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119U -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119U
KR19980054119U KR2019960067311U KR19960067311U KR19980054119U KR 19980054119 U KR19980054119 U KR 19980054119U KR 2019960067311 U KR2019960067311 U KR 2019960067311U KR 19960067311 U KR19960067311 U KR 19960067311U KR 19980054119 U KR19980054119 U KR 199800541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rame
cup holder
support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6547Y1 (ko
Inventor
정두고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7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547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1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5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내부에 설치되어 수납전개가 용이하며 고정이 견고하고 뚜껑이 구비되어 있어 주행중 차량의 유동에도 내용물이 넘치지 않도록 된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차량내부의 전방 트림(10)을 절개하여 형성된 공간부(11)에 삽입 인출이 자유로운 지지판(20)과 결합된 개폐구(30)와, 중앙부가 절개된 후레임(90)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판(20)에 안착되고 내부 공간부에 스프링(43)이 내설된 1쌍의 결합구(40)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대(51)에 서로 교차되며 좌우대칭으로 결합된 1쌍의 컵홀더(50); 상기 후레임 측면 중단에 형성된 홈(91)과 일단이 스라이딩 결합되며 타단은 지지판(20)에 결합된 컵홀더 지지대(60); 상기 후레임(90) 양측면 상단에 형성된 홈(92)과 스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컵뚜껑(70); 공간부 내측면 하부에 고정되어 컵홀더(50)와 접촉되며 지지판(20)이 공간부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며 후레임을 세워주는 스토파(80)로 구성된다.
작용으로는 컵홀더를 인출시 스토파(80)와 컵홀더 지지대(60)가 접촉되며 지지판(2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컵홀더 지지대(60)의 하부를 들어올려 컵홀더 지지대(60)의 타단이 후레임(90)에 구비된 홈(91) 상부로 이동되며 후레임을 세워주게 되며 컵뚜껑(70)도 후레임(90) 상단 양측부에 구비된 홈(92)을 따라 상하 운동하며 컵의 높이에 따라 컵의 상면을 덮어주게 된다.
또한 고정구(22)에 결합된 삽입대(51)의 좌우이동 압축 즉 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컵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도어 차량의 유동에도 견고하게 고정되고 컵상면에 뚜껑이 덮여 내용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내부에 설치되어 수납전개가 용이하며 뚜껑이 구비되어 주행중 차량의 유동에 내용물이 넘치지 않도록 된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이용하여 여행을 하거나 주행 중에 음료수를 마시는 일이 보편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음료수의 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한번에 마셔버릴 수 있으나 음료수의 용량이 많은 경우에는 한번에 모두 마시지 못하고 차내에 보관을 하거나 손에 들고 있게 된다.
종래의 차량 내에서 음료수 컵을 지지하는 방법은 차내에 음료수 컵을 끼울 수 있는 홀더를 고정하여 홀더에 컵을 넣어 고정시키는 방법과 사람이 손으로 컵을 지지하여 내용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차내에 구비된 컵홀더에 음료수 컵을 지지하는 방법은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차량의 유동에 의해 컵 내부의 음료수가 넘쳐 나와 차내를 오염시키며 개방된 컵의 상부로 오물이나 먼지 등이 인입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사람이 음료수를 손으로 들고 지지하는 방법은 승차인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특히 운전자가 컵을 손으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안전운행에 커다란 위협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내에 수납전개가 용이하며 음료수 컵의 뚜껑이 구비되도록 하여 마시던 음료수가 차량 주행에 의한 유동이 있는 경우에도 외부로 넘치지 않으며 홀더에 홀딩된 상태에서도 이물질이 인입되지 않는 컵홀더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구비된 컵홀더의 사시도
도 2는 컵홀더 수납시 측면도
도 3은 컵홀더 전개시 측면도
도 4는 결합구와 컵홀더의 결합을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트림11 : 공간부
20 : 지지판21 : 가이드
22 : 고정구30 : 개폐구
31 : 손잡이40 : 결합구
41 : 개구부42 : 공간부
43 : 스프링44 : 걸림부
50 : 컵홀더51 : 삽입대
52 : 걸림대53 : 핀
60 : 컵홀더 지지대61 : 돌기
70 : 컵뚜껑71 : 결합대
72 : 돌기80 : 스토파
90 : 후레임91 : 중단홈
92 : 상단홈100 : 컵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성취하기 위한 구성은 차량 내부의 전방 트림을 절개하여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삽입 인출이 자유롭도록 공간부 하부에 스라이딩 결합된 지지판의 단부에 고정되며 외면에 손잡이가 구비된 개폐구; 중앙부가 절개된 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판의 양 측부 상면에 안착되고 개폐구가 접촉되어 지지되며 내측에 개구부가 구비된 공간부에 스프링이 내설된 1쌍의 결합구; 상기 결합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대에 결합되어 서로 교차되며 좌우대칭으로 컵을 지지하는 1쌍의 컵홀더; 상기 후레임 측면 중단에 형성된 홈과 일단이 스라이딩 결합되며 타단을 지지판의 내측 단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된 컵홀더 지지대; 상기 후레임 상단 양측면에 형성된 홈과 스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부가 양측면에 구비된 컵뚜껑; 공간부 내측면 하부에 고정되어 지지판이 스라이딩시 컵홀더 지지대와 접촉되어 지지판의 인출을 제어하며 후레임을 세워주는 스토파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차량 내부의 전방 트림(10)을 절개하여 형성된 공간부(11)와, 공간부의 양측면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공간부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21)와 스라이딩 결합되어 공간부 내부로 삽입되어 인출되는 지지판(20)의 단부에 고정되며 외면에 손잡이(31)가 구비된 개폐구(30); 중앙부가 관통되도록 절개된 후레임(90)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판(20)의 양측부 상면에 안착되며 개폐구(30)와 접촉되어 지지되고 내측에 개구부(41)가 구비된 공간부(41)에 스프링(43)이 내설된 1쌍의 결합구(40); 상기 결합구(40)에 구비된 스프링(43)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구의 개구부에 구비된 걸림부(44)와 결합되며 동시에 스프링(43)을 압축되게 하는 걸림대(52)가 구비된 삽입대(51)에 핀(53)으로 고정되어 좌우대칭으로 서로 교차되며 컵을 지지하는 1쌍의 컵홀더(50); 일단이 구비된 돌기(61)가 상기 후레임(90) 측면 중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91)과 스라이딩 결합되며 타단은 지지판(20)의 내측 단부에 고정된 고정구(22)에 힌지핀으로 회동되게 결합된 컵홀더 지지대(60); 상기 후레임(90) 양측면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92)에 스라이딩 결합되는 돌기(72)가 구비된 결합대(71)가 양측면 후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일체로 형성된 컵뚜껑; 공간부 내측면 하부에 고정되어 지지판(20)이 스라이딩 운동시 컵홀더 지지대(60)와 접촉되어 지지판(20)의 인출을 제어하며 컵홀더 지지대(60)의 하부를 밀어주어 후레임(90)을 세워주는 스토파(80)로 구성된다.
이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구비된 차량용 컵홀더를 이용하여 음료수 컵을 지지시키는 경우, 개폐구(30)에 구비된 손잡이(31)를 잡아 당기면 개폐구(30)와 결합된 지지판(20)이 공간부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21)와 스라이딩되며 인출되게 된다. 이때 지지판(20)의 내측단부에 일단이 회동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후레임(90) 측면 중단의 홈(91)과 스라이딩 결합된 컵홀더 지지대(60)의 하부는 공간부 내측에 고정된 스토파(80)와 접촉되며 지지판(20)이 공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어하며 동시에 컵홀더 지지대(60)의 하부를 들어올리게 되어 상단부의 돌기(61)는 구비된 홈(91)의 상단부로 이동되며 후레임(90)을 세워주게 된다.
후레임이 세워지면 후레임(90) 상단 양측부의 홈(92)에 결합된 컵뚜껑(70)을 밀어올려 컵홀더(50)에 컵(100)을 고정시키면, 결합대(71)로 후레임(90)과 스라이딩 결합된 컵뚜껑(70)은 후레임(90) 측면에 구비된 홈(92)을 따라 자중으로 하향 운동되며 컵뚜껑(70)이 컵(100)의 상부에 닿아 지지되면 컵(100)의 상면을 덮어주며 하향운동을 멈추게 된다.
또한 후레임(90)과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판(20)이 안착되어 있는 결합구(40)에 구비된 스프링 내주면에 끼워진 삽입대(51)에 구비된 걸림대(52)는 압축된 스프링(43)의 복원력으로 결합구(40) 내측 개구부(41) 측으로 밀려 나게되어 삽입대(51)도 내측으로 밀려나며 삽입대와 결합되며 좌우대칭으로 서로 교차하는 컵홀더(50)도 내측으로 이동되며 컵(100)을 고정하게 된다.
동시에 압축된 스프링(43)에 의해 결합구(40)의 개구부(41)로 밀려난 삽입대(51)의 걸림턱(52)은 결합구의 걸림부(44)에 걸리게 되며 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삽입대(51)는 회동되지 못하게 유지되고 컵홀더(50)는 지지판(20)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컵(10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컵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컵뚜껑의 스라이딩 운동에 의해 컵뚜껑이 이동되며 컵의 상부를 덮여주게 되며 컵의 원주가 큰 경우에는 결합구(40)에 내설된 스프링(43)의 압축에 의해 컵(100)을 지지시켜 주게되어 컵의 종류에 관계없이 컵을 견고하게 지지해주며 상부를 덮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컵(100)을 인출하고 컵홀더(50)를 수납시키는 경우에는 개폐구(30)를 밀어 넣으면 스토파(80)와 컵홀더 지지대(60)의 접촉이 풀리며 후레임(90)의 홈(91)과 결합된 컵홀더 지지대(60)의 일단은 홈(91)을 따라 하향운동을 하게 되어 후레임(90)의 높이가 낮게 변경되며 공간부 내부로 수납되게 되는 것이다.
컵뚜껑의 상하 스라이딩 운동에 의해 컵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컵의 상면을 덮을 수 있으며 결합구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컵의 원주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컵을 고정시킬 수 있어 차량의 유동에도 견고하게 고정되고 컵의 내용물이 넘치지 않게 되어 컵의 내용물이 넘침으로 발생되는 차내의 오염과 이물질이 컵에 인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 내부의 전방 트림(10)을 절개하여 형성된 공간부(11)와, 상기 공간부(11)에 삽입 인출이 자유롭도록 공간부(11) 하부에 스라이딩 결합된 지지판(20)의 단부에 고정되며 외면에 손잡이가 구비된 개폐구(30),
    중앙부가 절개된 후레임(90)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판(20)의 양측부 상면에 안착되고 개폐구(30)가 접촉되어 지지되며 내측에 개구부(41)가 구비된 공간부에 스프링이 내설된 1쌍의 결합구(40),
    상기 결합구(40)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대(51)에 결합되어 서로 교차되며 좌우대칭으로 컵(100)을 지지하는 1쌍의 컵홀더(50),
    상기 후레임(90) 측면 중단에 형성된 홈(91)과 일단이 스라이딩 결합되며 타단을 지지판(20)의 내측 단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된 컵홀더 지지대(60),
    상기 후레임(90) 상단 양측면에 형성된 홈(92)과 스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대(71)가 양측면에 구비된 컵뚜껑(70),
    공간부 내측면 하부에 고정되어 지지판(20)이 스라이딩시 컵홀더 지지대(60)와 접촉되어 지지판(20)의 인출을 제어하며 후레임을 세워주는 스토파(80)로 구성.
KR2019960067311U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 KR200156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311U KR200156547Y1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311U KR200156547Y1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119U true KR19980054119U (ko) 1998-10-07
KR200156547Y1 KR200156547Y1 (ko) 1999-09-01

Family

ID=1948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311U KR200156547Y1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5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162A (zh) * 2019-06-24 2019-08-20 上海融康汽车设计有限公司 一种汽车用储物盒式杯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162A (zh) * 2019-06-24 2019-08-20 上海融康汽车设计有限公司 一种汽车用储物盒式杯托
CN110143162B (zh) * 2019-06-24 2024-03-29 上海融康汽车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储物盒式杯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6547Y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8999A (en) Device for holding two drink containers in central console of motor vehicle
US7354086B2 (en) Cup holder structure for vehicles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6036152A (en) Container holder for a motor vehicle
US6068221A (en) Folding rubbish bag holder
JP2562806B2 (ja) 傘の袋収納装置
KR19980054119U (ko)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
KR200227359Y1 (ko) 포켓형컵홀더
JPH05330373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399121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JPH0448987Y2 (ko)
JP2003048474A (ja) カップホルダ装置
JP2512830Y2 (ja) 引出し付きボックス
KR200208923Y1 (ko) 가방 뚜껑의 고정장치
KR10033090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2515518Y2 (ja) 車輌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カップホルダー
KR0114458Y1 (ko) 도어 아암 레스트 내장형 컵 호울더
KR940001141Y1 (ko) 컵 수납장치
KR0116315Y1 (ko) 수직형 드링크용기 홀더
KR0114523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H08142732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100469059B1 (ko)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KR100381232B1 (ko) 펜 홀더를 가지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
KR200193979Y1 (ko) 차량용 맵 포켓에 장착된 오물제거 겸용 컵홀더
KR19980057747A (ko) 차량용 컵홀더 승하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