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904U -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904U
KR19980048904U KR2019960062069U KR19960062069U KR19980048904U KR 19980048904 U KR19980048904 U KR 19980048904U KR 2019960062069 U KR2019960062069 U KR 2019960062069U KR 19960062069 U KR19960062069 U KR 19960062069U KR 19980048904 U KR19980048904 U KR 199800489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rowsiness
driving
present
preve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2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8904U/ko
Publication of KR19980048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90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가 주행중에 졸음운전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파지하는 스티어링휠의 일부분에 체압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운전자의 파지력을 감지하여 졸음을 감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는, 운전자가 파지하는 스티어링휠(2)의 일부분에 체압감지센서(4)를 설치하고 운전자의 파지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파지력이 소정압력이하가 되면 감지부(4)에서 이것을 감지하여 후면에 설치된 후미램프(10)를 점등시켜 경고신호를 보내며 부저(8)를 동작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
본 고안은 운전자가 주행중에 졸음운전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파지하는 스티어링휠의 일부분에 체압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운전자의 파지력을 감지하여 졸음을 감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동안 고속도로를 주행하다보면 운전자는 졸음이라는 위험요소와 싸우게 된다. 졸음은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으로서 졸음운전을 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무리를 하여 졸음운전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특히 운전자 혼자만이 탑승한 경우에는 졸음운전은 치명적인 교통사고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운전자의 졸음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만족할 만한 효과는 거두지 못하는 있는 형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의 스티어링휠을 잡는 정도인 파지력을 감지하여 졸음에 의한 부주의에 의하여 파지력이 약해지는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알려서 졸음을 깨우고 또한 후미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게 운전자의 졸음운전상태를 통보하여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는, 운전자가 파지하는 스티어링휠의 일부분에 체압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운전자의 파지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파지력이 소정압력이하가 되면 감지부에서 이것을 감지하여 후면에 설치된 후미램프를 점등시켜 경고신호를 보내며 부저를 동작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배선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티어링휠, 4 : 체압감지센서,
6 : 제어부, 8 : 부저,
10: 차량후미램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주행중에 운전자가 조는 경우에 스티어링휠의 파지력이 약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고 또한 후미에서 주행하는 차량에게 운전자의 상태를 통보하여 안전주행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티어링휠의 일부분, 특히 운전시에 파지되는 부분에 체압감지센서를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2)의 일부분(빗금친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파지되는 부분)에 체압감지센서(4)가 설치된다. 상기 체압감지센서(4)는 운전자가 스티어링휠(2)을 파지할 때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서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이 변화되는 압력센서, 또는 피에조센서와 같은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압감지센서(4)로부터 발생된 압력에 상응하는 신호는 제어부(6)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6)는 입력되는 전압신호(또는 전류신호)를 미리 저장된 기준전압신호와 비교하는 역할을 하며, 비교결과에 따라서 특정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어부(6)는 차량의 자체 ECU를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상기 기준전압은 실험에 의하여 구할 수 있으며 결정된 기준파지력은 데이터로서 제어부(6)에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저장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졸음으로 인한 운전자의 파지력의 약화를 감지하여 운전자 및 후미의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는 부저(8)와 후미램프(1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후미의 운전자에게는 후미램프(10)을 점등시킴으로서 선행운전자가 졸음운전중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 예를 들어서 차량의 충돌사고방지를 위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클랙션을 눌러서 졸음을 깨우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의 작용효과를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차량이 주행이 시작되며뉴 제어부(6)에서는 체압감지센서(4)로부터 입력되는 체압을 계속 감지하게 된다. 만일 파지력이 설정된 기준파지력보다 큰 경우에는 제어부(6)에서는 운전자의 상태가 정상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만일 체압감지센서(4)로부터 입력되는 파지력에 상응하는 전압신호가 기준파지력에 대한 전압신호보다 낮아지면 제어부(6)에서는 운전자가 졸음운전중이라고 판단하고 후미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위하여 후미램프(10)을 점등시켜 운전자의 상태를 알려준다. 또한 부저(8)를 통하여 굉음을 출력시킴으로서 운전자의 졸음을 깨워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자의 스티어링휠을 잡는 정도인 파지력을 감지하여 졸음에 의한 부주의에 의하여 파지력이 약해지는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알려서 졸음을 깨우고 또한 후면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게 운전자의 졸음운전상태를 통보하여 사고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1)

  1. 운전자가 파지하는 스티어링휠(2)의 일부분에 체압감지센서(4)를 설치하고 운전자의 파지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파지력이 소정압력이하가 되면 감지부(4)에서 이것을 감지하여 후면에 설치된 후미램프(10)를 점등시켜 경고신호를 보내며 부저(8)를 동작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
KR2019960062069U 1996-12-30 1996-12-30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 KR199800489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069U KR19980048904U (ko) 1996-12-30 1996-12-30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069U KR19980048904U (ko) 1996-12-30 1996-12-30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904U true KR19980048904U (ko) 1998-10-07

Family

ID=5400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069U KR19980048904U (ko) 1996-12-30 1996-12-30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89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0223B2 (en) 2020-08-14 2023-12-12 Hl Klemove Corp. Driver assista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0223B2 (en) 2020-08-14 2023-12-12 Hl Klemove Corp. Driver assista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8904U (ko) 주행중의 졸음방지장치
JP4121936B2 (ja) 居眠り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H0521465Y2 (ko)
KR100283321B1 (ko) 졸음 운전 방지 장치
KR100193924B1 (ko) 차량의 졸음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KR970065230A (ko) 졸음 운전시의 경고 및 안전시스템
KR19980041257A (ko) 졸음 운전 경보 장치
KR100231533B1 (ko) 차량의 고속주행시 사고방지장치
KR20000006884U (ko) 차량의 위험 운전 경고 장치
KR910003822Y1 (ko) 차량용 안전거리감지 장치
KR20040098704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자동제어장치
KR200166635Y1 (ko) 자동차의 급회전 경고장치
KR19990021098A (ko) 자동차의 졸음 운전 경고장치
KR100337815B1 (ko)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KR19990038295A (ko) 운전자 주의력 감지장치 및 방법
KR19980078362A (ko) 자동차 난폭운전 경고 방법 및 장치
JPH0326025Y2 (ko)
KR19980030211A (ko) 운전자 졸음방지 시트진동장치
JPS5848205Y2 (ja) 車両の左折事故防止装置
KR19990002982U (ko)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보장치
KR0145835B1 (ko) 사이드 브레이크의 잠금확인 경보장치 및 경보방법
JP2006103467A (ja) 握力センサの故障判定装置
JPH0134949Y2 (ko)
KR19980052745U (ko) 운전자 피로측정 경보장치
KR100197503B1 (ko) 차량의 트렌스퍼 고장 경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