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167A -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49167A KR19980049167A KR1019960067840A KR19960067840A KR19980049167A KR 19980049167 A KR19980049167 A KR 19980049167A KR 1019960067840 A KR1019960067840 A KR 1019960067840A KR 19960067840 A KR19960067840 A KR 19960067840A KR 19980049167 A KR19980049167 A KR 199800491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f spring
- support
- spring
- present
- fixing cli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6—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리프스프링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프스프링의 양단을 결합하는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은 양측에 설치되는 중공의 지지포스트(11, 12)에 ㄷ자형의 지지바아(14)의 피스톤로드(16)를 삽입하여 코일스프링(13, 14)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포스트(11)는 일종의 스프링형 실린더로서 상단에 고정용 볼트(27)를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18)을 구비하고, 지지바아(14)의 지지부(15)에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피스톤로드(16)의 상단에는 피스톤(17)을 형성하여, 피스톤로드(16)의 주위에 코일스프링(13)을 설치하여 지지포스트(11)에 지지바아(14)를 탄성적으로 지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에 의해 각 리프스프링(21,22,23,24)은 고정되지 않고 지지바아(15)상에 겹쳐져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을 사용함으로써, 리프스프링(21~24) 간의 고정을 탄성적인 고정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리프스프링의 단점인 미소진동에 대한 동스프링정수 영역을 확대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리프스프링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프스프링의 양단을 결합하는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리프스프링은 스프링으로서의 특성 외에도 스프링장체가 서스펜션의 일부로서 구조부재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설치가 간편하여 예로부터 자동차의 서스펜션으로 사용되어 왔다.
도 1에 종래의 일반적인 리프스프링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리프스프링(1)이라고 부르는 스프링에는 양단에 차체에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아이(1a)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리프스프링(1)의 하부에는 이것을 보조하는 보조 리프스프링(2)을 설치하고, 점차 짧게하여 여러매를 중첩시켜 스프링력을 증가시키고 있다. 중앙부는 여러매의 리프스프링(1, 2)을 고정하기 위한 센터볼트(3)가 설치되어 있고, 센터볼트(3)의 양단은 U볼트(4)로 차축(5)에 고정되며, 리프스프링(1, 2)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스프링(1, 2)의 양단에는 클립밴드(6)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리프스프링(1, 2)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6)의 단면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립밴드(6)는 클립러버(7)를 사용하여 스프링에서 발생하는 마모나 소음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각 리프스프링(1, 2)을 밀착시켜 견고히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리프스프링은 승차감이 나빠, 주로 트럭 등 상용차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리프스프링이 승차감을 해치는 이유의 하나는 보조 리프스프링과 메인 리프스프링이 일체로 결합되어 항시 함께 진동을 흡수하므로 동스프링정수가 커서 미소 진동은 거의 흡수하기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스프링을 구성하는 메인스프링과 보조 리프스프링의 독자적인 변형을 허용하여 동스프링정수값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프스프링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을 장착한 리프스프링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센터볼트4 : U볼트
5 : 차축10 :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
11, 12 : 지지포스트13 : 코일스프링
14 : 지지바아15 : 지지부
16 : 피스톤로드17 : 피스톤
21 : 메인 리프스프링22~24 : 보조 리프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형 지지포스트, 지지포스트에 삽입되어 지지되되록 상단에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로드와 피스톤로드를 연결하며 리프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한 지지바아, 및 지지포스트내의 피스톤로드 주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을 사용함으로써, 리프스프링 간의 고정을 탄성적인 고정방식으로 변경하여, 리프스프링의 단점인 미소진동에 대한 동스프링정수값의 범위를 확대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리프스프링을 설치한 상태의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은 리프스프링(21,22,23,24)간을 부착하는 고정방식이 아닌 탄성적인 고정방식으로 변경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은 양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공의 지지포스트(11, 12)에 ㄷ자형의 지지바아(14)의 피스톤로드(16)를 삽입하여 코일스프링(13)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포스트(11)는 일종의 스프링형 실린더로서 상단에 고정용 볼트(27)를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18)을 구비하고, 지지바아(14)의 지지부(15) 양단에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피스톤로드(16)의 상단에는 피스톤(17)을 형성하여, 피스톤(17)의 하방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16)의 주위에 코일스프링(13)을 설치하여 지지포스트(11)의 지지바아(14)를 탄성적으로 지지한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에 의해 각 리프스프링(21,22,23,24)은 고정되지 않고 지지바아(14)의 지지부(15)상에 겹쳐져 있게 된다. 따라서, 차체의 진동에 의해 리프스프링(21,22,23,24)이 변형될 때, 먼저 메인스프링(21)이 단독으로 변형하고, 이어, 제 1 보조 리프스프링(22), 제 2 보조리프스프링(23) 및 제 3 보조리프스프링(24)순으로 변형되며, 클립(10)의 지지바아(15)가 최대로 하향단 상태에서는 클립(10)에 고정되어 리프스프링(21~24)이 동시에 변형되어 중첩된 리프스프링(21~24)의 스프링상수값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지지바아(14)의 하향 이동거리는 리프스프링(21~24)의 동스프링정수의 범위를 확대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므로 차량의 특성에 따라 차량에 적합하도록 설정한다.
한편, 미소진동에 대한 일정 범위의 낮은 동스프링정수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메인 리프스프링(21)만을 독립적으로 변형되도록 보조 리프스프링들(22~24)의 전부나 일부를 클립러버(7, 도 2)을 지지부(15)에 설치하거나 별도의 클립밴드(6)를 사용하여 리프스프링들(21~24)을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을 사용하여 고정된 리프스프링(21~24)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9)에 메인 리프스프링(21)의 스프링아이를 설치하여 리프스프링을 설치하면, 차량의 미소진동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리프스프링(21) 혹은 보조 리프스프링(22~24)이 중앙의 센터볼트(3)에 의해서만 고정되고 양단은 고정되지 않으므로, 서로 독립적으로 변형되며 메인 리프스프링(21)과 상위 보조 리프스프링(22~24) 순으로 차례로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인 동스프링정수값의 범위가 확대되며, 한편으로 클립(10)의 간격에 따라 일정한 대변위 진동에 대해서는 리프스프링들(21~24)이 일체로 변형되어 대변위 진동특성은 종래와 같이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10)을 사용함으로써, 리프스프링(21~24) 간의 고정을 탄성적인 고정방식으로 변경하여, 리프스프링의 단점인 미소진동에 대한 동스프링정수값의 범위를 확대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형 지지포스트, 지지포스트에 삽입되어 지지되되록 상단에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로드와 피스톤로드를 연결하며 리프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한 지지바아, 및 지지포스트내의 피스톤로드 주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의 지지부 상에 중첩되는 리프스프링의 일부를 고정하는 클립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7840A KR100204906B1 (ko) | 1996-12-19 | 1996-12-19 |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7840A KR100204906B1 (ko) | 1996-12-19 | 1996-12-19 |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9167A true KR19980049167A (ko) | 1998-09-15 |
KR100204906B1 KR100204906B1 (ko) | 1999-06-15 |
Family
ID=1948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67840A KR100204906B1 (ko) | 1996-12-19 | 1996-12-19 |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04906B1 (ko) |
-
1996
- 1996-12-19 KR KR1019960067840A patent/KR1002049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04906B1 (ko) | 1999-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1122013A (ja) | 自動車サスペンシヨン | |
KR100204906B1 (ko) | 리프스프링 고정용 클립 | |
US543347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bing resonance vibration in a leaf spring in a suspension system | |
KR100192283B1 (ko) |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 |
KR200179255Y1 (ko) | 판스프링의 클램프구조 | |
JP3822292B2 (ja) | 車両用懸架装置のダンパマウント | |
KR20020050610A (ko) | 자동차용 리프스프링 | |
CN216101422U (zh) | 一种汽车悬架减震结构以及汽车 | |
KR100391662B1 (ko) | 자동차의 예비타이어를 이용한 동적댐퍼 | |
JPH07238980A (ja) | 油圧緩衝器のリバウンドスプリング取付け構造 | |
KR0130622Y1 (ko) |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 |
KR19980045482A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 |
KR100302718B1 (ko) | 차량용현가장치의섀시스프링 | |
KR100259701B1 (ko) |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 |
KR200150435Y1 (ko) | 자동차의 서스펜션 스트러트 | |
KR200209836Y1 (ko) | 자동차용 현가 장치 | |
KR19990043287A (ko) | 스프링상수 증대를 위한 버스의 현가장치 | |
CN116061674A (zh) | 一种汽车悬置结构及具有其的汽车 | |
KR100259700B1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콘트롤암의 부시 및 클램프 구조 | |
KR19980065788U (ko) | 가변강성도 코일스프링 | |
KR19990043216A (ko) | 판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이 적용된 버스의 현가장치 | |
KR20040067005A (ko) | 현가장치의 리프스프링 취부구조 | |
KR19980064448U (ko) |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 | |
KR19990029738U (ko) | 리프스프링 | |
KR19980047995A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