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640U - 버스의 루프 도어 - Google Patents
버스의 루프 도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49640U KR19980049640U KR2019960062805U KR19960062805U KR19980049640U KR 19980049640 U KR19980049640 U KR 19980049640U KR 2019960062805 U KR2019960062805 U KR 2019960062805U KR 19960062805 U KR19960062805 U KR 19960062805U KR 19980049640 U KR19980049640 U KR 1998004964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bus
- roof
- space portion
- door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버스의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루프 패널과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루프 도어에 대해 개시한다. 이 루프 도어는 버스 루프 패널에 힌지(110)로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도어 개폐구(100)와, 이 도어 개폐구(100)의 일측 하단에 축설된 고정축(200)과, 고정축(200)에 연결된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312)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312) 내부에 스프링(320)이 수용되고 공간부(312)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332)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332) 내부에 탄성스프링(314b)으로 탄성지지되는 록킹볼(314a)이 마련되는 실린더(310)와, 실린더(310)의 공간부(312)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며 그 외주면으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314)이 형성되며 타단은 루프 패널(500)에 축설된 중심축(400)에 연결되는 로드(3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버스의 루프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의 루프 패널에 마련되어 버스 실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개폐가능한 루프 도어의 개방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루프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루프 패널에는 도로 주행시 바람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의 공기를 환풍시킬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루프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버스의 루프 도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루프 패널(50)에 상측으로 개폐가능한 도어 개폐구(10)가 힌지(12)로 결합되고, 상기 도어 개폐구(10)의 일측 하단에 세로방향으로(이하 버스의 폭방향을 세로방향이라 칭함) 고정축(20)이 축설되며, 이 고정축(2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개폐구(10)상측으로 회동 및 지지시키는 로드부(30)가 구비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로드부(30)는 일단이 상기 고정축(20)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은 소정의 공간부(32a)가 내부로 형성되며 이 내부에 스프링(34)이 수용되는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의 공간부(32a)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타단은 루프 패널(50)에 축설된 중심축(40)에 끼움 결합되는 로드(3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34)은 상기 도어 개폐구(10)가 루프 패널(50)에 밀착되어 닫혀 있을 때는 상기 로드(36)가 스프링(36)을 수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폐구(10)가 닫혀 있을 때는 상기 로드(36)의 일단이 스프링(34)을 수축한 채로 실린더(32)의 공간부(32a)로 더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드부(30)의 길이는 정상적(스프링(34)의 길이가 원래의 길이일때)일 때보다 상대적으로 짧아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의 버스의 루프 도어는 탑승객의 실내의 환풍을 위해 상기 고정축(20)을 파지하여 상측으로 밀면 상기 로드부(30)가 상기 도어 개폐구(10)는 중심축(40)을 중심으로 상기 루프 패널(50)의 상방으로 소정각도로 개방된다.
이때 로드부(30)는 상기 스프링(34)의 탄성력으로 상기 로드(36)을 밀어내게 되는 데, 이 로드(36)는 중심축(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른 반발력으로 실린더(32)가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로드(36)와 실린더(32)의 결합된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부(30)는 도어 개폐구(10)를 상측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도어 개폐구(10)의 개방상태를 소정 각도로 유지시킨다.
한편, 이러한 기능을 갖는 종래의 루프 도어는 도어 개폐구가 상기 로드부의 작동으로 인해 개방과 닫힘상태의 두가지 각도밖에 갖지 못했다.
그러므로, 상기한 종래의 루프 도어는 버스의 고속주행시 세찬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어 탑승객이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탑승객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 개폐구의 열리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루프 도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루프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루프 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의 루프 도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어 개폐구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도어 개폐구가 단계적으로 열린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도어 개폐구110:힌지
200:고정축300:로드부
310:실린더312:공간부
314:결합홈314a:록킹볼
314b:탄성스프링320:스프링
330:로드332:끼움홈
400:중심축500:루프 패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버스의 루프 도어는 버스 루프 패널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도어 개폐구와, 상기 도어 개폐구의 하단에 축설된 고정축과 이 고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개폐구의 회동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조절수단이 더 마련된 로드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 내부에 스프링이 수용되고 공간부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 내부에 탄성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록킹볼이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공간부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며 그 외주면으로 상기 록킹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루프 패널에 축설된 중심축에 연결되는 로드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루프 도어의 도어 개폐구의 열리는 각도를 탑승객이 다단계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탑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 버스 루프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참조, 본 고안 버스의 루프 도어는, 버스 루프 패널(500)에 힌지(110)로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어 도어 개폐구(100)와, 이 도어 개폐구(100)의 일측 하단에 축설된 고정축(200)과, 상기 고정축(200)에 연결되어 이 도어 개폐구(100)를 지지 및 회동시키고 상기 도어 개폐구(100)여 열리는 각도를 다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소정의 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로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고정축(200)에 연결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312)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312) 내부에 스프링(320)이 수용되고 공간부(312)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332)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332) 내부에 탄성스프링(314b)으로 탄성지지되는 록킹볼(314a)이 마련되는 실린더(310)와, 상기 실린더(310)의 공간부(312)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고 그 외주면으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314)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루프 패널(500)에 축설된 중심축(400)에 연결되는 로드(330)가 구비된다.
상기 끼움홈(332)은 탄성스프링(314b)의 탄성력으로 지지되는 록킹볼(314a)의 소정 면적이 그 외측으로 출몰가능하고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가 상기 록킹볼(314a)의 지름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구(100)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스프링(320)이 상기 로드(330)에 의해 수축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고안 버스의 루프 도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참조, 본 고안 루프 도어는 먼저 탑승객이 고정축(200)을 파지한 다음 상측으로 밀면 상기 도어 개폐구(100)가 상기 중심축(400)을 중심으로 힌지(110)에 의해 회동되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320)은 탄성력으로 팽창되어 로드(330)에 대한 반발력으로 상기 실린더(310)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후에 탑승객은 상기 실린더(310)를 파지한 다음에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실린더(310)의 공간부(312) 내주면이 로드(330)의 외주면을 타고 하강되다가 로드(330)의 결합홈(314) 부위에 도달하면 상기 끼움홈(332)에 삽입된 록킹볼(314a)이 탄성스프링(314b)의 탄성력으로 상기 결합홈(314)으로 삽입되어 록킹됨으로써 로드(330)부의 길이가 단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개폐구(100)는 상기 로드(330)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루프 패널(500)과의 열리는 각도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332)에 삽입되어 출몰가능한 각각의 록킹볼(314a)은 탑승객의 요구에 따라 로드(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314)에 단계적으로 록킹되므로, 상기 로드(300)의 길이변화가 다단계적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폐구(100)는 상기 로드(300)의 길이 변화에 따라 루프 패널(500)과의 열리는 각도가 단계적으로 변화되어 버스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조절시킨다.
본 고안은 탑승객의 필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도어 개폐구의 열리는 각도를 조절하여 버스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객의 편의 성을 증대시키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 버스 루프 패널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도어 개폐구와, 이 도어 개폐구의 일측 하단에 축설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 이 도어 개폐구를 지지 및 회동시키는 로드부로 이루어진 버스의 루프 도어에 있어서,상기 로드부는 상기 도어 개폐구의 회동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조절수단이 더 마련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루프 도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 내부에 스프링이 수용되고 공간부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 내부에 탄성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록킹볼이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공간부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고 그 외주면으로 상기 록킹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루프 패널에 축설된 중심축에 연결되는 로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루프 도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2805U KR200154409Y1 (ko) | 1996-12-30 | 1996-12-30 | 버스의 루프 도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2805U KR200154409Y1 (ko) | 1996-12-30 | 1996-12-30 | 버스의 루프 도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9640U true KR19980049640U (ko) | 1998-10-07 |
KR200154409Y1 KR200154409Y1 (ko) | 1999-08-02 |
Family
ID=1948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62805U KR200154409Y1 (ko) | 1996-12-30 | 1996-12-30 | 버스의 루프 도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440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8189B1 (ko) * | 2004-10-22 | 2007-03-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 장치 |
CN109025599A (zh) * | 2018-05-28 | 2018-12-18 | 魏长同 | 一种自动关门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818B1 (ko) * | 2006-11-22 | 2007-09-20 | 원승묵 | 울타리용 주차문 개폐장치 |
-
1996
- 1996-12-30 KR KR2019960062805U patent/KR20015440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8189B1 (ko) * | 2004-10-22 | 2007-03-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 장치 |
CN109025599A (zh) * | 2018-05-28 | 2018-12-18 | 魏长同 | 一种自动关门装置 |
CN109025599B (zh) * | 2018-05-28 | 2020-04-03 | 太原市警鹰保险柜制造有限公司 | 一种自动关门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54409Y1 (ko) | 1999-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235773C (zh) | 用于存储容器的铰接装置 | |
US6817062B2 (en) | Door hinge apparatus having a door checking function | |
US20140158309A1 (en) | Curtain integrated door regulator structure | |
AU5944999A (en) | Door hinge device | |
KR200154409Y1 (ko) | 버스의 루프 도어 | |
KR200187430Y1 (ko) | 닫힘수단 및 정지수단을 갖는 도어용 힌지구조 | |
KR100448063B1 (ko) |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 |
JP3229170U (ja) | 傘 | |
KR100422844B1 (ko) | 4절 링크를 이용한 에어 벤트 댐퍼 | |
KR960005984Y1 (ko) | 차량의 벤틸레이터 | |
KR200145449Y1 (ko) |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열림완충장치 | |
KR200281176Y1 (ko) | 여닫이 창을 가지는 미닫이 창 | |
CN109185512A (zh) | 一种单向充气阀 | |
KR100391514B1 (ko) | 플랩 보유지지용 스테이구조 | |
KR0132148Y1 (ko) | 빗물가리개를 구비한 버스 도어 | |
KR100471030B1 (ko) | 자동차용 hvac 시스템의 흡입덕트 구조 | |
CN207902163U (zh) | 前端模块及应用该前端模块的汽车 | |
KR0113927Y1 (ko) | 자동차 에어벤트루버노즐(Air vent Louver Nozzle)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 |
CN107234957B (zh) | 车用防晒伞以及配重防晒伞 | |
KR100521197B1 (ko) | 차량용 벤츄레이터 | |
KR200153555Y1 (ko) | 자동차용 수동식 도어글래스 개폐장치의 크랭크 핸들 | |
KR100550613B1 (ko) | 에어밴트 댐퍼구조 | |
KR100571663B1 (ko) |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 |
KR890000326Y1 (ko) | 차량용 전망창 | |
KR100683568B1 (ko) |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42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