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149A -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149A
KR19980051149A KR1019960070019A KR19960070019A KR19980051149A KR 19980051149 A KR19980051149 A KR 19980051149A KR 1019960070019 A KR1019960070019 A KR 1019960070019A KR 19960070019 A KR19960070019 A KR 19960070019A KR 19980051149 A KR19980051149 A KR 19980051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hickness
coil
weld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636B1 (ko
Inventor
조성봉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1996007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6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6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임용접등 저항용접에 있어서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의 품질을 용접부 두께를 측정하여 용접의 양, 부를 판정하는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의 연속생산울 위한 메쉬시임(Mesh seam)용접의 용접부 품질판정방법에 있어서 라인제어용 컴퓨터로부터 미리 선행 코일과 후일 코일에 대한 강종과 두께정보를 통신에 의해 입력받아 설정된 용접후의 용접부 두께설정값과, 용접전극휠에서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용접부 두께측정센서로부터 얻은 용접부의 두께값의 대소를 비교하여 용접의 양(良), 부(不)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방법
본 발명은 시임(Seam)용접 등 저항용접에 의한 프로세스(Process)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의 품질 판정방법에 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 라인으로서 연속소둔 라인(Contiuous Annealing Line)등에 있어서는 선행 코일 후단부와 후행 코일의 선단부를 시임용접(Seam Welding)하여 통판하게 된다.
이때 코일은 소둔로속에서 고은으로 가열되고 통판 경로에서 작용하는 장력(Tension) 에 의해 힘을 받게 된다. 고런데 간혹 소둔로속에서 코일이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가장 취약한 용접부 또는 고 근방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연속라인의 용접 품질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종래에는 용접부 시임(Seam)을 따라서 용접 전극휠(Wheel)직후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일본특개소 63 - 203285)등이 있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시임(Seam)용접부 판정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에 있어서 도면부호1은 코일 스트립(Coil Strip), 2는 코일스트립 1을 용접전에 고정 지지하는 클럼프(Clamp), 3은 용접 전극 휠(Wheel), 4는 갭 센서(Gap Sensor), 5는 신호변환기, 6은 제어기, 7은 적외선 온도계, 8은 설정온도(계산치), 9는경보장치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용접중 전극 훨(3)의 직후에 적외선 온도계(7)를 장착하여 용접부의 온도를 계측하여 이 계측된 값을 가지고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두께에 따라 적정한 온도범위영역을 미리 설정하여 용접품질의 양(良), 부(不)를 판정했다.
고리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용접전극 휠(3)이 사용중 마모가 되어 드레서(Dressor)등에 의해 주기적으로 가공을 하게 됨에 따라 도3의(a)와 (b)같이 용접시의 상태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같은 소재, 같은 두께를 같은 조건으로 용접하여도 용접직후 용접부 표면의 온도는 다르게 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및 (1a)의 두께가 현저히 차이가 나는 용접의 경우는 계측된 온도에 의해서 접합부 품질을 평가하기도 어렵고, 이러한 조건의 변화에 따라 플레쉬(Flash)등이 발생하는 경우 온도의 변화가 매우 심하고 용접품질을 평가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빔 센서와 같은 두께측정센서를 사용하여 용접직후의 용접부두께를 측정하여 용접품질을 판정함으로써, 용접품질을 정확하게 판정하여 코일의 판파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 접속 용접부의 품질판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기술의 용접부 판정장치 구성도
도2는 종래기술의 스트립 두께, 용접부 온도 및 용접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용접휠이 마모가 되었을때 용접 상태도
도4는 용접소재의 두께가 현저히 차이가 날때의 용접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용접부 판정장치의 구성도
도6는 본 발명의 두께 측정 윈리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선, 후행 코일(Coil) 2:클램프(Clamp)
3:용접전극의 상, 하 휠(wheel) 4:갭 센서(Gap Sensor)
5:신호변환기 6:제어기
7:적외선 온도계 8:설정온도치(계산치)
9:경보장치 10:설정두께치(계산치)
11:상부두께 측정센서 12:하부두께 측정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의 연속생산을 위한 메쉬시임(Mesh seam)용접의 용접부 품질판정방법에 있어서 라인제어용 컴퓨터로부터 미리선행 코일과 투일 코일에 대한 강종과 두께정보를 통신에 의해 입력받아 설정된 용접후의 용접부 두께설정값과, 용접전극휠에서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용접부 두께측정센서로부터 얻은 용접부의 두께값의 대소를 비교하여 용접의 양(良), 부(不)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용접부 품질 판정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용접부 품질 판정방법에 따른 두께 측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리고, 도5에서 미설명부호에 대하여는 전술한 도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용접부 품질판정장치는 코일(1) 및 (1a)의 용접직후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빔 센서와 같은 두께측정센서(11) 및 (12)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11)은 용접직후의 상부 코일(1)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센서(12)는 용접직후의 하부 코일(1a)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두께측정의 원리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6에 있어서 용접부의검출된 두께 t'는 다음식(1)로 표시된다.
t'=L-(ℓ1+ℓ2)------------- (1)
이 검츨된 용접부의 두께 t' 는 선행 코일의 두께 t1과 후행코일의 두께 t2를더한값에서 2로 나눈 평균값((t1 十 t2) / 2)이 10%를 넘지 않는 값이어야 용접이 매우 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일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용접중 마모나 드레싱에 의해 상. 하부 용접전극 휠이 깍여져 낮아지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 계면이 층분히 응용이 되지 않아 용접부는 충분한 상태로 압착되지 못하게 되고, 또 표면플래시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래 기술로서는 합격영역에 들어오는 온도가 되더라도 실제로는 미압착(미용융)이 되어 불량한 용접이 되는 것을 감지하기가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감지할 수 있다.
이 두께측정센서(11),(12)는 도5에서와 같이 용접 전극휠에서 소정의 거리(d)를 두고 용접기 후단에 설치되어 있고 (1)식과 같이 연산된 용접부 두께 t'는 제어기 (6)으로 공급되고 제어기 (6)은 코일의 강종과 두께에 따라 이미 설정된 값(10)에 의해 공급된 양과 비교하여 용접품질판정 결과를 도면부호 9로서 표시된 경보기나 표시기에 의해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 품질판정방법에 의하면, 코일 용접부에 의한 판파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라인의 가동율을 향상시켜 생산성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파단에 의한 코일의 사행에 의해서 생기는 라인의 손상도 방지하여 유지, 보수비를 절감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코일의 연속생산을 위한 메쉬시임(Mesh seam)용접의 용접부 픔질판정방법에있어서 라인제어용 컴퓨터로부터 미리 선행 코일과 후일 코일에 대한 강종과 두께정보를 통신에 의해 입력받아 설정된 용접부의 용접부 두께설정값과, 용접전극휠에서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용접부 두께측정센서로부터 얻은 용접부의 두께값의 대소를 비교하여 용접의 양(良), 부(不)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
KR1019960070019A 1996-12-23 1996-12-23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 KR100275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019A KR100275636B1 (ko) 1996-12-23 1996-12-23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019A KR100275636B1 (ko) 1996-12-23 1996-12-23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149A true KR19980051149A (ko) 1998-09-15
KR100275636B1 KR100275636B1 (ko) 2000-12-15

Family

ID=1949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019A KR100275636B1 (ko) 1996-12-23 1996-12-23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550B1 (ko) * 2007-11-30 2009-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 품질 검사 시스템 및 그 검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48B1 (ko) 2013-01-31 2013-12-04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스폿용접로봇의 용접상태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4467A5 (de) * 1991-12-16 1994-09-30 Elpatronic Ag Verfahren zur Ueberwachung der Schweissqualität beim Quetschnahtschweiss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550B1 (ko) * 2007-11-30 2009-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 품질 검사 시스템 및 그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5636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5872A (en) Real time control system and process for controlling predetermin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welding mechanism
KR100333820B1 (ko) 프로세스파라미터모니터링및용접품질관리와관련하여적어도2개의고온계를사용하여레이저용접시임상에서의동시온도측정
US4480475A (en) Real-time ultrasonic weld inspection method
CA2081514A1 (en) Method for monitoring weld quality in mash seam welding
KR19980051149A (ko) 프로세스 라인의 코일접속 용접부 품질판정 방법
JP2789990B2 (ja) ラップシーム溶接機診断装置および溶接良否判定装置
US5313041A (en) Method of voltage measurement over the welding seam in a roller head welding machine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JP3423034B2 (ja) 高周波電縫溶接工程における圧接量検出装置
KR100270098B1 (ko) 용접품질 판정장치 및 방법
JP2576326B2 (ja) ストリップ溶接部の良否判定装置
JP3938055B2 (ja) シーム溶接の良否判定方法および装置
JP4589898B2 (ja) 鋼帯の突き合せ溶接機
KR100340808B1 (ko) 하부전극휠의레벨을조정하여용접하는매쉬심용접방법
KR100241029B1 (ko) 용접품질 판정장치 및 방법
KR100237153B1 (ko) 용접품질 평가 방법
JPH11138291A (ja) 溶接装置における溶接品質判定装置
JPH05318132A (ja) ストリップ連続処理ライン用溶接装置及びその溶接判定方法
JPH07195179A (ja) 連続ストリップ処理ラインの溶接良否判定方法
KR101555102B1 (ko) 스트립의 심 용접기
KR20190073874A (ko)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KR100843832B1 (ko) 용접기의 용접상태 판단장치
JPS63303684A (ja) 電縫管溶接の入熱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3203285A (ja) プロセスラインの鋼帯接続溶接部の溶接判定方法
JPH08174226A (ja) 鋼板の溶接装置
JP3899607B2 (ja) シーム溶接良否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