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549U -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 Google Patents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549U
KR19980051549U KR2019960064726U KR19960064726U KR19980051549U KR 19980051549 U KR19980051549 U KR 19980051549U KR 2019960064726 U KR2019960064726 U KR 2019960064726U KR 19960064726 U KR19960064726 U KR 19960064726U KR 19980051549 U KR19980051549 U KR 199800515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air extractor
interio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4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549U/ko
Publication of KR19980051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54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60H1/249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using 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방 하측에 부착되어 차실내의 공기 및 이물질 등을 차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트렁크룸 하부에 부착되어 차실내의 공기를 차실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압에 의하여 개폐되는 플랩 및 이 플랩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에 있어서, 상기 저판은 차실내부에 위치한 수집턱과, 이 수집턱과 연결되고 차실외부를 향하여 하방경사지며 연장형성된 경사부로 구성되어, 차실내 특히 트렁크의 이물질이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저판상에 지속적으로 수집될 수 있어 결국 차실내 및 트렁크룸내의 공기가 보다 청정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본 고안은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 하측에 부착되어 차실내의 공기 및 이물질 등을 차 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의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외부의 공기를 차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뿐 만 아니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차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장착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자동차 및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사시도이다.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9)은 보통 자동차의 후방 휠하우스패널 근처에 설치되는데 이는 차실내의 공기가 차실외부로 원활히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즉, 차실 내부의 공기압이 높아지거나 또는 어떠한 이유에 의하여 차실내의 공기가 혼탁해진 경우에 이 혼탁해진 공기를 먼지등의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서 운전자 및 승객에게 보다 청정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자동차의 패널(1)에 형성된 홀은 차실내와 차실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로써 상기 홀을 커버하는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9)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9)은 저판(7) 및 플랩(flap)(8)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플랩(8)은 보통 고무의 재질로 되어 있어 차실내부에서 어떠한 공기압이 가해질 경우에 점선부분으로 이동되며 공기를 배출할 수 있었다.
상기 저판(7)은 상기 패널(1)과 거의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평소에는 상기 저판(7)의 끝단부에 상기 플랩(8)의 내측면에 닿아 있는 상태로 있어 상기 플랩(8)이 차실내부와 차실외부사이에서 차단막의 역할을 하고 있고, 내부에서 어떠한 압력이 가해질때마다 그 압력에 의하여 플랩(8)의 점선부분으로 이동되며 차실내부의 공기가 차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9)은 그 저판(7)이 수평한 상태로 있어 내부의 이물질이 저판(7)의 상부에 수집될 수 없는 구조였다. 즉, 공기의 배출 및 기타의 이유로 인하여 상기 저판(7)의 상부에 이물질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상기 플랩(8)이 열리지 않는 어떠한 작은 기류에 의하여서도 상기 이물질은 상기 저판(7)으로부터 떨어져 차실내로 회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이물질이 차실내로 회송됨에 따라 차실내의 공기가 혼탁해 짐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차실내의 이물질이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저판상의 지속적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여 차실내의 공기를 보다 청정하게 하는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장착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자동차 및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11 : 플랩
12 : 경사부13 : 수집턱
15 : 저판D : 이물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은 자동차의 트렁크룸 하부에 부착되어 차실내의 공기를 차실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압에 의하여 개폐되는 플랩 및 이 플랩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에 있어서, 상기 저판은 차실내부에 위치한 수집턱과, 이 수집턱과 연결되고 차실외부를 향하여 하방경사지며 연장형성된 경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단면도이다.
자동차의 패널(1)에 형성된 홀은 차실내와 차실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로써 상기 홀을 커버하는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1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10)은 저판(15) 및 플랩(11)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플랩(11)은 보통 고무의 재질로 되어 있어 차실내부에서 어떠한 공기압이 가해질 경우에 점선부분으로 이동되며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패널(1)이 거의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저판(15)은 소정의 각도를 지니며 기울어진형태 즉, 차실내의 단부가 차실외부의 단부보다 높은위치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소(차실내부의 공기압이 높지 않으며 도어의 닫힘이 없어 상기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10)을 향하여 공기의 유동이 없는 상태)에는 경사부(12)의 끝단부에 상기 플랩(11)의 내측면이 닿이 있는 상태로 있어 상기 플랩(11)이 차실내부와 차실외부사이에서 차단막의 역할을 하고 있고, 내부에서 어떠한 압력이 가해질때마다 그 압력에 의하여 플랩(11)이 점선부분으로 이동되며 차실내부의 공기가 차실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저판(15)은 차실내부의 형성되어 있는 수집벽(13) 및 패널(1)에 고정되어 있는 경사부(12)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상기 경사부(12)는 차실내부쪽이 차실외부쪽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의 차실내부쪽에는 수집벽(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집벽(13)은 상기 경사부(12)에 어떠한 이물질이 떨어졌을때에 차실내부의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이물질(D)이 차실내로 역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의 실내에 있는 먼지 및 각종의 이물질(D) 등이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경사부(12)에 떨어지게 되면 상기 경사부(12) 상부에 어떠한 공기의 유동(그 유동 압력이 비교적 작은 경우)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경사부(12)의 구조 및 수집벽(13)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D)은 차실내로 회송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경사부(12)의 상면에는 이물질(D)이 더욱 많이 쌓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자동차의 도어를 닫을 때 공기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기 에어 익스트랙터그릴(10)을 향하게 되어 상기 플랩(11)은 점선부분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 상기 공기와 함께 상기 이물질(D)은 차실 외부로 유출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에 의하면, 차실내 특히 트렁크에 이물질이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의 저판상에 지속적으로 수집될 수 있어 결국 차실내 및 트렁크룸내의 공기가 보다 청정해진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트렁크룸 하부에 부착되어 차실내의 공기를 차실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압에 의하여 개폐되는 플랩 및 이 플랩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에 있어서,
    상기 저판은 차실내부에 위치한 수집턱과,
    이 수집턱과 연결되고 차실외부를 향하여 하방경사지며 연장형성된 경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KR2019960064726U 1996-12-30 1996-12-30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KR199800515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726U KR19980051549U (ko) 1996-12-30 1996-12-30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726U KR19980051549U (ko) 1996-12-30 1996-12-30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549U true KR19980051549U (ko) 1998-10-07

Family

ID=5400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726U KR19980051549U (ko) 1996-12-30 1996-12-30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54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8620A (en) Device for cleaning surrounding air fed to passenger compartment of motor vehicle
EP0070636B1 (en) Cab with heating and/or ventilating system
EP0077215B1 (en) Combined storage cabinet and ventilation for automotive vehicles
US5921619A (en) Air handling system for vehicle cab
KR920005377B1 (ko) 차량의 앞부분의 차체구조
US6004202A (en) Truck cab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US2747922A (en) Vehicle window well drainage and sealing means
EP0810110A2 (en) Construction machine
KR19980051549U (ko)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KR20040038284A (ko) 우산을 수납할 수 있는 자동차
JP3106847B2 (ja) 空調用外気取入構造
JPH07117570A (ja) 自動車のドアスピーカー取付部の排水構造
JP2005008126A (ja) 車両用換気装置
JPH08175155A (ja) キャビンの外気導入装置
JPH0485183A (ja) 自動車用エアボックスサイド部構造
JPH0872540A (ja) 車両用引き違い窓の水抜き構造
JPS625370Y2 (ko)
JPH06270662A (ja) 車体のエアボックス構造
JPS6121817A (ja) 自動車用ブロワ装置
JPS607210Y2 (ja) 車輌の固定側窓の下部水抜構造
KR100320966B1 (ko) 자동차용 리어범퍼 사이드 커버 장착구조
JPS6240818Y2 (ko)
KR200303409Y1 (ko) 우산을 수납할 수 있는 자동차
JPS6239982Y2 (ko)
JP2510652Y2 (ja) 自動車用エアボック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