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199A -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해 재시동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해 재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7199A
KR980007199A KR1019960022451A KR19960022451A KR980007199A KR 980007199 A KR980007199 A KR 980007199A KR 1019960022451 A KR1019960022451 A KR 1019960022451A KR 19960022451 A KR19960022451 A KR 19960022451A KR 980007199 A KR980007199 A KR 980007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art
block
signal
upcf
upi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3376B1 (ko
Inventor
김응하
오문균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2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376B1/ko
Publication of KR98000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measures in reaction to resource unavailability
    • H04L47/748Negotiation of resources, e.g. modification of a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재시동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호 해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거나 호가 수행되는 중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가상채널이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해제할 수 있은 방법이 없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재시동 요구를 수신하면 호 해제가 안된 가상채널이 갖고 있는 사용자 망 정합(UNI)링크 자원을 해제하고, 스위치 링크 자원을 해제하며, UNI 대역폭 자원을 해제하고, 가입자 정합 모듈 제어기(SIMC)에서 연결을 해제하고, 호가 연결된 상대편 즉, 대국으로 호 해제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자원 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재시동 처리에 의해 회수된 자원을 다른 호 설정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호연결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어 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한 재시동방법으로 이용됨.

Description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해 재시동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전달모드(ATM) 가상채널(VC)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시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블럭간의 메시지 흐름도.
제3a 도 내지 제 3d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시동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

Claims (8)

  1. 사용자 단말과 신호 프로토콜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프로토콜 정합 기능블럭(UPIF: User Protocol Interface Function)(21), 상기 UPIF블럭(21)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재시동 요구를 수신하는 재시동 수신 프로세서(22)와 교환 시스템의 재시동 요구를 UPIF블럭(21)으로 전송하는 재시동 발신 프로세서(23)와 각각의 호 연결 제어를 수행하는 자프로세서(24) 및 주 프로세서(25)를 포함하여 호 연결 설정 및 해제 기능과 재시동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 기능블럭(UPCF: User Protocol Control Function)(7)을 구비한 비동기전달모드 (ATM) 가 상채털(VC:Virtual Channel)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가입자 단말이 교환 시스템으로 재시동을 요구한 경우의 재시동방법에 있어서, UPCF블럭의 재시동 수신 프로세스(22)와 UPIF 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신호를 수신하면 재시동 신호와 함께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에러를 검사하여 에러가 없다고 확인이 되면 수신된 메시지내의 재시동 식별자값에 따라 재시동을 처리하고자 하는 범위를 분류한 후, 호 참조 값 관리 테이블을 탐색하여 각각 해당되는 호처리하는 있는 UPCF블럭의 자(child) 프로세스(24)로 재시동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24)는 UPCF블럭의 재시동 수신 프로세스로(22)로부터 재시동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이 점유하고 있던 사용자 망 정합(UNI:User Network Interface)링크 자원을 해제하고, 스위치 링크 자원을 해제하며, UNI 대역폭 자원을 해제하고, 가입자 정합 모듈 제어기(SIMC: SIM Controller)에서 연결을 해제하고, 호가 연결된 상대편 즉, 대국으로 호 해제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 UPIF블럭(21)으로 호 중단 신호를 전송하고, UPCF블럭의 재시동 수신 프로세스(22)로 재시동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제2단계; 및 UPCF블럭의 재시동 수신 프로세스(22)는 자신이 재시동 요구 신호를 전송한 수와 동일하게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24)로 부터 재시동 요구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재시동 완료 신호를 UPIF블럭(21)으로 전송하여 재시동을 요구한 사용자 단말에게 통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UPCF블럭의 재시동 수신 프로세스(22)는 UPCF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내에 호 참조 값이 글로벌 호 참조 값(Global Call Reference Value)인 0인지를 먼저 확인하고, 다음으로 메시지를 구성하는 정보 요소의 에러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글로벌 인터페이스 상태 값이 재시동 신호를 이전에 수신하지 않은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호 참조 값이 0이 아니거나, 메시지를 구성하는 정보 요소에 에러가 있거나, 글로벌 인터페이스 상태 값이 재시동 신호를 이전에 수신한 상태이면 에러의 원인을 저장한 상태 신호를 UPIF블럭(21)으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고 에러가 없으면 수신된 메시지내의 재시동 식별자의 값에 따라 재시동 하고자 하는 범위를 결정하여 호 참조값 관리 테이블을 탐색하여 각각 가상 채널에 연결이 되어 호를 처리하고 있는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24)로 재시동 요구 신호를 전송한 후, 재시동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내의 재시동 식별자의 값에 따른 재시동 하고자 하는 범위는, 호가 설정된 특정 가상채널과 가상경로안에서 연결이 이루어진 모든 가상채널 및 신호 채널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가상채널로 구분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UPCF블럭의 재시동 수신 프로세스(22)가 재시동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 수신 대기 상태에서 재시동 요구 완료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대기 타이머가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면 UPIF블럭(21)으로 재시동 요구가 종료 되었음을 통보하는 제4단계; UPCF블럭의 재시동 수신 프로세스(22)가 재시동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 수신 대기 상태에서 UPCF블럭의자 프로세스(24)로부터 재시동 요구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이 재시동 요구 신호를 전송한 수와 자 프로세스(24)로부터 수신된 재시동 요구 완료 신호 수를 비교하는 제5단계; 및 재시동 요구 신호를 전송한 수와 수신된 재시동 요구 완료 신호 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재시동 요구 완료 신호가 모두 수신될 때 까지 대기하고, 동일하면 대기 타이머를 해제하고, UPIF블럭(21)으로 재시동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교환 시스템에서 호 해제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반복하여 전송하였으나 응답이 없는 경우에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24)는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로 재시동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 UPIF블럭(21)과 UPCF 주 프로세스(25)에 호를 중지시키라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4단계; 및 UPIF블럭(21)과 UPCF 주 프로세스(25)는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로(24)부터 호 중지 신호를 수신하면 호 참조 값 관리 테이블에서 해당 부분을 해제시키고,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는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24)로부터 재시동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UPIF블럭(21)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송하여 UPIF블럭(21)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재시동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종료한느 제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가 UPCF브럭의 자 프로세스(24)로부터 재시동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UPIF(21)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송하고, UPIF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6단계;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가 UPIF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상태에서 재시동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재시동 응답 대기 타이머를 해제하고, 재시동 요구를 종료하는 제단계;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가 UPIF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상태에서 재시동에 대한 응답이 없이 재시동 응답 대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재시동 신호를 UPIF블럭(21)으로 재전송하는 제8단계; 및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가 재시동 신호를 재전송할 후에 또다시 재시동 응답 대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재시동 요구를 종료하고, 재시동 신호를 재전송한 후에 UPIF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재시동 응답 대기 타이머를 해제하고, 재시동 요구를 종료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방법.
  7. 사용자 단말과 신호 프로트콜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프로토콜 정합 기능블럭(UPIF: Ueer Protocol Interface Function)(21), 상기 UPIF블럭(21)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재시동 요구를 수신하는 재시동 수신 프로세스(922)와 교환 시스템의 재시동 요구를 UPIF블럭(21)으로 전송하는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와 각각의 호 연결 제어를 수행하는 자 프로세스(24) 및 주 프로세스(25)를 포함하여 호 연결 설정 및 해제 기능과 재시동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프로토콜 제어 기능블럭(UPCF: User Protocol Control Function)(7)을 구비한 비동기전달모드(ATM) 가상채널(VC: Virtual Channel) 교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교환 시스템에서 가입자 단말로 재시동을 요구한 경우의 재시동방법에 있어서,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24)가 UPIF블럭(21)으로 호 해제 요구 신호를 반복하여 송신하였으나,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대기 타이머가 종료되었음을 통보받으면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로 재시동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 UPIF블럭(21)과 UPCF 주 프로세스(25)로 호 참조 값 해제를 위하여 호 중단 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 및 UPIF블럭(21)과 UPCF 주 프로세스(25)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24)로부터 호 중지 신호를 수신하면 호 참조 값 관리 테이블에서 해당 부분을 해제시키고,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는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24)로부터 재시동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UPIF블럭(21)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송하고, UPIF블럭(21)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재시동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종료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가 UPCF블럭의 자 프로세스(24)로부터 재시동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UPIF블럭(21)으로 재시동 신호를 전송하고, UPIF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3단계;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가 UPIF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상태에서 재시동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재시동 응답 대기 타이머를 해제하고, 재시동 요구를 종료하는 제4단계;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가 UPIF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요구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상태에서 재시동에 대한 응답이 없이 재시동 응답 대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재시동 신호를 UPIF블럭(21)으로 재전송하는 제5단계; 및 UPCF블럭의 재시동 발신 프로세스(23)가 재시동 신호를 재전송한 후에 또다시 재시동 응답 대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재시동 요구를 종료하고, 재시동 신호를 재전송한 후에 UPIF블럭(21)으로부터 재시동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재시동 응답 대기 타이머를 해제하고, 재시동 요구를 종료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시동방법.
KR1019960022451A 1996-06-19 1996-06-19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한 재시동방법 KR0173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451A KR0173376B1 (ko) 1996-06-19 1996-06-19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한 재시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451A KR0173376B1 (ko) 1996-06-19 1996-06-19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한 재시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199A true KR980007199A (ko) 1998-03-30
KR0173376B1 KR0173376B1 (ko) 1999-04-01

Family

ID=1946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451A KR0173376B1 (ko) 1996-06-19 1996-06-19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한 재시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971A (ko) * 1998-12-16 2000-07-05 김영환 이동통신 망요소와 망관리 센터 연동시의 메시지 전송억제/해제방법
KR20040022907A (ko) * 2002-09-10 2004-03-18 주식회사 케이티 Atm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971A (ko) * 1998-12-16 2000-07-05 김영환 이동통신 망요소와 망관리 센터 연동시의 메시지 전송억제/해제방법
KR20040022907A (ko) * 2002-09-10 2004-03-18 주식회사 케이티 Atm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3376B1 (ko)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8721C (zh) 对基于流控制传送协议的偶联进行保护的方法
KR960020577A (ko) Cdma 이동통신교환기에서 하드 핸드오프 제어방법
US5511230A (en)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master system and multiple slave systems in time division mode where a next slave is serviced upon receipt of final acknowledgement
KR980007199A (ko) 비동기전달모드 가상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신호에 의해 재시동방법
KR100312310B1 (ko) 무선 가입자망에서 다수의 무선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JPH05122278A (ja) 交換機の端末制御方式
JP2616388B2 (ja) 呼救済処理方式
KR960004718B1 (ko) 비동기식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텔레비젼 방송호 제어방법
KR100281742B1 (ko) 프레임 릴레이 영구 가상연결 및 교환가능 가상연결 연동을 위한 교환가능 가상연결 프록시 기능 구현방법
JPH0498345A (ja) 端末装置の通信制御方式
KR100194957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에서 프로세스 재시동에 의해발생된 비정상 호의 해제 처리 방법
JP3056075B2 (ja) ネットワークパスの切断・再接続方式
KR10025251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패킷교환을 위한 정상 호 설정방법
JPS6322748B2 (ko)
KR100206307B1 (ko) 전자교환기에서 효율적인 x.25프로토콜 구현방법
KR100252515B1 (ko) 패킷교환을 위한 전전자 교환기에서 타이머 만료 처리방법
JP2002009940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S6346046A (ja) バ−スト通信制御方式
CN115379518A (zh) 一种寻呼处理方法及系统
KR0169251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 제어기 재시동에 의해 발생된 호 해제 방법
KR960043937A (ko) 분산제어 교환시스템에서의 호처리중에 발생하는 무효한 자 프로세스(Child Process) 제거 방법
JPH0410892A (ja) 発着独立呼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呼切断方式
KR20000000896A (ko) 통화회선 감시제어방법
KR20010039059A (ko) 에프알/피알아이 호 프로세스 식별자를 이용한 자원 해제 관리 방법
KR19990054257A (ko) 에스에스7프로토콜 스택과 기지국 운용기간의 통신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