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152U -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152U
KR19980051152U KR2019960064329U KR19960064329U KR19980051152U KR 19980051152 U KR19980051152 U KR 19980051152U KR 2019960064329 U KR2019960064329 U KR 2019960064329U KR 19960064329 U KR19960064329 U KR 19960064329U KR 19980051152 U KR19980051152 U KR 199800511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side panel
bus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영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4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152U/ko
Publication of KR19980051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152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경첩 구조 대신에 피봇형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조립성 및 정비성을 향상시키며,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버스의 피스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상단은 부시(34)를 개재하여 상부 힌지(12)를 중심으로 서포트 브라켓(28)에 의해 사이드 패널(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은 부시(36)를 개재하여 하부 힌지(14)를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32)에 의해 사이드 패널(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0)와, 컨트롤러(20)의 작동시에 사이드 패널(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도어(10)를 개방하는 롤러(18)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
본 고안은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경첩 구조 대신에 피봇형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조립성 및 정비성을 향상시키며,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외형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주로 적은 인원이 탑승하는 승용차와, 많은 인원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버스와,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트럭 및 대형 장비나 컨테이너 등을 운반하는 트레일러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버스는 운전석의 위치나 승차정원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고급형의 고속버스나 리무진의 보급도 점차 증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버스의 측면도로, 프론트 사이드 패널(2)에는 승객이 타고 내릴 때에 사용하는 도어(4)가 경첩(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어(4)는 경첩(8)에 의해 가운데 부분이 접힐 수 있도록 접철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는 경첩을 이용하여 사이드 패널에 고정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많이 걸리며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 한편, 경첩이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단은 부시를 개재하여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서포트 브라켓에 의해 사이드 패널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은 부시를 개재하여 하부 힌지를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에 의해 사이드 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컨트롤러의 작동시에 사이드 패널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도어를 개방하는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의 상부와 하부를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한 다음, 이들 힌지를 부시로 감쌈으로써,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하며,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버스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피봇형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버스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채용한 상부 힌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하부 힌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12 : 상부 힌지
14 : 하부 힌지16 : 가이드 레일
18 : 롤러22 : 경첩
24 : 스토퍼26, 30 : 체결홀
28 : 서포트 브라켓32 : 베이스 부재
34, 36 : 부시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피봇형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버스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채용한 상부 힌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하부 힌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이 작동에 따라 개방되는 도어(10)의 중앙은 경첩(22)에 의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단은 상부 힌지(12)와 하부 힌지(14)에 의해 사이드 패널(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단은 롤러(18)에 의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어의 일측 상단은 부시(34)를 개재하여 상부 힌지(12)를 중심으로 서포트 브라켓(28)에 의해 사이드 패널(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 하단은 부시(36)을 개재하여 하부 힌지(14)를 중심으로 베어스 부재(32)에 의해 사이드 패널(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롤러(18)는 컨트롤러(20)의 작동시에 사이드 패널(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도어(10)를 개방하게 되며, 롤러(18)가 설치된 도어의 하단부에는 도어(10)의 이동을 제지하는 스토퍼(2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5와 도 6은 각기 본 고안에서 채용한 상부 힌지(12)와 하부 힌지(14)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힌지(12)의 하단은 체결홀(26)에 의해 도어(10)에 고정되며, 상단은 서포트 브라켓(28)에 의해 사이드 패널(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서포트 브라켓(28)과 상부 힌지(12)간에는 부시(34)를 끼워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하였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힌지(14)의 상단은 체결홀(30)에 의해 도어(10)에 고정되며, 하단은 베이스 부재(32)에 의해 사이드 패널(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베이스 부재(32)와 하부 힌지(14)간에는 부시(36)를 끼워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하였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의 상부와 하부를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한 다음, 이들 힌지를 부시로 감쌈으로써,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하며,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단은 부시(34)를 개재하여 상부 힌지(12)를 중심으로 서포트 브라켓(28)에 의해 사이드 패널(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은 부시(36)를 개재하여 하부 힌지(14)를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32)에 의해 사이드 패널(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0)와, 컨트롤러(20)의 작동시에 상기 사이드 패널(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10)를 개방하는 롤러(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
KR2019960064329U 1996-12-30 1996-12-30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 KR199800511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329U KR19980051152U (ko) 1996-12-30 1996-12-30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329U KR19980051152U (ko) 1996-12-30 1996-12-30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152U true KR19980051152U (ko) 1998-10-07

Family

ID=5400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329U KR19980051152U (ko) 1996-12-30 1996-12-30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1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705B1 (en) Vehicle independent rear access panel with four bar hinge
US7950719B2 (en) Vehicle dual hinge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system
US7950109B2 (en) Vehicle 180 degree rear door articulating mechanism
KR19980051152U (ko) 버스의 피봇형 힌지 도어 장착구조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KR100507526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200155066Y1 (ko) 승합차량의 슬라이드 도어용 상부 롤러 수평 유지구조
KR100370831B1 (ko) 리어 데크 플루어 블랭크 커버링장치
KR200148144Y1 (ko) 자동차의 후방도어 힌지 구조
KR100456517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차체에 대한 장착 구조
KR19980010788U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힌지
KR100452017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글래스 개폐장치
JPH03121925A (ja) 車両のドア開閉構造
KR100370836B1 (ko) 게이트와 플로워 블랭크 공간 커버링 장치
KR19990019571A (ko) 가스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KR100395687B1 (ko) 자동차의 리어 언더뷰 미러 결합구조
KR100534281B1 (ko) 차량의 트렁크 개폐구조
KR19990034499A (ko) 승합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센터롤러 브래킷 고정 구조
KR19980048301U (ko) 자동차용 백도어의 스테이 구조
KR19980024383U (ko) 토오션 바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KR980008421U (ko) 트렁크 리드의 힌지 개폐구조
KR19980058611A (ko) 백도어
KR19980052682U (ko) 자동차의 창문 개폐용 레규레이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