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839U - 치면윤활이 용이한 기어 - Google Patents

치면윤활이 용이한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839U
KR19980053839U KR2019960067029U KR19960067029U KR19980053839U KR 19980053839 U KR19980053839 U KR 19980053839U KR 2019960067029 U KR2019960067029 U KR 2019960067029U KR 19960067029 U KR19960067029 U KR 19960067029U KR 19980053839 U KR19980053839 U KR 199800538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il
lubrication
tooth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원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60067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3839U/ko
Publication of KR19980053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83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7Guidance of lubricant on rotary parts, e.g. using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by centrifugal force
    • F16H57/0428Grooves with pumping effect for supplying lubri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8Oil-mist or spray lubrication; Means to reduce foam 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면에 윤활이 용이한 기어로써 회전되는 기어의 원심력을 이용한 치면 윤활이 용이한 기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 둘레에 오일홈을 갖고 축방향으로 부시오일구멍을 갖게 한 기어부시를 내경에 갖는 기어 및 기어박스를 갖는 내부기어에 있어서, 상기 오일홈과 연결되는 방사상의 오일통로를 형성하되 이뿌리오일구멍과 이 사이의 오일가이드홈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치면 윤활이 용이한 기어
본 고안은 각종 동력전달을 위한 주요 기계요소인 기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면에 윤활이 용이한 기어로써 회전되는 기어의 원심력을 이용한 치면 윤활이 용이한 기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어장치는 산업분야에 광범위한 범위에 사용되는데, 이것은 동력 전달효율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기어가 적용되는 산업기계 뿐 아니라, 특히 엔진의 경우 고효율 및 고출력을 요구하고 있어 기어강도와 열처리의 중요성이 인식되었고, 그에 따라 하중이 걸리는 부분인 치접촉면에 최적의 오일막 형성이 필요하며 윤활 여부가 기어의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어는 구조상 치면이 맞물릴 때 압력이 발생하는데, 윤활을 통해 구동마찰력 및 충격력을 보완하게 되고 진동과 소음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기어치면 마모와 피팅(PITTING)은 기어가 금속간 접촉으로 마찰력이 크게 되므로 유막이 형성되어도 부품수명과 관련하여 발생된다. 그러나 최적 윤활막을 유지하지 못하면 부품수명전 순간적인 고부하로 인해 스코링(SCORING)이 발생되며 결국은 파손에 이른다. 한편 엔진에서는 고속도, 고부하를 요구하고 있어 더욱 치면 윤활이 중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기어 윤활을 설명하면 제 1 도에 단면도에서와 같이 특별한 오일 공급 통로가 없으며 기어부시(1)의 오일홈(2)을 통한 부시 오일구멍(3)(일반적으로 아이들 부시)을 통해 비산되는 내부비산방식 이거나 제 1 도의 정면도에서와 같이 오일 젯트 스크류(4)를 부착 강제적으로 치면을 윤활시키는 강제 윤활방식이 있다.
그러나 내부 비산방식의 경우 비산되는 오일은 기어박스 내에서 브라운운동을 하게 되며 기어가 임의의 속도로 맞물릴 때 치 틈새로 유입되는데, 고속에서는 다소 효과를 보지만 저·중 속의 경우 실제 윤활에 필요한 치접촉 부위에서는 일정한 윤활두께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강제 윤활방식의 경우는 기어윤활에 바람직하지만 설치공간 및 각각의 기어에 대해 오일 라인을 구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윤활에는 세부분(고체 윤활영역, 탄성유체 윤활영역, 완전유체 윤활영역)으로 나눠지고 기어는 탄성유체 윤활영역이며, 이때 저속이거나 오일압 및 오일량이 떨어지게되면 고체 윤활영역에 접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어의 구동력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기어 치면에 효과적으로 오일막이 형성되게 한 윤활을 이루도록 하여 기어의 내구수명 증대와 신뢰성 확보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둘레에 오일홈을 갖고 축방향으로 부시오일구멍을 갖게 한 기어부시를 내경에 갖는 기어 및 기어박스를 갖는 내부기어에 있어서, 상기 오일홈과 연결되는 방사상의 오일통로를 형성하되, 이뿌리오일구멍과 이 사이의 오일가이드홈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치결합구조를 보인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통로11 : 오일가이드홈
12,13 : 구멍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중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둘레에 오일홈(2)을 갖고 축방향으로 부시오일구멍(3)을 갖게 한 기어부시(1)를 내경에 갖는 기어에 있어서, 제 2 도에서와 같이 상기 오일홈(2)과 연결되는 방사상의 오일통로(10)를 치의 ½ 피치면으로 연통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오일통로(10)는 기어센터부(20)로부터 이뿌리원(30)이 만나는 부분까지는 오일가이드홈(1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1)과 치의 ½ 피치면으로 연통시킨 구멍(12)과 기어센터부(20)를 천공하여 오일홈(2)으로 연결시킨 오일구멍(13)으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지 않는 기어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은 기어부시(1)의 오일홈(2)을 통해 오일을 공급하고, 이 오일은 종래와 같이 축방향으로 분산되기도 하나 오일구멍(13)을 통하여 V = πDN/60×10-3㎧ 만큼의 속도로 가이드홈(11)을 따라 오일구멍(12)을 통하므로써 치접촉 부위에 직접적으로 오일을 공급한다.
이때 축구동 속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오일공급 속도도 비례하게 되어, 어느 속도에서도 일정한 오일량을 공급하게 되고 기어 접촉 면압에 자동적으로 최적의 오일막이 형성 적절한 윤활상태를 갖게 된다.
또, 접촉하고 있지 않는 부위에서 오일구멍(12)을 통해 뿌려지는 오일은 대응기어의 다음에 접촉될 치면에 묻게 되어 예비윤활을 도와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구동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함으로서 치면압력에 대한 적절한 유막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것은 치접촉면이 받고 있는 충격을 완화시켜 결국엔 부품의 내구수명 증대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의 기어박스 내부에서의 오일 비산방식을 병행함으로서 최적의 유막을 형성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내부둘레에 오일홈(2)을 갖고 축방향으로 부시오일구멍(3)을 갖게 한 기어부시(1)를 내경을 갖는 기어 및 기어박스를 갖는 내부기어에 있어서, 상기 오일홈(2)과 연결되는 방사상의 오일통로(10)를 치의 ½ 피치면으로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치면 윤활이 용이한 기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통로(10)는 기어센터부(20)로부터 이뿌리원(30)이 만나는 부분까지는 오일가이드홈(1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1)과 치의 ½피치면으로 연통시킨 구멍(12)과 기어센터부(20)를 천공하여 오일홈(2)으로 연결시킨 오일구멍(13)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치면 윤활이 용이한 기어.
KR2019960067029U 1996-12-31 1996-12-31 치면윤활이 용이한 기어 KR199800538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029U KR19980053839U (ko) 1996-12-31 1996-12-31 치면윤활이 용이한 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029U KR19980053839U (ko) 1996-12-31 1996-12-31 치면윤활이 용이한 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839U true KR19980053839U (ko) 1998-10-07

Family

ID=5400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029U KR19980053839U (ko) 1996-12-31 1996-12-31 치면윤활이 용이한 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383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796B1 (ko) * 2008-12-04 2014-04-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저스기어장치의 오일윤활구조
KR101517731B1 (ko) * 2014-07-25 2015-05-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어유닛 및 이를 사용한 엔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796B1 (ko) * 2008-12-04 2014-04-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저스기어장치의 오일윤활구조
KR101517731B1 (ko) * 2014-07-25 2015-05-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어유닛 및 이를 사용한 엔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5913A (en) Rotary shaft coupling device
CN103671859A (zh) 一种发动机滑动齿轮的润滑结构
KR19980053839U (ko) 치면윤활이 용이한 기어
CN110081150B (zh) 风电齿轮箱及其行星轮轴承润滑固定结构
EP1633998A1 (en) Device for lubrication of a gear
JPS60168920A (ja) 強制潤滑式歯車形軸継手
CN212106889U (zh) 一种电驱动总成的电机轴与减速器轴同轴定心面润滑油槽
JPH0618009Y2 (ja) エンジンのチエ−ン潤滑構造
JP3318287B2 (ja) 伝動装置ユニットの噛合い歯を潤滑する方法
CN216841855U (zh) 凸轮轴止推片
JPH03199685A (ja) 流体ポンプ装置
KR100482125B1 (ko) 엔진의 밸런서 설치구조
KR970001999Y1 (ko) 차량변속기의 기어 윤활구조
CN219888695U (zh) 一种dct中间轴轴系润滑结构
CN108980193B (zh) 偏心定位的发动机惰齿轮轴结构
KR100803399B1 (ko) 자동변속기용 차동장치의 윤활 장치
CN201133451Y (zh) 链条炉排变速箱
US4141434A (en) Lubrication wand for transmission
KR20080102720A (ko) 오일펌프의 커버구조
JPS6220652Y2 (ko)
KR970002626Y1 (ko) 오일 펌프의 아이들 기어 결합구조
JPH07119428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クランク軸潤滑構造
KR200378912Y1 (ko) 치차 고정장치
CN116221377A (zh) 新能源车电机花键副的润滑方法及润滑结构
KR19980038645U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윤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