루는 사이드 프레임(2)에 안치, 고정되어, 차륜을 감싸도록 설치된 에이프런(3: apron)에 측면이 근접,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배터리(1)는 사이드 프레임(2)에 직접 안치,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트 형상의 트레이(4)에 배터리(1)가 안치되어, 트레이(4)가 사이드 프레임(2)상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1)의 좌우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트레이(4)의 양측면에 한 쌍의 지지봉(5) 하단이 트레이(4)의 취부홈에 끼워져서 배터리(1)의 양측면에 맞대어져 종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있고, 각 지지봉(5)의 상단은 클램프(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트레이(4)를 사이드 프레임(2)상에 먼저 고정시킨 다음, 배터리(1)를 트레이(4)상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지지봉(5)을 트레이(4)의 취부홈에 끼운 후, 클램프(6)로 각 지지봉(5)의 상단을 연결하여, 배터리(1)를 트레이(4)상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취부구조는 트레이(2)를 사이드 프레임(2)상에 고정하고, 배터리(1)를 트레이(2)에 올려 놓은 다음, 각 지지봉(5)의 상단은 클램프(6)로 연결하여 배터리(1)를 취부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서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조립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임과 아울러 취부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취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취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터리2- 사이드 프레임
3- 에이프런5- 지지봉
6- 클램프10- 브래키트
11- 웰딩 너트51- 나사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양측면이 한 쌍의 브래키트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과 에이프런에 직접 고정되고, 상기 브래키트가 설치되는 면과 직교를 이루는 배터리의 다른 양측면에 지지봉이 종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이 클램프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각 지지봉의 하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이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되고, 사이드 프레임의 구멍 밑면에는 웰딩 너트가 부착되며, 상기 웰딩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선이 지지봉의 하단 외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 없이 배터리를 직접 브래키트로 사이드 프레임과 에이프런에 고정하고, 지지봉을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웰딩 너트에 나사결합시키므로써,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어 조립공수가 단축되어, 배터리 취부작업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취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의 양측면에 직접 한 쌍의 브래키트(10)가 용접되고, 이 브래키트(10)가 사이드 프레임(2)과 에이프런(3)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 브래키트(10)는 주행진동으로 배터리(1)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배터리(1)의 상하 및 전후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봉(5)은 브래키트(10)가 용접된 면과 직교를 이루는 배터리(1)의 다른 양측면에 밀착되어 종으로 설치되고, 그 상단이 클램프(6)로 견고히 연결된다.
지지봉(5)의 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선(51)이 형성되고, 지지봉(5)의 하단이 삽입되는 사이드 프레임(2)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의 밑면에 웰딩 너트(11)가 용접으로 부착된다. 즉, 웰딩 너트(11)에 지지봉(5)의 나사선(51)이 나사결합되어, 배터리(1)의 상하 및 전후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이드 프레임(2)과 에이프런(3)에 각각 브래키트(10)를 용접하고, 배터리(1)를 각각 브래키트(10)에 용접하여 트레이없이 배터리(1)를 직접 사이드 프레임(2)과 에이프런(3)에 고정시켜, 배터리(1)의 좌우 유동을 방지시킨다.
그런 다음, 지지봉(5)의 하단을 사이드 프레임(2)의 구멍에 삽입시켜, 나사선(51)을 웰딩 너트(11)에 나사결합시킨 후, 지지봉(5)의 상단을 클램프(6)로 연결하여 고정시켜, 배터리(1)의 상하 및 전후유동을 방지시킨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트레이없이 직접 배터리(1)를 사이드 프레임(2)과 에이프런(3)에 고정시키고, 또한 지지봉(5)의 나사선(51)을 사이드 프레임(2)에 부착된 웰딩 너트(11)에 나사결합시키므로써, 부품수가 줄어들어 조립공정수가 단축되고, 따라서 배터리 취부작업의 조립성이 크게 개선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

Claims (1)

  1. 배터리의 양측면이 한 쌍의 브래키트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과 에이프런에 직접 고정되고, 상기 브래키트가 설치되는 면과 직교를 이루는 배터리의 다른 양측면에 지지봉이 종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이 클램프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각 지지봉의 하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이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되고, 사이드 프레임의 구멍밑면에는 웰딩 너트가 부착되며, 상기 웰딩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선이 지지봉의 하단 외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KR1019960074691A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KR19980055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691A KR19980055470A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691A KR19980055470A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470A true KR19980055470A (ko) 1998-09-25

Family

ID=6638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4691A KR19980055470A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54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524A (ko) * 2001-12-15 2003-06-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박스형 차량의 배터리 보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524A (ko) * 2001-12-15 2003-06-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박스형 차량의 배터리 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8849B2 (e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in vehicle
JP3022000B2 (ja) エンジン発電機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KR19980055470A (ko)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CN219067064U (zh) 一种适应不同电池模组的电池箱体
CN210911984U (zh) 一种纯电动乘用车动力系统安装支架
KR19980040748U (ko) 자동차의 배터리 취부구조
CN211390953U (zh) 一种汽车变级器支架
CN111164006B (zh) 混合动力车辆
CN218362882U (zh) 一种顶盖前横梁焊接总成
CN217544237U (zh) 一种生产电缆电线设备用托架装置
KR0139857B1 (ko) 전동 리치식 지게차의 차체
CN214648756U (zh) 一种骑乘式车辆电池包保持仓集成机构
CN220163988U (zh) 一种车架横梁以及拖拉机
CN211352847U (zh) 一种汽车电子控制系统板载架
CN215908260U (zh) 一种轴承座的密封结构
CN110798026B (zh) 一种电机和电控的一体化结构
KR20000010231A (ko)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CN218695446U (zh) 一种工业车辆钣金焊接设备
CN212106812U (zh) 一种具有高稳定性易安装的齿型链链架
CN217917588U (zh) 电驱系统总成承载装置及汽车
CN218153503U (zh) 一种用于柴油发电机组的控制屏支座
JPH02102849A (ja) 車両用バッテリー固定構造
JP2532331Y2 (ja) 自動車のパワーユニット支持構造
KR19990025351A (ko)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의 고정구조
JPH03258664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ストラット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