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708A -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708A
KR19980052708A KR1019960071727A KR19960071727A KR19980052708A KR 19980052708 A KR19980052708 A KR 19980052708A KR 1019960071727 A KR1019960071727 A KR 1019960071727A KR 19960071727 A KR19960071727 A KR 19960071727A KR 19980052708 A KR19980052708 A KR 1998005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ouncement
time slot
broadcast
gsc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종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708A/ko
Publication of KR1998005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708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안내방송 송출 방법 구현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페이징 교환기에서 안내방송장치로 실시간 안내방송 처리가능한 안내방송 송출 방법에 있어서, 안내방송장치에 해당된 메세지 타임슬롯을 안내방송종류에 따라 설정하는 과정과, 소정 안내방송종류의 안내방송 송출요구를 받으면 해당 메세지번호의 대기 큐로부터 다음 타임슬롯를 구하고, 상기 다음 타임슬롯의 상태를 비지로 세팅하는 과정과, 소정 시간마다의 사이클작업시 상기 다음 타임슬롯을 안내방송 송출 통보시 보내어 상기 다음 타임슬롯을 가입자와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Description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
본 발명은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안내방송 송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은 호 처리를 하는 도중 시스템 장애나 기타 안내방송을 들려 주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안내방송장치가 있는 서브시스템(sub-system)으로 안내방송 송출요구를 하여야 했다. 이러한 안내방송 송출에 필요한 구성은 도 1과 같다.
도 1은 TDX(Time Division Switching)방식의 페이징 교환기에서 안내방송 송출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광 링크를 통해 공간스위치(Space Switch) 300과 연결되는 두개의 서브시스템 100, 200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제1서브시스템 100의 타임스위치(time switch 110은 타임스위치프로세서(Time Switch Processor: 이하 TSP라 칭함) 106의 제어에 의거하여 중계장치 102 혹은 가입자장치 104를 공간스위치 300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TSP 106은 중계호 처리 프로그램인 TKC(TrunK Control part)와 가입자 호 처리프로그램인 ASC(Access Switching Control part) 108을 내장한다. 한편 제2 서브시스템 200의 타임스위치 210은 TSP 206의 제어에 의거하여 안내방송장치 202와 타임스위치 210 사이에 있는 서브하이웨이 케이블(sub-highway cable) SHW를 통해 공간스위치 300로 연결한다. 그리고 안내방송장치 202에 연결되어 있는 GSP(Global Service Processor) 208은 안내방송장치 202를 구동 제어하며, GSC(Global Service Control part) 208은 안내방송장치 202의 자원관리 및 메인 프로세서인 GSP 204와 TSP 206을 관장한다. 그리고, 도 1에서 공간스위치 300는 공간스위치 프로세서(Space Switch Processor: 이하 SSP라 칭함) 310의 제어에 의거하여 제1, 제2 서브시스템 100 및 200을 연결한다. SSP 310에 연결되어 있는 INP(Inter Network Processor) 320은 공간스위치 300의 자원관리 및 SSP 320을 관장한다.
도 2는 도 1과 같은 페이징 교환기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안내방송 송출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과 같은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종래 안내방송 송출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TKC,ASC 108에서 안내방송 연결을 GSC 208로 요구하면 GSC 208은 공간스위치 300의 연결요구를 INP 320에게 하고 INP 320이 공간스위치 300의 연결을 수행하고 이를 통보한다. 그러면 GSC 208은 안내방송장치 202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하이웨이 케이블 SHW에서 사용하지 않는 즉, 아이들(idle)상태인 타임슬롯(Time Slot)이 있는가를 도 2의 10단계와 같이 찾는다. 만약 아이들 상태인 타임슬롯을 찾으면 상기 타임슬롯 번호와 TKC,ASC 108에서 요구한 안내방송 메세지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를 통해 GSP 204로 명령을 하달한다. GSP 204는 안내방송 송출요구를 받으면 TD-버스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장치 202로 메세지번호와 타임슬롯번호를 주어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하고 TD-버스를 통해 안내방송장치 20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음이 확인되면 GSC 208로 안내방송이 송출되었음을 통보한다. GSP 204로부터 안내방송이 송출되었음을 통보받은 GSC 208은 TSP 206으로 안내방송장치 202와 타임스위치 210간의 연결을 요구한다. TSP 206은 이에 응답하여 안내방송장치 202와 타임스위치 210 간을 연결한 후 GSC 208로 타임스위치 210이 연결되었음을 통보한다. 그러면 GSC 208에서는 이에 응답하여 TKC, ASC 108로 안내방송이 송출되었음을 통보해 준다.
하지만 도 2의 10단계에서 타임슬롯이 없으면, GSC 208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한 안내방송 종류에 따른 가입자정보를 내부 큐(queue)에 순차적으로 저장한후 TSP 206으로 타임스위치 210의 연결을 요구한다. 타임 스위치 210의 연결요구를 받은 TSP 206은 이에 응답하여 안내방송장치 202와 타임스위치 210간을 연결한후 GSC 208로 타임스위치 210이 연결되었음을 통보한다. 이렇게 되면 GSC 208은 TKC,ASC 108로 음악방송의 송출을 통보하게 된다.
한편 안내방송 요구 폭주시 저장된 큐처리는 도 3과 같이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GSC 208이 TKC, ASC 108로부터 안내방송 해제요구를 받으면 INP 320으로 공간스위치 300의 해제를 요구하고 다시 TSP 206으로 타임스위치 206의 해제를 요구한다. 이후 GSC 208은 GSP 204로 안내방송 해제를 요구하고 그 메세지가 송출되던 타임슬롯을 아이들(idle)화한다. 이후 GSC 208은 큐에 저장된 안내방송 메세지가 있는가를 검색하여 저장된 메세지가 없으면 종료하고 저장된 메세지가 있으면 제일 먼저 큐에 저장된 메세지를 찾아(도 3의 20단계) 메세지번호와 아이들화된 타임슬롯번호를 GSP 204로 주어 안내방송 송출을 요구한다. 안내방송 송출을 요구받은 GSP 204는 안내방송장치 202를 구동하고 정상적인 구동이 되었으면 GSC 208로 안내방송 송출을 통보한다. GSP 204로부터 송출통보를 받은 GSC 208은 상기 GSP 204로 송출하도록 요구한 메세지에 해당된 가입자의 데이터를 찾아 현재 송출되고 있는 음악방송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고 안내방송에 해당되는 타임슬롯으로 스위칭을 하도록 TSP 206으로 타임스위치 210의 연결을 요구한다. 이에 응답하여 TSP 206으로부터 타임스위치 210의 연결통보를 받으면 GSC 208은 TKC, ASC 108로 안내방송의 송출을 통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이징 교환기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안내방송 송출 방법은 안내방송장치 202와 타임스위치 210간에 연결된 타임슬롯이 있는 경우에는 실시간 처리가 되었지만 안내방송 요구가 폭주하는 경우에는 가입자가 일단 음악방송을 어느정도 듣게 되다가 그 이후에 정상적인 안내방송을 들을 수 있었다. 이러한 동작은 음성가입자에게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일반가입자는 정상적인 안내방송을 듣을 수 없어서 다음의 연계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안내방송 송출방법에서는 안내방송 요구의 폭주시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음악방송이 송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방송 요구의 폭주시에도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안내방송 송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페이징 교환기에서 안내방송장치로 실시간 안내방송 처리가능한 안내방송 송출 방법에 있어서, 안내방송장치에 해당된 메세지 타임슬롯을 안내방송종류에 따라 설정하는 과정과, 소정 안내방송종류의 안내방송 송출요구를 받으면 해당 메세지번호의 대기 큐로부터 다음 타임슬롯를 구하고, 상기 다음 타임슬롯의 상태를 비지로 세팅하는 과정과, 소정 시간마다의 사이클작업시 상기 다음 타임슬롯을 안내방송 송출 통보시 보내어 상기 다음 타임슬롯을 가입자와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도 1은 TDX(Time Division Switching)방식의 페이징 교환기에서 안내방송 송출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종래 TDX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안내방송 요구가 폭주하는 경우의 큐 처리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송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GSP 204에 만들어진 각 메세지별 타임슬롯 포인트 연결도
도 6은 GSC 208로부터 송출요구를 받을 때 GSP 204의 처리 프로시저(procedure)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GSP 204에서 1초마다 수행하는 사이클 작업(cycle job)으로서, 대기 큐 상태 처리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도 도 1의 페이징 교환기에서 안내방송 송출을 위한 시스템 구성이 적용된다. 그리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안내방송 송출 방법이 도 4와 같이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송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KC,ASC 108에서 안내방송 연결을 GSC 208로 요구하면 GSC 208은 공간스위치 300의 연결요구를 INP 320에게 하고, INP 320은 이에 응답하여 공간스위치 300의 연결을 수행하고 이를 GSC 208에게 통보한다. 그러면 GSC 208은 GSP 204로 해당 안내방송을 송출토록 요구하고, 그러면 GSP 204에서는 다음 송출한 타임슬롯을 구해 GSC 208로 안내방송 송출을 통보한다. GSP 204에서 GSC 208로 통보하는 타임슬롯을 구하는 방법은 도 5, 도 6, 및 도 7과 같다.
상기 타임슬롯을 통보받은 GSC 208은 다시 안내방송장치 202와 공간스위치 300간의 통화로 경로(pass)를 연결토록 TSP 206으로 요구한다. TSP 206은 이에 응답하여 안내방송장치 202와 타임스위치 210 간을 연결한 후 GSC 208로 타임스위치 210이 연결되었음을 통보한다. 그러면 GSC 208에서는 이에 응답하여 TKC, ASC 108로 안내방송이 송출되었음을 통보해 준다.
한편 상기 GSP 204에서 GSC 208로 통보하는 타임슬롯을 구하는 방법을 도 5,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GSP 204에 만들어진 각 메세지별 타임슬롯 포인트 연결도이고, 도 6은 GSC 208로부터 송출요구를 받을 때 GSP 204의 처리 프로시저(procedure)이다. 그리고, 도 7은 GSP 204에서 1초마다 수행하는 사이클 작업(cycle job)으로서, 대기 큐 상태 처리도이다.
GSP 204에서는 자원관리를 위해 도 5와 같은 데이타를 만든다. 도 5에서, 대기 큐 WAIT_Q는 안내방송종류별로 다음 송출될 타임슬롯 번호 TS_NO 및 타임슬롯의 상태 STATE(아이들 또는 비지)를 저장한다. 상기 각 메세지별(MSG#1∼MSG#MAX_MSG_NO)로 다수기의 대기 큐 WAIT_Q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대기 큐WAIT_Q는 포인트 FP의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GSP 204는 초기화를 할때 메세지별(MSG#1∼MSG#MAX_MSG_NO) 해당된 타임슬롯을 링크화를 시키고 상태 STATE를 아이들(idle)화 시킨다.
도 6은 GSC 208로부터 안내방송 송출 요구를 받으면 GSP 204가 처리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GSP 208이 안내방송 송출요구를 받으면 해당 메세지번호의 대기 큐 WAIT_Q로부터 다음 타임슬롯 NEXT_TS를 구하여(600단계), 상기 다음 타임슬롯 NEXT_TS의 상태 STATE가 아이들(idle)이면 604단계로 진행하여 비지(busy)로 세팅시키고, 비지이면 세팅시키지 않는다. 그후 다음 타임슬롯 NEXT_TS을 GSC 208로 안내방송 송출 통보시 보내어 GSC 208에서 상기 다음 타임슬롯 NEXT_TS을 가입자와 연결하도록 한다.
도 7은 GSP 204에서 1초마다 수행하는 사이클 작업(cycle job)인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작업은 1초마다 메세지별(MSG#1∼MSG#MAX_MSG_NO)로 수행하는데 소정 메세지 예를 들면, MSG#1에 해당된 대기 큐 WAIT_Q로부터 타임슬롯 번호 TS_NO을 다음 타임슬롯 NEXT_TS로 가져온다(700∼704단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메시지번호 MSG_NO가 입력되면, 700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번호 MSG_NO을 변수 I로 정한다. 그후 702단계에서 상기 변수 I가 최대 메세지번호 MSG#MAX_MSG_NO보다 큰가를 판단하고 만약 작으면 704단계로 진행한다. 704단계에서 현재 메세지번호의 타임슬롯 번호 WAIT_Q(I).TS_NO를 다음 타임슬롯번호 NEXT_TS로 가져온다.
그후 706단계에서 상기 다음 타임슬롯 NEXT_TS의 상태(STATE)를 보아 비지(busy)이면 708단계로 진행하여 이 메세지가 현재의 다음 타임슬롯 NEXT_TS로 송출되도록 안내방송장치 202를 구동시킨다. 안내방송장치 202를 구동시킨후 대기 큐 WAIT_Q(I)의 타임슬롯 번호 TS_NO를 다음 포인트 MSG_TS(NEXT_TS).FP로 가져간다. 그러나 만일 702단계에서 아이들이면 현재 안내방송요구가 없으므로 그냥 종료를 시킨다.
GSP 204에서 GSC 208로 타임슬롯 번호 TS_NO를 보낼 때는 대기큐 WAIT_Q에 있는 타임슬롯번호 TS_NO를 보내는데 이 대기큐 WAIT_Q에 있는 타임슬롯 번호 TS_NO는 GSP 204의 1초 사이클 작업으로 변할 수 있다. 대기큐 WAIT_Q의 타임슬롯 번호 TS_NO가 변하는 시간은 1초이고, 1초 사이에 안내방송 연결요구는 대기큐 WAIT_Q에 있는 타임슬롯 번호 TS_NO로 송출되는 안내방송에 연결한다. 그러므로 가입자는 음악방송을 듣는 경우 없이 항상 안내방송을 듣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SP에서 안내방송장치에 해당된 타임슬롯을 안내방송종류별로 관리하고 구동함에 따라, 폭주시에도 음악바송을 가입자가 듣는 경우 없이 곧바로 해당된 안내방송을 들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페이징 교환기에서 안내방송장치로 실시간 안내방송 처리가능한 안내방송 송출 방법에 있어서,
    안내방송장치에 해당된 메세지 타임슬롯을 안내방송종류에 따라 설정하는 과정과,
    소정 안내방송종류의 안내방송 송출요구를 받으면 해당 메세지번호의 대기 큐로부터 다음 타임슬롯를 구하고, 상기 다음 타임슬롯의 상태를 비지로 세팅하는 과정과,
    소정 시간마다의 사이클작업시 상기 다음 타임슬롯을 안내방송 송출 통보시 보내어 상기 다음 타임슬롯을 가입자와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방송 송출 방법.
KR1019960071727A 1996-12-24 1996-12-24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 KR19980052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727A KR19980052708A (ko) 1996-12-24 1996-12-24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727A KR19980052708A (ko) 1996-12-24 1996-12-24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708A true KR19980052708A (ko) 1998-09-25

Family

ID=6638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727A KR19980052708A (ko) 1996-12-24 1996-12-24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7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038B1 (ko) * 1999-12-20 2007-01-11 주식회사 케이티 V5.2인터페이스 중계선 폭주시 안내방송 송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038B1 (ko) * 1999-12-20 2007-01-11 주식회사 케이티 V5.2인터페이스 중계선 폭주시 안내방송 송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3038B1 (en)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for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3455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leting inbound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24229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9980052708A (ko) 페이징 교환기에서의 안내방송 송출방법
US6088597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ch-path
JP2845263B2 (ja) V5.2通信方式用輻輳制御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v5.2通信網システム
KR100835039B1 (ko) 셀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690695B2 (ja) 交換網における放送サービスシステムとその分岐方法
JPS6387045A (ja) 同報通信システム
JP2933478B2 (ja) 交換システムのリソース制御方式
KR100233258B1 (ko) 메시지 분배장치에서 고유 식별자를 이용한 공통선 메시지 분배 방법
KR100414652B1 (ko) Imt-2000 제어국 시스템에서의 중앙 집중식 호처리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64867B1 (ko) 전송장치에서 방송회선의 다중방송 구현방법
JPH10191422A (ja) Phs緊急発信呼接続制御方式
KR100270737B1 (ko)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에서착신되는음성호처리방법
JP326632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テライトシステム中継方式
KR20040059561A (ko) 무선자원 및 세션 해제방법
KR19980061843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오피에스 호 분배 처리 방법
JP3177879B2 (ja) 多重化回線の状態遷移処理方法及び通信処理装置
JPS6322748B2 (ko)
JP2998385B2 (ja) 放送型情報提供方式
JPS6346046A (ja) バ−スト通信制御方式
KR10020829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오피에스 즉시 요구 호 처리 방법
KR980007199A (ko)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해 재시동방법
JPH09162982A (ja) 局間トーキー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